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83B1 - 차 보관함 - Google Patents
차 보관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9583B1 KR102099583B1 KR1020180134904A KR20180134904A KR102099583B1 KR 102099583 B1 KR102099583 B1 KR 102099583B1 KR 1020180134904 A KR1020180134904 A KR 1020180134904A KR 20180134904 A KR20180134904 A KR 20180134904A KR 102099583 B1 KR102099583 B1 KR 102099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space
- cover member
- holes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 보관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구조로 제공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하단부의 유입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유입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홀들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부가 위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갖는 차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차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마시는 음료 중 하나이며,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높은 품질의 차가 선호되고 있다. 또한, 통신, 유통의 발달로 중간 유통 단계 없이 사 산지와 고객 사이의 직접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고 품질의 차는 고가이며, 차의 특성상 발효가 천천히 이루어 지면서 발효 기간이 길수록 좋은 차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 반면, 잘못된 환경에서 보관되면, 차가 마시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버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차의 산지는 차가 재배되고 발효되기에 적합한 조건이나, 차의 소비가 이루어 지는 곳은 주로 도시로 차의 보관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일 수 있어, 차 보관의 중요성이 크다.
현재 차 보관은 저 진공의 완전 밀폐 용기, 도자기, 또는 주석이나 은으로 만든 통을 사용하고 있다. 저 진공 밀폐 용기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진공도가 약화되며, 외부와 차단되어 발효가 진행되지 못한다. 도자기는 고가이며, 파손이 쉬워 여러 종류의 차를 보관하기 어렵다. 주석의 경우 주석매장량이 줄어들고 있어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은은 차의 성질을 약화시켜, 차 본연의 맛을 유지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은 차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차 보관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차 보관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 과정에서 차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가 효과적으로 발효될 수 있는 차 보관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구조로 제공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하단부의 유입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유입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홀들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부가 위치되는 차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외부 공간과 상기 유입 공간이 연결되게 하는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에는 외부와 내측을 연결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에는, 내측면에서 내측 공간의 중심 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 영역에 상부 연통홀이 형성된 보조 덮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 및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상부 덮개부의 저면에 위치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 배출홀이 형성된 하부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덮개부는 상기 상부 덮개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차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차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는 차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보관 과정에서 차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차가 효과적으로 발효될 수 있는 차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 보관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차 보관함에서 공기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덮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본체의 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 보관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차 보관함에서 공기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덮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본체의 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 보관함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 보관함(1)은 본체(10) 및 덮개 부재(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용기 구조로 제공된다. 본체(10)의 하단부에는 유입 공간(12)이 형성되고, 유입 공간(12)과 수용 공간(11)은 구획 플레이트부(100)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 플레이트부(100)에는 유입 공간(12)과 수용 공간(11)을 연결하는 연통홀(101)들이 형성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외부 공간과 유입 공간(12)이 연결되게 하는 유입홀(110)이 형성된다. 유입홀(11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 공간(12)으로 유입되게 한다. 유입홀(110)은 본체(10)의 하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티타늄 합금(Ti6Al4V)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는 3D 프리팅을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과정에서 본체(10)의 재질에 의해 차의 성질이 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덮개 부재(2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된다. 덮개 부재(20)의 하단부는 본체(1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덮개 부재(20)는 본체(10)의 상부에 탈착될 수 있다. 덮개 부재(20)에는 외부와 내측을 연결하는 배출홀(201)이 형성된다. 일 예로, 배출홀(201)은 덮개 부재(20)의 둘레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 부재(20)는 티타늄 합금(Ti6Al4V)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 부재(20)는 3D 프리팅을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3은 차 보관함에서 공기의 순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 보관함(1)에 차가 보관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차 보관함(1)으로 유입되고, 차 보관함(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순환이 발생된다.
차 보관함(1)의 수용 공간(11)에 공기가 존재함에 따라, 수용 공간(11)에 보관된 차에 발효가 이루어 진다. 발효가 이루어 지면,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수용 공간(11)의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의 공기는 상승하여 덮개 부재(20) 방향으로 유동된 후, 배출홀(2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의 공기가 상승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홀(110)을 통해 유입된 후, 유입 공간(12)을 거쳐 수용 공간(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차는 자연에서 채취된 후, 음용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된 후 유통된다. 또한, 차는 음용에 앞서 발효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발효는 유통에 앞서 생산자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차는 유통, 보관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다. 차의 품질은 발효가 적절한 온도에서 느린 속도록 오랜 기간에 의해 걸쳐 이루어 진 경우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 보관함(1)은 차의 발효 과정에서 발생한 열로 온도가 상승된 수용 공간(11)의 공기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효 과정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수용 공간(11)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속력으로 발효가 이루어 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 보관함(1)은 수용 공간(11)의 공기의 배출에 대응하여, 외부의 공기가 수용 공간(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은 공기의 순환으로 인해 온도 및 공기의 상태가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여, 차가 보관 과정에서 부패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 부재(20a)의 내측에는 보조 덮개부(210)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덮개부(210)는 덮개 부재(20)의 내측면에서 덮개 부재(20)의 내측 공간의 중심 영역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덮개 부재(20)의 내측 상면과 보조 덮개부(210) 사이에는 배출 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덮개부(210)는 중앙 영역으로 갈수로 위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덮개부(210)의 중앙 영역에는 배출 공간(21)과 외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20a)에는 배출 공간(21)이 형성됨에 따라, 수용 공간(11)에서 상승된 공기가 임시로 수용된 후 배출홀(20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용 공간(11)의 공기가 배출되는 속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공간(11)의 공기가 배출되는 속력에 대응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속력이 조절되어, 차가 발효되는 속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덮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덮개 부재(20b)는 상부 덮개부(220) 및 하부 덮개부(230)를 포함한다.
상부 덮개부(22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220)에는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 배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배출홀(221)은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외측 배출홀(221)들은 상부 덮개부(220)의 중심에서 설정 반경 떨어진 원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덮개부(230)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부 덮개부(220)의 저면에 위치된다. 하부 덮개부(230)는 상부 덮개부(2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하부 덮개부(230)에는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 배출홀(231a, 231b)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배출홀(231a, 231b)은 하부 덮개부(230)의 중심에서 설정 반경 떨어진 원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220)와 하부 덮개부(230)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내측 배출홀(231a, 231b)은 외측 배출홀(221)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내측 배출홀(231a, 231b)의 위쪽에 외측 배출홀(221)이 정렬되면, 덮개 부재(20)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내측 배출홀(231a, 231b)과 외측 배출홀(221)이 어긋나게 위치되면, 덮개 부재(2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내측 배출홀(231a, 231b)은 제1 내측 배출홀(231a) 및 제2 내측 배출홀(2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배출홀(231a)은 외측 배출홀(221)에 대응하여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측 배출홀(231a)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배열된 위치는 외측 배출홀(221)의 배열 관계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내측 배출홀(231b)은 외측 배출홀(221)에 대응하여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2 내측 배출홀(231b)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배열된 위치는 외측 배출홀(221)의 배열 관계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내측 배출홀(231b)은 공기의 투과 정도가 제1 내측 배출홀(231a)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 배출홀(231b)은 제1 내측 배출홀(231a)보다 공기의 투과 정도가 크거나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덮개부(220)를 하부 덮개부(230)에 대해 회전시켜, 외측 배출홀(221)이 제1 내측 배출홀(231a)과 정렬되게 하거나 제2 내측 배출홀(231b)과 정렬되게 하여, 덮개 부재(20)를 통한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측 배출홀은 제1 외측 배출홀 및 제2 외측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 배출홀은 공기의 투과 정도가 제1 외측 배출홀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외측 배출홀 및 제2 외측 배출홀의 위치관계 및 이를 이용한 공기의 배출량 조절은, 상술한 내측 배출홀(231a, 231b)과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본체의 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0a)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11a)이 형성된 용기 구조로 제공된다.
본체(10a)의 하부에는 내측 유입부(120) 및 외측 유입부(130)가 제공된다.
내측 유입부(120)의 내측에는 유입 공간(12a)이 형성된다. 유입 공간(12a)과 수용 공간(11a)은 구획 플레이트부(100a)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 플레이트부(100a)에는 유입 공간(12a)과 수용 공간(11a)을 연결하는 연통홀(101a)들이 형성된다. 내측 유입부(120)의 외측 둘레는 원형으로 제공된다. 내측 유입부(120)의 둘레에는 유입 공간(12a)과 연결되는 내측 유입홀(121a, 121b)이 형성된다. 내측 유입홀(121a, 121b)은 제1 내측 유입홀(121a) 및 제2 내측 유입홀(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유입홀(121a)은 내측 유입부(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2 내측 유입홀(121b)은 제1 내측 유입홀(121a)이 위치되는 원주 상에, 제1 내측 유입홀(121a)과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유입홀(121b)은 내측 유입부(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측 유입홀(121a) 및 제2 내측 유입홀(121b)이 복수 제공될 때, 제2 내측 유입홀(121b)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배열되는 위치되는 제1 내측 유입홀(121a)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배열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내측 유입홀(121b)은 공기의 투과 정도가 제1 내측 유입홀(121a)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측 유입홀(121b)은 제1 내측 유입홀(121a)보다 공기의 투과 정도가 크거나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유입부(130)는 링 형상으로 가지고, 내측 유입부(120)의 외측 둘레에 위치된다. 외측 유입부(130)는 내측 유입부(1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외측 유입부(130)의 둘레에는 외측 유입홀(131)이 형성된다. 외측 유입홀(131)은 내측 유입홀(121a, 121b)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외측 유입부(130)의 회전에 따라 내측 유입홀(121a, 121b)과 정렬 가능하게 제공된다. 외측 유입홀(131)이 복수 제공될 때, 외측 유입홀(131)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배열되는 위치는, 제1 내측 유입홀(121a)들 또는 제2 내측 유입홀(121b)들이 서로 배열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유입부(130)를 내측 유입부(120)에 대해 회전시켜, 외측 유입홀(131)이 제1 내측 유입홀(121a)과 정렬되게 하거나 제2 내측 유입홀(121b)과 정렬되게 하여, 본체(10)의 하부를 통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유입홀(131)이 제1 내측 유입홀(121a) 및 제2 내측 유입홀(121b)과 어긋나게 하여, 본체(10)의 하부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외측 유입홀은 제1 외측 유입홀 및 제2 외측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 유입홀은 공기의 투과 정도가 제1 외측 유입홀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외측 유입홀 및 제2 외측 유입홀의 위치관계 및 이를 이용한 공기의 유입량 조절은, 상술한 내측 유입홀(121a, 121b)과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디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b)의 내측에는 연통관(140)이 제공될 수 있다. 연통관(140)은 배관 형상으로 제공되고, 유입 공간(12b)과 연통되게 구획 플레이트부(100b)에 연결될 수 있다. 연통관(140)에는 수용 공간(11b)과 연통관(140) 내측의 유로를 연결하는 홀(14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관(140)이 제공되는 점 외에, 본체(10b)의 구성은 도 1의 본체(10) 또는 도 8의 본체(10a)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 공간(11b)에 차가 위치되면, 차가 구획 플레이트부(100b)의 연통홀(101b)을 차단하여 본체(10b)의 하부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b)의 내부의 공기의 배출 역시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본체(10b)에 따르면, 본체(10b)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관(140)을 통해 유동되어, 본체(10b)의 하부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연통관(140)에 형성된 홀(141)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연통관(140)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수용 공간(11b)의 하부에서 상부에 걸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10b)에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덮개 부재(20a)가 위치될 때, 연통관(140)의 상단은 상부 연통홀(211)과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11b)의 공기 및 연통관(140)을 유동한 공기는 모두 상부 연통홀(211)을 통해 배출 공간(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수용 공간
12: 유입 공간 20: 덮개 부재
100: 구획 플레이트부 101: 연통홀
201: 배출홀
12: 유입 공간 20: 덮개 부재
100: 구획 플레이트부 101: 연통홀
201: 배출홀
Claims (5)
-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구조로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되는 덮개 부재;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제공되고, 내측에 유입 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을 따라 상기 유입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통되는 내측 유입홀들이 형성된 내측 유입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유입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유입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홀들이 형성된 구획 플레이트부; 및
상기 내측 유입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측 유입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그 둘레를 따라 외측 유입홀들이 형성된 외측 유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유입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 유입홀들과 상기 내측 유입홀들의 정렬이 조절되는 차 보관함.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는 외부와 내측을 연결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차 보관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는, 내측면에서 내측 공간의 중심 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 영역에 상부 연통홀이 형성된 보조 덮개부가 제공되는 차 보관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외측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 및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상부 덮개부의 저면에 위치되고,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내측 배출홀이 형성된 하부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덮개부는 상기 상부 덮개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차 보관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904A KR102099583B1 (ko) | 2018-11-06 | 2018-11-06 | 차 보관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4904A KR102099583B1 (ko) | 2018-11-06 | 2018-11-06 | 차 보관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9583B1 true KR102099583B1 (ko) | 2020-04-10 |
Family
ID=7029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4904A KR102099583B1 (ko) | 2018-11-06 | 2018-11-06 | 차 보관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958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6556Y1 (ko) * | 2003-02-11 | 2003-06-18 | 배상태 | 분말용 용기 |
JP2008525288A (ja) * | 2004-12-29 | 2008-07-17 | シークイスト クロージャーズ フォー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クロージャ・オリフィス・シール・ベントを使用する包装方法 |
CN201745893U (zh) * | 2010-01-26 | 2011-02-16 | 刘睿婷 | 透气茶叶罐盖子 |
CN202967108U (zh) * | 2012-08-11 | 2013-06-05 | 苏州市西山宏运材料用品厂 | 一种茶叶罐 |
-
2018
- 2018-11-06 KR KR1020180134904A patent/KR1020995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6556Y1 (ko) * | 2003-02-11 | 2003-06-18 | 배상태 | 분말용 용기 |
JP2008525288A (ja) * | 2004-12-29 | 2008-07-17 | シークイスト クロージャーズ フォーリ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クロージャ・オリフィス・シール・ベントを使用する包装方法 |
CN201745893U (zh) * | 2010-01-26 | 2011-02-16 | 刘睿婷 | 透气茶叶罐盖子 |
CN202967108U (zh) * | 2012-08-11 | 2013-06-05 | 苏州市西山宏运材料用品厂 | 一种茶叶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19356C (zh) | 气密的可以重新盖上的加工食品容器 | |
US8424711B2 (en) | Disposable beverage lid | |
CN103303588B (zh) | 可重新密封的多隔间饮品容器 | |
CN102472553A (zh) | 冰箱 | |
KR102099583B1 (ko) | 차 보관함 | |
US4704875A (en) | Beverage cooler | |
CN101348182B (zh) | 饮料容器 | |
US20210198006A1 (en) | Beverage container formed of stackable interlocking single-serving container segments | |
CN206050470U (zh) | 可密封保存物品且防腐防潮的陶坛 | |
US11952183B2 (en) | Cup lid for disposable cups | |
CN201959180U (zh) | 一种结构改良的骨灰坛 | |
CN207670896U (zh) | 一种两用食物收纳盒 | |
KR20120131254A (ko) | 발효용기용 마개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발효용기 | |
JP6566772B2 (ja) | 二重容器 | |
CN105015917A (zh) | 平放自动关闭倾倒容器 | |
CN220683067U (zh) | 拼装式保鲜罐 | |
KR200237024Y1 (ko) | 적층 되도록 된 냉장고 포켓용 용기 | |
JPH0131040Y2 (ko) | ||
JP2020083410A (ja) | 包装容器 | |
KR200398052Y1 (ko) |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 |
CN101979279A (zh) | 固体容器 | |
CN219635966U (zh) | 一种含有内外腔室的瓶 | |
KR102201376B1 (ko) | 유자주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유자주 제조방법 | |
CN201095465Y (zh) | 饮料容器盖及饮料容器 | |
TWM627031U (zh) | 改良菌種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