KR102103066B1 -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066B1
KR102103066B1 KR1020180036961A KR20180036961A KR102103066B1 KR 102103066 B1 KR102103066 B1 KR 102103066B1 KR 1020180036961 A KR1020180036961 A KR 1020180036961A KR 20180036961 A KR20180036961 A KR 20180036961A KR 102103066 B1 KR102103066 B1 KR 10210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vy
plate
inlet
hea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369A (ko
Inventor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신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섭 filed Critical 신우섭
Priority to KR102018003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0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2Behead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멸치의 머리 및 내장을 제거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본체, 멸치를 본체로 통과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본체에 통과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을 컷팅하는 컷팅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Anchovy by-product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용이하게 멸치의 머리 및 내장을 제거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본체, 멸치를 본체로 통과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본체에 통과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을 컷팅하는 컷팅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멸치는 아미노산과 핵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연안에서 많이 잡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각종 국물로 된 음식물의 맛을 내는 조미료로 애용되었고, 특히 크기가 작아 쉽게 건조되므로 유종이 편리하며 1년 내내 보관하면서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갈류로 가공하여 먹는 등 우리나라 음식 문화에 깊숙히 침투되어 있다.
특히, 건멸치는 통째로 먹기도 하지만, 주로 볶음이나 국물을 우려내는데 사용된다.
이때, 내장과 머리에는 다량의 미생물과 쓴맛이 있어, 머리나 내장을 빼지 않고 볶음 요리를 하거나 국물을 내면 비린 맛이 나거나 뒷맛이 쓰게 되어 되도록이면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다른 생선들보다 비교적 크기가 작은 멸치는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기가 불편하고 지루하여 최근에는 멸치에서 머리와 내장을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추세이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5-0056016호, 공개특허 제10-2010-0052251호 등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5-0056016호는 멸치를 공급판에서 공급하고, 요철판에 의해 정리한 후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부러쉬 또는 컷터로 문질러 내장과 육질을 분리하며, 분리된 내장과 육질은 1차적으로 풍력으로 분리하고 2차적으로 남아있는 내장은 수류식으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052251호는 공급호퍼로 투입되는 멸치를 일렬로 정렬 공급하여 컨베이어 구성의 이송부로 이송하면서 내장을 제거하는 멸치 내장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모터에 의해 일괄 구동되게 기체의 양쪽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설치대에 베어링으로 지지되게 설치한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말단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의 벨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멸치를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내장을 터뜨리도록 설치대에 지지되게 조립한 스페이스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의 벨트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스패널의 양측으로는 멸치 내장을 제거하도록 설치한 절단부를 설치하되; 상기 절단부는 스페이스패널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구에 스페이스패널과 접하도록 칼결합홈을 형성하고, 이에 절단칼을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멸치의 내장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본 발명 또한 멸치의 머리와 내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체, 멸치를 본체로 통과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본체에 통과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을 컷팅하는 컷팅수단,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하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져, 기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방식에서 탈피하여 인건비 및 가공비를 절감하면서도 대량으로 손질된 양질의 멸치를 얻을 수 있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하부 및 양 옆으로 각각 상측프레임, 하측프레임, 양측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인 외형부 및 상기 외형부의 내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형부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형부의 상측프레임 하면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외형부의 고정홈에 상측이 인입되어 외형부와 구획부 사이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롤러가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가 구성되고, 상기 인입롤러의 하측부에는 외경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도록 굴곡지는 인입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멸치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인입된 다수의 인입롤러의 상측 부위는 서로 대향되도록 교번되는 기어형태로 이루어져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를 회전시키면 모든 인입롤러가 회전됨과 아울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인입롤러는 서로 대향되게 회전되어 인입부로 인입된 멸치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작동기어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에 형성되는 인입부의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인입부를 통과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부위에 마찰되어 제거하도록 인입부의 후측에 아래로 향하는 삼각형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컷팅체인 컷팅수단; 상기 다수의 인입롤러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에 일체화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회전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컷팅수단은 컷팅체의 상부로 금속판 형태로 된 이동판이 컷팅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작동판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작동봉이 형성되고, 상기 외형부의 상측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부가 외형부의 상측프레임에 노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작동봉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측프레임에 노출된 부위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봉이 상, 하이동하여 컷팅체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판을 이동시키는 회전판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외형부의 상측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 일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수용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단부측 상부로 돌출되는 파지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구획부의 하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멸치를 본체에 인입시킴과 동시에 이동수단과 컷팅수단에 의해 멸치가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멸치의 머리와 내장이 제거되기 때문에, 기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방식에서 탈피하여 인건비 및 가공비를 절감하면서도 대량으로 손질된 양질의 멸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컷팅체의 설치위치가 작동봉의 상, 하이동에 의해 결정되어 멸치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대응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인입롤러를 구동하는 수동방식과 전동모터를 이용한 자동방식을 혼용되도록 사용되어,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생산시설에서 접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 및 컷팅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는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에 의해 컷팅수단이 이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는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입롤러가 자동방식으로 구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 및 컷팅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는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수단에 의해 컷팅수단이 이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는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본체(10), 멸치를 본체(10)로 통과시키는 이동수단(20), 상기 이동수단(20)에 의해 본체(10)에 통과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을 컷팅하는 컷팅수단(30), 상기 이동수단(20)을 작동하는 회전수단(40)으로 구성되어진다.
본체(10)는 상, 하부 및 양 옆으로 각각 상측프레임, 하측프레임, 양측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인 외형부(11) 및 상기 외형부(11)의 내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형부(11)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13)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는 상기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 하면으로 고정홈이 형성된다.
삭제
이동수단(20)은 상기 외형부(11)의 고정홈에 상측이 인입되어 외형부(11)와 구획부(13) 사이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롤러가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2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동수단(20)은 상기 인입롤러(21)의 하측부에는 외경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도록 굴곡지는 인입부(23)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멸치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수단(20)은 상기 고정홈에 인입된 다수의 인입롤러(21)의 상측 부위는 서로 대향되도록 교번되는 기어형태로 이루어져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21)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21)를 회전시키면 모든 인입롤러(21)가 회전됨과 아울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인입롤러(21)는 서로 대향되게 회전되어 인입부(23)로 인입된 멸치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작동기어(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이동수단(20)은 작동기어(25)에 의해 하나의 인입롤러(21)를 회전시키면 다른 인입롤러(21)들도 연동되어 회전되고, 이때 다수의 인입롤러(21) 중 한 쌍의 인입롤러(21)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23)에 멸치를 각각 인입시키면 한 쌍의 인입롤러(21)가 인입된 멸치를 가압하면서 인입롤러(2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컷팅수단(30)은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에 형성되는 인입부(23)의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인입부(23)를 통과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부위에 마찰되어 제거하도록 인입부(23)의 후측에 아래로 향하는 삼각형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컷팅체(31)가 포함된다.
이때, 멸치는 내장이 있는 배부위가 상측을 향하면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수단(40)은 상기 다수의 인입롤러(21)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21)에 일체화되는 회전축(41) 및 상기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구성되어 인입롤러(21)의 회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삼각형 형태인 컷팅체(31)는 일부가 절곡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컷팅수단(30)의 형태는, 컷팅체(31)의 상부로 금속판 형태로 된 이동판(32)이 컷팅체(31)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32)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작동판(3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33)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작동봉(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부가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에 노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작동봉(34)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측프레임에 노출된 부위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봉(34)이 상, 하이동하여 컷팅체(31)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판(33)을 이동시키는 회전판(3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컷팅체(31)의 설치위치가 작동봉(34)의 상, 하이동에 의해 결정되어 멸치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대응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판(33)의 하측으로 볼트체결에 의해 이동판(32)에 고정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가 외형부(11)의 양측 내면에 연장되는 수평판(36)이 구비되어 회전판(35)의 회전에 의해 작동봉(34) 및 작동판(33)이 상, 하이동될 때 작동판(33)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다수의 컷팅체(31)의 수평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형부(11)의 양측프레임 내면으로 안내홈(1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수평판(36)의 양측단부는 안내홈(16)에 인입되어 회전판(35)의 회전에 의해 작동봉(34) 및 작동판(33)이 상, 하이동될 때 수평판(36)은 안내홈(16)에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수평판(36)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외형부(11)의 양측 내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내홈(16)이 형성되는 방향으로만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20)의 인입롤러(21)는 인입부(23)와 하부측으로 돌기부(24)가 형성되어 인입롤러(21)에 의해 멸치가 이동될 때 돌기부(24)로 하여금 인입되는 멸치에 대한 가압력을 높여주어 멸치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인입롤러(21)를 회전시켜 멸치를 이동시키는 것은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으로 구분되어 사용할 수 있다.
수동방식은 회전축(41)을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41) 일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수용하는 연결판(43)과, 상기 연결판(43)의 단부측 상부로 돌출되는 파지봉(44)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직접 파지봉(44)을 회전시킴으로써 연결판(43)과 회전축(41)이 연동되어 회전축(41)과 일체인 인입롤러(21)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동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을 구획부(13)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41)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45)로 구성하여 전동모터(45)가 회전축(41)을 회전시켜 회전축(41)과 일체인 인입롤러(21)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을 구분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두 가지 방식을 한꺼번에 구비시켜 작업량이나 작업장소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구획부(13)는 한 쌍의 인입롤러(21)에 형성된 인입부(23)의 옆으로 컷팅수단(30)에 의해 머리와 내장이 분리된 멸치가 배출되는 부위에 사선으로 테이퍼지는 낙하부(14)가 형성되어 머리와 내장이 분리된 멸치가 자동으로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형부(11)의 하측프레임의 양측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체(51)가 힌지축(53)에 의해 힌지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체(51)에 의해 본체(10)를 보호하면서 휴대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10 : 본체 11 : 외형부
13 : 구획부 20 : 이동수단
21 : 인입롤러 23 : 인입부
24 : 돌기부 25 : 작동기어
30 : 컷팅수단 31 : 컷팅체
32 : 이동판 33 : 작동판
34 : 작동봉 35 : 회전판
36 : 수평판 40 : 회전수단
41 : 회전축 43 : 연결판
44 : 파지봉 45 : 전동모터

Claims (10)

  1. 상, 하부 및 양 옆으로 각각 상측프레임, 하측프레임, 양측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인 외형부(11) 및 상기 외형부(11)의 내부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형부(11)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 하면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외형부(11)의 고정홈에 상측이 인입되어 외형부(11)와 구획부(13) 사이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롤러가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21)가 구성되고, 상기 인입롤러(21)의 하측부에는 외경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도록 굴곡지는 인입부(23)가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멸치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인입된 다수의 인입롤러(21)의 상측 부위는 서로 대향되도록 교번되는 기어형태로 이루어져 다수로 구비되는 인입롤러(21)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21)를 회전시키면 모든 인입롤러(21)가 회전됨과 아울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인입롤러(21)는 서로 대향되게 회전되어 인입부(23)로 인입된 멸치를 회전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작동기어(25)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20);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에 형성되는 인입부(23)의 후측에 각각 구비되어 인입부(23)를 통과하는 멸치의 머리와 내장부위에 마찰되어 제거하도록 인입부(23)의 후측에 아래로 향하는 삼각형 형태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컷팅체(31)인 컷팅수단(30);
    상기 다수의 인입롤러(21)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21)에 일체화되는 회전축(41) 및 상기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회전수단(40);
    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수단(30)은 컷팅체(31)의 상부로 금속판 형태로 된 이동판(32)이 컷팅체(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32)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작동판(3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33)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작동봉(34)이 형성되고,
    상기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부가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에 노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작동봉(34)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측프레임에 노출된 부위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봉(34)이 상, 하이동하여 컷팅체(31)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판(33)을 이동시키는 회전판(35)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33)의 하측으로 볼트체결에 의해 이동판(32)에 고정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가 외형부(11)의 양측 내면에 연장되는 수평판(3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11)의 양측프레임 내면으로 안내홈(1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36)의 양측단부는 안내홈(16)에 인입되어 회전판(35)의 회전에 의해 작동봉(34) 및 작동판(33)이 상, 하이동될 때 수평판(36)은 안내홈(16)에 안내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0)의 인입롤러(21)는 인입부(23)와 하부측으로 돌기부(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은 외형부(11)의 상측프레임의 상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41) 일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수용하는 연결판(43)과, 상기 연결판(43)의 단부측 상부로 돌출되는 파지봉(4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은 구획부(13)의 하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돌출된 회전축(41)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45)임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3)는 한 쌍의 인입롤러(21)에 형성된 인입부(23)의 옆으로 컷팅수단(30)에 의해 머리와 내장이 분리된 멸치가 배출되는 부위에 사선으로 테이퍼지는 낙하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부(11)의 하측프레임의 양측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의 케이스체(51)가 힌지축(53)에 의해 힌지회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KR1020180036961A 2018-03-30 2018-03-30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KR102103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61A KR102103066B1 (ko) 2018-03-30 2018-03-30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961A KR102103066B1 (ko) 2018-03-30 2018-03-30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69A KR20190114369A (ko) 2019-10-10
KR102103066B1 true KR102103066B1 (ko) 2020-04-21

Family

ID=6820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961A KR102103066B1 (ko) 2018-03-30 2018-03-30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08B1 (ko) 2021-04-19 2021-10-29 (주)대원푸드 건멸치 내장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10B1 (ko) 2014-12-03 2017-03-22 이원우 멸치회 뜨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675B1 (ko) * 2002-07-22 2004-06-30 유봉덕 멸치 내장 제거장치
KR20050080161A (ko) * 2005-07-20 2005-08-11 박재근 맛이 개선된 위생멸치의 제조방법 및 켄베이어형내장분리기
KR20100052251A (ko) * 2008-11-10 2010-05-19 유봉덕 멸치 내장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10B1 (ko) 2014-12-03 2017-03-22 이원우 멸치회 뜨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08B1 (ko) 2021-04-19 2021-10-29 (주)대원푸드 건멸치 내장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69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91147B (zh) 一种宠物鸟饲料加工用鸡蛋混合装置
KR102103066B1 (ko)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US62571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meat
CN109007647A (zh) 烤鳗连续加工生产线系统、烤鳗的加工方法
US5850786A (en) Apparatus for progressively flattening meat
KR20200001271U (ko) 멸치의 머리 및 내장 제거장치
CN107712020B (zh) 可均匀涂抹食盐的腌肉机
CN111838268A (zh) 食品加工用自动化猪蹄深度去毛除污设备及除污方法
KR101590159B1 (ko) 과메기 가공 장치
CN108967501B (zh) 一种小龙虾去头清洗装置
RU26261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етирования рыбы
CN211672211U (zh) 一种虾类水产品去头装置
KR20160010249A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CN108638151A (zh) 一种可调节切片宽度且便于清洁的农产品用切片机
CN113100277A (zh) 一种肉制品加工用风干装置
KR100367173B1 (ko) 오징어 가공장치
CN210746969U (zh) 一种鱼类加工生产线的去鳞机构
JP4606204B2 (ja) 具材入り練り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3695273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JP3523335B2 (ja) 魚肉類等の自動裁断装置及び自動裁断方法
KR101833369B1 (ko)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CN107736430B (zh) 杀鱼机
CN217147541U (zh) 一种振动式单冻机的物料传送机构
CN109007883A (zh) 一种芋子自动去皮清皮清洗一体机
JP7171042B2 (ja) 付着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