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354B1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2354B1 KR102102354B1 KR1020190047506A KR20190047506A KR102102354B1 KR 102102354 B1 KR102102354 B1 KR 102102354B1 KR 1020190047506 A KR1020190047506 A KR 1020190047506A KR 20190047506 A KR20190047506 A KR 20190047506A KR 102102354 B1 KR102102354 B1 KR 1021023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electrode
- display unit
- region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7241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77333 CAP1-6D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08010031970 prosta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1150040546 PX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URLKBWYHVLBVBO-UHFFFAOYSA-N Para-Xylene Chemical group CC1=CC=C(C)C=C1 URLKBWYHVLBV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01100489584 Solanum lycopersicum TF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81 coe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6 cristob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419 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98 polyfluo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82 stishov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5 tridy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YOZHUJDVYMRYDM-UHFFFAOYSA-N 4-(4-anilinophenyl)-3-naphthalen-1-yl-n-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NC=3C=CC=CC=3)=CC=2)C=2C3=CC=CC=C3C=CC=2)C=CC=1NC1=CC=CC=C1 YOZHUJDVYMRY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compound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80 W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378 ar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30 hygrosc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VIVIEFSHFOWTE-UHFFFAOYSA-K tri(quinolin-8-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 TVIVIEFSHFOWT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 H01L27/3267—
-
- H01L27/3244—
-
- H01L27/3293—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광이 투과되는 영역을 가지며, 일측에 각 제 1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형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1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며, 일측에 각 제 2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광불투과형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제 1 모듈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때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합되는 화면 내부에 위치하는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모듈부를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모듈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display device)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과,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 패널(Vaccum fluorescent display panel, VFD)과, 발광 다이오드 패널 (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등이 있으며, 수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등이 있다.
이중에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나, 캠코더나, 휴대 정보 단말기나, 스마트 폰이나, 초슬림 노트북이나,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모바일 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나, 초박형 텔레비젼 같은 전자/전기 제품에 적용할 수 있어서 각광받고 있다.
한편, 대형의 매장 전시용 윈도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타일링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시, 매장 내의 전시물을 외부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투명한 디스플레이부를 다수개 이용하여 배치할 경우, 특정한 영역, 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접합되는 부분인 대형 화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회로 보드를 가지는 모듈부는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한 결과로 인하여 원하지 않게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현할 때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합되는 대형 화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모듈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광이 투과되는 영역을 가지며, 일측에 각 제 1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형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며, 일측에 각 제 2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광불투과형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모듈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며, 서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모듈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하는 곳과 대응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의 가장자리의 패드에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교대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 1 모듈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교대하여 배열되며, 상기 제 1 모듈부와, 제 2 모듈부는 다같이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 1 모듈부와 제 2 모듈부를 커버하는 크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부 및 제 2 모듈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패드 및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패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연성을 가지는 회로 기판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수직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된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부와, 제 2 모듈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수직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 1 모듈부와, 제 2 모듈부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게 서로 맞대어 결합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후방에 다같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수직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모듈부와 제 2 모듈부를 다같이 커버하는 크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밀봉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과, 외광이 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픽셀; 및
상기 각 픽셀의 발광 영역에 배치되며, 제 1 전극,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셀에는,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 회로부;
상기 픽셀 회로부를 커버하는 제 1 절연막; 및
상기 제 1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픽셀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투과창을 구비한 제 2 절연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픽셀의 제 1 영역에는 발광 영역과 회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회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각 픽셀의 상기 발광 영역과 회로 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픽셀별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2개의 픽셀에 대하여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상기 제 2 절연막중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의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불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불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밀봉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반도체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절연막을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픽셀에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되,
외광이 불투과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픽셀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과 마주보는 밀봉부의 면에는 상기 발광 영역과 대응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발광 영역에는 상기 반사면과 중첩되도록 투과 영역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때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합되는 화면 내부에 위치하는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모듈부를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모듈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와,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를 교대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모듈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모듈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유기 발광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불투과형 디스플레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반사층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모듈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유기 발광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유기 발광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불투과형 디스플레부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반사층의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가리키지만,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panel)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나,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panel)이나, 일렉트로크로믹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chromic display panel)이나, 일렉트로웨팅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이나, 다층박막 전계발광 패널(TFEL pane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120)와, 상기 유기 발광부(120)를 밀봉하는 밀봉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부(130)는 상기 유기 발광부(120)로부터의 화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 예컨대 글래스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130)는 상기 유기 발광부(120)로 외기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30)가 서로 대향되는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밀봉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재(140)에 의하여 상기 기판(110)과 밀봉 부(130)는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30) 사이의 내부 공간(150)에는 흡습제나 충진재 등이 형성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220)와, 상기 유기 발광부(220)를 밀봉하는 밀봉부(230)를 포함한다.
도 1의 밀봉부(130)는 강성을 가지는 기판이지만, 본 실시예의 밀봉부(230)는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이다. 상기 밀봉부(230)는 상기 유기 발광부(22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유기 발광부(220)를 감싸고 있다.
상기 밀봉부(230)는 실리콘 옥사이드(SiO2)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진 막과, 에폭시나 폴리 이미드와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진 막이 교대로 성막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박막 상의 밀봉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유기 발광부(220)에 대한 밀봉 구조로서, 도 2의 밀봉부(230)를 형성한 상부에 다시 도 1의 밀봉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부(300)와 모듈부(31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표시 영역(301)과, 상기 표시 영역(301)의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비표시 영역(302)으로 구획된다.
상기 표시 영역(301)은 유기 발광부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패턴화되어서 구동시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이다. 상기 비표시 영역(302)은 기판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가 형성되거나, 표시 영역(301) 내의 패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 등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상기 비표시 영역(302)의 일측에는 표시 영역(301) 내에 형성된 소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303)가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패드(303) 상에는 모듈부(31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모듈부(310)는 회로 기판(311)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311)으로는 유연성을 가지는 기판인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FPC)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 기판(311)에는 회로 단자(312)가 복수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패드(303)에 대하여 회로 단자(312)의 접속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의한 열접착이나, 솔더링 등에 의하여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시하지만,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는 기판(410) 상에 디스플레이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에 있어서, 외광은 기판(410) 및 디스플레이부(420)를 투과하여 입사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20)는 외광이 투과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기판(410) 상부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420)의 화상이 기판(410)의 방향으로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으로 개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420)의 화상이 기판(410)의 반대 방향으로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판(410) 상부에서 디스플레이부(420)의 화상을 보거나, 하부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 발광형이 디스플레이부나, 배면 발광형 디스플레이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420)의 화상이 기판(410)의 방향 및 기판(410)의 반대 방향으로 구현되는 양면 발광형 디스플레이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픽셀들인 제 1 픽셀(P1)과, 제 2 픽셀(P2)을 도시한 것이다.
각 픽셀들(P1)(P2)은 제 1 영역(430)과, 제 2 영역(4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영역(430)을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부(420)로부터 화상이 구현되고, 상기 제 2 영역(440)을 통해서는 외광이 투과된다.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400)는 각 픽셀들(P1)(P2)이 모두 화상을 구현하는 제 1 영역(430)과, 외광이 투과되는 제 2 영역(44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420)로부터 구현되는 화상을 보지 않을 때에는 외부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44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유기 발광 소자 등의 소자들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2 영역(440)에서의 외광 투과율을 극대화하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420) 전체의 외광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투과 이미지가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유기 발광 소자 등의 소자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아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된 유기 발광부(5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어느 한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부(500)는 서로 인접한 적색 픽셀(Pr), 녹색 픽셀(Pg), 및 청색 픽셀(Pb)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적색 픽셀(Pr), 녹색 픽셀(Pg) 및 청색 픽셀(Pb)은 제 1 영역(530)에 회로 영역(531)과, 발광 영역(532)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영역(531)과, 발광 영역(53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외광이 투과하는 제 2 영역(540)은 상기 제 1 영역(530)에 인접하게 구획되어 있다. 상기 제 2 영역(540)은 각 픽셀들(Pr)(Pg)(Pb) 별로 독립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는, 상기 제 2 영역(540)은 각 픽셀들(Pr)(Pg)(Pb)에 걸쳐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외광이 투과되는 제 2 영역(540)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디스플레부 전체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는, 상기 제 2 영역(540)은 적색 픽셀(Pr), 녹색 픽셀(Pg), 및 청색 픽셀(Pb)중 서로 인접한 어느 두 픽셀들의 제 2 영역(540)들만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회로 영역(53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 픽셀 회로부(P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픽셀 회로부(PC)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 외에도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과 연결된 스캔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구동 라인(Vdd 라인) 등의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영역(532)에는 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EL)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EL)는 픽셀 회로부(PC)의 박막 트랜지스터(TR)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판(601) 상에는 버퍼막(6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막(6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 픽셀 회로부(PC)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막(611)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612)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막(611)은 투명한 절연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막(611)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601)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퍼막(611)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티타늄 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이나, 무기물과 유기물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611)은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61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G-I-Z-O층[(In2O3)a(Ga2O3)b(ZnO)c층](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612)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제 1 영역(530)의 회로 영역(531)에서의 광투과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부 전체의 외광 투과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막(611)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612)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613)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613) 상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614)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614)은 박막 트랜지스터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614) 상에는 투명한 절연물로 된 층간 절연막(615)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615) 상에 소스 전극(616)과 드레인 전극(617)이 형성되며, 상기 소스 전극(616)과 드레인 전극(617)은 각각 층간 절연막(615)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 홀을 통하여 반도체 활성층(612)에 대하여 콘택된다.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TR)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부(PC)를 커버하도록 제 1 절연막(618)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618)은 상면이 평탄화된 단일층이나, 복수층의 절연막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618)은 투명한 무기 절연물 및/또는 유기 절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618)은 모든 픽셀들에 걸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61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 발광 소자(EL)의 제 1 전극(62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621)은 모든 픽셀들 별로 분리 및 독립된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막(618) 상에는 유기 절연물 및/또는 무기 절연물로 구비된 제 2 절연막(619)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절연막(619)은 상기 제 1 전극(621)의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부는 노출시킨다. 상기 제 2 절연막(619)은 각 픽셀의 제 1 영역(530) 및 제 2 영역(540)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기판(601)의 유기 발광부(500)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절연막(619)이 반드시 제 1 영역(530)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 특히, 제 1 전극(621)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절연막(619)은 단일층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막(619)은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제 2 절연막(619)과 동일한 소재로 밀봉부(602)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621) 상에는 유기막(623)과, 제 2 전극(62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극(622)은 상기 제 2 절연막(619)과, 유기막(623)을 커버하며, 모든 픽셀들에 걸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기막(62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ve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등이 단일 또는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CuPc),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한 진공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정공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공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막(623)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전극(62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 2 전극(622)은 캐소우드 전극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621)과 제 2 전극(622)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621)은 투명 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622)은 반사 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621)은 일 함수가 높은 소재, 즉, ITO, IZO, ZnO, In2O3 등을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622)은 일 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EL)는 제 1 전극(621)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전극(622)도 투명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622)의 상부에는 밀봉부(602)가 배치된다. 상기 밀봉 부(602)는 디스플레이부 외곽에서 별도의 밀봉재(도 1의 140 참조)에 의하여 기판(601)과 접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외기에 대하여 밀봉할 수 있다. 밀봉부(602)와 제 2 전극(622) 사이의 공간에는 별도의 충진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고, 흡습제도 개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밀봉 구조는 반드시 상기 밀봉부(602)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형의 밀봉부(도 2의 230 참조)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외광이 투과되어야 할 제 2 영역(540)에서의 외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영역(5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절연막(619)에 제 1 투과창(6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투과창(624)은 상기 제 2 절연막(619)중 상기 제 2 영역(540)에 대응되는 위치의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투과창(624)은 아일랜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제 1 투과창(624)은 각 픽셀들(Pr)(Pg)(Pb) 별로 독립되게 구비되거나, 각 픽셀들(Pr)(Pg)(Pb)에 걸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투과창(624)이 적색 픽셀(Pr), 녹색 픽셀(Pg), 청색 픽셀(Pb)에 걸쳐 모두 연결되거나, 적색 픽셀(Pr), 녹색 픽셀(Pg), 청색 픽셀(Pb)중 서로 인접한 어느 두 픽셀들에 걸쳐서만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제 1 투과창(624)이 형성될 경우, 단일의 제 1 투과창(624)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외광 투과율이 높게 될 뿐 아니라, 외부 이미지 산란 효과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622)에도 제 2 투과창(6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창(625)은 상기 제 2 전극(622)중 상기 제 2 영역(540)에 대응되는 위치의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창(625)은 상기 제 1 투과창(624)에 대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과창(625)도 아일랜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투과창(624)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층간 절연막(615), 게이트 절연막(613) 및 버퍼막(611)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투과창(624)에 대하여 연통되는 투과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분리에 따라, 제 2 영역(540)을 통하여 외부를 관찰할때에 외부 광이 픽셀 회로부(PC) 내의 소자들의 패턴과 관련하여 산란함에 따라 발생되는 외부 이미지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전체 면적 대비 제 2 영역(540)의 면적의 비율이 5% 내지 90% 범위에 속하도록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전체 면적 대비 제 2 영역(540)의 면적의 비율이 5%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부가 스위치 오프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할 수 있는 빛이 적어 사용자가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이나 이미지를 보기 어렵다. 즉,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하다고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 2 영역(540)의 면적이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전체 면적 대비 5% 정도라 하더라도 제 1 영역(530)이 전체 제 2 영역(540)에 대하여 아일랜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고, 제 1 영역(530) 내에 가능한 한 모든 도전 패턴들이 배치되어 있어 태양광의 산란도를 최저화시키므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로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픽셀 회로부(PC)에 구비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산화물 반도체와 같이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하고, 유기 발광 소자도 투명 소자로 형성할 경우에는 더욱 투명 디스플레이로서의 인식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전체 대비 제 2 영역(540)의 면적의 비율이 90%보다 크면, 디스플레이부의 화소 집적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제 1 영역(530)에서의 발광을 통하여 안정적인 화상을 구현하기 어렵다.
즉, 상기 제 1 영역(530)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기막(623)에서 발광하는 빛의 휘도가 높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를 고휘도 상태로 작동시키면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제 1 영역(530)의 크기를 적정한 크기로 유지하면서 제 2 영역(540)의 면적 비율을 90%보다 크게 하면, 제 1 영역(530)의 크기가 줄어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제 1 영역(530)과, 제 2 영역(540)의 전체 면적 대비 제 2 영역(540)의 면적의 비율은 20% 내지 70%의 범위에 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미만에서는 제 2 영역(540)에 비하여 상기 제 1 영역(530)의 면적이 지나치게 크므로, 사용자가 제 2 영역(540)을 통하여 외부 이미지를 관찰하는데 한계가 있다.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 1 영역(530) 내에 배치할 픽셀 회로부(PC) 설계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700)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7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시하지만,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700)에는 기판(70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기판(710) 상에는 발광층(719)이 구비된 픽셀 영역(PXL1),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트랜지스터 영역(TFT1), 및 커패시터가 구비된 커패시터 영역(CAP1)이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영역(TFT1)에는 기판(710) 및 버퍼막(71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활성층(7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712)은 비정질 실리콘이나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712)은 채널 영역(712c)과, 상기 채널 영역(712c) 외측에 이온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712a) 및 드레인 영역(712b)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71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7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 활성층(712)의 채널 영역(712c)에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714)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714) 상에는 층간 절연막(715)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활성층(712)의 소스 영역(712a) 및 드레인 영역(712b)에 각각 접속하는 소스 전극(716a) 및 드레인 전극(716b)이 구비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715)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716a) 및 드레인 전극(716b)을 커버하도록 제 1 절연막(718)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713) 및 층간 절연막(715)은 무기 절연막으로 구비되고, 제 1 절연막(718)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막(718)은 일반 범용 고분자(PMMA, PS), phenol 그룹을 가지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 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영역(PXL1)에는 기판(710), 버퍼막(711), 게이트 절연막(713), 및 층간 절연막(715) 상에 후술할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767)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화소 전극인 제 1 전극(717)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전극(717)은 투명 도전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717) 측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도전물로는 ITO, IZO, ZnO, In2O3, IGO, AZO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717) 상에는 유기 발광층(719)이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719)에서 방출된 광은 투명 도전물로 형성된 제 1 전극(717)을 통하여 기판(710) 측으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717) 하부에 위치하는 버퍼막(711), 게이트 절연막(713), 및 층간 절연막(715)은 굴절율이 서로 다른 물질이 교대로 구비되어, DBR(Distributed brag Reflector)로 기능함으로써, 유기 발광층(719)에서 방출되는 빛의 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막(711), 게이트 절연막(713), 및 층간 절연막(715)으로는 SiO2, SiNx 등이 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버퍼막(711), 게이트 절연막(713), 및 층간 절연막(715)이 각각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층들은 각각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717)의 외곽에는 제 1 절연막(718)이 형성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715)에는 제 1 전극(717)을 노출시키는 제 1 개구(C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구(C1)에는 유기 발광층(719)이 구비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719)은 저분자 유기물이나 고분자 유기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19)이 저분자 유기막일 경우, 유기 발광층(719)을 중심으로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등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19)이 고분자 유기막일 경우, 유기 발광층(719) 외에 정공 수송층(HTL)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719) 상에는 공통 전극으로 제 2 전극(720)이 증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700)의 경우, 제 1 전극(717)은 애노우드로 사용되고, 상기 제 2 전극(720)은 캐소우드로 사용된다. 물론 전극의 극성은 반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2 전극(720)은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반사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전극(720)은 Al, Mg, Li, Ca, LiF/Ca, 및 LiF/Al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720)이 반사 전극으로 구비됨으로써, 유기 발광층(719)에서 방출된 빛은 제 2 전극(720)에 반사되어 투명 도전물로 구성된 제 1 전극(717)을 투과하여 기판(710) 측으로 방출된다.
커패시터 영역(CAP1)에는 기판(710) 및 버퍼막(71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활성층(71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762a)과, 상기 하부 전극(762a)에 연결된 배선 영역(W1), 상기 제 1 전극(717)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767) 및 상기 하부 전극(762a)과 상부 전극(767) 사이에 유전막으로 게이트 절연막과 대응되는 절연막(713)이 구비된다.
커패시터 영역(CAP1)에는 기판(710) 및 버퍼막(71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활성층(712)과 동일 소재로 형성된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762a)과, 상기 하부 전극(762a)에 연결된 배선 영역(W1), 제 1 전극(717)과 동일 소재로 형성된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767), 및 상기 하부 전극(762a)과 상부 전극(767) 사이에 유전막으로 된 절연막(713)이 구비된다.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762a)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층(712)의 소스 영역(712a) 및 드레인 영역(721b)과 동일 소재로서, 이온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762a)을 이온 불순물 도핑이 안된 진성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 커패시터는 상부 전극(767)과 함께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CAP 구조가 된다. 그러나, 하부 전극(762a)을 본 실시예와 같이 이온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 MIM(Metal-Insulator-Metal) CAP 구조를 형성하므로 정전 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MIM CAP 구조는 MOS CAP 구조보다 작은 면적으로도 동일한 정전 용량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커패시터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마진이 높아지는 만큼, 상기 화소 전극(717)을 크게 형성하여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762a) 외곽에는 하부 전극(762a)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하부 전극(762a)에 연결되어 신호(전류/전압)를 전달하는 배선 영역(W1)이 위치한다. 상기 배선 영역(W1)은 하부 전극(762a)과 마찬가지로 이온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713)은 하부 전극(762a) 상부에는 위치하지만, 상기 하부 전극(762a)의 외곽에는 일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상기 영역은 하부 전극(762a)에 연결되는 배선 영역(W1)의 일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762a)과 배선 영역(W1)을 연결하는 연결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막(7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배선 영역(W1)의 일부를 예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절연막(7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배선 영역(W1)의 일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선 영역(W1)이 아닌 하부 전극(762a) 자체 의 가장자리일 수도 있다. 이는 커패시터 영역에서 전극과 배선의 경계가 분명하게 설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막(713)은 하부 전극(762a)의 외곽에서 배선 영역(W1) 사이에 제 1 갭(G1)을 형성하며, 절연막(71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다. 이는 층간 절연막과 대응되는 절연막(715)의 식각시, 상기 배선 영역(W1)에서 절연막(713)이 함께 식각되기 때문이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대응되는 절연막(713) 상부에는 상부 전극(767)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전극(767)은 제 1 전극(717)과 동일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767)이 투명 도전재를 포함하면, 상기 상부 전극(767)도 투명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전극(767)은 제 1 갭(G1)을 가지는 게이트 절연막과 대응되는 절연막(713)에서 다시 제 2 갭(G2)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절연막(713) 상부에 층간 절연막과 대응되는 절연막(715)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막(715)은 상부 전극(767), 제 1 갭(G1)이 형성된 절연막(713), 및 제 2 갭(G2)이 형성된 절연막(715)을 노출시키는 제 2 개구(C2)를 구비한다.
상기 절연막(715) 상에 제 1 절연막(718)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절연막(718)은 유기 절연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720)과 상부 전극(767) 사이에 유전율이 작은 유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제 1 절연층(718)이 개재됨으로써, 제 2 전극(720)과, 상부 전극(76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기생 용량을 줄여, 기생 용량에 의한 신호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700)는 도 5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와는 달리 외광이 투과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불투명하므로, 빛이 디스플레이부를 투과하지 않아서 사용자가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이나 이미지를 보지 못한다.
한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로는 도 7의 일반적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뿐만 아니라, 미러 디스플레이(mirror display)로서 이용할 수 있는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반사층(137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는 미러 디스플레이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말하나,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기판(1301)과, 상기 기판(1301)과 결합되는 밀봉부(1391)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301) 상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을 배열된다. 도 13에는 하나의 서브 픽셀(P1)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세 개의 서브 픽셀(P1, P2, P3)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의 서브 픽셀(P1)은 발광 영역(LA1) 및 비발광 영역(NA1)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영역(LA1)은 가시광선을 직접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이다. 발광 영역(LA1)에는 제 1 전극(1311)과, 제 2 전극(1312)과, 상기 제 1 전극(1311)과 제 2 전극(1312)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발광층(13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광 영역(LA1)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셀 회로부(P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픽셀 회로부(PC)에는 데이터 라인(D), 스캔 라인(S), 전원 라인(V)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01)상에는 버퍼층(1302)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302)은 선택적 구성 요소이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버퍼층(1302)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1)가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반도체 활성층(1303), 게이트 전극(1305), 소스 전극(1307) 및 드레인 전극(1308)을 구비한다.
먼저, 상기 버퍼층(1302)상에 소정 패턴의 반도체 활성층(1303)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303)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3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비정질 실리콘이나, 결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한 후에 3족이나, 5족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303)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30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1304)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1305)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4)은 반도체 활성층(1303)과 게이트 전극(1305)을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물이나, SiNx, SiO2같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5)은 Au, Ag, Cu, Ni, Pt, Pd, Al, 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5)은 단일층 또는 복층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5)의 상부에는 층간 절연막(1306)이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306) 및 게이트 절연막(1304)은 반도체 활성층(1303)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활성층(1303)의 노출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콘택되도록 소스 전극(1307) 및 드레인 전극(1308)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전극(1307) 및 드레인 전극(1308)은 다양한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단층 구조나, 복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1) 상부에는 패시베이션층(1309)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 전극(1307) 및 드레인 전극(1308)상에는 패시베이션층(1309)이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309)은 드레인 전극(1308)의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소정의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드레인 전극(1308)과 연결되도록 제 1 전극(1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311)은 각 픽셀마다 독립된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318)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31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화소정의막(1319)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1313)은 제 1 전극(131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312)은 상기 유기 발광층(1313) 상에 형성된다.
상기 비발광 영역(NA1)은 발광 영역(LA1)의 주위에 발광 영역(LA1)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비발광 영역(NA1)은 투과 영역(T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은 제 2 전극(1312)에 투과창(1312a)을 만들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TA)은 제 2 전극(1312)에 투과창(1312a)을 만들고 화소 정의막(1319)에 투과창을 더 만들어 형성될 수도 있는등 상기 기판(1301)상에 형성된 절연막(미도시)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도전막(미도시)들 중 하나 이상에 투과창을 만들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픽셀(P1, P2, P3)들은 각각의 발광 영역(LA1, LA2, LA3)을 구비하고, 각 픽셀(P1, P2, P3)들은 공통의 투과창(T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픽셀(P1, P2, P3)들이 발광 영역(LA1, LA2, LA3)과 마찬가지로 각각 구별된 투과 영역을 갖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밀봉부(1391)의 일면에는 반사층(1370)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사층(1370)은 밀봉부(1391)의 면 중 기판(1301)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1370)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1370a1, 1370a2, 1370a3) 및 반사면(1371)을 구비한다. 반사면(1371)은 개구부(1370a1, 1370a2, 1370a3)의 주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반사면(1371)은 비발광 영역(NA1, NA2, NA3)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개구부(1370a1, 1370a2, 1370a3)는 발광 영역(LA1, LA2, LA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반사층(1370)의 제 1 개구부(1370a1)는 픽셀(P1)의 제 1 발광 영역(LA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 2 개구부(1370a2)는 픽셀(P2)의 제 2 발광 영역(LA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 3 개구부(1370a3)는 픽셀(P3)의 제 3 발광 영역(LA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1370)의 반사면(1371)은 개구부(1370a1, 1370a2, 1370a3)의 주변에 각 픽셀(P1, P2, P3)들의 비발광 영역(NA1, NA2, NA3)에 각각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반사면(1371)은 비발광 영역(NA1, NA2, NA3)의 투과 영역(TA)과도 중첩된다.
상기 반사면(1371)은 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반사면(1371)은 소정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Ni, Cr, W, V 또는 Mo를 함유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면(1371)은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를테면, 상기 반사면(1371)은 500 옹스트롬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면(1371)의 두께가 소망하는 두께보다 얇을 경우에는 광의 일부가 투과하여 반사면(1371)이 원하는 반사율보다 낮은 반사율을 가지게 되어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가 원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곤란하다.
이처럼, 상기 밀봉부(1391)는 각 픽셀들의 발광 영역(LA1, LA2, LA3)에 대응하는 개구부(1370a1, 1370a2, 1370a3)를 구비하여 발광 영역(LA1, LA2, LA3)의 화상 구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각 픽셀들의 비발광 영역(NA)에 대응하는 반사면(1371)을 구비하여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가 미러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도록 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한 픽셀 회로부(PC)를 발광 영역(LA1, LA2, LA3)내에 배치하여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발생한 화상이 밀봉부(1391) 방향으로 구현되는 전면 발광 형태인 경우 발광 영역(LA1, LA2, LA3)을 증대하여 개구율 확대를 통하여 화질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각 픽셀(P1, P2, P3)들이 비발광 영역(NA1, NA2, NA3)에 투과창(TA)을 갖도록 하고 반사면(1371)이 투과창(TA)에 대응하도록 하여 반사면(1371)에서 반사된 광이 투과창(TA)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취출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300)의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발생한 화상이 밀봉부(1391) 방향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판(1301)방향으로는 반사면(1371)에서의 반사된 광이 투과창(TA)을 통하여 용이하게 취출되어 기판(1301) 방향으로는 일반적인 거울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미러 역할을 하기 위한 영역은 상술한 것처럼 상기 기판(1301)에 대향되는 밀봉부(1391)의 일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밀봉부(1391)의 외면에 박막의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등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가능하다.
여기서, 대형 매장과 같은 장소에서 윈도우 디스플레이용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할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타일링식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대형의 화면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이나 이미지를 볼 수 있기 위하여 상술한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와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와, 적어도 하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8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와, 제 2 광투형 디스플레이부(812)를 포함하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와,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를 포함한다.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와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는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되며, 상기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와,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도 수평 방향(X 방향)으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에 대하여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는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되며, 상기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에 대하여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도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되어 있다.
이처럼,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822)는 4개가 타일링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도 8에서의 수직 방향(Y 방향)의 상부에는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 및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에는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와, 제 2 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방향(Y 방향)의 상하로 각각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 및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822)가 배치된 2층 구조를 개시하지만, 수직 방향(Y 방향)으로 3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도록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및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X 방향)으로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및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가 한 쌍을 이루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이들이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 및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가 한쌍을 이루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등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및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 및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를 통하여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831)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1 모듈부(813)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2 모듈부(814)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는 각각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 및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과 같은 기판이다.
상기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3 모듈부(823)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4 모듈부(824)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3 모듈부(823) 및 제 4 모듈부(824)는 각각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부(82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과 같은 기판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합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는 각각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와,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831)을 인식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를 감출 수가 있어서 사용자는 인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는 상기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는 상기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에 구비된 고정 부재에 고정되지 않고, 이들의 후방에 휘어진 상태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가 유연성을 가지는 기판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대안으로는, 상기 제 1 모듈부(813) 및 제 2 모듈부(814)는 상기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2)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2)에 구비된 서포트등과 같은 고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등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대형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800)를 구성할 때,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와, 적어도 하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822)를 일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하고,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내부에 위치한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에 구비된 모듈부(811)(812)는 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투과가 요구되지 않는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의 후방에 위치시킴에 따라서,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821)(822)를 통하여 일반적인 화상의 구현뿐만 아니라,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811)(812)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831)을 용이하게 관찰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2), 제 3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3), 및 제 4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4)를 포함하며,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2), 제 3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3), 및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4)를 포함하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0의 수평 방향(X 방향)으로는 각각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2)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하고, 각각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수직 방향(Y 방향)으로는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와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가 서로 교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와 이와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이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됨은 물론이다.
이처럼,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는 서로 대향되는 가장자리가 맞대어 8개가 타일링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Y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1 내지 제 4 모듈부(1015 내지 1018)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5 내지 제 8 모듈부(1115 내지 1118)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서로 접합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4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4 모듈부(1015 내지 1018)와, 제 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에 구비된 제 5 및 제 6 모듈부(1115, 1116)는 다같이 제 1 내지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1012)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1 모듈부(1015)와, 제 2 모듈부(1016)는 이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된 제 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의 상부쪽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5 및 제 6 모듈부(1115, 1116)도 역방향인 상부쪽으로 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의 하부쪽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의 후방에는 제 1 및 제 2 모듈부(1015, 1016)와, 제 5 및 제 6 모듈부(1115, 1116)이 다같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3, 1014)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3 모듈부(1017)와, 제 4 모듈부(1018)는 이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된 제 3 및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3, 1114)의 하부쪽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에, 상기 제 3 및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3, 1114)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 7 및 제 8 모듈부(1117, 1118)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수직 방향(Y 방향)의 최외곽에 위치하므로, 사물(1130) 인식에 영향이 없으므로, 상기 제 3 및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3, 1114) 쪽으로 반드시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이처럼, 대형의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구성할 때,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를 수직 방향(Y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의 모듈부(1015 내지 1018)와,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1112)의 모듈부(1115, 1116)를 다같이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의 후방에 위치시킴에 따라서,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111 내지 1114)를 통하여 일반적인 화상의 구현뿐만 아니라,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011 내지 1014)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1130)을 용이하게 관찰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2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1221 내지 12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2), 제 3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3), 제 4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4), 제 5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5), 및 제 6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6)를 포함하며, 상기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2), 제 3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3), 제 4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4), 제 5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5), 및 제 6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6)를 포함한다.
이때, 도 12의 수평 방향(X 방향)으로는 각각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하고, 또한, 각각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가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하고 있다.
도 12의 수직 방향(Y 방향)으로는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와,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이 서로 교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와, 이와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이 인접하게 맞대어 결합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1 내지 제 6 모듈부(1207 내지 1212)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의 수직 방향(Y 방향)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 7 내지 제 12 모듈부(1227 내지 1232)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접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중앙에 위치하는 복수의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에 구비된 복수의 모듈부(1207 내지 1212)와,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4)에 구비된 복수의 모듈부(1227 내지 1230)는 다같이 복수의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의 수직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 즉, 세로 길이(d1)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의 세로 길이(d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의 세로 길이(d2)는 그 후방에 다같이 배치되는 제 1 내지 제 6 모듈부(1207 내지 1212)와, 제 7 내지 제 10 모듈부(1227 내지 1230)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세로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은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6 모듈부(1207 내지 1212) 및 제 7 내지 제10 모듈부(1227 내지 123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01 내지 1206)를 통하여 사용자의 반대측에 위치한 사물(1240)이 상기 제 1 내지 제 6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1221 내지 1226)으로 인하여 가려지는 현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이다.
500...유기 발광부 530...제 1 영역
531...회로 영역 532...발광 영역
540...제 2 영역
800...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11...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12...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13...제 1 모듈부 814...제 2 모듈부
821...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22...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23...제 3 모듈부 824...제 4 모듈부
831...사물
531...회로 영역 532...발광 영역
540...제 2 영역
800...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811...제 1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12...제 2 광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13...제 1 모듈부 814...제 2 모듈부
821...제 1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22...제 2 광불투과형 디스플레이부
823...제 3 모듈부 824...제 4 모듈부
831...사물
Claims (8)
-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면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구비하여 상기 발광층의 발광에 의해 화상이 구현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하며, 외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모두 배치되지 않은 제2투과창을 구비한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절연막이 배치되지 않은 제 1 투과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활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활성층은 다결정 실리콘과 산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절연막이 배치되지 않은 제 1 투과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투과창과 상기 제 2 투과창이 동일한 패턴으로 서로 연통된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506A KR102102354B1 (ko) | 2019-04-23 | 2019-04-23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7506A KR102102354B1 (ko) | 2019-04-23 | 2019-04-23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1106A Division KR101973760B1 (ko) | 2012-11-19 | 2012-11-19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896A KR20190045896A (ko) | 2019-05-03 |
KR102102354B1 true KR102102354B1 (ko) | 2020-04-21 |
Family
ID=6658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7506A KR102102354B1 (ko) | 2019-04-23 | 2019-04-23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2354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5962A (ja) * | 2010-02-24 | 2011-09-08 |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 有機発光表示装置 |
-
2019
- 2019-04-23 KR KR1020190047506A patent/KR1021023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5962A (ja) * | 2010-02-24 | 2011-09-08 |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 有機発光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896A (ko) | 2019-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760B1 (ko)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910441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1714539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00090299A (ko)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690265B2 (en) | Display device having a trench portion | |
KR20200089380A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11004914B2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20019026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11956997B2 (en) | Display device | |
US11737329B2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column spacer between emission panel and color panel | |
CN112992989A (zh) | 显示面板和包括显示面板的显示装置 | |
US20220068830A1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lignment pattern | |
KR20210010716A (ko) | 표시 장치 | |
CN114300509A (zh) | 显示面板和显示设备 | |
CN112992980A (zh) | 显示装置 | |
US20240040861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 |
CN114725163A (zh) | 显示装置 | |
JP4639588B2 (ja) |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 |
US20230309344A1 (en) | Display panel,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 |
KR102102354B1 (ko)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30049818A (ko) | 표시 장치 | |
KR20230006692A (ko) | 표시 장치 | |
KR10180191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10146499A (ko) | 표시 장치 | |
KR20230074370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