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24B1 -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124B1
KR102101124B1 KR1020190120282A KR20190120282A KR102101124B1 KR 102101124 B1 KR102101124 B1 KR 102101124B1 KR 1020190120282 A KR1020190120282 A KR 1020190120282A KR 20190120282 A KR20190120282 A KR 20190120282A KR 102101124 B1 KR102101124 B1 KR 10210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ack
formwork
manufactu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성
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연맨홀
전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연맨홀, 전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연맨홀
Priority to KR102019012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는, 가로등의 기초가 되는 지주블록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랙인컵이 마련되는 폼거푸집; 상기 폼거푸집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탈거 시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지주블록의 외면을 상호 연통하는 연결배관이 성형되는 블랙아웃블록; 상기 폼거푸집과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폼거푸집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부; 및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블랙인컵의 내벽에 접촉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주블록의 경화 이후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탈거 시 상기 블랙인컵의 주변부에 잔류되는 잔류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는,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의 개수를 조절하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연결배관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CONCRETE FORM STRUCTURE FOR MANUFACTURING BASE BLOCK OF STREE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환경에 맞춰 가로등 지주블록의 연결배관의 개수와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필수적으로 가로등이 마련되는데, 가로등의 기초 및 하부에는 상부에 형성된 앵커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결합구조인 이른바, 가로등 지주블록 또는 지주용 기초블록이 지반에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등 지주블록은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물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대부분 지주블록의 스펙과 형상이 관용적으로 일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주블록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외면 즉 측면에는 상부로 연통되는 연결배관이 기본적으로 3면 이상에 걸쳐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중앙에 가로등과 연결되는 연결라인의 여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필수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에는 앵커볼트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서는 연결배관의 개수가 1개나 2개만이 필요한 경우에도 불필요한 연결배관이 뚫려 있을 수 밖에 없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매설상태에 따라 연결배관의 관용화된 각도로 인해 전기배선라인의 설치가 난해해지는 등 시공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연통된 연결배관을 타고 흘러들어간 수분이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에 장시간 노출 또는 침지됨으로써 합선이나 누전 등의 각종 전기문제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의 개수를 조절하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연결배관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는, 가로등의 기초가 되는 지주블록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랙인컵이 마련되는 폼거푸집; 상기 폼거푸집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탈거 시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지주블록의 외면을 상호 연통하는 연결배관이 성형되는 블랙아웃블록; 상기 폼거푸집과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폼거푸집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부; 및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블랙인컵의 내벽에 접촉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주블록의 경화 이후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탈거 시 상기 블랙인컵의 주변부에 잔류되는 잔류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캡부는, 일단이 개구되어 중공형으로 마련되는 캡몸체; 및 상기 캡몸체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블랙인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바깥으로 라운드진 볼록만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몸체는 원형 단면으로 마련되며, 상기 캡몸체에는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자바라 타입의 변형가변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폼거푸집의 외면에는 상기 블랙아웃블록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류캡부는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폼거푸집에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이 경화될 때 공기에 노출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양생 수율을 보조하는 한편 물의 배출을 보조하는 보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잔류캡부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지주블록은 자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은, 폼거푸집이 마련되고 상기 폼거푸집에 잔류캡부가 씌워진 상태로 블랙아웃블록을 삽입하는 단계; 턴버클부를 이용하여 상기 폼거푸집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하는 단계; 상기 블랙아웃블록을 탈거하고 상기 잔류캡부는 경화물에 잔류하는 단계; 및 시공환경에 따라 상기 잔류캡부를 파괴하여 배관홀을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는,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의 개수를 조절하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연결배관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블랙인컵에 블랙아웃블록 및 잔류캡부가 접촉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서 잔류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서 턴버클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주블록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 의해 제조된 지주블록에서 배관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블랙인컵에 블랙아웃블록 및 잔류캡부가 접촉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서 잔류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서 턴버클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주블록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에 의해 제조된 지주블록에서 배관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의 기초가 되는 지주블록(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랙인컵(120)이 마련되는 폼거푸집(100); 상기 폼거푸집(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탈거 시 상기 수용공간(12)과 상기 지주블록(10)의 외면을 상호 연통하는 연결배관(11)을 성형하는 블랙아웃블록(200); 상기 폼거푸집(100)과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폼거푸집(100)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부(300); 및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에 결합되되 상기 블랙인컵(120)의 내벽에 접촉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주블록(10)의 경화 이후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의 탈거 시 상기 블랙인컵(120)의 주변부에 잔류되는 잔류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폼거푸집(100)은 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방향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수직방향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폼거푸집(100)은 상단부(도 1 및 도 2에서는 폼거푸집(100)이 뒤집어진 상태이므로 지주블록(10)의 경우에서는 하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면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물이 인입되고, 경화된 지주블록(10)이 배출될 수 있다.
폼거푸집(100)의 하단부에는 지지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폼거푸집(100)의 하면에는 블랙인컵(120)이 마련될 수 있다. 블랙인컵(120)은 폼거푸집(10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마련되며, 내측으로 함몰될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인컵(120)은 지주블록(10)의 수용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2)에는 여분의 전기배선라인(연결배관(11)을 거쳐 인입된 전기배선라인이 가로등과 연결되고 남은 여분의 라인)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폼거푸집(100)의 외면 즉 측부에는 적어도 3군데에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을 통해 블랙아웃블록(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공에는 인접하게 보조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홀(130)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이 경화될 때 공기에 노출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양생 수율을 보조하는 한편 물의 배출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폼거푸집(100)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콘크리트 타설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소재라면 다른 재질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블랙아웃블록(20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중공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블랙아웃블록(200)의 단부에는 손잡이부(210)가 마련되어 폼거푸집(100)으로부터 블랙아웃블록(200)의 탈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블랙아웃블록(200)의 단부에는 잔류캡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잔류캡부(400)는 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아웃블록(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잔류캡부(400)는, 일단이 개구되어 중공형으로 마련되며,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캡몸체(410); 및 상기 블랙인컵(120)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촉 지지되도록 볼록하게 라운드진 볼록만곡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몸체(410)는 원형 단면으로 마련되어 개구를 통해 블랙아웃블록(200)의 단부를 완전히 수용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몸체(410)에는 부분적으로 변형가변구간(411)이 마련되는데, 변형가변구간(411)을 통해 볼록만곡면부(420)가 블랙인컵(120)의 외면에 탄성 지지되며, 이로써 블랙인컵(120)과 블랙아웃블록(200)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잔류캡부(40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주블록(10)의 경화 이후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의 탈거 시 상기 블랙인컵(120)의 주변부에 잔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잔류캡부(400)는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은 선택적 파괴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2) 내벽 상에는 잔류캡부(400)의 볼록만곡면부(420)가 노출되거나 미세하게 매설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고, 시공환경에 따라 볼록만곡면부(420)를 파괴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12)과 상기 연결배관(11)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11)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볼록만곡면부(420)의 파괴 정도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배관홀(11a)의 구멍 크기나 형태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턴버클부(300)는 도 1 내지 도 3,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상기 폼거푸집(100)과 상기 블랙아웃블록(200)에 각각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턴버클부(300)는 폼거푸집(100)에 마련되는 제1 고리(150)와 블랙아웃블록(200)에 마련되는 제2 고리(220)를 상호 연결하는 부재이다. 턴버클부(300)에는 버클조절부(310)가 마련되어 턴버클부(3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고리(150, 2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턴버클부(300)를 통해, 도 7의 (a)와 (b)에서처럼 폼거푸집(100)에 대한 블랙아웃블록(2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11)의 개수를 조절하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연결배관(11)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12)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12) 및 수용공간(12)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조되는 상기 지주블록(10)은 자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폼거푸집(100)이 배치되고 블랙아웃블록(200)이 삽입공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S100). 이때, 블랙아웃블록(200)의 단부에는 잔류캡부(400)가 끼워지며, 도 3 및 도 4에서처럼 블랙아웃블록(200)을 폼거푸집(100)의 중심으로 가압시켜 잔류캡부(400)가 변형되면서 블랙인컵(12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6의 턴버클부(300)가 폼거푸집(100)에 대한 블랙아웃블록(2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200). 버클조절부를 조절하여 블랙아웃블록(200)을 도 7에서와 같이 세우거나 또는 뉘어서 연결배관(11)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콘크리트 타설물이 타설되고, 경화가 수행될 수 있다(S300). 이때에는 폼거푸집(100)의 보조홀(130)을 통해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공기와의 접촉을 유도하여 콘크리트 타설물의 경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경화 이후, 블랙아웃블록(200)이 탈거될 수 있다. 이때, 블랙아웃블록(200)은 탈거되나 단부에 마련되는 잔류캡부(400)는 여전히 경화된 콘크리트 타설물 내에 잔류될 수 있다(S400).
이후, 시공환경에 따라 연결배관(11)의 필요한 개수만큼 배관홀(11a)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S500). 즉,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아니하면 배관홀(11a)은 잔류캡부(400)에 의해 막혀진 폐구 상태로 유지되나(도 7의 (a)), 필요에 의해 잔류캡부(400)를 파괴시키게 되면 연결배관(11)이 수용공간(12)과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잔류캡부(400)를 완전히 파괴하지 아니하고 일정 구역만 파괴함으로써 배관홀(11a)의 내부 연통 정도(배관홀(11a)의 크기나 형태 등)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시공사나 시공환경에 맞춰 필요한 연결배관(11)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12)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12) 및 수용공간(12)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구성으로, 시공사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연결배관(11)의 개수를 조절하고 지반에 매설된 전기배선라인의 시공상황에 맞게끔 연결배관(1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연결배관(11)만을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수용공간(12)으로의 수분 유입을 저감시켜 수용공간(12) 및 수용공간(12) 내의 각종 전기배선라인의 합선이나 누전 등 각종 전기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주블록 11 : 연결배관
11a : 배관홀 12 : 수용공간
15 : 체결부 100 : 폼거푸집
110 : 거푸집몸체 120 : 블랙인컵
130 : 보조홀 140 : 지지부
150 : 제1 고리 200 : 블랙아웃블록
210 : 손잡이부 220 : 제2 고리
300 : 턴버클부 310 : 버클조절부
400 : 잔류캡부 410 : 캡몸체
411 : 변형가변구간 420 : 볼록만곡면부

Claims (8)

  1. 가로등의 기초가 되는 지주블록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랙인컵이 마련되는 폼거푸집;
    상기 폼거푸집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탈거 시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지주블록의 외면을 상호 연통하는 연결배관이 성형되는 블랙아웃블록;
    상기 폼거푸집과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폼거푸집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턴버클부; 및
    상기 블랙아웃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블랙인컵의 내벽에 접촉 지지되게 배치되며, 상기 지주블록의 경화 이후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탈거 시 상기 블랙인컵의 주변부에 잔류되는 잔류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류캡부는,
    일단이 개구되어 중공형으로 마련되는 캡몸체; 및
    상기 캡몸체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블랙인컵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바깥으로 라운드진 볼록만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몸체는 원형 단면으로 마련되며,
    상기 캡몸체에는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자바라 타입의 변형가변구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폼거푸집의 외면에는 상기 블랙아웃블록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캡부는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폼거푸집에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콘크리트 타설물이 경화될 때 공기에 노출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양생 수율을 보조하는 한편 물의 배출을 보조하는 보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블록은 자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8. 폼거푸집이 마련되고 상기 폼거푸집에 잔류캡부가 씌워진 상태로 블랙아웃블록을 삽입하는 단계;
    턴버클부를 이용하여 상기 폼거푸집에 대한 상기 블랙아웃블록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하는 단계;
    상기 블랙아웃블록을 탈거하고 상기 잔류캡부는 경화물에 잔류하는 단계; 및
    시공환경에 따라 상기 잔류캡부를 파괴하여 배관홀을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90120282A 2019-09-30 2019-09-30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KR10210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282A KR102101124B1 (ko) 2019-09-30 2019-09-30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282A KR102101124B1 (ko) 2019-09-30 2019-09-30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124B1 true KR102101124B1 (ko) 2020-04-14

Family

ID=7029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282A KR102101124B1 (ko) 2019-09-30 2019-09-30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1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084A (ko) * 2008-05-29 2009-12-03 (주)선광산업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제작방법과 기초블록
KR101640457B1 (ko) * 2016-01-04 2016-07-18 이동성 전등 축대용 기초블록 제작 거푸집과 기초블록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084A (ko) * 2008-05-29 2009-12-03 (주)선광산업 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제작방법과 기초블록
KR101640457B1 (ko) * 2016-01-04 2016-07-18 이동성 전등 축대용 기초블록 제작 거푸집과 기초블록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6916B2 (ja) 鉄製マンホール
WO20150766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ipe joint in concrete wall
KR102101124B1 (ko) 가로등 지주블록 제조용 거푸집체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지주블록의 제조방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77641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0415965B1 (ko) 오염방지를 위한 조립식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맨홀 및 옹벽구체,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2363892B1 (ko) 원심력 사각 수로관 결합용 빗물받이, 이의 프리캐스트 상부 구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274837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흄관받침 콘크리트를 이용한흄관설치 구조
KR200408850Y1 (ko) 긴급공사용 하수맨홀의 설치구조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200263919Y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고정용 베이스
KR20150106128A (ko) 맨홀 보수공사를 위한 거푸집
KR100815191B1 (ko) 배수트랩 받침구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102477764B1 (ko) 거푸집 구조체,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
CN209040610U (zh) 预制混凝土厕所
KR200344194Y1 (ko)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354116Y1 (ko) 조립식 사다리
KR200367355Y1 (ko) 맨홀 유니트
CN208418627U (zh) 适用于连接市政路灯的基座模块
KR100600697B1 (ko) 조립식 사다리
CN215406168U (zh) 一种预制检查井
KR200493687Y1 (ko) 맨홀 일체형 자재 투입구를 갖는 밸브실
KR200305393Y1 (ko) 배수조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