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83B1 -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883B1
KR102101883B1 KR1020180105456A KR20180105456A KR102101883B1 KR 102101883 B1 KR102101883 B1 KR 102101883B1 KR 1020180105456 A KR1020180105456 A KR 1020180105456A KR 20180105456 A KR20180105456 A KR 20180105456A KR 102101883 B1 KR102101883 B1 KR 10210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wake
call
smart termina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317A (ko
Inventor
전영래
Original Assignee
전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래 filed Critical 전영래
Priority to KR102018010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8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 A46B15/004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with musical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은 모닝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량, 칫솔 사용자 터치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모닝콜 칫솔; 및 모닝콜 칫솔을 소독하고 칫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칫솔거치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RNING CALL USING TOOTHBRUSH}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폰에서 제공하는 모닝콜 기능은 핸드폰 사용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기능 중 하나이고, 꾸준히 사용하는 기능이다. 스마트 폰은 모닝콜, 알람 뿐만 아니라, 스탑워치, 디데이 기능 등 시간 알림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모닝콜 기능에는 스누즈(snooze) 기능도 포함되는데, 모닝콜이 울린 후 스누즈 버튼을 누르면 일정시간에 지난 후 다시 모닝콜을 출력하는 기능이다. 모닝콜을 듣고, 한번에 일어나는 사용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스누즈 기능 또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모닝콜이나 스누즈 기능은 버튼으로 쉽게 해제 할 수 있기 때문에 모닝콜이 울리면 이를 끄고 다시 잠이 들어 지각을 하거나 일어나는 시간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242813호(2013.03.06) 2. 한국 특허등록 제10-0957020호(2010.05.03)
사용자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칫솔 및 칫솔 거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닝콜이 울린 후 칫솔에 수분이 감지되거나, 일정이상의 운동량이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 단말의 모닝콜을 해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닝콜이 울리면 일어나 곧바로 양치질을 하도록 유도한다.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은 모닝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량, 칫솔 사용자 터치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모닝콜 칫솔; 및 모닝콜 칫솔을 소독하고 칫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칫솔거치장치;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의 모닝콜 해제 방법은 (A) 스마트 단말에서 모닝콜이 시작되는 단계; (B) 칫솔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 사용자 터치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C) 칫솔거치장치는 모닝콜 시작 이후 일정시간 내에 칫솔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모닝콜이 울린 후 양치를 해야지만 모닝콜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닝콜을 무시하거나 꺼 버리고 다시자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양치를 하도록 유도하여 치아 건강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칫솔 거치 장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칫솔이 칫솔 거치 장치에 결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은 칫솔(100), 스마트 단말(200) 및 칫솔 거치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200)은 모닝콜 기능을 제공하고, 무선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칫솔(100)은 스마트 단말(200)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모닝콜 또는 알람이 시작되면, 칫솔에서 모닝콜 해제 정보를 감지한 후 스마트 단말의 모닝콜을 정지시킨다. 실시예에서 모닝콜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모닝콜을 들은 후 일어났다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감지 정보로서, 칫솔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수분, 사용자의 칫솔 터치 신호 등 사용자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칫솔(100)은 사용자에 의한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킨다.
칫솔거치장치(300)는 모닝콜 시간에 따라 칫솔을 재소독하고, 모닝콜이 울린 후 칫솔 유무를 감지하여 모닝콜을 해제 시킬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칫솔(100)은 수분감지센서(110), 진동감지센서(130), 제어모듈(150) 및 통신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칫솔의 수분센서(110)는 모닝콜 시각 이후, 칫솔 모 부분의 수분을 감지한다. 즉, 실시예에서 수분감지 센서(110)는 모닝콜이 울린 후 사용자가 일어나서 양치를 시작하기 위해 칫솔에 치약이나 물을 묻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분센서(110)는 칫솔모와 칫솔의 몸체가 연결되는 바닥에 설치되어 수분을 감지하거나 치약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진동센서(130)는 칫솔의 상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한다. 예컨대, 진동센서는 사용자가 모닝콜을 듣고 일어나 양치질을 시작하면 칫솔의 운동량 산출을 위해 칫솔 움직임과 사용자가 칫솔을 잡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수분센서 및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칫솔 움직임 정보를 전달받아, 수분량 및 칫솔움직임횟수를 기설정된 수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모닝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모듈은 센서로부터 수분이나 치약이 감지되고, 칫솔움직임횟수, 칫솔 움직임 유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고, 감지된 횟수나 유지시간이 기준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모듈(150)은 칫솔에 수분이 감지되면,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칫솔움직임횟수의 기준수치를 20회, 움직임 유지시간을 2분으로 설정한 경우 칫솔움직임 횟수가 20회를 초과하거나 움직임 유지시간이 2분을 초과하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통신모듈(170)은 생성된 모닝콜 해제신호를 스마트 단말(200)로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200)로부터 모닝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칫솔 거치 장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칫솔 거치 장치(300)는 칫솔 감지부(310), 통신부(330), 제어부(350), 소독램프(370) 및 스피커(3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칫솔감지부(310)는 칫솔이 거치장치에 거치 중인지 감지한다. 실시예에서, 칫솔감지부(310)는 모닝콜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거치된 칫솔을 꺼내면 칫솔 거치 여부를 인식 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스마트 단말 및 칫솔과 통신하며 모닝콜 해제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에서 모닝콜 설정이 되면 설정 정보를 칫솔 거치 장치(300)로 전송해 거치 장치가 모닝콜 시작 일정 시간 전에 칫솔을 다시 소독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닝콜 시작 후 거치장치(300)에서 칫솔 거치가 해제되면 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여 모닝콜이 해제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통신부(330)로부터 전달받은 모닝콜 설정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칫솔 거치장치에 구비된 소독램프 및 스피커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모닝콜 시작시간이 설정되면, 모닝콜 설정시간에서 칫솔 소독 완료까지 필요한 시간 이전에 소독 램프를 점등한다. 이로써, 모닝콜이 울린 후 사용자가 양치질을 시작하기 전에 다시 한번 칫솔이 소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시작한 이후, 스피커(390)로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여 일정정보, 음악, 날씨정보, 뉴스, 라디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칫솔거치장치에 스마트 단말과 연동된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일정정보, 날씨 정보, 뉴스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양치하는 동안 오늘의 일정, 날씨정보, 음악, 뉴스 등을 들으며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소독램프(370)는 칫솔이 거치를 인식하면,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여 칫솔모를 소독한다. 실시예에서 소독램프(370)는 칫솔이 거치되면, 자동으로 켜지고 제어부(350)에 의해 모닝콜 시작시각에서 일정시간 전에 램프가 켜져 칫솔모 소독을 다시 한번 수행 할 수 있다.
스피커(390)는 사용자가 양치를 시작한 것으로 감지되면, 일정, 음악, 알람, 날씨정보, 뉴스, 라디오 등 설정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된 정보를 들으면서 하루 일과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칫솔거치장치(300)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종료한 후, 칫솔이 보관되는 것을 인식하면, 칫솔 소독을 다시 시작하고, 모닝콜 시작 이후 일정시간 내에, 칫솔거치장치에서 칫솔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칫솔이 칫솔 거치 장치에 결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거치 장치(300)에 구비된 칫솔모 감지 영역(a)에는 칫솔모 감지 센서 및 소독 램프가 구비되고, 거치장치(300)의 몸체(b)에는 제어부 및 통신부가 내장된다. 또한, 칫솔(100)의 손잡이 영역(c)에 스마트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모듈(170) 및 칫솔 운동량에 따라 모닝콜 해제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5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200)에서 모닝콜이 설정되면, 모닝콜 시작 시점에서 칫솔 소독에 필요한 일정시간 전에 칫솔 재소독을 시작하기 위해 소독램프를 점등한다. 실시예에서 일정시간은 칫솔 1회 소독 시간으로, 구체적으로 칫솔 소독에 10분이 소요되고 모닝콜 시작시간이 7시인 경우, 6시 50분에 S510 단계에서 칫솔 재소독을 시작하도록 소독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모닝콜이 시작된다. S520 단계에서는 모닝콜 시작 정보를 칫솔 및 칫솔거치장치(300)로 전송한다.
S530 단계에서 칫솔(100)은 칫솔모에 묻혀지는 수분, 치약 및 움직임 등 모닝콜 해제정보를 감지한다.
S540 단계에서는 칫솔 운동량을 산출하여, 칫솔 운동량이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S550 단계에서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서 칫솔 운동량이 기준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칫솔에 물이나 수분이 묻혀진 시점, 또는 사용자가 칫솔을 터치한 시점에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S560 단계에서는 칫솔(100)에서 생성된 모닝콜 해제신호를 스마트 단말(200)으로 전송한다.
이하, 칫솔거치장치에서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S510 단계에서는 칫솔 거치 장치에서 칫솔 재소독을 시작하고, S512 단계에서 모닝콜 시작이 인식되면, S514 단계에서 모닝콜이 시작된 이후 일정 시간 안에 칫솔 거치 장치에 거치된 칫솔이 감지되는지 파악한다. S514 단계에서 거치장치에 거치된 칫솔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S516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칫솔을 거치를 해제 시킨 것으로 파악하고 거치장치에서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57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200)은 칫솔 또는 칫솔 거치 장치로부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모닝콜을 해제시키고, S580 단계에서 모닝콜을 종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모닝콜이 울린 후 양치를 해야지만 모닝콜을 해제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모닝콜을 무시하거나 꺼 버리고 다시 자는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양치를 하도록 유도하여 치아 건강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모닝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량, 칫솔 사용자 터치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모닝콜 칫솔; 및
    상기 모닝콜 칫솔을 소독하고 칫솔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칫솔거치장치; 을 포함하고
    상기 모닝콜 칫솔은
    모닝콜 시작 후 일정시간 내에 칫솔 모 부분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
    상기 칫솔의 상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수분감지센서 및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수분량 및 칫솔 움직임을 전달받아, 상기 수분량 및 칫솔움직임을 기준수치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모닝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상기 생성된 모닝콜 제어신호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모닝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운동량이 기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칫솔모에 수분 또는 치약이 감지되면,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거치장치는
    상기 칫솔을 소독하는 빛을 발사하는 소독램프; 를 포함하고
    모닝콜 시작시점에서 칫솔 소독에 필요한 일정시간 전에 소독램프를 점등하여 칫솔을 소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거치장치는
    사용자가 양치질을 종료한 후, 칫솔이 보관되는 것을 인식하면, 칫솔 소독을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거치장치는
    모닝콜 시작 이후, 상기 칫솔거치장치에서 칫솔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고, 알람인식정보, 칫솔제어신호 및 칫솔거치장치에서 칫솔이 다시 인식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악, 일정, 뉴스, 날씨정보, 방송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9.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의 모닝콜 해제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단말에서 모닝콜이 시작되는 단계;
    (B) 칫솔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 사용자 터치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C) 칫솔거치장치는 모닝콜 시작 이후 일정시간 내에 칫솔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칫솔은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어 단말에서 알람이 울린 후 칫솔의 움직임, 수분, 사용자 제어를 포함하는 모닝콜해제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의 알람을 정지시키는 단계; 는
    상기 칫솔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운동량이 일정 양을 초과하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해제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C) 칫솔거치장치에서 모닝콜 시작 이후, 칫솔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모닝콜 해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는
    스피커와 상기 스마트 단말이 연동되는 단계;
    모닝콜 시작 이후 칫솔거치장치에서 칫솔이 인식되지 않으면, 음악, 일정, 라디오, 날씨정보 및 뉴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해제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 스마트 단말에서 모닝콜이 시작되는 단계; 는
    모닝콜 시작시점에서 칫솔소독 시간 전에 소독램프를 점등하여 칫솔을 소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해제방법.
KR1020180105456A 2018-09-04 2018-09-04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56A KR102101883B1 (ko) 2018-09-04 2018-09-04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56A KR102101883B1 (ko) 2018-09-04 2018-09-04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17A KR20200027317A (ko) 2020-03-12
KR102101883B1 true KR102101883B1 (ko) 2020-04-20

Family

ID=6980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56A KR102101883B1 (ko) 2018-09-04 2018-09-04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411161A1 (en) 2019-06-25 2020-12-31 L'oreal User signaling through a personal car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53B1 (ko) * 2009-05-18 2009-10-15 문강인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20B1 (ko) 2007-10-17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기종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스마트폰
KR101242813B1 (ko) 2011-05-12 2013-03-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 사용시간 알람장치
KR20120127970A (ko) * 2011-05-16 2012-11-26 이현주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알람제어기능이 구비된 칫솔통, 이를 이용한 알람제어시스템 및 알람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53B1 (ko) * 2009-05-18 2009-10-15 문강인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17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73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tivation feedback to a user before brushing
US6417773B1 (en) Sound-actuated system for encouraging good personal hygiene in toilet facilities
US8630633B1 (en) Adaptive, portable, multi-sensory aid for the disabled
CN108814747B (zh) 一种智能电动牙刷及其控制方法
US20040066710A1 (en) Voice-commanded alarm clock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040052A1 (en) Assistance alert method and device
KR20060010826A (ko) 가청 메시지들의 생성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0254360A (ja) 対話型玩具
JP2013504829A (ja) 手を洗うように人々を動機付け、及び/又は促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81648B1 (ko) 욕실용 스마트 미러 장치
JP6884781B2 (ja) コンテナーから飲むことをユーザーに思い出させるためのデバイス
CN110599747A (zh) 一种用户提醒方法、装置及智能门铃系统
KR102101883B1 (ko) 칫솔을 이용한 모닝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3634457B (zh) 一种声控闹铃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220079A1 (en) Interactive potty chair
CN202112763U (zh) 振动闹钟枕头
DE60208447D1 (de) Sprachverbindungssystem zwischen menschen und tieren
US20100166240A1 (en) Hearing apparatus for pets
KR200177631Y1 (ko) 양치질시간 알림장치
JP2008004022A (ja) 警告機能を備えた人体検知装置
JP7398027B2 (ja) ウェイクアップアラーム方法
JP2009278404A (ja) 抗菌機能を有するマイクロホン
JP2005196442A (ja) 移動感知装置
JP2001313846A (ja) 日常生活活性化支援装置
JP2018007723A (ja) 嚥下情報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