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60B1 -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60B1
KR102099060B1 KR1020190138214A KR20190138214A KR102099060B1 KR 102099060 B1 KR102099060 B1 KR 102099060B1 KR 1020190138214 A KR1020190138214 A KR 1020190138214A KR 20190138214 A KR20190138214 A KR 20190138214A KR 102099060 B1 KR102099060 B1 KR 10209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der
coupling
automatic cleaning
clean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숙
Original Assignee
오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숙 filed Critical 오미숙
Priority to KR102019013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세척노즐과,
상기 자동세척노즐이 적어도 그 상부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노즐 하우징부를 구비한 홀더 본체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노출된 상부가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결합구 하면에는 홀더 결합구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결합 훅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 상부에는 상기 결합 훅이 끼워지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훅과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하여 자동세척노즐이 수용된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홀더 결합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 결합구를 노즐 홀더 본체에 원터치식으로 끼워넣을 수 있으므로,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과 같은 회전결합의 억지끼움 결합방식이 아닌, 결합 훅의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한 결합 훅과 결합 홈의 간편한 걸어맞춤 결합이므로, 결합 부재의 마모나 결합 부재가 헛도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결합 분리에 따른 마모 빈도도 줄일 수 있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HOLDER COUPLING STRUCTURE OF AUTOMATIC CLEANING NOZZLE}
본 발명은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디스크필터와 같은 섬유 여과기의 세척공정 또는 산업용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 등에 사용되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기의 운전은 여과공정과 세척공정으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여과공정은 부유물 제거를 통해 원수를 깨끗한 여과수로 만드는 공정이고, 세척공정은 여과공정 도중 부유물로 오염된 여과필터를 세척수나 공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공정이다.
상기 여과기의 여과필터에는 다양한 재질들이 적용된다. 예컨대 상기 여과필터의 재질로는 모래, 무연탄 등과 같은 무기 입상이 사용되기도 하고, 섬유가 사용되기도 한다. 섬유 여과기는 여과필터의 재질로 섬유를 사용한 것을 말한다.
일종의 섬유 여과기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디스크필터는 높은 유연성, 여과필터(필터 엘리먼트) 교체의 용이성, 연속운전 가능, 적은 세척수량, 컴펙트한 구조, 저렴한 유지관리비 및 초기 설치비, 안정적인 처리효율 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과기의 세척공정에서는 오염된 여과필터의 세척을 위해 자동세척노즐이 사용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112683호(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자동세척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류의 자동세척노즐은, 노즐케이스와, 노즐케이스 내에 수용 및 고정되는 고정노즐과, 고정노즐과 맞닿아 밀착하여 하나의 통형상을 이루는 분사위치와 고정노즐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유동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세척노즐은, 유동노즐이 고정노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세정파이프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유동노즐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고정노즐과 맞닿을 때까지 전진하며, 세척수가 유동노즐과 고정노즐이 맞닿아 형성되는 분사공을 통해 오염된 피세척물로 분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세척노즐은, 사용 시에 노즐 홀더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도 1은, 특허문헌 2의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자동세척노즐(10)은 노즐 홀더 본체(20)에 형성된 노즐 하우징(21)에 적어도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자동세척노즐(10)의 상부는 노즐 하우징(21)으로부터 노출되지만, 그 상부로부터 씌워지는 노즐 결합구(30)에 삽입된다. 상기 노즐 결합구(30)의 삽입공 내경은 자동세척노즐(10) 중간부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세척노즐(10)은 노즐 결합구(30)와 노즐 홀더 본체(20) 사이에서 구속되어 노즐 홀더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자동세척노즐(10)은 사용시에 노즐 홀더에 장착되어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스프링쿨러와 같이 분무된다. 또한, 자동세척노즐(10)은 세척수의 강한 수압에 의하여 노즐 홀더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자동세척노즐(10)은 이러한 회전력과 수압에 의하여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노즐 홀더에 강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자동세척노즐(10)은 그 부품 교체나 메인터넌스, 청소 등을 위하여 수시로 노즐 홀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세척노즐(10)은 노즐 홀더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노즐 홀더와 자동세척노즐을 간편하게 결합/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결합시에는 자동세척노즐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노즐 홀더의 결합구조를 고안하는 것이 기술적과제가 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자동세척노즐이 노즐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노즐 홀더 결합구조는, 상부(11)와 하부(13)와 중간돌출부(12)를 구비한 자동세척노즐(10)과, 상기 자동세척노즐(10)의 하부(13) 및 중간돌출부(12)가 삽입되는 삽입공(22)이 형성된 노즐 하우징(21)을 구비한 노즐 홀더 본체(20)와, 상기 자동세척노즐(1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34)이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상기 노즐 홀더 본체(20)의 노즐 하우징(21)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구(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에 의한 자동세척노즐(10)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자동세척노즐(10)을 노즐 홀더 본체(20)의 노즐 하우징(21)의 삽입공(22)에 삽입한다. 이 경우 자동세척노즐(10)의 상부 부분(11)은 노즐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 홀더 결합구(30)의 삽입공(34)에 자동세척노즐(10)의 상부를 삽입시키면서 홀더 결합구(30)를 위로부터 자동세척노즐(10)에 씌우며 상기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결합시킨다. 상기 종래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는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동시켜서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자동세척노즐(10)을 고정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노즐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부(23)를, 홀더 결합구(30)의 상기 돌출부(23)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31)에 삽입하고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킨다. 도 2의 화살표는 홀더 결합구(30)와 노즐 하우징(21)의 상대회전이동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슬릿(31)의 하부면은 최하면(31a), 경사면(31b), 최상면(31c)으로 단차가 져있다. 상대 회전 초기에는 노즐 하우징 측벽의 돌출부(23)가 슬릿(31)의 최하면(31a)에 위치하지만,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23)가 경사면(31b)을 타고 올라 슬릿 하부의 최상면(31c)에 안착된다. 슬릿(31)의 상부면(평탄면)과 슬릿 최하면(31a) 간격은 상기 돌출부(23) 높이보다 크고, 슬릿(31)의 상부면(평탄면)과 슬릿 하부 최상면(31c) 간격은 상기 돌출부(23) 높이보다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돌출부(23)가 상기 슬릿(31) 상부면과 하부 최상면(31c)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31)과 돌출부(23)의 결합에 의하여 홀더 결합구(30)가 노즐 하우징(21)에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홀더 결합구(30)와 노즐 하우징(21) 사이에 삽입된 자동세척노즐(10)이 유동되지 않고 강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홀더 결합구(30)를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23)가 슬릿 하부 최상면(31c)-경사면(31b)-하부 최하면(31a) 순서로 이동하여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성형 불량 등으로 돌출부(23)의 형성 위치나 형태가 조금만 어긋나거나 변형되면, 돌출부(23)가 상기 슬릿(31) 내에 제대로 결합되지 않아 홀더 결합구(30)가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헛돌게 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반대로 돌출부(23)가 슬릿(31)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 경우,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돌려 결합시킬 때 회전 결합에 너무 큰 힘이 필요하고, 반대로 분리시에는 돌출부(23)가 슬릿(31) 사이에 꼭 끼워져 홀더 결합구(30)가 노즐 홀더 본체(2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사실, 홀더 결합구(30)를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노즐 하우징(21)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돌출부(23)를 슬릿(31) 폭(슬릿 상부면과 하부 최상면의 폭)과 거의 비슷하게 하여야 하는데, 이 정도의 폭에서도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대하여 회전시켜 결합하는데 상당한 저항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홀더 결합구(30)의 결합시 상대적으로 힘이 많이 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분리도 그만큼 힘들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돌출부(23)와 슬릿(31)을 형성할 때 홀더 결합구(30)의 노즐 하우징(21)에의 결합 및 분리가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그 폭이나 크기를 아주 정밀하게 설계하여야 하므로, 설계 선택의 폭이 작아 설계자유도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는 것이다.
셋째, 반복 사용시에 돌출부(23)가 마모되면 설계치에서 벗어나서 홀더 결합구(30)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세척수의 압력이나 전동기구 회전력의 영향으로 홀더 결합구(30) 및 자동세척노즐(10)이 홀더 본체(20)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있다.
넷째, 홀더 결합구(30)를 노즐 하우징(21)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홀더 결합구(30)를 회전시킬 경우 주변 여유공간이 작아 주변의 홀더 본체(20) 벽에 손이 부딪치거나 하여 손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문에 종래에는 홀더 결합구(30) 상부 양측에 손잡이(35)를 형성하여 이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홀더 결합구(35)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홀더 결합구조는 홀더 결합구(30)의 결합을 위해 불필요한 부재를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112683호(2012.1.30) 특허문헌 2: 특허출원 제10-2019-0112484호(2019.9.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 결합구를 노즐 홀더 본체에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결합 분리에 따른 마모 빈도도 줄일 수 있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는,
자동세척노즐과,
상기 자동세척노즐이 적어도 그 상부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노즐 하우징부를 구비한 홀더 본체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노출된 상부가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결합구 하면에는 홀더 결합구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결합 훅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 상부에는 상기 결합 훅이 끼워지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훅과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하여 자동세척노즐이 수용된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홀더 결합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훅은, 상기 홀더 결합구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홀더 결합구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더 결합구의 결합 훅이 형성된 측벽에는 상기 결합훅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슬릿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훅의 하부 자유단에는 홀더 결합구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 하면의 상향 경사면의 이면으로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상부면은, 상기 하면의 상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각도의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탄성 훅의 돌출부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세척노즐은, 직경이 큰 하부와, 하부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와, 상기 하부보다 큰 직경의 중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노즐 하우징부의 내부 형상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 및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의 양측에는 세로방향의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의 둘레에는 상기 세로방향 절단면에 대응하는 세로방향 스토퍼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결합구에는 자동세척노즐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결합구의 슬릿 양측 하부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 하우징부와 홀더 결합구는 동일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 결합구의 결합 훅은 자동세척노즐이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의 삽입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 상부의 결합 홈은 자동세척노즐이 삽입되는 노즐 하우징부의 삽입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결합 홈은 노즐 홀더 본체의 길이방향에 한 쌍의 결합 홈은 노즐 홀더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 또는 그 길이방향과 어긋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 결합구를 노즐 홀더 본체에 원터치식으로 끼워넣을 수 있으므로, 작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식과 같은 회전결합의 억지끼움 결합방식이 아닌, 결합 훅의 탄성 변형 및 복원력에 의한 결합 훅과 결합 홈의 간편한 걸어맞춤 결합이므로, 결합 부재의 마모나 결합 부재가 헛도는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결합 분리에 따른 마모 빈도도 줄일 수 있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자동세척노즐이 노즐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세척노즐이 노즐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홀더 결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세척노즐(100)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세척노즐(100)이 노즐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 4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는, 자동세척노즐(100)과, 노즐 홀더 본체(200)와, 홀더 결합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점은,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홀더 본체(200)의 노즐 하우징부(210)에 대하여 회전시켜 끼워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홀더 본체(200)의 노즐 하우징부(210)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아래로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에 의하여 원터치식에 가깝게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홀더 결합구(300)는, 그 하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 훅(310)을 구비하고 있고 이 결합 훅(310)은 홀더 결합구(300)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결합구(300)는 자동세척노즐(100)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 삽입공(340)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홀더 본체(200)는, 전동기구가 결합되는 전동기구 결합부의 반대편에 자동세척노즐(100)이 수용되는 노즐 하우징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상부에는 상기 홀더 결합구(300)의 결합 훅(310)이 끼워지는 결합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세척노즐(100)은, 노즐 홀더 본체(200)의 노즐 하우징부(210)에 적어도 그 자동세척노즐(100)의 상부(110)가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자동세척노즐(100)이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에 상부(110)가 노출되도록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결합구(300)가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상부(110)에 삽입됨과 동시에 홀더 결합구(300)가 노즐 하우징부(210)에 결합 훅(310)-결합 홈(211)의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4 및 도 5, 특히 도 5의 요부 확대도를 참조하여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결합 훅(310)은 노즐 수용부(210)의 결합 홈(211)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홀더 결합구(300)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형태이면 된다.
하지만,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결합 훅(310)의 탄성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결합 훅(310)을 홀더 결합구(300)의 측부(측벽)으로부터 연장시켜 홀더 결합구(3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형태로 하고 있고, 이 결합 훅(310)과 홀더 결합구(300)의 측벽 사이에 슬릿(320)을 형성하고 있다(도 5의 요부 확대도 참조). 이러한 형태로 하면, 결합 훅(310)과 홀더 결합구(300)의 측벽 사이에 빈 공간(슬릿:320)이 형성되므로, 결합 훅(310)을 홀더 결합구(300) 측, 즉 홀더 결합구(300) 내측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결합 훅(310)의 하부 자유단에 홀더 결합구(300)의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11)를 형성한 형태로 하고, 이 돌출부(311)를 노즐 하우징부(210)의 결합 홈(211)에 끼워넣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결합 훅(310)의 외향 돌출부(311)를 결합 홈(211)에 쉽게 끼워넣을 수 있으면서도, 결합 후에는 상기 외향 돌출부(311)가 상기 결합 홈(211)의 내벽(내측벽)에 걸려 빠지지 않으므로 보다 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결합 홈(211)의 형상도 상기 탄성 훅(310) 및 그 돌출부(311)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돌출부(311)가 안착되는 안착 홈(211a)을 보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 홈(211a)은 결합 홈(211)의 연장부이면서 상기 돌출부(311)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홀더 결합구(300)와 노즐 하우징부(210)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도 결합력을 강하게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311)와 안착 홈(211a)의 형상을 보다 개선한 실시예를 고려한다. 즉, 도 5의 요부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11)의 하부면(311a)을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결합 훅(310)을 홀더 결합구(300)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상기 결합 홈(211)에 끼워 삽입시킬 때, 돌출부 하부면(311a)이 그 상향 경사를 따라 결합 홈(211) 테두리부(결합홈 상단 둘레의 모서리부)에 대해서 부드럽게 미끄러져 내려와 결합 홈(211)에 삽입되므로,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 하부면(311a)의 상향 경사면의 이면, 즉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부면(311b)을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돌출부(311)가 결합 홈(211)에 삽입된 후, 상기 돌출부 상부면(311b)의 상향 경사면이 결합 홈(211) 내벽에 쐐기 형태로 걸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하우징부(210)로부터 위로 당겨 뽑으려 해도 상기 쐐기형태의 걸림에 의하여, 홀더 결합구(300)를 쉽게 분리할 수 없다. 즉 결합력이 향상된다. 다만, 상기 돌출부 상부면(311b)의 경사도를 너무 급하게 하면, 결합 훅(211) 내벽과의 접촉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 하부면(311a)의 경사도도 상기 결합 홈(211)으로의 삽입 용이성을 고려하여 정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311)의 결합 홈(211)으로의 삽입 용이성과 결합후 안정적인 결합 접촉면적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돌출부 상부면(311b)의 상향 경사면의 경사각도는 돌출부 하부면(311a)의 상향 경사면의 경사각도보다 작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결합 홈(211)의 안착 홈(211a) 형상도 상기 돌출부(311)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안착 홈(211a)의 상부면을 상기 돌출부 상부면(311b)의 상향 경사면 형상에 부합되도록 상부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훅(310) 및 결합 홈(211)의 위치나 개수는, 적절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 제조 코스트, 결합 용이성 등의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 결합구(300)의 결합 훅(310)은 자동세척노즐(100)이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300)의 관통 삽입공(3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 상부의 결합 홈(211)도, 상기 결합 훅(310)에 대응되게 자동세척노즐(100)이 삽입되는 노즐 하우징부(210)의 노즐 수용홀(2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홈(211)의 생성 위치는 홀더 결합구(300)의 결합 훅(310)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결합 홈(211)을 노즐 홀더 본체(2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면, 노즐 하우징부(210) 주변의 노즐 홀더 본체(200)의 구조물들(예컨대, 전동기구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한 결합돌출부들)과 멀리 떨어트려 결합 홈(2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 결합구(300)의 결합 훅(310)도 상기 결합 홈(211)에 맞춰 끼울 수 있으므로, 노즐 홀더 본체(200)의 결합돌출부에 손이 닿아 방해받을 염려가 적다. 상기 결합 홈(211)의 배열방향은 반드시 노즐 홀더 본체(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일 필요는 없으며,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하우징부(210)에 끼울때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그 길이방향과 어긋난 방향(즉, 노즐 홀더 본체(200)의 길이방향과 비켜선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게 하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 훅(310)을 결합 홈(211)에 끼워넣을 수 있을 정도로 결합 홈(211)을 형성하면 충분하고, 결합 뒤에는 결합 훅(310)의 돌출부(311)가 결합 홈(211)에 걸려 고정되므로, 종래의 회전식 결합방식처럼 결합 돌출부와 슬릿의 폭을 정밀하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즉, 결합 훅(310)의 몸체 두께는 결합 홈(211)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만 설계하면 족하고, 결함 홈(211)도 결합 훅(31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여유있게 설계하더라도 결합 훅(310)의 외측 돌출부(311)가 결합 홈의 안착 홈(211a)에 걸려 지지되므로,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작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 또한, 결합 돌출부(311)도 안착 홈(211a)에 걸릴 정도로 돌출되면 충분하고 안착 홈(211a)의 폭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이는 종래의 홀더 결합구-노즐 홀더 몸체 결합방식이 돌출부를 슬릿에 회전시켜 완전하게 끼워 고정하는 방식인데 대하여, 본 발명은 단지 결합 훅(310)을 탄성 변형시킨 후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 훅(310)의 돌출부(311)를 결합 홈(211)(정확히는 결합 홈의 안착 홈(211a))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본질적으로 종래 방식보다 제품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훅(310)의 돌출부(311)를 결합 홈(211)에 완전하게 억지 끼움하는 방식이 아니고 단지 결합 홈(211)의 안착 홈(211a)에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결합 훅(310)의 돌출부(311)가 마모되거나 홀더 결합구가 노즐 하우징부에 대하여 헛돌거나 하는 문제가 없다. 뿐만 아니라, 결합 훅(310)을 결합 홈(211)에 끼우기만 하면 결합 훅(3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저절로 결합 홈(211)의 안착 홈(211a)에 걸려지는, 거의 원터치식의 결합 방식이므로, 종래 방식보다 결합에 드는 힘도 작게 든다. 또한, 홀더 결합구를 위로부터 노즐 하우징부에 끼워 고정하므로, 종래와 같은 회전결합방식에 비하여, 결합에 있어서 홀더 결합구-노즐 하우징부의 주변 부재에 의한 간섭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동세척노즐(100)은 노즐케이스 내에 고정노즐과 유동노즐이 내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세척노즐(100)은, 직경이 큰 하부(130)와, 하부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110)와, 상기 하부보다 큰 직경의 중간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중간 돌출부(120)의 직경을 나머지 부분보다 크게 한 이유는, 자동세척노즐(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 결합구(300)(의 하부면)에 상기 중간 돌출부(120)의 둘레부 상부면이 구속되도록 하여 자동세척노즐(100)을 홀더 결합구(300)와 노즐 홀더 본체(200) 사이에서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예컨대,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적어도 상부(110), 혹은 상부(100) 및 중간 돌출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을 상기 노즐 홀더 본체(200)의 노즐 하우징부(210)의 노즐 수용홀(220)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홀더 결합구(300)의 관통 삽입공(340)에 자동세척노즐(100)의 상부(110)를 삽입시키면서 홀더 결합구(300)의 결합 훅(310)을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 상면의 결합 홈(211)에 끼운다. 이때 상기 홀더 결합구(300)의 삽입공(340) 직경은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중간 돌출부(120)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세척노즐(100)의 중간 돌출부(120)의 둘레부 상부면이 홀더 결합구(300)의 하부면에 구속되면서 홀더 결합구(300)와 노즐 홀더 본체(200)의 노즐 하우징부(210) 사이에서 자동세척노즐(100)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합력은 상기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은,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력 및 상기 홀더 결합구(300) 하부면의 구속력에 의하여 고정 유지된다.
한편,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내부 형상은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중간 돌출부(120) 및 하부(13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내주에는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중간 돌출부(120)와 하부(130)의 단차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자동세척노즐(100)이 결합 훅(310)과 결합 홈(211)의 결합력 및 상기 홀더 결합구(300) 하부면의 구속력에 의하여 고정 유지되더라도, 설계상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격에 의하여, 자동세척노즐(100)이 홀더 결합구(300)와 노즐 하우징부(210) 내에서 유동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섬유 여과기의 세척공정 또는 산업용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자동세척노즐은 원통형이므로 원통형 자동세척노즐이 노즐 홀더 내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조금씩 회전 유동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세척노즐(100)의 중간 돌출부(120)의 양측에 세로방향의 절단면(121)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둘레에는 상기 세로방향 절단면(121)에 대응하는 세로방향 스토퍼면(221)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세척노즐(100)이 노즐 하우징부(2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상기 세로방향의 절단면(121)이 노즐 하우징부(210)의 세로방향 스토퍼면(221)과 접하여 자동세척노즐(100)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조는 자동세척노즐(100)의 노즐 홀더 결합시에도 유용하다. 즉, 자동세척노즐(100)을 그 세로방향 절단면(121)이 상기 노즐 하우징부(210)의 세로방향 스토퍼면(221)에 접하도록 노즐 하우징부(210)에 삽입하면, 자동세척노즐(100)이 원주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으므로,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하우징부(210)에 끼워 결합할 경우에도 자동세척노즐(100)이 움직이지 않아 간편하고 편리하게 홀더 결합구(300)를 노즐 하우징부(21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하우징부(210)와 홀더 결합구(300)를 동일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의 용이성 내지 효율, 그리고 결합 훅과 결합 홈의 형성 공간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원통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홀더 결합구(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홀더 결합구(300)의 슬릿(320) 양측의 하부 측벽에 절개부(330)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330)가 슬릿(320) 양측에 형성되면, 결합 훅(310)을 홀더 결합구(300) 내측(슬릿 측)으로 구부려 탄성 변형시킬 때,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슬릿(320) 양측에 확보되므로, 홀더 결합구(300)의 슬릿(320) 양측 측벽에 손가락이 걸리는 일 없이 결합 훅(310)을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홀더의 재질에 관하여 설명한다.
홀더는 고압의 세척수와 접촉되기 때문에 부식 및 마모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출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부식성,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시장규모, 기계적 성질 및 경제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를 채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열가소성 수지는 열에너지를 가하여 분자쇄가 유동성을 갖도록 한 후 금형에 사출하거나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다이(Die)를 통해 압출한 다음 냉각시켜 고화시킨 플라스틱을 말하며 가열, 성형 공정 중 고분자의 화학적 변화없이 물리적인 변화만 수반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 시, 열운동이 왕성해져 쉽게 부드러워지며 끈적끈적한 액체가 되고 계속 열을 가하면 각 분자가 따로따로 흩어져서 기화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고분자량이기 때문에 기화에는 상당한 고온을 필요로 한다. 더욱 강하게 가열하면 탄소와 수소로 되어 있는 중합체의 열분해가 일어나므로 끈적끈적한 액체 정도까지만 가열시켜 성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고분자 소재특성상 금속보다 가볍고 성형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로는, 반(半)정질 또는 비정질의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이를테면 지방족폴리아미드, 반(半)방향족 폴리아미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산과 포화 방향족 또는 지방족 1차 디아민 사이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선형 폴리아미드; 또는 락탐 또는 아미노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미드; 또는 이러한 다양한 단량체의 혼합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선형 폴리아미드를 언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이들 코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으로부터 수득되는 폴리프탈아미드; 및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카프롤락탐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폴리(메타-크실렌디아민)(MXD6), 폴리아미드 66/6T, 폴리아미드 66/6I, 및 이들의 블렌드와 코폴리아미드(이를테면, 코폴리아미드 6.6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투명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강도 등의 성질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기부품, 기계부품 및 산업용 수지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일반적으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통칭: 비스페놀 A)에 포스겐,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등의 탄산 에스터 형성성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 비스페놀 A를 원료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와 성형성과의 밸런스가 양호하다는 점에서, 전기·전자 기기, 광학 기기 등의 부품 소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ABS 수지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화합물로서 대표적인 스티렌 단량체와 불포화니트릴 화합물 중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유화중합법에 의해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하는데 이와같은 방법은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고무질 중합체와 그라프트 중합체, 그리고 매트릭스 중합체의 물성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수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ABS 수지는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성형가공성 등의 물성이 비교적 양호하게 조합되어 있어 전기전자 부품, 기계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자동세척노즐 110: 노즐 상부
120: 노즐 중간 돌출부 130: 노즐 하부
121: 세로방향 절단면 200: 노즐 홀더 본체
210: 노즐 하우징부 211: 결합 홈
211a: 안착 홈 220: 노즐 수용홀
221: 세로방향 스토퍼면 300: 홀더 결합구
310: 결합 훅 311: 돌출부
311a: 돌출부 하부면 311b: 돌출부 상부면
320: 슬릿 330: 측벽 절개부
340: 관통 삽입공

Claims (11)

  1. 자동세척노즐과,
    상기 자동세척노즐이 적어도 그 상부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노즐 하우징부를 구비한 홀더 본체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노출된 상부가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결합구 하면에는 홀더 결합구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결합 훅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 상부에는 상기 결합 훅이 끼워지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훅과 결합 홈의 결합에 의하여 자동세척노즐이 수용된 상기 홀더 본체에 상기 홀더 결합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훅은, 상기 홀더 결합구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홀더 결합구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더 결합구의 결합 훅이 형성된 측벽에는 상기 결합훅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훅의 하부 자유단에는 홀더 결합구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은 상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하부면의 상향 경사면의 이면으로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상부면은, 상기 하부면의 상향 경사면보다 작은 경사각도의 상향 경사면으로 이루어고,
    상기 결합 홈은 상기 결합 훅의 돌출부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며,
    안착 홈의 상부면은 상기 돌출부 상부면의 상향 경사면 형상에 부합되도록 상부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동세척노즐은, 직경이 큰 하부와, 하부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와, 상기 하부보다 큰 직경의 중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결합구에는 자동세척노즐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삽입공의 직경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 직경보다 작은,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노즐 하우징부의 내부 형상은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 및 하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세척노즐의 중간 돌출부의 양측에는 세로방향의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의 둘레에는 상기 세로방향 절단면에 대응하는 세로방향 스토퍼면이 형성되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결합구의 슬릿 양측 하부 측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하우징부와 홀더 결합구는 동일한 다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결합구의 결합 훅은 자동세척노즐이 삽입되는 홀더 결합구의 삽입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하우징부 상부의 결합 홈은 자동세척노즐이 삽입되는 노즐 하우징부의 삽입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결합 홈은 노즐 홀더 본체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 또는 그 길이방향과 어긋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자동세척노즐의 노즐 홀더 결합구조.
KR1020190138214A 2019-10-31 2019-10-31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KR10209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14A KR102099060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14A KR102099060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60B1 true KR102099060B1 (ko) 2020-04-08

Family

ID=7027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14A KR102099060B1 (ko) 2019-10-31 2019-10-31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033B1 (ko) * 1997-07-24 1999-11-01 강문식 약액 살포장치의 전자노즐
KR100911215B1 (ko) * 2008-09-26 2009-08-10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세척수 분사장치
KR101112683B1 (ko) 2011-06-21 2012-02-15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자동 세척 노즐
US20130105519A1 (en) * 2010-04-22 2013-05-02 Robin Sundberg Dispenser and liquid container
KR20190112484A (ko) 2018-03-26 2019-10-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β-아가라아제 DagA 효소의 과발현 유도 기술의 개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033B1 (ko) * 1997-07-24 1999-11-01 강문식 약액 살포장치의 전자노즐
KR100911215B1 (ko) * 2008-09-26 2009-08-10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세척수 분사장치
US20130105519A1 (en) * 2010-04-22 2013-05-02 Robin Sundberg Dispenser and liquid container
KR101112683B1 (ko) 2011-06-21 2012-02-15 주식회사 유천엔바이로 자동 세척 노즐
KR20190112484A (ko) 2018-03-26 2019-10-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β-아가라아제 DagA 효소의 과발현 유도 기술의 개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908B1 (ko) 전동 칫솔용 리필품
KR102401906B1 (ko) 전동 칫솔
CN103347428B (zh) 改进的食品加工机
JP5610713B2 (ja) 係止機構を有す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フィルタ組立体
US11490778B2 (en) Dish washer with eccentric protrusion in power transfer assembly
RU2487011C2 (ru) Рукоятка бритвенного прибора
KR102099060B1 (ko) 자동세척노즐의 홀더 결합구조
JP6594342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CN108289576B (zh) 用于硬面清洁器的抽吸嘴和具有这种抽吸嘴的硬面清洁器
US20150182103A1 (en)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8500159A (ja) 液体のろ過のため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及び装置
US20080000857A1 (en) Modular organizer for crib or playpen
SI1897814T1 (sl) Posoda
CN106805922B (zh) 洗碗机
WO1999056886A1 (fr) Injecteur de liquide a gachette
US7294264B2 (en) Sprayer purifier cartridge system
US8572800B2 (en) Base assembly for sweeper
JP2018061751A (ja) リントフィルタ装置、及び洗濯機
JP4266526B2 (ja) 結露水中和装置
CN107865614A (zh) 吸嘴和具有吸嘴的真空清洁器以及机器人清洁器
US9861254B2 (en) Dish washing machine
AU2021338496B2 (en) Water tank with filter cartridge
CN108430290A (zh) 用于硬面清洁设备的吸嘴和具有这种吸嘴的硬面清洁设备
JP4939146B2 (ja) 給液タンク並びに燃焼暖房機等の液消費機器
JP3201421U (ja) 清掃具用把手及び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