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48B1 -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48B1
KR102099348B1 KR1020190019529A KR20190019529A KR102099348B1 KR 102099348 B1 KR102099348 B1 KR 102099348B1 KR 1020190019529 A KR1020190019529 A KR 1020190019529A KR 20190019529 A KR20190019529 A KR 20190019529A KR 102099348 B1 KR102099348 B1 KR 10209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ide frame
frame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대 filed Critical 김종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는, 바닥프레임에 연결되는 보조붐과 상기 보조붐과 연결된 메인붐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메인붐 단부에 연결되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헤더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부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유틸리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장치{CLEANING EQUIPMENT}
본 발명은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수송차량(Cattle delivery truck)은 소 또는 돼지를 축사에서 도축장 등 유통업체까지 운반하기 위해 제작된 차량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 동물운송에 관한 규칙에는 동물운송에 적합한 차량구조 및 설비 조건과, 상, 하차 시설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가축수송차량은 하차작업 종료 후 가축수송차량의 외부 및 적재함 내부를 세척 및 소독하여야 하며, 오폐수, 배설물 및 깔짚 등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동물운송자의 손과 신발 등에 대한 소독 및 운송 작업 시 사용하였던 작업복을 폐기 또는 세탁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도축장에는 가축수송차량의 세척 및 소독시설을 갖추고 가축수송차량에 대한 세척이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가축수송차량 세척은 인력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며, 검역을 위해 방역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축수송차량의 내부 세척은 매우 고된 작업으로, 특히 혹한기 또는 혹서기에는 세척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사고 발생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가축수송차량에 대한 세척 및 소독 작업에 대한 자동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향상된 세척효율과 계절에 상관없는 세척능력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청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는, 바닥프레임에 연결되는 보조붐과 상기 보조붐과 연결된 메인붐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메인붐 단부에 연결되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헤더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부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유틸리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상기 메인붐 단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제2 측면프레임을 가지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분사노즐부가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제1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제1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부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1 기어와 연결된 제2 유압모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펌프와 연결된 유체라인과 연결되는 유입부를 가지는 축샤프트, 상기 축샤프트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하는 면에 상기 축샤프트와 수직하게 형성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결되며 만곡하게 형성되는 제2 면으로 이뤄지고, 상기 제2 면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상기 제2 측면프레임부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헤더 보다 돌출되며, 이동기준부가 형성된 돌출봉 및 상기 돌출봉 주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기준부 위치로 형성된 고정기준부를 가지는 리미트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상기 제2 측면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기준부를 갖는 회전판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기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고정기준부를 갖는 제1 회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제2 기어의 상기 플레이트부를 마주하는 면으로 이동기준부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동기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고정기준부를 갖는 제2 회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붐은, 양측면에 상기 제1 유압모터 및 상기 제2 유압모터의 유압선이 감기는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는, 향상된 세척효율과 계절에 상관없는 세척능력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헤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노즐의 제1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청소장치(100)는 구동부(10), 헤더(20), 유틸리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는 바디프레임(11)과 보조붐(12) 및 메인붐(13)으로 이뤄질 수 있다. 바디프레임(11)은 바닥프레임(111)과 전면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111)에 보조붐(12)이 연결되며, 바닥프레임(111)은 바닥에 안착될 수 있다. 바닥프레임(111)에 유틸리티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프레임(111)은 지면 또는 화물차의 화물칸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프레임(111)을 통해 청소장치(1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유틸리티부(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2)은 바닥프레임(111)의 전면에 연결되며 메인붐(13)이 관통되는 관통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2)은 헤더(20)에서 토출되는 유체 및 가축수송차량(C)에서 외부로 흘러나오는 유체가 유틸리티부(30)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112a)을 제외한 전면프레임(112)은 가축수송차량을 향하여 막혀있다.
보조붐(12)은 바닥프레임(111)에 회전휠(14)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붐(12)은 회전휠(14)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휠(14)에 연결된 채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붐(12)을 통해 메인붐(13)의 방향과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메인붐(13)은 보조붐(12)에 연결되며, 보조붐(12)과 메인붐(13)은 유압실린더(15)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메인붐(13)의 높이는 설정될 수 있다.
메인붐(13)은 다단의 파트로 이루어져 각 파트가 돌출되면서 메인붐(13)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메인붐(13) 양측면에는 유압선(23a)등이 감겨있는 휠(131, 132)이 연결되며, 메인붐(13)의 길이 연장에 따라 유압선(23a) 등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축수송차량(C)의 화물칸의 깊이는 8m로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붐(13)은 약 8m 정도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압선(23a)의 길이도 메인붐(13)의 길이 연장에 대응하여 연장될 수 있다. 휠(131, 132)은 제1 유압모터(231)와 연결된 제1 휠(131) 및 제2 유압모터(232)와 연결된 제2 휠(13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20)는 메인붐(13)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붐(13)의 연장에 따라 헤더(20)의 위치가 가축수송차량(C)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헤더(20)는 프레임부(21) 및 분사노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22)에 의해 가축수송차량(C) 내부에 유체를 분출할 수 있다. 프레임부(21)는 분사노즐부(22)와 메인붐(1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붐(13)의 이동을 제한하여 가축수송차량(C)의 내부가 메인붐(13)과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더(2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가축수송차량(C) 내부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더(20)의 움직임을 순서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축수송차량(C)의 세척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틸리티부(30)는 바디프레임(11)에 연결되며, 헤더(20)에 유체 및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유틸리티부(30)는 펌프(31)와 펌프(31)를 제어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31)는 세정펌프 및 유압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정펌프는 세정액이 담긴 세정탱크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아 분사노즐부(22)로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유압펌프는 오일이 담긴 유압탱크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제1 유압모터(231) 및 제2 유압모터(232)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세정펌프 및 유압모터(2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헤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헤더(20)는 프레임부(21) 및 분사노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1)는 베이스프레임(211)과 베이스프레임(211)에 연결되는 제1 측면프레임(212) 및 제2 측면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212)과 제2 측면프레임(213)은 서로 이격되어 제1 측면프레임(212)과 제2 측면프레임(21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22)는 베이스프레임(211) 제2 측면프레임(213)과 이격되어 제1 측면프레임(212)과 제2 측면프레임(213)에 연결될 수 있다. 분사노즐부(22)는 제1 측면프레임(212)과 제2 측면프레임(213) 사이에 위치하며, 샤프트(214)를 매개로 제1 측면프레임(212) 및 제2 측면프레임(213)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부(22)는 샤프트(214)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14)는 제1 측면프레임(212)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유압모터(231)와 기어(231a)를 매개로 연결되며, 제1 유압모터(231)의 작동으로 샤프트(214)는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유압모터(231)를 작동시켜 분사노즐부(22)의 분사 구역을 변경할 수 있다. 샤프트(214)의 회전에 따라 분사노즐부(22)의 분사 구역은 상하로 변경될 수 있다. 분사노즐부(22)는 베이스프레임(211)과 유동공간(W)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유동공간(W)으로 제2 유압모터(232)에 연결되는 유압선(23a)과 유입부(251)에 연결되는 유체라인(WL)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부(22)는 제1 유압모터(231)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게 되며, 유동공간(W)에 의해 분사노즐부(22)의 회전 반경이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유동공간(W)은 베이스프레임(211)으로부터 유입부(251)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게 되며, 약 10 ~ 25cm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부(22)는 플레이트부(221)와 제2 유압모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221)는 샤프트(214)와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221a)와 제2 플레이트(221b)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제2 유압모터(232)의 로드(232b)가 관통하여 제1 기어(232a)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221b)로 이뤄질 수 있다. 제2 유압모터(232)는 플레이트부(221)에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214)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부(221)도 회전할 수 있다. 제2 유압모터(232)는 유압모터(23)에 연결되며, 제어부(32)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압모터(232)의 로드(232b)와 연결된 제1 기어(232a)는 분사노즐(26)의 축샤프트(25)에 연결된 제2 기어(252)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232a)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252)와 연결된 축샤프트(25)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분사노즐(26)이 회전하게 된다.
축샤프트(25)는 제1 플레이트(221a)의 하단에 연결되며, 일단부에는 유입부(251)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분사노즐(26)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입부(251)는 유체펌프에 연결된 유체라인(WL)이 연결되어 축샤프트(25) 내부로 유체를 공급한다. 축샤프트(25) 타단부에 연결된 분사노즐(26)을 통해 축샤프트(25)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분사하게 된다. 축샤프트(25)는 유입부(251)와 분사노즐(26) 사이에 제2 기어(252)가 위치하게 되며, 제1 기어(232a)와 맞물리게 된다.
분사노즐부(22)와 제2 측면프레임(213) 사이에는 회전판(42)이 위치하게 된다. 회전판(42)에는 회전이동기준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214)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42)이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이동기준부(40)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제2 측면프레임(213)에는 회전이동기준부(4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제1 회전센서(5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이동기준부(40)는 제1 회전센서(50)와 전기적으로 근접하면서 회전판(42)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214)와 연결된 분사노즐부(22)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회전센서(60)는 제2 플레이트(221b)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어(252)의 제2 플레이트(221b)를 향하는 면에는 회전이동기준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252)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동기준부의 위치는 변하게 되며, 회전이동기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제2 회전센서(6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252)의 회전이동기준부는 제2 회전센서(60)와 전기적인 접촉을 통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리미트센서(70)는 제2 측면프레임(213)에 연결될 수 있다. 리미트센서(70)는 헤더(2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봉(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봉(71)은 리미트센서(70)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봉(71)은 헤더(20)로부터 약 1m 정도 돌출되어 있다. 가축수송차량(C)의 화물칸 내부는 높이가 2.4m * 깊이 8m 로 형성되므로, 메인붐(13)이 가축수송차량(C) 화물칸 내부에서 전진하면서 가축수송차량(C) 화물칸 내벽에 돌출봉(71)이 닿을 경우, 돌출봉(71)은 리미트센서(70)의 기준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가축수송차량(C) 화물칸 내부에서의 메인붐(13)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축수송차량(C) 화물칸 내벽에 헤더(20)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노즐의 제1 변형 예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분사노즐(26)은 챔버부(261)와 챔버부(261) 외측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262)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부(261)는 축샤프트(25)와 연결되며, 축샤프트(25)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챔버부(261)에 유입된 유체는 가압되어, 노즐(262)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축샤프트(25)는 제2 기어(252)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유입부(251)에 연결된 채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챔버부(261)는 플레이트부(221)를 향하는 면이 축샤프트(25)와 수직하게 형성된 상면과, 상면과 연결되어 만곡지게 형성된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챔버부(261)는 납작한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 복수개의 노즐(262)이 연결되며, 유체를 플레이트부(221) 하부로 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의 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척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챔버부(261)는 납작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은 챔버부(261)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축수송차량(C)의 화물칸 내부에서 보다 넓은 구역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청소장치 10: 구동부
11: 바디프레임 111: 바닥프레임
112: 전면프레임
12: 보조붐 13: 메인붐
131: 제1 휠 132: 제2 휠
14: 회전휠 15: 유압실린더
20: 헤더 21: 프레임부
211: 베이스프레임 212: 제1 측면프레임
213: 제2 측면프레임 214: 샤프트
22: 분출노즐부 221: 플레이트부
221a: 제1 플레이트 221b: 제2 플레이트
23: 유압모터 231: 제1 유압모터
232: 제2 유압모터 231a: 기어
232a: 제1 기어 232b: 로드
23a: 유압선
25: 축샤프트 251: 유입부
252: 제2 기어 26: 분사노즐
261: 챔버부 262: 노즐
30: 유틸리티부 31: 펌프
32: 제어부 40: 회전이동기준부
42: 회전판
50: 제1 회전센서 60: 제2 회전센서
70: 리미트센서 71: 돌출봉
71a: 이동기준부 71b: 고정기준부
W: 유동공간 WL: 유체라인

Claims (8)

  1. 바닥프레임에 연결되는 보조붐과 상기 보조붐과 유압실린더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높이가 설정되는 메인붐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메인붐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센서가 연결되며, 유체를 분사하며 회전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헤더; 및
    상기 바닥프레임에 위치하여 상기 분사노즐부에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유틸리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은, 다단의 파트로 이루어져 각 파트가 돌출되면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리미트센서는, 상기 헤더보다 돌출되며 이동기준부가 형성된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을 감싸며 형성된 고정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플레이트부를 향하는 면에 축샤프트와 수직하게 형성된 상면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결되며 만곡하게 형성되는 측면으로 이루어져 납작한 반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축샤프트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는 챔버부;와
    상기 챔버부의 상기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연결된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메인붐 단부에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측면프레임과 제2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분사노즐부가 연결되는 샤프트를 가지는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분사노즐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제1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청소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안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부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1 기어와 연결된 제2 유압모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가 연결되며, 일단부에 상기 펌프와 연결된 유체라인과 연결되는 유입부를 가지는 축샤프트;
    상기 축샤프트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청소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제2 측면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이동기준부를 갖는 회전판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이동기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회전센서를 포함하는 청소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제2 기어의 상기 플레이트부를 마주하는 면으로 회전이동기준부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회전이동기준부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회전센서를 포함하는 청소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붐은,
    양측면에 상기 제1 유압모터 및 상기 제2 유압모터의 유압선이 감기는 제1 휠 및 제2 휠을 포함하는 청소장치.

KR1020190019529A 2018-12-10 2019-02-19 청소장치 KR102099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8469 2018-12-10
KR1020180158469 2018-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348B1 true KR102099348B1 (ko) 2020-05-15

Family

ID=7067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529A KR102099348B1 (ko) 2018-12-10 2019-02-19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8594A (zh) * 2021-07-30 2021-11-02 滁州学院 一种汽车曲轴成型后处理装置
ES2947511A1 (es) * 2022-02-07 2023-08-10 Cleontec Robotics S L Sistema automatizado de limpieza y desinfeccion de vehiculos de transporte de animales viv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364A (ja) * 1992-12-01 1994-06-14 Komatsu Ltd 建設機械洗浄装置の動作制御方法
KR200258594Y1 (ko) * 2001-10-05 2001-12-29 이향우 자동세차장치
KR20030048774A (ko) * 2001-12-13 2003-06-25 한국세차기 주식회사 차량용 적재함 세척장치
KR20100126037A (ko) * 2009-05-22 2010-12-01 한국기계연구원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364A (ja) * 1992-12-01 1994-06-14 Komatsu Ltd 建設機械洗浄装置の動作制御方法
KR200258594Y1 (ko) * 2001-10-05 2001-12-29 이향우 자동세차장치
KR20030048774A (ko) * 2001-12-13 2003-06-25 한국세차기 주식회사 차량용 적재함 세척장치
KR20100126037A (ko) * 2009-05-22 2010-12-01 한국기계연구원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8594A (zh) * 2021-07-30 2021-11-02 滁州学院 一种汽车曲轴成型后处理装置
ES2947511A1 (es) * 2022-02-07 2023-08-10 Cleontec Robotics S L Sistema automatizado de limpieza y desinfeccion de vehiculos de transporte de animales viv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348B1 (ko) 청소장치
KR200465734Y1 (ko) 로터리기구를 가진 오염토양 정화용 경작장치
KR101371076B1 (ko) 원거리 농약살포기
JP5800314B2 (ja) 洗浄装置
KR102116506B1 (ko) 축산농가용 이동식 방제기
JP2017154615A (ja) 車輌泥落洗浄装置
US6871658B2 (en) Transit concrete mixer drum washout system
KR102034286B1 (ko) 원거리 광역방제기
US2246866A (en) Spraying apparatus for tractors
KR101706924B1 (ko) 수륙 양용 약액살포기
KR101815827B1 (ko) 자동 주행으로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농약 살포장치 및 살포방법
JP5459981B2 (ja) 道路維持車両
RU24620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равливания семян
CN206078763U (zh) 生态农业病虫害防治系统
KR20190101038A (ko) 해삼 세척장치
US3140574A (en) Spraying and mowing apparatus
JP6137720B1 (ja) 液体噴出装置及び液体噴出方法
KR100879619B1 (ko) 믹서트럭용 살수장치
CN104487183B (zh) 配备于拉线机的金属材料清洗装置
KR102354037B1 (ko) 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살수차
KR100999845B1 (ko) 다목적 살수차
JP2011098576A (ja) 水タンクを備えた貨物自動車
KR101048681B1 (ko) 방제차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CN205946572U (zh) 一种基于管道输送的规模化稻麦生产的沼液喷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