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837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837B1
KR102099837B1 KR1020180147666A KR20180147666A KR102099837B1 KR 102099837 B1 KR102099837 B1 KR 102099837B1 KR 1020180147666 A KR1020180147666 A KR 1020180147666A KR 20180147666 A KR20180147666 A KR 20180147666A KR 102099837 B1 KR102099837 B1 KR 10209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otor core
electrical steel
co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나민수
여경모
조상영
하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837B1/ko
Priority to EP19210101.2A priority patent/EP3657639A1/en
Priority to EP19210105.3A priority patent/EP3657640B1/en
Priority to EP19210107.9A priority patent/EP3657642B1/en
Priority to EP19210106.1A priority patent/EP3657641B1/en
Priority to CN201911176293.8A priority patent/CN111224485A/zh
Priority to US16/696,311 priority patent/US11355979B2/en
Priority to US16/696,117 priority patent/US11349360B2/en
Priority to CN201911175262.0A priority patent/CN111224484B/zh
Priority to CN201911174705.4A priority patent/CN111224483B/zh
Priority to US16/696,393 priority patent/US11258321B2/en
Priority to CN202310014052.3A priority patent/CN116191715A/zh
Priority to US16/696,505 priority patent/US11264851B2/en
Priority to CN201911175236.8A priority patent/CN11122448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복수의 전기강판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로터 코어 블럭; 및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강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끼리 서로 연결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브리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회전축에 제공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회전력의 발생을 위해 스테이터에는 코일이 권선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로터가 회전하게 된다. 모터는 세탁기, 냉장고, 압축기, 및 청소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는 회전축에 의해 세탁기의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구 자석형 모터는 영구 자석의 부착 형태에 따라 표면부착형(Surface Mounted Magnet)과 매입형(Interior Permanent Magnet)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면부착형이란 로터 코어의 표면에 영구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매입형이란 로터 코어 안에 영구 자석이 매입되어 있는 형태를 가리킨다. 매입형 중에서도 로터 코어와 영구 자석이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높이 방향을 따라 세워져 있는 형태는 스포크형(spoke type)으로 하위 분류될 수 있다.
스포크형 모터는 로터 코어를 이용한 자속의 집중 효과를 통해 로터의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포크형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과도하게 빠른 경우 로터의 구조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세탁기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은 탈수 행정 시 다른 행정에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1,200rpm을 상회하기도 한다.
모터의 회전축이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면 모터의 로터에 강한 원심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강한 원심력으로 인해 로터의 영구 자석이나 로터 코어가 로터의 방사 방향으로 분리되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선행 특허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0275호(2012.10.10.)에서는 제1 체결부재(152)로 영구 자석(140)과 로터 코어(131)의 상하에 배치하고, 제2 체결부재(153)로 로터 코어(131)를 관통하게 배치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축이 느린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선행 특허문헌에 개시된 구조는 두 체결부재(152, 153)와 로터 하우징(150)을 이용하여 영구 자석(140)과 로터 코어(1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부재(152), 제2 체결부재(153) 및 로터 하우징(150)이 서로 개별적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회전축이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각 부품 간의 물리적 결합력 부족으로 인해 파손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제1 체결부재(152)는 영구 자석(140)과 로터 코어(131)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므로 모터의 크기 증가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선행 특허문헌의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로터 하우징(150), 로터 코어(131), 영구 자석(140), 제1 체결부재(152) 및 제2 체결부재(153) 등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생산성이 매우 낮고, 특히 체결부재의 수가 늘어날수록 대량 생산에 불리하다.
이와 같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당업자,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는 로터를 구성하는 본래의 부품들 외에 체결부재 등과 같은 구조물들을 도입하여 영구 자석이나 로터 코어를 구속하려고 한다. 그러나 체결부재 등과 같은 구조물들의 단순 도입만으로는 여전히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의 크기 증가나 성능 저하 없이 구조 강도를 개선하기 어렵다.
복수의 로터 코어끼리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모터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는 복수의 로터 코어끼리 서로 이격된 구조를 유지하려고 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끼리 서로 이격된 구조는 모터의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어도, 모터의 구조 강도 확보에는 취약하다. 모터의 고속 작동 시 로터에 발생하는 강한 원심력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방사 방향으로 비산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부분 이격 구조를 통해 모터의 효율을 극히 일부 희생하는 대신, 모터의 구조 강도를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체결부재들끼리의 연결 강도가 부족하게 되면, 모터의 고속 작동 시 로터에 작용하는 강한 원심력이 로터의 파손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세탁기, 청소기 등 고속으로 작동하는 모터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저속 작동 시에만 구조 강도가 확보되는 것 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이에 본 발명은 모터의 고속 작동 시에도 로터에 작용하는 강한 원심력으로 인해 영구 자석과 로터 코어 세그먼트가 방사 방향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부품 간 물리적 결합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터의 파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들의 도입을 통해 로터의 구조 강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을 넘어, 부품들 간의 서로 엇갈리거나 교번적인 조립 구조를 통해 모터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터의 제작 과정에서 로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조립 공정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저감하여 모터의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모터의 조립 과정 후에 치수 안정성을 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터는 적어도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 코어 블럭은 복수의 전기강판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전기강판 중 적어도 일부는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브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터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은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전기강판은 형상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종 전기강판과 제2 종 전기강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은 상기 제1 종 전기강판과 함께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1 종 전기강판 사이, 하단 및 상단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에 적층되고, 상기 브리지를 구비한다.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의 내측단과 외측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은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종 전기강판과 상기 제2 종 전기강판 각각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영구 자석의 작용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향해 상기 바디의 내측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외측단에서 돌출되어 로터 코어 슬롯을 형성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두 갈래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브리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두 제2 종 전기강판 중 어느 하나의 헤드와 다른 하나의 헤드를 연결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돌기와 상기 다른 하나의 돌기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브리지에 정의되는 영역마다 개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에 노출된다.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의 두께(a)의 합(Σa)과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높이(b)의 비(Σa/b)는 5% 내지 15%다.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브리지의 폭은 0.45mm 내지 2mm다.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브리지의 두께는 2mm 내지 5mm다.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로터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1 단과 제2 단을 구비한다.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제1 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단 커버;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커버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제2 단과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제2 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단 커버;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커버 또는 상기 제2 단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 각각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플레이트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의 사이마다 제1 분할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의 사이마다 제2 분할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할 지점과 상기 제2 분할 지점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홀 또는 홈에 삽입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로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부싱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부싱 결합부; 상기 부싱 결합부의 주위에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 상기 스포크의 외곽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단 커버 또는 상기 제2 단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커버 결합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 커버, 상기 제2 단 커버 및 상기 베이스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벳 결합홀을 구비한다.
상기 로터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의 홀, 상기 제1 단 커버의 리벳 결합홀, 상기 제2 단 커버의 리벳 결합홀, 및 상기 베이스의 리벳 결합홀을 관통하는 리벳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커버 결합홀과 상기 베이스의 리벳 결합홀은 상기 베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터 코어 블럭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로터 코어 블럭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로터 코어 블럭들 사이마다 로터 코어 분할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할 지점, 상기 제2 분할 지점 및 상기 로터 코어 분할 지점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단 커버의 상기 로터 코어 결합 돌기와 상기 제2 단 커버의 상기 로터 코어 결합 돌기는,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다. 2열 중 상대적으로 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열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는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홀에 삽입된다. 2열 중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2 열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는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홈에 삽입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는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다. 2열 중 상대적으로 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열의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와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제2 열의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는 로터의 방사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커버 결합홀은 상기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에 대응되도록 로터의 방사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다.
상기 로터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리벳 결합홀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열의 커버 결합홀과 제2 열의 커버 결합홀 중 어느 하나와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완전 분할(완전 이격) 구조에서 탈피하여 브리지를 이용한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부분 분할(부분 이격) 구조를 도입하고, 이를 통해 모터의 효율을 극히 일부 희생하는 대신, 로터의 구조 강도를 비약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부분 분할 구조는 완전 분할 구조 대비 로터를 제작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저감하여 모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단 커버와 제2 단 커버를 다수의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로터에 가해지는 원심력을 각 플레이트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과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므로 로터의 구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 커버, 제2 단 커버, 로터 코어 세그먼트, 및 로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각종 돌기와 홀,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를 이용해 로터의 조립 시 각 부품들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한편, 제작된 로터의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단 커버를 구성하는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들, 제2 단 커버를 구성하는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들, 동일 형상의 로터 코어 블럭 등을 포함하므로, 로터의 조립 과정 후에 치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모터의 대량 제작 시 성능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터의 조립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 상기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에 결합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 두 개의 제1 단 커버, 하나의 제2 단 커버, 로터 프레임 및 네 개의 리벳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로터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로터의 분해 사시도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6b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도 7a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7b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도 8a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8b는 로터 코어 블럭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도 9a 내지 도 9e는 로터를 제조하는 순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로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터(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모터(100)는 스테이터(stator)(110)와 로터(rotor)(12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stator core)(111), 절연체(insulator)(112) 및 코일(coil)(113)을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111)는 모터(100)에 결합되는 회전축의 축 방향을 따라 낱장의 전기강판(자성체)들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다. 스테이터 코어(111)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연체(112)는 회전축(미도시)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도 1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서(상하에서) 스테이터 코어(111)에 결합된다. 절연체(112)는 전기적 절연 소재로 형성된다. 절연체(112)는 스테이터 고정부(112a)와 티스 절연부(112b)를 갖는다.
스테이터 고정부(112a)는 절연체(112)의 원주에서 회전축을 향해 돌출된다. 스테이터 고정부(112a)는 복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스테이터 고정부(112a)는 절연체(112)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스테이터 고정부(112a)에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체결부재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 고정홀에 체결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스테이터(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티스 절연부(112b)는 절연체(112)의 원주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다. 티스 절연부(112b)는 코일(113)이 감길 티스(teeth)(미도시)를 감싸 요크(yoke)(미도시)에 연결되는 티스로부터 코일(113)을 절연시킨다.
코일(113)은 각각의 티스 절연부(112b)에 권선된다. 도 1에서는 집중권을 보이고 있다. 코일(113)은 전류를 인가 받는다. 코일(113)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모터(100)가 작동하게 된다.
로터(120)는 스테이터(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내측과 외측이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향하는지 그 반대 방향을 향하는지로 결정된다.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은 내측이고,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외측이다. 도 1에서는 로터(120)가 스테이터(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로터(120)(outer rotor)를 보이고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아우터 로터(120)(outer rotor)를 갖는 스포크(121b)형 모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아우터 로터(120)를 갖는 스포크(121b)형 모터(10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이너 로터(120)는 갖는 매입형 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의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스테이터(110)를 제외시키고 로터(120)만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의 사시도다.
로터(120)는 로터 프레임(121), 부싱(122), 복수의 로터 코어(혹은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복수의 영구 자석(124), 제1 단 커버(125), 제2 단 커버(126), 및 복수의 리벳(127)을 포함한다.
로터 프레임(rotor frame)(121)은 로터 하우징(rotor housing)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로터 프레임(121)은 부싱 결합부(121a), 스포크(spoke)(121b) 및 베이스(circumferential wall 또는 peripheral wall)(121c)을 포함한다.
부싱 결합부(121a)는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로터 프레임(121)의 중심에 형성된다. 로터 프레임(121)의 중심은 스테이터(110)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을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한다.
부싱 결합부(121a)는 부싱(122)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부싱(bushing)(122)이란 회전축과 연결되는 부품을 가리킨다. 회전축의 일 단은 상기 부싱 결합부(121a)에 결합되고, 타 단은 세탁기의 드럼 등 모터(100)의 회전력을 공급받는 대상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부싱(122)은 속이 빈 원기둥에 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싱(122)은 회전축과 결합 가능하도록 중공의 내주면에 나사산(122a)을 구비한다. 회전축은 부싱(122)에 직접 삽입된다. 회전축과 로터 프레임(121)은 부싱(122)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부싱(122)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122b)에 의해 부싱 결합부(12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22b)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122b)는 부싱(122)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에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스포크(121b)는 부싱 결합부(121a)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방사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스포크(121b)는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부싱 결합부(121a)의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스포크(121b)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스테이터(110)의 일 측 또는 타 측을 덮는 위치에 형성된다. 앞서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면 스테이터(110)의 하측이 상기 일 측에 해당하고, 스테이터(110)의 상측이 상기 타측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스포크(121b)는 스테이터(110)의 하측을 아래에서 덮는 위치에 형성된다.
부싱 결합부(121a)의 둘레에 복수의 스포크(121b)가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면, 복수의 스포크(121b)의 사이로 방열홀(121b1)이 형성된다. 모터의 작동으로 인해 모터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방열홀(121b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121c)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후술하게 될 제1 단 커버(125) 또는 제2 단 커버(126)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121c)의 원주는 제1 단 커버(125)의 원주 또는 제2 단 커버(126)의 원주와 동일할 수 있다.
베이스(121c)는 스포크(121b)의 외곽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베이스(121c)는 스포크(121b)의 외곽에 형성되는 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1c)의 내측단은 원주 방향으로 따라 복수의 스포크(121b)의 외측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121c)와 스포크(121b)의 사이에는 단차(H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HD)에 의해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스테이터(110)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HD)에 의해 복수의 영구 자석(124)과 스테이터(110)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21c)는 후술하게 될 제1 단 커버(125) 또는 제2 단 커버(126)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121c)와 제1 단 커버(125)는 서로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21c)와 제2 단 커버(126)도 서로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21)은 단일 부재로 형성되므로, 부싱 결합부(121a), 스포크(121b) 및 베이스(121c)는 로터 프레임(121)의 서로 다른 위치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이해되어야 하지, 서로 다른 부품들의 결합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한편,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스테이터(110)의 외측에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낱장의 전기강판(자성체)가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다. 낱장의 전기강판들은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전기강판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강판과 상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강판은 영구 자석(124)의 지지를 위해 다른 전기강판들에 비해 클 수 있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영구 자석(124)의 힘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에 영구 자석(124)의 힘이 집중되면 모터(100)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모터(100)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100)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로터(120)의 원주 방향이란 베이스(121c)의 원주 방향을 가리킨다. 복수의 영구 자석(124)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므로, 로터(120)에는 같은 수의 영구 자석(124)과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가 구비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로터(120)의 내측과 외측에 노출된다. 여기서 로터(120)의 내측이란 부싱(122)이 설치되는 위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로터(120)의 외측이란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나 복수의 영구 자석(124)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에서 부싱(122)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위치를 가리킨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 각각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1 단과 제2 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단이란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하단,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하단을 가리킨다. 다만, 제1 과 제2 라는 서수는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부기된다는 점에서 서수에 특별한 의미가 내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상단,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상단을 제1 단이라고 하더라도 무방하다.
제1 단 커버(125)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제1 단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1 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1 단과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제1 단이란 도 2에서 각각의 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단 커버(125)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하단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하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단 커버(125)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베이스(121c)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동일한 원주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열되므로, 상기 제1 단 커버(125)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구 자석(124)과 베이스(121c)의 사이에 배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 커버(126)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제2 단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2 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2 단 커버(126)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2 단과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제2 단이란 도 2에서 각각의 상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단 커버(126)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상단과 복수의 영구 자석(124)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2 단 커버(126)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1 단 커버(125)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단 커버(125)와 제2 단 커버(126)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로터 프레임(12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 프레임(121)은 제2 단 커버(12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단 커버(125)는 제2 단 커버(126)를 향해 돌출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 126a1)를 구비한다. 제1 단 커버(125)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는 제1 단 커버(12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단 커버(126)도 제1 단 커버(125)를 향해 돌출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를 구비한다. 제2 단 커버(126)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는 제2 단 커버(126)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각각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로터 코어 슬롯(혹은 로터 코어 블럭 슬롯, 혹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 슬롯)(123a5)을 구비한다. 상기 로터 코어 슬롯(123a5)은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외측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단 커버(125)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와 제2 단 커버(126)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로터 코어 슬롯(123a5)에 삽입된다.
제1 단 커버(125) 또한 환형 섹터(annular sector) 또는 원호 형상(circular arc)의 플레이트들(125a, 125b)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125a, 125b)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단 커버(125)의 플레이트들(125a, 125b)의 사이마다 제1 분할 지점(SP1)이 형성된다.
제2 단 커버(126)도 환형 섹터 또는 원호 형상의 플레이트들(126a, 126b, 126c)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들(126a, 126b, 126c)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단 커버(126)의 플레이트들(126a, 126b, 126c)의 사이마다 제2 분할 지점(SP2)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로터(120)의 원주에 3개의 플레이트들(126a, 126b, 126c)이 배열되어 있다면, 각각의 플레이트(126a, 126b, 126c)는 120°의 중심각을 갖는 환형 섹터 또는 원호의 형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할 지점(SP2)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3개가 형성된다.
만일 제1 단 커버(125)와 제2 단 커버(126)가 플레이트들(125a, 125b, 126a, 126b, 126c)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면, 로터(120)의 회전 시 상기 제1 단 커버(125)와 제2 단 커버(126)에 과도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제1 단 커버(125)와 제2 단 커버(126)가 다수의 플레이트들(125a, 125b, 126a, 126b, 126c)로 구성된다면, 하나의 부재에만 작용하던 원심력을 다수의 플레이트들(125a, 126a, 126b, 126c)에 분산시킬 수 있다.
리벳(127)은 제1 단 커버(125), 로터 코어 블럭(123), 제2 단 커버(126) 및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를 결합시키도록 형성된다. 리벳(127)의 어느 일 단은 상기 제2 단 커버(126)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리벳(127)의 더욱 자세한 결합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로터(120)의 조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터의 조립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 상기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결합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124), 두 개의 제1 단 커버(125), 하나의 제2 단 커버(126), 로터 프레임(121) 및 네 개의 리벳(127)을 도시한 그림이다.
로터(120)는 복수의 로터 코어 블럭(123)을 포함한다. 로터 코어 블럭(123)이란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가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단위 부재를 가리킨다. 따라서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후술하게 될 브리지(bridge)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단위 부재인 로터 코어 블럭(123)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하나의 로터(120)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수가 48개라고 할 때,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영구 자석(124)도 48개다.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수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8이라면, 로터(120)에는 총 6개의 로터 코어 블럭(123)이 필요하다.
복수의 로터 코어 블럭(123)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사이마다 하나씩 배열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1 단 커버(125)를 형성하는 환형 섹터 또는 원호 형상의 플레이트들(125a, 125b)과 제2 단 커버(126)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126a)은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이를테면 제1 단 커버(125)의 플레이트들(125a, 125b)의 사이마다 제1 분할 지점(SP1)이 형성되고, 제2 단 커버(126)의 플레이트들(126a)의 사이마다 제2 분할 지점(SP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분할 지점(SP1)과 상기 제2 분할 지점(SP2)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125a, 125b)과 제2 단 커버(126)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들(126a)이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면, 제1 분할 지점(SP1)과 제2 분할 지점(SP2)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수의 플레이트들(125a, 125b, 126a, 126b)에 의해 제1 단 커버(125)와 제2 단 커버(126)가 형성되면, 원심력을 분산시킬 수 있지만, 제1 분할 지점(SP1)과 제2 분할 지점(SP2)은 로터(120)의 결합 구조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제1 분할 지점(SP1)과 제2 분할 지점(SP2)이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면, 로터(120)의 결합 구조 강도가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제1 단 커버(125)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는 로터(120)의 방사 방향을 따라 2열(L11, L12)로 배열될 수 있다.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열(L11)에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뿐만 아니라 리벳 결합홀(125a2,125b2)도 형성된다. 제1 열(L11)에는 제1 단 커버(125)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와 하나의 리벳 결합홀(125a2,125b2)이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2 열(L12)에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만 형성된다.
이와 달리 리벳 결합홀(125a2,125b2)은 제2 열(L12)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열(L11)과 제2 열(L12)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벳 결합홀(125a2,125b2)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열(L11)과 제2 열(L12)에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와 복수의 리벳 결합홀(125a2,125b2)은 제1 단 커버(125)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단 커버(126)의 형상도 제1 단 커버(125)와 실질적으로 동일 내지 유사하다.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에는 복수의 커버 결합홀(121c1)과 복수의 리벳 결합홀(121c2)이 형성된다.
로터 프레임(121)의 커버 결합홀(121c1)은 로터 프레임(121)의 방사 방향을 따라 2열(L31, L32)로 배열될 수 있다. 2열(L31, L32)이란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열(L31)과 회전축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2 열(L32)을 의미한다. 제1 열(L31)과 제2 열(L32)의 커버 결합홀(121c1)은 로터 프레임(121)의 방사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로터 프레임(121)의 리벳 결합홀(121c2)은 커버 결합홀(121c1)의 제1 열(L41)과 동일한 원주 상에 형성된다. 리벳 결합홀(121c2)은 베이스(121c)의 원주 방향을 따라 커버 결합홀(121c1)과 하나씩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L31)에 형성되는 복수의 커버 결합홀(121c1)과 복수의 리벳 결합홀(121c2)은 베이스(121c)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벳 결할홀(121c2)는 제2 열(L3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벳(127)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리벳(127)은 제1 단 커버(125),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제2 단 커버(126), 및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를 관통하여, 로터(12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는 로터(120)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터(120)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로터(120)의 분해 사시도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부싱(122)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로터 프레임(121)의 부싱 결합부(121a)에 안착된다. 그리고 부싱(122)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체결부재 결합홀(122c)이 형성된다. 또한 부싱 결합부(121a)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에도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체결부재 결합홀(121a1)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122)의 체결부재 결합홀(122c)과 상기 부싱 결합부(121a)의 체결부재 결합홀(121a1)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체결부재(122b)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부싱(122)의 체결부재 결합홀(122c)과 상기 부싱 결합부(121a)의 체결부재 결합홀(121a1)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122b)는 볼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 프레임(121)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볼트에 대응되는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바디(123a1), 헤드(123a2), 돌기(123a3), 홀(hole)(123a4), 로터 코어 슬롯(123a5), 및 맥(mac(123a6)을 구비한다.
바디(123a1)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가장 큰 체적을 차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바디(123a1)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영구 자석(124)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바디(123a1)의 양 측면은 영구 자석(124)의 제1 작용면(124a)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작용면(124a)과 면접촉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속이 빈 원기둥의 옆면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원기둥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주에 위치하는 부분이 바디(123a1)의 내측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바디(123a1)의 외측단은 후술하게 될 돌기(123a3)와 로터 코어 슬롯(123a5)이 형성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바디(123a1)의 내측단은 스테이터(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터(11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바디(123a1)의 폭은 바디(123a1)의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바디(123a1)의 양 측면 간의 직선 거리가 바디(123a1)의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진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에 대응되는 가상의 제1 원주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외측단에 대응되는 가상의 제2 원주를 비교하면, 제2 원주가 제1 원주에 비해 크다. 영구 자석(124)의 제1 작용면(124a)이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면, 제1 원주와 제2 원주의 차이에 따른 면적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에 의해 채워져야 한다. 상기 면적을 채우기 위해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바디(123a1)의 폭은 내측단에서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빈 공간 없이 배열될 수 있다.
헤드(123a2)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향해 바디(123a1)의 내측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다. 하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에는 두 개의 헤드(123a2)가 형성된다.
하나의 영구 자석(124)을 기준으로 상기 영구 자석(124)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위치에는 두 개의 헤드(123a2)가 형성된다. 이 두 헤드(123a2)는 회전축을 향하는 영구 자석(124)의 이동을 제한한다. 두 개의 헤드(123a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구 자석(124)의 일측에 배치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헤드(123a2)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영구 자석(124)의 타측에 배치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헤드(123a2)에 해당한다.
돌기(123a3)는 바디(123a1)의 외측단에서 돌출된다. 돌기(123a3)는 로터 코어 슬롯(123a5)을 형성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두 갈래로 연장된다. 하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에는 두 개의 돌기(123a3)가 형성된다. 두 돌기(123a3)는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 경사진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돌기(123a3)의 양 측면은 영구 자석(124)의 제2 작용면(124b)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작용면(124b)과 면접촉된다.
하나의 영구 자석(124)을 기준으로 상기 영구 자석(124)의 외측면을 마주보는 위치에는 두 개의 돌기(123a3)가 형성된다. 이 두 돌기(123a3)는 모터(100)의 작동 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려고 하는 영구 자석(124)을 구속한다. 두 개의 돌기(123a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구 자석(124)의 일측에 배치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돌기(123a3)에 해당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영구 자석(124)의 타측에 배치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돌기(123a3)에 해당한다.
홀(123a4)은 바디(123a1)에 형성된다. 홀(123a4)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도 4와 도 5에서 상하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홀(123a4)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바디(123a1)의 내측단과 외측단의 사이에 형성된다. 바디(123a1)의 외측단에는 로터 코어 슬롯(123a5)이 형성되므로, 홀(123a4)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바디(123a1)의 내측단과 로터 코어 슬롯(123a5)의 사이에 형성된다.
로터 코어 슬롯(123a5)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두 돌기(123a3) 사이에 형성된다. 로터 코어 슬롯(123a5)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두 돌기(123a3)의 사이에서 바디(123a1)를 향해 리세스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로터 코어 슬롯(123a5)의 둘레는 반원 또는 반원에 준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홀(123a4)과 로터 코어 슬롯(123a2)은 제1 단 커버(125)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 125c1), 제2 단 커버(126)의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 126c1), 그리고 리벳(127)을 수용하는 영역이다. 제1 단 커버(125)에서 제1 열(L11)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 125c1)와 제2 단 커버(126)에서 제1 열(L21)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 126c1)는 상기 홀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단 커버(125)에서 제2 열(L12)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5a1, 125b1, 125c1)와 제2 단 커버(126)에서 제2 열(L22)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126a1, 126b1, 126c1)는 상기 로터 코어 슬롯(123a5)에 삽입된다. 일부 홀(123a4)에는 리벳(127)이 삽입된다.
로터(120)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조립을 통해 로터(120)를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각 부품들은 정위치에 안착되어야 한다. 돌기(125a1, 125b1, 125c1, 126a1, 126b1, 126c1)와 홀(123a4)의 결합 구조, 돌기(125a1, 125b1, 125c1, 126a1, 126b1, 126c1)와 로터 코어 슬롯(123a5)의 결합 구조는 부품들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조립 가이드 역할을 한다.
맥(123a6)은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구성하는 낱장의 전기강판마다 형성된다. 맥(123a6)은 각 전기강판의 일 면에서 돌출되며, 이 돌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타면에서 리세스(recess)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맥(123a6)은 홀(123a4)의 주위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맥(123a6)은 낱장의 전기강판들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시켜 적층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두 전기강판 중 어느 하나의 돌출된 맥(123a6)이 다른 하나의 리세스 된 맥(123a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전기강판들이 적층되면,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구성하는 전기강판들이 서로 정렬될 수 있다.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은 원주 방향을 향해 양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원주 방향 폭은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내측단과 외측단은 영구 자석(124)이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사이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은 스테이터(110)를 감싸면서 스테이터(110)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외측단은 두 갈래로 갈라지고, 두 갈래의 사이에 앞서 설명된 로터 코어 슬롯(123a5)이 형성된다. 이를테면 로터 코어 슬롯(123a5)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외측단에서 내측단을 향해 리세스 된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124)이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므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 내에서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는 브리지(123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브리지(123b)는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브리지(123b)는 예컨대 브리지(123b)는 서로 이웃한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헤드(123a2)끼리 서로 연결하거나,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돌기(123a3)끼리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서로 연결하도록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 또는 외측단에 형성된다. 브리지(123b)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 또는 외측단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영구 자석(124)과의 교번적 배치로 인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브리지(123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단위 부재인 로터 코어 블럭(123)을 형성하게 된다.
브리지(123b)는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보다 하나 작은 수로 구비되거나 그 이상의 수로 구비된다. 예컨대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수가 8이라면, 브리지(123b)는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최소 7개 이상 구비된다.
각각의 영구 자석(124)은 제1 작용면(124a)과 제2 작용면(124b)을 갖는다. 영구 자석(124)의 자기력선은 제1 작용면(124a)과 제2 작용면(124b)에서 발생한다.
제1 작용면(124a)은 영구 자석(124)의 가장 넓은 면에 해당한다. 제1 작용면(124a)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향한다. 제1 작용면(124a)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작용면(124a)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바디(123a1)의 측면을 마주본다. 제1 작용면(124a)은 바디(123a1)의 측면과 면접촉된다.
제2 작용면(124b)은 제1 작용면(124a)과 둔각의 경계를 형성한다. 제2 작용면(124b)이 제1 작용면(124a)과 둔각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면, 제2 작용면(124b)은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터(120)의 내측 방향이라고 하고,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로터(120)의 외측 방향이라고 할 때 제2 작용면(124b)은 제1 작용면(124a)에 비해 로터(12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된다.
제1 작용면(124a)과 제2 작용면(124b)이 둔각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면 제1 작용면(124a)과 제2 작용면(124b)의 경계에는 모서리가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는 회전축의 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1 작용면(124a)과 제2 작용면(124b)이 둔각의 경계를 형성하게 되면,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영구 자석(124)의 폭이 상기 제1 작용면(124a)과 상기 제2 작용면(124b)의 경계로부터 영구 자석(124)의 외측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진다. 제2 작용면(124b)에 의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영구 자석(124)의 외측단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두 돌기(123a3)에 대응된다.
제1 단 커버(125)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한다. 제1 면은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를 마주보는 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제2 면은 복수의 로터 코어 블럭(123)과 복수의 영구 자석(124)을 마주보는 면을 가리킨다.
제1 단 커버(125)의 제1 면에는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가 형성된다.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는 제1 단 커버(125)의 제1 면에서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를 향해 돌출된다.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는 로터 프레임(121)의 커버 결합홀(121c1)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는 제1 단 커버(125)의 원주 방향을 따라 2열(L41, L42, 도 9a 참조)로 배열될 수 있다. 2열(L41, L42)이란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열(L41)과 회전축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2 열(L42)을 의미한다. 제1 열(L41)의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와 제2 열(L42)의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125b3)는 로터 프레임(121)의 방사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에는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이 형성된다.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은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리벳 결합홀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은 제1 열(L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 커버(126)에도 상기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에 대응되는 위치에 리벳 결합홀(126a2, 126b2, 126c2)이 형성된다.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과 제2 단 커버(126)의 리벳 결합홀(126a2, 126b2, 126c2)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대응된다. 제2 단 커버(126)의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도 제1 열(L21)에 형성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21)의 베이스(121c)에도 상기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과 상기 제2 단 커버(126)의 리벳 결합홀(126a2, 126b2, 126c2)이 대응되는 위치에 리벳 결합홀(121c2)이 형성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대응되는 방향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로터 프레임(121)의 리벳 결합홀(121c2)도 제1 열(L3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리벳(127)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2 단 커버(126)의 리벳 결합홀(126a2, 126b2, 126c2),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홀(123a4), 제1 단 커버(125)의 리벳 결합홀(125a2, 125b2, 125c2), 그리고 로터 프레임(121)의 리벳 결합홀(121c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리벳(127)이 상기 홀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에 상기 리벳(127)의 제1 단(127a) 또는 제2 단(127b)이 상기 홀들보다 커지도록 가공되면, 로터(12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로터 코어 블럭(123)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로터 코어 블럭(123)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6b는 로터 코어 블럭(123)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로터 코어 블럭(123)은 복수의 전기강판(123', 123”)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다. 로터 코어 블럭(123)에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가 구비된다. 로터 코어 블럭(123)이 복수의 전기강판(123', 123”)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또한 복수의 전기강판(123', 123”)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다.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의 부분적 이격을 위해 로터 코어 블럭(123)은 제1 종 전기강판(123')을 포함한다. 또한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의 부분적 연결을 위해 로터 코어 블럭(123)은 제2 종 전기강판(123”)을 포함한다. 로터 코어 블럭(123)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되는 복수의 전기강판(123', 123”)이란 상기 제1 종 전기강판(123')과 상기 제2 종 전기강판(123”)을 의미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은 바디(123a1), 헤드(123a2), 돌기(123a3), 홀(123a4), 로터 코어 슬롯(123a5) 및 맥(123a6)을 포함한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바디(123a1), 헤드(123a2), 돌기(123a3), 홀(123a4), 로터 코어 슬롯(123a5) 맥(123a6), 및 브리지(123b1, 123b2)를 포함한다. 다만, 각각의 제1 종 전기강판(123')에는 하나의 바디(123a1)만 구비되는 반면, 제2 종 전기강판(123”)에는 복수의 바디(123a1)가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란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수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종 전기강판(123”)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디(123a1)끼리는 헤드(123a2)와 브리지(123b1, 123b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의 바디(123a1)와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바디(123a1)가 서로 적층되어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바디(123a1)를 형성하게 된다. 헤드(123a2), 돌기(123a3), 홀(123a4), 로터 코어 슬롯(123a5), 및 맥(123a6)도 마찬가지다. 제1 종 전기강판(123')에는 브리지(123b1, 123b2)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브리지(123b1, 123b2)만이 로터 코어 블럭(123)의 브리지(123b1, 123b2)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의 바디(123a1)와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바디(123a1)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바디(123a1)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복수의 바디(123a1)끼리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마다 영구 자석 배치 슬롯(MS)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0.5mm의 두께를 갖는 제1 종 전기강판(123')과 제2 종 전기강판(123”)으로 39mm의 높이를 갖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종 전기강판(123')의 수와 제2 종 전기강판(123”)의 수를 합쳐 총 78장을 적층하면 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과 제2 종 전기강판(123”)은 형상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에는 브리지(123b1, 123b2)가 구비되지 않는 반면, 제2 종 전기강판(123”)에는 브리지(123b1, 123b2)가 구비된다. 제2 종 전기강판(123”)에 구비되는 브리지(123b1, 123b2)란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제1 종 전기강판(123')과 제2 종 전기강판(123”)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형성하도록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은 복수로 구비된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된다.
제1 종 전기강판(123')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된다. 반면 제1 종 전기강판(123')은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구성하는 제1 종 전기강판(123')끼리는 서로 밀착되어 있는 반면, 서로 다른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구성하는 제1 종 전기강판(123')끼리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제1 종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인해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또한 복수의 영구 자석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제1 종 전기강판(123')과 함께 적층되어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형성한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로터 코어 블럭(123)마다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제1 종 전기강판(123')들의 상에 배치되거나, 제1 종 전기강판(123')들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123')들의 하단 및/또는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이 브리지(123b1, 123b2)를 구비함에 따라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는 로터(120)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완전히 이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브리지(123b1, 123b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브리지(123b1, 123b2)는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내측단과 외측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될 수 잇다. 여기서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내측단이란 두 헤드(123a2) 사이를 가리키고, 외측단이란 두 돌기(123a3) 사이를 가리킨다. 제2 종 전기강판(123”)은 결국 제1 종 전기강판(123')과 함께 로터 코어 블럭(123)을 구성하게 되므로,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내측단은 곧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 나아가 로터 코어 블럭(123)의 내측단이라고 할 수 있다. 외측단도 마찬가지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브리지가 제2 종 전기강판(123”)의 내측단인 헤드(123a2)에 형성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6a와 도 6b에서는 제2 종 전기강판(123”)이 복수의 제1 종 전기강판(123')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적층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브리지(123b1, 123b2)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브리지(123b1, 123b2)는 각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에 연결된다.
복수의 브리지(123b1, 123b2) 각각은 로터 코어 블럭(123)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 중 서로 가까이에 위치하는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1 단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제2 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단과 제2 단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복수의 브리지(123b1, 123b2)은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브리지(123b1)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1 단끼리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제2 브리지(123b2)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제2 단끼리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가 모두 각 단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각 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브리지(미도시), 제4 브리지(미도시)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각 브리지(123b1, 123b2)는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사이에 삽입되는 각 영구 자석(124)을 완전히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영구 자석(124)의 일부만을 가리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 브리지(123b1, 123b2)는 각 영구 자석(124)의 제1 단 및/또는 제2 단만을 가리고 나머지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내측단, 제1 브리지(123b1) 및 제2 브리지(123b2)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영구 자석(124)은 개구를 통해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 노출된다.
스포크형 모터에서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끼리 서로 완전히 분할(이격)되어 있는 것이 모터(100)의 효율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완전 분할 구조는 로터(120)의 구조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만일 브리지(123b1, 123b2)가 영구 자석(124)을 완전히 가리게 되면 로터(120)의 구조 강도는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모터(100)의 효율이 급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100)의 효율과 로터(120)의 구조 강도는 일종의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124)이 개구를 통해 노출되면, 브리지(123b1, 123b2)가 영구 자석(124)을 완전히 가리는 것이 아니게 되므로 모터(100)의 효율을 일부 희생하여 로터(120)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희생되는 모터(100)의 효율보다 로터(120)의 구조 강도 향상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브리지(123b1, 123b2)의 길이와 두께는 상기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반영하여 적정한 범위로 설정되어야 한다.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어느 하나의 브리지(123b1, 123b2)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종 전기강판의 두께가 0.5mm라면, 제2 종 전기강판은 4장 내지 10장이 적층될 수 있다.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방향에서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브리지(123b1, 123b2)가 구비된다면, 상기 하단에 4장 내지 10장의 제2 종 전기강판이 적층되고, 상기 상단에 4장 내지 10 장의 제2 종 전기강판이 적층된다.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나머지 두께는 제1 종 전기강판에 의해 적층된다.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방향에 함께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123b1, 123b2)의 두께(a)의 합을 Σa라고 하고,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높이를 b라고 할 때, 그 두 값의 비(Σa/b)는 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123b)가 제1 브리지(123b1)와 제2 브리지(123b2)를 포함한다면 상기 합(Σa)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제1 브리지(123b1)의 길이와 제2 브리지(123b2)의 길이의 합이다.
예컨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높이가 33mm라고 한다면,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브리지(123b1)의 두께는 1.65mm 내지 4.95mm다. 만일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방향에 복수의 브리지(123b1, 123b2)가 함께 구비되고,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로터 코어 세그먼트(123a)의 높이가 33mm라고 한다면,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복수의 브리지(123b1, 123b2)의 두께의 합이 1.65mm 내지 4.95mm다.
상기 비(a/b)가 5% 미만이라면 구조 강도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상기 비(a/b)가 15%를 초과한다면 모터의 효율이 과도하게 저하된다. 브리지(123b1, 123b2)가 영구 자석(124)을 완전히 가리는 경우에는 모터의 기전력이 20% 정도 감소하지만, 5% 내지 15%라는 상기 비(a/b)의 수치범위에서는 모터의 기전력이 약 5% 정도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약 15% 정도의 역기전력 개선 효과가 있다.
로터(120)의 방사 방향에서 각 브리지(123b1, 123b2)의 폭은 0.45mm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브리지(123b1, 123b2)의 폭이 0.45mm에 미달하면 구조 강도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브리지(123b1, 123b2)의 폭이 2mm를 초과하면 모터의 효율이 과도하게 저하된다.
도 7a는 로터 코어 블럭(223)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7b는 로터 코어 블럭(223)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복수의 브리지(223b1, 223b2)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외측단(223a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브리지(223b1, 223b2)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 종 전기강판(223")에 형성되는 돌기(223a3)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브리지(223b1, 223b2)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제1 단과 제2 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모터의 고속 작동 시 방사 방향으로 비산되는 영구 자석(124)을 구속하는 효과가 더욱 크다.
도 7a와 도 7b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223'은 제1 종 전기강판, 223a1은 바디, 223a2는 헤드, 223a4는 홀, 223a5는 로터 코어 슬롯, 223a6은 맥을 가리킨다.
도 8a는 로터 코어 블럭(323)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8b는 로터 코어 블럭(323)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다.
복수의 브리지(323b1, 323b2, 323b3, 323b4)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323a)의 내측단(323a4)과 외측단(323a5)에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브리지(323b1, 323b2, 323b3, 323b4) 중 어느 일부(323b1, 323b2)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 종 전기강판(323")에 형성되는 헤드(323a2)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일부(323b3, 323b4)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제2 종 전기강판(323")에 형성되는 돌기(323a3)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브리지(323b1, 323b2, 323b3, 323b4)는 로터 코어 세그먼트(323a)의 제1 단과 제2 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8a와 도 8b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323'은 제1 종 전기강판, 323a1은 바디, 323a4는 홀, 323a5는 로터 코어 슬롯, 323a6은 맥을 가리킨다.
다음으로는 로터(200)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로터(200)를 제조하는 순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부싱(222)이 부싱 결합부(221a)에 안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222b)에 의해 부싱(222)이 부싱 결합부(221a)에 체결된다. 도면부호 222a는 나사산에 해당한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221)의 베이스(221c)에는 제1 단 커버(225)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225a, 225b)를 안착시킨다. 부싱(222)과 제1 단 커버(225)의 안착 순서는 달라질 수 있고, 동시에 안착도 가능하다.
제1 단 커버(225)에 형성되는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225b3)가 베이스(221c)에 형성되는 커버 결합홀(221c1)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베이스(221c)의 원주를 따라 제1 단 커버(225)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225a, 225b)은 베이스(221c)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단 커버(225)에 로터 코어 블럭(223)을 안착시킨다. 제1 단 커버(225)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225a1, 225b1)가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홀(223a4)과 로터 코어 슬롯(223a2)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223)이 로터(220)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가 브리지(223b1, 223b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달리 제1 단 커버(225)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로터 코어 블럭(223)이 안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c를 참조하면,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사이마다 영구 자석(224)을 삽입한다. 영구 자석(224)은 회전축의 축 방향 평행한 방향에서 삽입된다. 영구 자석(224)의 방사 방향 이동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내측단(223a4)과 외측단(223a5), 그리고 상기 내측단(223a4) 또는 외측단(223a5)에 형성되는 브리지(223b1, 223b2)에 의해 제한된다.
다음으로 도 9d를 참조하면, 제2 단 커버(226)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226a, 226b, 226c)을 로터 코어 블럭(223)과 복수의 영구 자석(224)에 안착시킨다. 제2 단 커버(226)에 형성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226a1)가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홀(223a4)과 로터 코어 슬롯(223a2)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조정한다. 제2 단 커버(226)를 형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들(226a, 226b, 226c)은 로터(220)의 원주를 따라 로터 코어 블럭(223)과 복수의 영구 자석(224)에 안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9e를 참조하면, 리벳(227)을 이용하여 로터(22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로터(220)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2 단 커버(226)의 리벳 결합홀(226a2, 226b2, 226c2), 로터 코어 세그먼트(223a)의 홀(223a4), 제1 단 커버(225)의 리벳 결합홀(225a2, 225b2), 및 베이스(221c)의 리벳 결합홀(221c2)을 관통한다. 리벳(227)의 제1 단은 로터 프레임(221)의 베이스(221c)에 형성되는 리벳 결합홀(221c2)로 노출된다. 리벳(227)의 제1 단을 가공하여 베이스(221c)의 리벳 결합홀(22c2)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하면, 리벳(227)의 체결이 완료되고, 로터(2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로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로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로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로터(4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다.
사출(injection molding)이란 수지를 성형 가공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용융된 원료를 금형(金型) 내에서 고압으로 냉각 고화시켜 금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사출에 의해 제작된 성형품을 사출물이라고 한다.
인서트 사출이란 인서트물을 용융된 원료와 함께 금형에 투입하여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사출물은 금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사출물의 내부에 인서트물이 사출물과 일체화 된 채로 제작된다.
인서트 사출 전 금형 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423)과 영구 자석(424)을 배치한다. 로터 코어 블럭(423)은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423a)를 구비한다. 따라서 일정한 원주를 따라 금형의 정해진 위치에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423a)와 복수의 영구 자석(424)이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금형에 용융된 사출 원료를 투입하고 인서트 사출을 실시하게 되면, 용융된 사출 원료는 로터 프레임(421)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로터(420)의 로터 프레임(421)은 적어도 하나의 로터 코어 블럭(423)과 복수의 영구 자석(424)을 일체화 시킨다.
로터 프레임(421)에서 로터 코어 블럭(423)과 복수의 영구 자석(424)을 감싸는 부분을 원주부(circumferential wall 또는 peripheral wall)(421d)라고 할 수 있다. 원주부(421d)는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로터 코어 블럭(423)의 제1 단과 제2 단을 감싸고, 복수의 영구 자석(424)의 제1 단과 제2 단을 감싼다. 그리고 원주부(421d)는 로터(420)의 방사 방향에서 로터 코어 블럭(423)의 외측단과, 복수의 영구 자석(424)의 외측단을 감싼다.
원주부(421d)의 내측단에는 내측 기둥(421e)이 형성된다. 내측 기둥(421e)의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내측 기둥(421e)은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내측 기둥(421e)은 원주부(421d)의 내측단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내측 기둥(421e)은 로터 프레임(421)의 방사 방향에서 영구 자석(424)과 같은 방향에 형성되며, 영구 자석(424)보다 회전축에 가깝게 배치된다. 두 내측 기둥(421e) 사이마다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로터 코어 세그먼트(423a)의 내측단이 노출된다. 이에 반해 영구 자석(424)은 로터 코어 세그먼트(423a)의 내측단과 상기 내측 기둥(421e)에 의해 가려진다.
로터(42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작된다면, 앞서 설명되었던 제1 단 커버와 제2 단 커버는 불필요하다. 로터 프레임(421)의 원주부(421d)가 제1 단 커버와 제2 단 커버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인서트 사출 시 금형 내에서 부품들의 고정을 위해 로터 프레임 홀(421f)과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 홀(421f)은 본래 로터(420)의 제작을 위한 인서트 사출 시 금형핀이 배치되던 자리다. 인서트 사출을 위한 용융된 원료가 금형 내에 채워지더라도, 용융된 원료는 금형핀의 위 또는 아래에만 채워질 뿐, 금형핀이 존재하는 위치에는 용융된 원료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인서트 사출 결과 로터 프레임 홀(421f)이 남게 된다.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은 내측 기둥(421e)의 어느 일 단에 형성된다.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은 로터 프레임(421)의 방사 방향에서 각각의 영구 자석(424)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된다.
로터(420)의 제작을 위한 금형에는 복수의 영구 자석(424)을 고정하기 위한 영구 자석 고정 지그가 형성될 수 있다. 영구 자석 고정 지그는 금형핀에 안착된 각각의 영구 자석(424)들을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금형핀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영구 자석(424)이 고정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을 위한 용융된 원료가 금형 내에 채워지더라도 영구 자석 고정 지그가 존재하는 위치에는 용융된 원료가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인서트 사출 결과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이 남게 된다.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을 통해 영구 자석(424)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을 통해 로터 프레임(421)의 외측에서 영구 자석(424)의 위치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을 통해 브리지(423b)가 노출된다. 브리지(423b)는 영구 자석(424)의 내측단 또는 외측단을 가로질러 두 로터 코어 세그먼트(423a)를 연결하므로, 상기 영구 자석 고정 지그 홀(421g)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에 의하면 복잡한 조립 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점과, 로터(420)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일체화가 이루어져, 로터(420)의 구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21a는 부싱 결합부, 421a1은 제1 보강 리브, 421b는 스포크, 421b1은 제2 보강 리브, 421b2는 방열홀을 가리킨다. 제1 보강 리브와 제2 보강 리브는 각각 부싱 결합부의 둘레와 스포크에서 돌출되어 구조 강도를 향상시킨다. 나머지 구성의 설명은 앞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모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9)

  1.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 또는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복수의 전기강판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로터 코어 블럭; 및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강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로터 코어 블럭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끼리 서로 연결되게 하도록 형성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외측 일 단에는 양 측으로 돌출되는 헤드가 형성되고, 내측 일 단에는 양 측으로 돌출되어 로터 코어 슬롯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브리지는, 상기 각 헤드 사이를 교번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돌기 사이를 교번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강판은 형상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종 전기강판과 제2 종 전기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은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과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은 상기 제1 종 전기강판과 함께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1 종 전기강판 사이, 하단 및 상단 중 적어도 한 곳에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에 적층되고, 상기 브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의 내측단과 외측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 전기강판은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 전기강판과 상기 제2 종 전기강판 각각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상기 영구 자석의 작용면을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향해 상기 바디의 내측단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외측단에서 돌출되어 로터 코어 슬롯을 형성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두 갈래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영구 자석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두 제2 종 전기강판 중 어느 하나의 헤드와 다른 하나의 헤드를 연결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돌기와 상기 다른 하나의 돌기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와 상기 브리지에 정의되는 영역마다 개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의 두께(a)의 합(Σa)과 상기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높이(b)의 비(Σa/b)는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브리지의 폭은 0.45mm 내지 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브리지의 두께는 2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 각각은, 그리고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1 단과 제2 단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제1 단과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제1 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 단 커버;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커버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영구 자석의 제2 단과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의 제2 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단 커버;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커버 또는 상기 제2 단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는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 각각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환형 섹터(annular sector) 또는 원호(circular arc) 형상의 플레이트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의 사이마다 제1 분할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의 사이마다 제2 분할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분할 지점과 상기 제2 분할 지점은 상기 로터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홀 또는 로터 코어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2 단 커버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홀 또는 로터 코어 슬롯에 삽입되는 로터 코어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커버와 상기 제2 단 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로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부싱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부싱 결합부;
    상기 부싱 결합부의 주위에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spoke);
    상기 스포크의 외곽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단 커버 또는 상기 제2 단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로터 프레임 결합 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커버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 커버, 상기 제2 단 커버 및 상기 베이스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홀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벳 결합홀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는 상기 복수의 로터 코어 세그먼트 각각의 홀, 상기 제1 단 커버의 리벳 결합홀, 상기 제2 단 커버의 리벳 결합홀, 및 상기 베이스의 리벳 결합홀을 관통하는 리벳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커버 결합홀과 상기 베이스의 리벳 결합홀은 상기 베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80147666A 2018-11-26 2018-11-26 모터 KR10209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66A KR102099837B1 (ko) 2018-11-26 2018-11-26 모터
EP19210105.3A EP3657640B1 (en) 2018-11-26 2019-11-19 Motor
EP19210107.9A EP3657642B1 (en) 2018-11-26 2019-11-19 Motor
EP19210106.1A EP3657641B1 (en) 2018-11-26 2019-11-19 Motor
EP19210101.2A EP3657639A1 (en) 2018-11-26 2019-11-19 Motor
US16/696,311 US11355979B2 (en) 2018-11-26 2019-11-26 Motor
CN201911176293.8A CN111224485A (zh) 2018-11-26 2019-11-26 马达
US16/696,117 US11349360B2 (en) 2018-11-26 2019-11-26 Motor
CN201911175262.0A CN111224484B (zh) 2018-11-26 2019-11-26 马达
CN201911174705.4A CN111224483B (zh) 2018-11-26 2019-11-26 马达
US16/696,393 US11258321B2 (en) 2018-11-26 2019-11-26 Motor having rotor frame with magnet fixing jig holes
CN202310014052.3A CN116191715A (zh) 2018-11-26 2019-11-26 马达
US16/696,505 US11264851B2 (en) 2018-11-26 2019-11-26 Motor having alternately arranged rotor core segments and permanent magnets
CN201911175236.8A CN111224487B (zh) 2018-11-26 2019-11-26 马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666A KR102099837B1 (ko) 2018-11-26 2018-11-26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837B1 true KR102099837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666A KR102099837B1 (ko) 2018-11-26 2018-11-26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8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45427A (zh) * 2006-03-21 2006-10-11 联塑(杭州)机械有限公司 无刷旋转电机
US20150380998A1 (en) * 2012-06-06 2015-12-31 Nidec Motor Corporation Motor having spoked outer rotor with spaced apart pole segments
KR20160112412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고아정공 회전자코어를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45427A (zh) * 2006-03-21 2006-10-11 联塑(杭州)机械有限公司 无刷旋转电机
US20150380998A1 (en) * 2012-06-06 2015-12-31 Nidec Motor Corporation Motor having spoked outer rotor with spaced apart pole segments
KR20160112412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고아정공 회전자코어를 포함하는 모터의 회전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798B1 (ko) 영구자석매립형 유도전동기
EP3657641B1 (en) Motor
KR101310489B1 (ko) 전동기용 로터 조립체 및 이의 제작방법
EP0917272B1 (en) Permanent magnet rotor type electric motor
KR101133489B1 (ko) 영구 자석 매설형 회전 전자기계
US7417348B2 (en) Rotor of permanent magnet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651696B2 (en) Motor rotor
KR101245052B1 (ko) 회전 전기 장치 및 회전 전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76633B1 (ko) 스테이터 코어유닛
CN102067411A (zh) 永磁体转子和包括该转子的旋转机器
WO2011121983A1 (ja) 回転電気機械
KR20170030021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6109683A (ja) 回転電機
WO2010110150A1 (ja) 永久磁石埋込型電動機
KR102099837B1 (ko) 모터
KR100679805B1 (ko) 모터용 회전자의 제조방법
KR102099836B1 (ko) 모터
KR102099838B1 (ko) 모터
KR102113229B1 (ko) 모터
JPH09285087A (ja) リラクタンス同期モータ用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87283A (ja) 磁石埋込型ロータ及び磁石埋込型ロータの製造方法
WO2022065471A1 (ja) ロータ及びモータ
JP7272245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