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674B1 -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 Google Patents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674B1
KR102102674B1 KR1020157019507A KR20157019507A KR102102674B1 KR 102102674 B1 KR102102674 B1 KR 102102674B1 KR 1020157019507 A KR1020157019507 A KR 1020157019507A KR 20157019507 A KR20157019507 A KR 20157019507A KR 102102674 B1 KR102102674 B1 KR 102102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ox
disconnector
boxed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782A (ko
Inventor
프랑코 치베티니
Original Assignee
브레마스 에르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마스 에르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브레마스 에르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5010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64Encased switches adapted for ganged operation when assembled in a line with identical switches, e.g. stacked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4Protecting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ybrid Cell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1)는 적어도 2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2)를 포함하고, 각각은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에 결합되는 박스형 바디(3)를 포함한다. 박스형 바디(3)는 회전가능한 콘택(4)을 수용하는 중앙 시트(40)와 2 개의 주변 시트(50)를 형성하고, 이 주변 시트(50)의 각각은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한다. 회전가능한 콘택(4)은, 주변 시트(50)에서 그 연결 부분(51)을 구비하는 고정된 콘택(5)와 맞물리도록 하거나 이 고정된 콘택(5)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박스형 바디(3)에 대해 중앙 시트(40)의 축선(40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중앙 시트(40)의 축선(40a)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A)에 대해 동일 측(30) 상에 배치되고,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 및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중심 평면(A)에 대해 상호 반대 측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DISCONNECTO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본 발명은 단로기(disconnector),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광기전 시스템에서, 개개의 광전지에 의해 생산되는 낮은 전류는 이용 시스템에 의해 요구되는 전류 및 총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병렬로 통합된다. 그러므로 광기전 시스템에서 개개의 광전지의 각각은 격리, 보호 및 단절된다.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의 분야에서, 더 일반적으로는 전기 시스템을 위한 디바이스의 분야에서, 이 목적을 위해 단로기 및 그 중에서도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유형의 단로기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모듈식 콘택 박스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은 일반적으로 회전가능한 콘택 및 한 쌍의 고정된 콘택을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콘택의 회전은 2 개 이상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결합의 경우에 각각의 모듈에 대해 동시에 발생하고, 각각의 모듈의 2 개의 고정된 콘택 사이에서 전류의 흐름을 중단시키거나 흐름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단로기는 직류 회로 및 교류 회로의 양자 모두에서 사용된다.
DC 회로 및 AC 회로의 양자 모두에서 동작하는 공지된 유형이 모든 단로기가 공유하는 문제는 소위 전기 아크 형성 현상을 제한하거나 가능하면 방지할 필요성에 관련된다.
전기 아크는 전기 회로의 개폐 동작 중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것은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전기 콘택 사이의 공기의 이온화에 의해 생성된다. 사실상, 개방 단계에서, 전기 콘택 사이의 접촉면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전류 밀도를 증가시킨다. 결과로서, 온도는 극히 높은 값으로 증가되고, 이것은 전기 아크의 촉발 및 후속되는 발생의 원인이 된다.
AC 회로에서는 전류값의 0으로의 주기적인 강하가 전기 아크의 자연적이고 주기적인 소멸을 결정하기 때문에, 전기 아크의 현상은 DC 회로의 경우에 분명히 증강된다.
그러나, 전기 아크의 형성은 항상 콘택 전극의 열화 및 심지어 콘택 자체의 용착의 위험을 수반한다.
전기 아크를 소멸시키기 위한 일부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공지된 유형의 단로기에서 다양한 방식을 구현된다. 제 1 방법은 실질적으로 전기 콘택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제 2 방법은 2 개의 메인 콘택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기 아크를 파괴하여 플라즈마를 강제로 팽창시킬 수 있는 금속 박막 또는 자석과 같은 추가의 전기 콘택의 요소를 삽입하는 것이다. 제 3 방법은 가능한 최단시간 내에 전기 콘택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콘택의 개방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공지된 유형의 이러한 단로기는 상기 요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큰 구조 및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는 사실을 포함한 결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공지된 유형의 단로기의 다른 결점은 부품의 조립의 곤란성이다.
본 발명의 목표는 제한된 크기를 갖고, 신속하게 조립되고, 배경 기술의 결점을 예방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아크의 소멸을 촉진시키는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신뢰성 및 사용의 안전성을 최대로 보장할 수 있는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경 기술에 비해 제공하기 쉽고, 경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 명확하게 이해될 이 목표, 이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적어도 2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를 포함하는,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로서,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는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의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에 결합되는 박스형 바디를 포함하고, 각각의 박스형 바디는 회전가능한 콘택을 수용하는 중앙 시트(seat) 및 2 개의 주변 시트를 형성하고, 주변 시트의 각각은 모듈식 콘택 박스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의 연결 부분을 수용하고, 회전가능한 콘택은 주변 시트 내의 연결 부분을 구비하는 고정된 콘택과 맞물리도록, 또는 고정된 콘택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박스형 바디에 대해 중앙 시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동일한 박스형 바디의 2 개의 주변 시트는 중앙 시트의 축선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에 대해 동일 측 상에 배치되고, 박스형 바디의 2 개의 주변 시트 및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의 2 개의 주변 시트는 중심 평면에 대해 상호 반대 측 상에 배치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의 바람직한 그러나 비배타적인 실시형태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로기의 도 1과 다른 각도로부터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로기에 관련되는 전기 배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구조적 변형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오프" 구성의 전기 콘택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온" 구성의 전기 콘택을 도시하는 도 6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회전가능한 콘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의 고정된 콘택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고정된 콘택의 제 1 변형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고정된 콘택의 제 2 변형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반전된 자세의 도 6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2 개의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의 정확한 위치에서의 결합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것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2 개의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의 부정확한 위치에서의 결합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것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오프" 구성의 전기 콘택을 도시하는 도 6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전기 콘택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온" 구성의 전기 콘택을 도시하는 도 6의 모듈식 콘택 박스의 전기 콘택 요소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로 참조 번호 1로 표시된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는 적어도 2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2)를 포함하고, 각각은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에 결합되는 박스형 바디(3)를 포함한다. 박스형 바디(3)는 회전가능한 콘택(4)을 수용하는 중앙 시트(40)와 2 개의 주변 시트(50)를 형성하고, 이 주변 시트(50)의 각각은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한다. 회전가능한 콘택(4)은, 주변 시트(50) 내에 그 연결 부분(51)을 구비하는 고정된 콘택(5)과 맞물리도록 하거나 고정된 콘택(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박스형 바디(3)에 대해 중앙 시트(40)의 축선(40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축선(40a)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 평면(A)에 대해 동일 측 상에 배치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와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는 가상의 중심 평면(A)에 대해 상호 반대 측 상에 배치된다.
유리하게, 박스형 바디(3)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고; 중앙 시트(40)는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반대측 단부면을 통과하고, 가상의 중심 평면(A)은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반대 측(30, 31)에 평행하다
예로서, 도 1 및 도 2는 상호 적층된 6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2)를 포함하는 단로기(1)를 도시한다.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의 고정된 콘택(5)을 수용하는 주변 시트(50)는 단로기(1)의 측면(100)과 측면(101)에 각각 교대로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로기(1)와 도 4의 분해도에 도시된 변형례의 차이점은 상기 단로기(1)의 커버 요소(107) 및 단부면에 대한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상이한 배향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는 박스형 바디(3), 박스형 바디(3)의 중앙 시트(40) 내에 수용되는 회전가능한 콘택(4), 및 각각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 중 하나 내에 수용되는 대응하는 연결 부분(51)을 갖는 한 쌍의 고정된 콘택(5)을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된 콘택(5)은 연결 부분(51), 콘택 부분(52), 및 연결 부분(51)과 콘택 부분(52) 사이에 연장되는 연결 부분(53)을 포함한다. 연결 부분(51)은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외측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단로기(1)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은 연결 부분(51)은 나사 로킹 시스템(55)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나사는 외부의 전기 도체(57a, 57b, 57c, 57d) 상에 로킹되기 위해 스크류드라이버(56)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 있다.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은 회전가능한 콘택(4)과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적합되어 있다. 특히, 유리하게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은 가상의 중심 평면(A)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가능한 콘택(4)은 그 위치에 따라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2 개의 단부 부분(42)을 형성하는 도전성 금속 부분(41)을 포함한다. 도전성 금속 부분(41)은 유리하게 2 개의 도전성 박막(41a, 41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도전성 박막(41a, 41b)은 2 개 이상의 점에서의 냉간 펀칭을 이용하여 또는 상기 박막 중 하나의 2 개 이상의 횡방향 윙(wing)으로의 절첩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또는 절첩될 수 있는 단일 요소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전성 박막(41a, 41b)은 중앙 시트(40) 내에 수용되는 유리하게 전기적으로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회전가능한 지지체(43)와 또한 유리하게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리드(lid; 44) 사이에 개재된다. 회전가능한 콘택(4)의 단부 부분(42)은 회전가능한 지지체(43) 및 리드(44)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과의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적합되어 있다.
도 6은 "오프" 구성의 전기 콘택을 구비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을 도시하고, 여기서 회전가능한 콘택(4)의 단부 부분(42)은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과 접촉되지 않고, 따라서 2 개의 고정된 콘택(5)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방지한다. 대신에 도 7은 "온" 구성의 전기 콘택을 구비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을 도시하고, 여기서 회전가능한 콘택(4)의 단부 부분(42)은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과 접촉되고, 따라서 2 개의 고정된 콘택(5)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허용한다.
특히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박막(41a, 41b)은 단부 부분(42)에서 슬롯(47)을 제공하도록 분기되어 있고, 그 안에서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이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회전가능한 콘택(4)과 고정된 콘택(5) 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된다.
유리하게, 연결 부분(53)은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인터로킹 시트(33) 내에 안정하게 수용된다. 더욱이, 인터로킹 시트(33)는 유리하게 고정된 콘택(5)의 기계적 안정성 및 전기적 절연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지 또는 실리콘(silicone)으로 충전될 수 있다.
도 10은 고정된 콘택(5)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고정된 콘택(5)의 제 1 변형례에 따르면, 각각의 고정된 콘택(5)을 위해 절연성 재료로 제조된 격납 요소(54)가 있고, 이 것은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인터로킹 시트(33) 내에 연결 부분(53)과 함께 안정하게 수용된다. 또한 이 경우 고정된 콘택(5)을 기계적으로 안정화시키고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격납 요소(54) 및/또는 인터로킹 시트(33)을 더욱 충전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 2 변형례에 따르면, 격납 요소(54)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3) 상에 직접 공동-주조성형(co-molded)된다.
더욱이, 유리하게 특히 도 6 내지 도 8 및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바디(3)는 박스형 바디(3)의 제 1 측(31)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핀(6) 및 상기 제 1 측(31)의 반대측인 제 2 측(3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기준 핀(6)을 위한 시트(7)를 포함한다.
각각의 박스형 바디(3)의 기준 핀(6)은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시트(7)와 맞물리고, 따라서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와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는 단로기(1)의 2 개의 반대 측(100, 101)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도 14 및 도 15는 모듈식 콘택 박스(2) 및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정확한 결합을 도시하고, 여기서 상부의 박스형 바디(3)의 고정된 콘택(5)를 수용하는 주변 시트(50)는 단로기(1)의 측(100)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하부의 박스형 바디(3)의 주변 시트(50)는 단로기(1)의 반대 측(101)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대신, 도 16 및 도 17은 콘택 박스(2)와 인접하는 콘택 박스(2)의 부정확한 결합을 도시하고, 여기서 상부의 박스형 바디(3)의 주변 시트(50) 및 하부의 박스형 바디(3)의 주변 시트(50)의 양자 모두는 단로기(1)의 동일 측(3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부의 박스형 바디(3)의 대응하는 시트(7)와 일치하지 않는 하부의 박스형 바디(3)의 핀(6)을 제공함으로써 방지된다.
그러므로 기준 핀(6)과 대응하는 시트(7)의 결합은 인접하는 콘택 박스(2)의 고정된 콘택(5)에 대해 단로기(1)의 동일 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콘택 박스(2)의 고정된 콘택(5)을 가지는 단로기(1)를 제공하도록 2 개 이상의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가 조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각각의 박스형 바디(3)는 특히 도 13에 도시된 리브(rib; 35)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2 개의 주변 시트(50)가 배치되는 박스형 바디(3)의 동일 측(30)에 근접하여 상기 박스형 바디(3)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리브(35)는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과, 구체적인 경우, 나사(55)와 간섭하도록 적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 핀(6)과 대응하는 시트(7)의 결합에 관하여 보면,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는, 2 개의 박스형 바디(3)의 주변 시트(50)가 단로기(1)의 동일 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태로의 박스형 바디(3)와의 결합이 방지된다.
도 3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6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2)로 구성되는 단로기(1)의 전기 배선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편리하게 고정된 콘택(5)의 일부는 음의 극성(57a, 57c) 및 양의 극성(57b, 57d)을 갖는 외부의 전도체에 접속된다. 외부의 전도체(57a, 57b, 57c, 57d)에 접속되지 않은 고정된 콘택(5)은 편리하게 복수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8)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각각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8)는 2 개의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2 개의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유리하게, 도 5에 도시된 단일형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8)는 2 개의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한 쌍의 고정된 콘택(5)을 동등하게 접속하도록 적합되어 있다.
더욱이,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는 동일한 박스형 바디(3) 내에 배치되는 고정된 콘택(5)의 2 개의 콘택 부분(52) 사이에서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인터로킹 시트 내에 안정하게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 전극(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 또는 한 쌍의 전극(10)은 전기 콘택의 폐쇄 및 개방 중에, 즉 회전가능한 콘택(4)의 회전 중에 전기 아크의 형성을 차단한다.
도 6, 도 7, 도 8, 도 18 및 도 19는 회전가능한 콘택의 단부 부분(42)이 "온" 구성 및 "오프" 구성을 취할 수 있는 위치에 관한 전극(10)과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다. 콘택 부분(52)은 중앙 시트(4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측을 향하고, 전극(10)도 도한 중앙 시트(4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그러나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과 접합하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을 따라 반대측을 향한다.
더욱이, 단로기(1)는 모듈식 콘택 박스(2)를 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4의 분해도에서 도시된 이와 같은 로킹 수단의 각각은 플라스틱 또는 적절히 절연된 금속으로 제조된 견인 요소(103)를 포함하고, 이것은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견인 요소(103)는, 제 1 단부에, 단로기(1)의 커버 요소(107) 내에 형성된 시트(106)와 맞물리는 2 개의 그립 윙(105)을, 그리고, 제 2 단부에, 단로기의 베이스 부분(108)을 통과하는 폐쇄 나사(104)의 삽입을 위한 나사 구멍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108)은, 단로기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최외측 모듈식 콘택 박스(2)의 박스형 바디(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전기 콘택 없이 개조된 박스형 바디(109) 내 통합될 수 있거나, 도 4의 단로기의 변형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최외측 모듈식 콘택 박스(2)의 박스형 바디(3) 자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변형례의 베이스 요소(108)는 더욱 유리하게 고정 바(111)의 삽입을 위한 트랙(110)을 포함한다.
단로기의 조작은 설명된 것으로부터 명확하고 명료하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는 쉽게 조립될 수 있고, 제한된 크기를 갖고, 전기 아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소멸시키므로 의도된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단로기의 다른 이점은 이것이 하나의 유형의 모듈식 콘택 박스만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있다. 사실상, 고정식 전기 콘택 사이의 적절한 간격은 하나의 모듈식 콘택 박스를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 상에 180°의 각도로 회전된 위치로 중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모듈식 콘택 박스의 상호 위치로 인해 단로기의 2 개의 반대 측 상에 교대로 고정된 콘택을 배치할 수 있고, 그러므로 편리하게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로기의 추가의 이점은 이것이 기준 핀과 대응하는 시트 사이의 결합 및 고정된 콘택의 로킹 나사와 간섭하기 위한 리브의 존재로 인해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의 부정확한 조립을 방지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로기의 다른 이점은 이것이 박스형 바디 내의 이들 부품의 기계적 안정성 및 또한 그 전기적 절연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된 콘택 및 전극의 양자 모드를 위한 적합된 인터로킹 시트를 갖는다는 사실에 있다. 특히, 조립 단계 중에, 즉 상부의 모듈식 콘택 박스가 아직 적용되지 않았을 때에 고정된 콘택 및 전극이 이동할 있는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고정된 콘택 및 전극은 대응하는 박스형 바디 내에 안정하게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단로기의 추가의 이점은 이것이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의 임의의 쌍의 고정된 콘택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단일형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단로기의 다른 이점은 고정된 콘택의 연결 부분이, 상이한 전기 극성이 단로기의 동일 측 상에 배치되므로 상이한 전기 극성이 구별될 수 있도록, 그리고 혼선되지 않도록, 단로기 내에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다른 이점은 고정된 콘택이, 예를 들면, 스크류드라이버에 의해 더 쉽게 조작될 수 있다는 사실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DC 및 AC의 양자 모두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상상되는 특히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본 단로기는 많은 개조 및 변형이 가능하고,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있다.
더욱이 모든 세부 내용은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인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한 사용되는 재료 뿐만 아니라 부수하는 형상 및 치수는 요구조건에 따라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MI2012A002175의 개시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특징부에 참조부호가 병기되는 경우, 이 참조 부호는 청구항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포함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와 같은 참조 부호는 예로서 이와 같은 참조 부호에 의해 식별되는 각각의 요소의 해석에 관하여 제한하는 효과를 전혀 갖지 않는다.

Claims (10)

  1. 적어도 2 개의 모듈식 콘택 박스(2)를 포함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disconnector; 1)로서,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는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에 결합되는 박스형 바디(3)를 포함하고, 각각의 박스형 바디(3)는 회전가능한 콘택(4)을 수용하는 중앙 시트(seat; 40) 및 2 개의 주변 시트(50)를 형성하고, 상기 주변 시트(50)의 각각은 상기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콘택(4)은 상기 주변 시트(50) 내의 상기 연결 부분(51)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된 콘택(5)과 맞물리도록, 또는 상기 고정된 콘택(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박스형 바디(3)에 대해 상기 중앙 시트(40)의 축선(40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동일한 박스형 바디(3)의,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하는, 상기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상기 중앙 시트(40)의 축선(40a)을 통과하는 중심 평면(A)에 대해 동일 측에 배치되고,
    박스형 바디(3)의,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하는, 상기 2 개의 주변 시트(50), 및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각각이 상기 대응하는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을 수용하는,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상기 중심 평면(A)에 대해 상호 반대 측 상에 배치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바디(3)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중앙 시트(40)는 상기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반대측 단부면을 통과하고, 상기 중심 평면(A)은 상기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반대 측(30, 31)에 평행한,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바디(3)는 상기 박스형 바디(3)의 제 1 측(31)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핀(6), 및 상기 제 1 측(31)의 반대측인 제 2 측(30)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기준 핀(6)을 위한 시트(7)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핀(6)은 상기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시트(7)와 맞물리고, 상기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와 상기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2 개의 주변 시트(50)는 상기 단로기(1)의 2 개의 반대 측(100, 101)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는 2 개의 고정된 콘택(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된 콘택(5)의 각각의 하나는: 상기 모듈식 콘택 박스(2)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대응하는 연결 부분(51), 상기 회전가능한 콘택(4)과 전기 접촉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콘택 부분(52), 및 상기 연결 부분(51)과 상기 콘택 부분(52) 사이에 연장되는 연결 부분(5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53)은 상기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인터로킹 시트(33) 내에 안정하게 수용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동일한 박스형 바디(3) 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된 콘택(5)의 콘택 부분(52)은 상기 중심 평면(A)에 배치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는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격납 요소(54)를 포함하고, 상기 격납 요소(54)는 상기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상기 인터로킹 시트(33) 내에 상기 연결 부분(53)과 함께 안정하게 수용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요소(54)는 상기 연결 부분(53) 상에 공동-성형(co-mold)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8)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모듈식 콘택 박스(2)의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은 단일형의 상기 외부의 전기 접속 브릿지(8)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바디(3)는 상기 2 개의 주변 시트(50)가 배치되는 상기 박스형 바디(3)의 동일 측(30)에 근접하여 상기 박스형 바디(3)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리브(rib; 35)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형 바디(3)의 상기 리브(35)는, 박스형 바디(3)에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가 중심 평면(A)의 동일 측 상에 배치되는 2 개의 박스형 바디(3)의 주변 시트(50)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접하는 박스형 바디(3)의 상기 고정된 콘택(5)의 연결 부분(51)과 간섭하도록 되어 있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식 콘택 박스(2)는 동일한 박스형 바디(3) 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된 콘택(5)의 2 개의 콘택 부분(52) 사이에서 상기 박스형 바디(3) 내에 형성되는 인터로킹 시트 내에 안정하게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 전극(10)을 포함하는,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KR1020157019507A 2012-12-19 2013-12-06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KR102102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2A002175 2012-12-19
IT002175A ITMI20122175A1 (it) 2012-12-19 2012-12-19 Sezionatore, particolarmente per applicazioni fotovoltaiche.
PCT/EP2013/075828 WO2014095431A1 (en) 2012-12-19 2013-12-06 Disconnecto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782A KR20150100782A (ko) 2015-09-02
KR102102674B1 true KR102102674B1 (ko) 2020-04-22

Family

ID=4768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507A KR102102674B1 (ko) 2012-12-19 2013-12-06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34957B2 (ko)
EP (1) EP2853012B1 (ko)
JP (1) JP2016504734A (ko)
KR (1) KR102102674B1 (ko)
CN (1) CN104521085B (ko)
AU (1) AU2013361006A1 (ko)
BR (1) BR112015014584A2 (ko)
ES (1) ES2638973T3 (ko)
IT (1) ITMI20122175A1 (ko)
WO (1) WO2014095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5640B (zh) * 2015-08-13 2017-05-10 包海波 电气开关旋转结构
CN107045959A (zh) * 2016-02-05 2017-08-15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旋转式双断点开关接触系统接线改良结构
ITUA20163666A1 (it) * 2016-05-23 2017-11-23 Bremas Ersce S P A Sezionatore.
CN106024478B (zh) * 2016-06-23 2018-09-21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一种具有灭弧装置的旋转开关
KR101760332B1 (ko) 2016-10-14 2017-07-21 주식회사 대륙 전기 회전스위치 장치
AT15720U1 (de) * 2016-11-09 2018-04-15 Benedict Ges M B H Lasttrennschalter
EP3364437B1 (en) 2017-02-17 2023-07-26 Ewac Holding B.V. Rotary switch
AT524387B1 (de) * 2020-11-13 2022-10-15 Benedict Alexander Elektronisches Schaltmodul und Schalter
EP4174892A1 (en) * 2021-07-08 2023-05-03 Beijing Green Century Technology Co., Ltd Rotary electric switch and switch layer, energy storage assembly, assembly method thereof
IT202100020222A1 (it) 2021-07-29 2023-01-29 Bremas Ersce S P A Sezionatore particolarmente per applicazioni fotovoltaiche.
IT202200005087A1 (it) 2022-03-16 2023-09-16 Bremas Ersce S P A Scatola di commutazione a scatto per contatti elettrici girevoli, particolarmente per sezionator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718A1 (en) 2008-04-01 2011-10-27 Ewac Holding B.V. Electrical rotary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7319B (it) * 1987-06-26 1990-03-22 Breter Spa Commutatore a camme
CN101847907B (zh) * 2010-06-04 2011-11-09 英利能源(中国)有限公司 一种太阳能汽车及其光伏电磁离合装置
FI123561B (fi) * 2011-06-07 2013-07-15 Abb Oy Kytk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9718A1 (en) 2008-04-01 2011-10-27 Ewac Holding B.V. Electrical rotar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3012B1 (en) 2017-07-05
US20150332877A1 (en) 2015-11-19
ES2638973T3 (es) 2017-10-24
AU2013361006A1 (en) 2015-07-23
KR20150100782A (ko) 2015-09-02
CN104521085B (zh) 2017-10-31
BR112015014584A2 (pt) 2017-07-11
US9734957B2 (en) 2017-08-15
EP2853012A1 (en) 2015-04-01
JP2016504734A (ja) 2016-02-12
WO2014095431A1 (en) 2014-06-26
ITMI20122175A1 (it) 2014-06-20
CN104521085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674B1 (ko) 광기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단로기
US9653232B2 (en) Electrical rotary switch with closing elements at stationary contact locations inhibiting spark discharge and/or with a locking spring member
US20120301747A1 (en) Battery pack
JP5883092B2 (ja) 配線用遮断器
US9437376B2 (en)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CN105702519B (zh) 用于旋转隔离开关的触头模块和旋转隔离开关
JP2009252567A (ja) 電池パック
CN105551900B (zh) 用于高压断路器的合闸电阻器的支撑结构
JP5244356B2 (ja) 独立仕切式パワー電池組
EP2650893A1 (en)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KR10205624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자식 트립장치
JP6098078B2 (ja) 直流開閉器および直流遮断器
JP6229177B2 (ja) 開閉器
JP2019032960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