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785B1 - 서가 - Google Patents
서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8785B1 KR102098785B1 KR1020190140645A KR20190140645A KR102098785B1 KR 102098785 B1 KR102098785 B1 KR 102098785B1 KR 1020190140645 A KR1020190140645 A KR 1020190140645A KR 20190140645 A KR20190140645 A KR 20190140645A KR 102098785 B1 KR102098785 B1 KR 102098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bracket
- bookshelf
- vertical frame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47B63/06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with trays revolving on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a writing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A47B65/15—Partitions, e.g. divid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편리한 잡지꼬지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들 중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 사이에 위치하는 잡지꽂이 이동선반; 그리고 상기 상부 선반 및 상기 선반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후단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들 중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 사이에 위치하는 잡지꽂이 이동선반; 그리고 상기 상부 선반 및 상기 선반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후단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이 용이하고 부가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서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소에 구비되는 책장은 크기가 고정된 형태로 벽면에 설치되어 일면으로만 책을 보관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서관이나 서점 또는 대형 사무소에 구비되는 서가는 다양한 종류 그리고 방대한 양의 서적, 정기간행물, 잡지 등과 같은 도서류나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서가의 경우에는 설치되는 공간 환경이나 보관하는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확장이 용이하고 부가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필요가 있다. 즉, 방대한 양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필요에 따라 확장이 용이하고 대상물의 종류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가의 경우에는 대상물을 주제별 또는 종류별로 분류하여 대상물을 진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서 대상물 목록표(일반적으로는 도서목록표)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서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도서목록표를 단순히 부착하는 등 매우 조잡한 형태의 도서목록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미려한 디자인과 도서목록표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도서목록표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 서적은 그 두께 부분이 서가 전면으로 배치되도록 서가에 수용된다. 그러나 잡지와 같은 대상물의 경우 또는 베스트 셀러와 같은 대상물의 경우에는, 사용자나 소비자에게 노출 면적을 높이기 위해, 그 전면이 서가 전면으로 배치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잡지꽂이가 서가에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서가는 이러한 잡지꽂이의 설치 및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 아울러, 기존 서가 구조를 용이하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잡지꽂이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선반에는 서적을 좌우로 구획하는 이동 가능한 북앤드가 제공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북앤드가 북앤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제작, 장착, 분해 등이 용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작, 장착 그리고 필요 시 탈부착이 용이한 북앤드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특허공보 10-2019-0072059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서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선반의 전방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과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 장착 및 분리 용이, 그리고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잡지꽂이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본 서가에서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잡지꽂이 이동 선반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고, 인출 및 인입 시 잡지꽂이 이동 선반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련한 디자인, 제작 용이, 장착 및 분리 용이가 가능한 북앤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환봉 밴딩으로 형성된 북앤드와 상기 북앤드를 서가 또는 선반에 견고히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북앤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전면 결합부와 내측면 결합부를 갖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의 전면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판부;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세로 프레임의 내측면 결합부의 후방에서 걸림 결합되는 후벽부를 포함하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상판부와 상기 후벽부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 회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회피부가 상기 세로 프레임과 형합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에 대한 상기 선반의 좌우 이동과 후방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회피부는, 좌우 회피부와 전후 회피부를 포함하고, 양쪽의 전후 회피부 사이에서의 선반 폭보다 상기 후벽부에서의 선판 폭이 더 크도록, 상기 후벽부는 확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면 결합부는, 상기 확장부의 전방에서 상기 확장부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프레임은,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는 빔 프레임과 상기 빔 프레임의 전면 양단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서가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결합부는, 상기 측판부재가 결합되는 측판부재 결합부와 상기 선반 브라켓이 결합되는 선반 브라켓 결합부를 서로 구획하는 분리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브라켓은, 측판부; 상기 측판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 끼움부는, 상기 측판부의 후방에서 상기 서가의 내측으로 절곡된 측방 절곡부; 그리고 상기 축방 절곡부에서 상기 서가의 후방으로 절곡된 후방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의 일부와 상기 후방 절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면 결합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절곡부의 말단에는 결합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 후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선반 브라켓의 후방 이동, 전방 이동 그리고 하방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들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면 결합부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은, 상기 서가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타터 세로 프레임; 상기 서가의 타측에 구비되는 엔더 세로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서가의 가로 확장을 위해 상기 스타터 세로 프레임과 엔더 세로 프레임 사이에 추가되는 에더 세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더 세로 프레임은 좌우 대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타터 세로 프레임의 내측면 결합부와 동일한 결합부가 상기 에더 세로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복식 서가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은 전후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타터 세로 프레임 또는 엔더 세로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장착을 위한 외측면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결합부는, 상기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고정부재가 상부에서 하부로의 삽입 이동을 안내하고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보조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외측면 결합부를 갖는 세로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의 외측면 결합부에 장착되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는, 상기 세로 외측면 결합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그리고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이동부재의 하방 누름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은 외측면과 중공을 갖는 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 결합부는,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단턱과 상기 단턱의 돌출 말단에서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 중앙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외측면 결합부에 결합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재 바디;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바디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 상기 단턱 그리고 상기 보조 플랜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빔 프레임의 중공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바디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걸쳐 상기 이동부재가 전후로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관통홀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 사이에서 위치되는 이동부재 바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는 누름부;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바디를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후면과 밀착시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재 바디에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 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 사이의 밀착력을 가변하도록 구비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바디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 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동부재 바디의 상하 이동폭과 대응되도록 높이를 갖고, 상기 이동부재 바디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좌우 폭을 갖는 가로 관통홀; 그리고
상기 볼트가 상기 이동부재와 일체로 관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상하 이동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세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누름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들 중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 사이에 위치하는 잡지꽂이 이동선반; 그리고 상기 상부 선반 및 상기 선반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후단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선반은, 상판부;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서 상기 상판부와 상하 소정 공간을 갖고 상기 상판부에 고정되는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에는, 상기 이동 브라켓이 체결되기 위해 볼트, 너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의해 상기 볼트, 너트 또는 레벳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 브라켓과 선반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선반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서포터는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출 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하는 인출 지지부; 그리고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입 시 상기 잡지꽂이를 지지하는 인입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지지부는 전방 인입지지부와 후방 인입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인입지지부보다 상기 후방 인입지지부가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과 상기 잡지꽂이 선반은 롤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에는 슬릿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의 후방에는 상기 롤러가 하부로 이동하여 구속되는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걸림부에서 롤러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잡지꽂이 선반이 후방 인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접지꽂이 선반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잡지꽂이 선반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부는 일례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반 브라켓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일측이 고정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전면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적을 지지하고, 서적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벽부를 포함하는 선반; 그리고 상기 선반에 수용된 서적의 좌우로 구분하여 지지하는 북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북앤드 어셈블리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단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연장부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선반의 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북앤드; 그리고 상기 연장부 및 절곡부가 삽입되고, 상기 선반 후벽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서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연장부 그리고 절곡부는 환봉 벤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선반 후벽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절곡부와 연장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된 후,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측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을 형성하는 후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선반의 후벽부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는 상기 상면부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연장 길이가 상기 후면부의 연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북앤드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는, 상기 선반의 후벽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후벽부에 끼워져 상부 이동이 제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북앤드의 절곡부를 지지하는 제1바디; 그리고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북앤드의 말단 절곡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북앤드의 외면과 형합하기 위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전체 그리고 상기 제2바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고정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각각 단일 몸체를 갖도록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식 서가 또는 복식 서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잡지꽂이 실시예는 단식 목재 서가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선반의 전방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과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 장착 및 분리 용이, 그리고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잡지꽂이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기본 서가에서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잡지꽂이 이동 선반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고, 인출 및 인입 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미련한 디자인, 제작 용이, 장착 및 분리 용이가 가능한 북앤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환봉 밴딩으로 형성된 북앤드와 상기 북앤드를 서가 또는 선반에 견고히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북앤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가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가의 골격 구조 및 상판부재의 지지/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3은 세로 프레임 특히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을 도시하고,
도 4는 세로 프레임 특히 에더의 세로 프레임을 도시하고,
도 5는 선반을 도시하고,
도 6은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의 분해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서 도서목록표 어셈블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8은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9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이동부재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도 11은 이동부재가 세로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2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 모습 및 이동부재의 고정 및 이동 구조를 도시하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적용될 수 있는 잡지꽂이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도 14는 잡지꽂이 어셈블리에서 잡지꽂이 이동선반과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15는 잡지꽂이 어셈블리의 선반 브라켓을 도시하고,
도 16은 잡지꽂이 어셈블리의 상부 선반을 하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17은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고,
도 18은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에 대해서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이동 모습 순서를 도시하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적용될 수 있는 북앤드 어셈블리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0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북앤드를 도시하고,
도 21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제1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22는 북앤드 어셈블리의 제2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23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북앤드, 제1고정부재 그리고 제2고정부재의 분해 모습을 도시하고,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모두 포함한 서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가의 골격 구조 및 상판부재의 지지/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3은 세로 프레임 특히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을 도시하고,
도 4는 세로 프레임 특히 에더의 세로 프레임을 도시하고,
도 5는 선반을 도시하고,
도 6은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의 분해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서 도서목록표 어셈블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8은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9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이동부재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도 11은 이동부재가 세로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2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 모습 및 이동부재의 고정 및 이동 구조를 도시하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적용될 수 있는 잡지꽂이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도 14는 잡지꽂이 어셈블리에서 잡지꽂이 이동선반과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15는 잡지꽂이 어셈블리의 선반 브라켓을 도시하고,
도 16은 잡지꽂이 어셈블리의 상부 선반을 하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도 17은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고,
도 18은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에 대해서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이동 모습 순서를 도시하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적용될 수 있는 북앤드 어셈블리가 선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0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북앤드를 도시하고,
도 21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제1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22는 북앤드 어셈블리의 제2고정부재를 도시하고,
도 23은 북앤드 어셈블리의 북앤드, 제1고정부재 그리고 제2고정부재의 분해 모습을 도시하고,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모두 포함한 서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기본적인 서가(100)에 대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련 복식 6단의 서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선반이 6행 3열로 구비되고, 전후로 대칭되어 전후로 서적을 수납할 수 있는 서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2련 복식 서가에서의 서가의 골격 구조, 그리고 상기 골격 구조와 상판부재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복식 서가뿐만 아니라 단식 서가로도 제공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서가의 전후 대칭 구조 중 후방 구조만 생략함으로써 복식 서가가 단식 서가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일측의 1련(1열) 부분의 서가를 스타터(1, starter) 그리고 타측의 1련 부분의 서가를 엔더(3, ender)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타터와 엔더만으로 구성된 서가는 2련 서가라 할 수 있다.
스타터와 엔더 사이 1련 부분의 서가를 에더(2, adder)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에더가 추가됨으로써 서가의 수평 확장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서가 전체를 이루는 구성들의 종류의 수는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즉, 생산 및 조립의 용이 그리고 확장의 용이를 위해서 가급적 유사 구성은 동일하도록 기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서가의 전체적인 골격 구조 즉 프레임(10, 30)을 형성하는 기둥(10, 세로 프레임)과 좌우 기둥들을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30)에 주목하여, 프레임의 구조를 가급적 통일하여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한 서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100)는, 서가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10), 세로 프레임들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30), 상기 세로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선반의 열(단)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선반 브라켓(40)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10)과 양쪽 선반 브라켓 사이에 가로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선반(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세로 프레임(10)은, 스타터(1)의 좌측 기둥이라 할 수 있으며 엔더(3)의 우측 기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서가(10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타터의 기둥과 엔더의 기둥은 서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100)는, 서가의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에더(2)의 세로 프레임(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에더의 기둥이 추가됨으로써 서가는 가로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는 2 개의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이 추가되어 3련 서가를 형성한 모습 그리고 도 2에는 2련 서가를 형성하기 위하여 1 개의 에더 세로 프레임(20)이 추가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는, 가로 프레임(30)과 세로 프레임(10, 20)의 상부에서 가로로 구비되어 상기 서가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부재(90)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10, 20)에 세로로 구비되어 상기 서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부재(80)는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재(90)의 전후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상판부재 서포터(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재 서포터(31)는 세로 프레임(10, 20)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재 서포터(31)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판부재 서포터(31)는 상기 가로 프레임(3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부재 서포터(31)에 의해서 상기 상판부재(90)의 전후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좌우 상판부재 서포터(31)에 의해서 상기 상판부재(90)의 좌우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된 95는 서가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레그, 96은 바닥면에 대해서 서포트 레그를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레그 캡(96)이다.
도 1에서의 측판부재(80)는 목판부재일 수 있으며, 아크릴판부재일 수 있다. 좁은 형태의 목판부재와 넓은 형태의 아크릴부재가 이중으로 겹쳐져 구비될 수도 있다.
서가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면, 투명 내지는 불투명의 아크릴부재가 위치하는 서가 측면 부분에서 은은한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심미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목판부재로만 측판부재가 형성될 때, 목판부재의 두께부분 전체가 측판 결합부(13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목판부재의 하단부분 일부는 상기 서포트 레그(95)의 일부를 감싸면서 형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목판부재는 서가의 양측면에서 상기 서포트 레그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시각적인 안정을 제공함과 동시에 바닥면과 서가 측벽 사이의 상하 갭을 최소화활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세로 프레임의 구조, 선반의 구조 및 세로 프레임과 선반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하는 세로 프레임(10, 20)에는 복수 개의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는 제1결합부 내지는 제3결합부라 할 수 있으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부의 위치에 따라서 외측면 결합부, 내측면 결합부, 전면 결합부 그리고 후면 결합부 등 다양한 용어로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10)을 도시하고, 도 4는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을 도시하고 있다.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과 엔더의 세로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가가 조립된 후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과 엔더의 세로 프레임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가의 양단에 위치하는 세로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전체적인 세로 프레임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에더가 없는 경우 동일한 2 개의 세로 프레임(10) 그리고 중간에 위치하는 다른 1 개의 세로 프레임(20)을 통해서 2련 복식 서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 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은 구조적인 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 압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을 통해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도록 세부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세로 프레임(10)은 중공 형태의 빔 프레임(1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빔 프레임(15)을 기본 구조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재료를 통해서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빔 프레임(15)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빔 프레임(15)의 전후좌우 즉 4면(15a, 15b, 15c, 15d)을 통해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빔 프레임의 4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와 같은 체결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구성과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빔 프레임(15)의 어느 하나의 면이 홈의 일부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빔 프레임의 4면 중 서가의 외측을 형성하는 외측면(15a)에는 이러한 체결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홈과 같은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세로 프레임 형상의 통일성, 제작의 용이성 그리고 특히 도서목록표 설치 구조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빔 프레임(15)의 외측면(15a)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레임(15)의 단면은 빔 프레임의 전후좌우에 상대적으로 넓은 수직면을 갖는 형태라면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8각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전후좌우 변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고, 모서리 부분의 변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은 직선 형태가 아닌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빔 프레임(15)의 4면은 실질적으로 세로 프레임(10)의 4면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로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상하로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세로 프레임(10)의 외측면 내지는 빔 프레임(15)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제1결합부(11) 내지는 외측면 결합부라 할 수 있다. 세로 프레임(10)의 내측면 내지는 빔 프레임(15)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제2결합부(12) 내지는 내측면 결합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들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 또는 채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결합부에 대응되는 구성이 상부에서 하부(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1, 12)를 형성을 위해서,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15a)과 내측면(15b)에는 전후로 확장된 플랜지(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면(15a)와 내측면(15b)에서 전후로 더욱 연장된 형태의 플랜지(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6)는 빔 프레임(15)이 4각 단면을 갖는 경우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6)는, 빔 프레임의 외측면(15a) 또는 내측면(15b)과 대략 동일 선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빔 프레임의 전면(15c) 또는 후면(15b)과 대략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6)는 상기 세로 프레임(10) 내지는 빔 프레임(15)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로 프레임 내지는 빔 프레임과 동일하게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 프레임(15)의 전면(15c)과 상기 전면(15c)의 좌우 양측의 플랜지(16)를 통해서 "ㄷ"자 형태의 홈 내지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 내지는 채널은 전술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는 구분되며, 별도의 구성과 결합을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이를 제3결합부(13) 내지는 전면 결합부라 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레임(15)의 후면(15d)과 상기 후면(15d)의 좌우 양측의 플랜지(16)를 통해서 마찬가지로 "ㄷ"자 형태의 홈 내지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세로 프레임(10)에서 제3결합부(13)는 전후로 대칭되어 2 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로 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홈 형태의 제3결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결합부는 선반(60)의 조립 및/또는 서가의 측판부재(80)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가의 측면은 미려한 디자인과 구조적 강성 보강을 위해서 측판부재(80)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부재(80)가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제3결합부(13)에 고정됨으로써, 측판부재(80)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을 고정하기 위한 선반 브라켓(40, 도 6 참조)이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제3결합부(13)에 고정됨으로써, 선반 브라켓(40)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판부재(80)와 선반 브라켓(40)이 하나의 결합부에 함께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먼저 측판부재(80)가 홈 형태의 제3결합부의 일측(서가의 외측 부분)에 삽입된 후 선반 브라켓(40)이 홈의 타측(서가의 내측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측판부재(80)의 두께와 선반 브라켓(40)의 두께 차이, 측판부재와 선판 프레임의 높이 차이 등의 이유로 측판부재와 선반 브라켓이 삽입되는 체결부는 서로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판부재(80)는 상기 세로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서가의 전체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반 브라켓(40)은 전체적인 지지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다. 따라서, 먼저 측판부재(80)가 세로 프레임(10)에 견고히 고정된 후, 상기 선반 브라켓(40)이 세로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세로 프레임(10)에는 측판부재 결합을 위한 결합부(13a)와 선반 브라켓 결합을 위한 결합부(13b)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결합부(13)는 서로 구별되는 측판 결합부(13a)와 선반프레임 결합부(13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6) 사이에는 분리 플랜지(1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플랜지(18)는 상기 좌우의 플랜지(16)와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의 플랜지(16)와 분리 플랜지(18) 사이의 공간은 측판부재 결합을 위한 측판 결합부(13a)를 형성하고, 우측 플랜지(16)와 분리 플랜지(18) 사이의 공간은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 결합부(13a)의 가로 폭은 상기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의 가로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충분한 서가의 구조적 강성을 위해서 측판부재(80)의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선반 지지를 위해서도 충분한 선반 브라켓 지지폭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되는 선반 브라켓 지지폭은 측판부재 지지폭보다는 작을 것이다. 아울러, 선반 브라켓 지지폭이 커질수록 좌우로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선반 브라켓(40)의 지지를 위한 결합부의 좌우 폭은 측판부재의 지지를 위한 결합부의 좌우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빔 프레임(15)의 중공(15e)에는 전후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빔 프레임(15)의 강도 보강, 빔 프레임의 제작 편이 그리고 상판부재 연결을 위한 보스(19a,boss) 형성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19a)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서 상판부재(90)가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부에서 세로 프레임과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 플랜지(18)는 상기 보강 리브(19)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연속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빔 프레임(15)의 좌측면(15a, 서가 기준으로 외측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16)는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빔 프레임의 우측면(서가 기준으로 내측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마찬가지로 상기 플랜지(16)는 좌우로 연장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빔 프레임의 좌측면과 좌우로 연장된 플랜지를 통해서 제1결합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면에도 제2결합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플랜지(16)는 상기 빔 프레임(15)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보다 더욱 돌출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면 또는 우측면과 플랜지 사이에는 단턱(12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빔 프레임과 연결되는 플랜지의 하단 부분의 두께를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플랜지(16)는 연장됨에 따라 두께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체적으로 플랜지의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랜지 단면에서의 직선부(16a) 내지는 직각면(일례로, 빔 프레임의 전면에 대한 직각면)은 상기 빔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의 홈을 형성하고, 사선부(16b) 내지는 경사면은 서가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단면에서의 베이스부(16c)는 플랜지 단면에서 가장 두께가 클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단턱(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단면의 특성은 상기 세로 프레임(10)에 측판부재(80)가 결합된 경우, 측판부재(80)와 세로 프레임(1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서가의 측면 중앙부에서 상기 플랜지(18)는 좌우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플랜지(18)의 밑단으로부터 말단을 향해서 플랜지의 두께가 얇아지는 만큼(다시 말하면 기우어진 폭의 크기가 큰 만큼), 플랜지의 말단에서 측판부재와의 단차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므로 미려하고 안전한 서가의 측면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세로 프레임(10)의 좌측면 또는 외측면에 제1결합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 플랜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플랜지(17)는 상기 플랜지(18)가 빔 프레임(15)의 외측면(15a)에서 돌출된 말단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플레임(10)의 측면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빔 프레임의 외측면(15a), 2개의 플랜지(16)의 단턱(12a) 그리고 2개의 보조 플랜지(17)를 통해서 "ㄷ"자의 홈이 좌우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얇은 판 형태의 대상물(일례로 후술하는 도서목록표)가 상기 양쪽 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은 단식이 아닌 복식 서가, 즉 서가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전후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좌측 구조와 우측 구조는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보조 플랜지(17)의 유무를 제외하고 그 구조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플랜지(17)는 서가의 외측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는 후술하는 도서목록표와 같은 부가 기능의 설치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보조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는 세로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2 개 플랜지(16)의 두께 부분( 2 개의 단턱 12a)과 빔 프레임의 내측면(15b) 사이에 'ㄷ'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단턱(12a)의 높이와 같으므로, 홈의 높이에 비해서 매우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홈을 통해서 가로 프레임(3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12)를 가로 프레임 결합부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 프레임 결합부(12)는 상기 빔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단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단턱(12a)은 선반(60)의 이탈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턱 후방에 삽입되는 선반의 일부 부분이 상기 단턱(12a)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 프레임 결합부는 선반 이탈 방지부라 할 수 있다.
도 3에서 미설명된 10a는 상기 서포트 레그(95)가 삽입되는 삽입부(10a)라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a)는 전술한 스타터 또는 에더 세로 프레임 중 하부 일부분에서 분리 플랜지(18)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세로 프레임(10), 선반 브라켓(40) 그리고 선반(60) 사이의 결합 구조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의 기본 구조는 전술한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10)과 유사할 수 있다. 다만, 2 개의 세로 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되는 세로 프레임(20)이며, 서가의 중간에 필요 시(서가 확장 시) 추가되는 구성이므로, 좌우 폭은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그리고 측판부재(80)가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측판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는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서가의 내측에 구비되므로 도서목록표의 결합을 위한 구조도 생략될 수 있다. 즉,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 중 측판 결합부를 생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도 제2결합부(가로 프레임 결합부, 22)와 제3결합부(23, 선반 브라켓 결합부(23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에더의 제3결합부에는 측판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지 않고 선반 브라켓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만 구비될 수 있다.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10)에서의 플랜지(16), 빔 프레임(15), 보강 리브(19), 보강 리브 보스(19a)는, 각각 에더의 세로 프레엠(20)에서의 플랜지(26), 빔 프레임(25), 보강 리브(29), 보강 리브 보스(29a)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에더의 특성 상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결합부(23b)에 2개의 선반 브라켓(40)이 삽입될 수 있다. 즉, 2 개의 선반 브라켓은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자가 포개진 상태에서 동시에 1개의 선반 브라켓 결합부(23b)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10)에서와 마찬가지로 선반 브라켓 결합부가 서로 구별되도록 2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플랜지가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 플랜지의 두께만큼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의 좌우 폭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서가의 좌우 폭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에더의 세로 프레임인 경우, 선반 브라켓 결합부(23b)는 에더의 빔 프레임(25)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1개씩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더의 세로 프레임(25)에는 상하로 복수 개의 체결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25)의 전면과 후면 또는 빔 프레임(25)의 전면(25c)과 후면(25d)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2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반 브라켓(40)의 고정 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4)은 상하폭이 좌우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세로 프레임(25)의 양측면 또는 빔 프레임(25)의 양측면(25a, 25b)에 복수 개의 결합홀(27)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세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상하로 2 개 내지 3개의 결합홀(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27)을 통해서 가로 프레임(30)이 세로 프레임(25)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세로 프레임(25)의 체결홀(24)과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10)에도 체결홀(14, 도 6참조)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양자의 기능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반 브라켓(40)의 일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됨으로써 선반 브라켓의 수직 하중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세로 프레임(25)의 결합홀(27)과 마찬가지로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10)에도 체결홀(17a, 도 6 참조) 형성될 수 있다. 양자의 기능은 동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10, 20)에서의 가로 프레임(30) 결합 구조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세로 프레임(10, 20), 선반 브라켓(40) 그리고 선반(60)의 결합 내지는 연결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끼움 구조에 의해서 선반이 고정되고 이동이 제한되는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선반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스타터(엔더)의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모습은 에더의 세로 프레임, 선반 브라켓 그리고 선반의 결합 모습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선반 브라켓(40)은 상기 세로 프레임(10)에 형성된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선반 브라켓(40)은 금속 판재가 판금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10)에 형성된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에 선반 브라켓(40)의 일측과 선반(60)의 일측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선반 브라켓(40)의 타측과 선반(60)의 타측은, 에더의 세로 프레임(20)에 형성된 선반 브라켓 결합부(23b)와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의 결합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 브라켓(40)은 측판부(41), 절곡 끼움부(42) 그리고, 선반 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부(41)는 수용되는 서적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부(41)의 후방에는 상기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에 삽입되기 위한 절곡 끼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 끼움부(42)는 상기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도록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판부(41)의 후방에서 서가의 내측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후, 다시 서가의 후측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절곡 끼움부(42))는 측방 절곡부(42a)와 후방 절곡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부(41)의 일부와 상기 후방 절곡부(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반 브라켓 결합부(13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측판부(41)의 일부는 상기 분리 플랜지(18)와 면접촉을 하고 상기 후방 절곡부(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랜지(16)와 면접촉을 할 수 있다. 삽입 결합이 가능한 공차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서, 선반 브라켓(40)이 세로 프레임(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후방 절곡부(42)의 후방 말단에는 결합 후크(42c)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방 절곡부(42)의 후방 말단에는 상하로 복수 개의 결합 후크(4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는 금속 판재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후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가 상기 체결홀(14)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 후크의 형상에 의해서 선반 브라켓(40) 전체가 하방으로 이동된 후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선반 브라켓(40)은 서적의 무게로 인해서 수직 하중을 받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 후크 결합 구조에 의해서 선반 브라켓의 결합, 분리 그리고 이동 제한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10)에는 상하로 복수 개의 선반 브라켓(4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하나의 선반 브라켓(40)의 고정을 위한 3 개의 체결홀(14)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로 프레임(10)에는 다수의 체결홀(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체결홀(24)은 상하로 등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복수 개의 선반들이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거나 부등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결합 후크가 삽입되는 체결홀의 위치를 달리하여 선반 브라켓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선반 브라켓의 측판부(41)의 하부에는 선반 지지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43)는 상기 측판부(41)의 하부에서 연속적으로 판재의 절곡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을 통해서 선반 지지부(4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하나의 선반은 좌우의 선반 브라켓(40)에 의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일측 선반 브라켓은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 선반 브라켓은 엔더의 세로 프레임 또는 에더의 세로 프레임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선반 브라켓은 하나의 판재를 절곡 등의 가공을 통해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용이한 선반 브라켓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선반이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서 하부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의 선반 브라켓(40)사이에는 하부 서포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트는 좌측 선반 브라켓의 선반 지지부와 우측 선반 브라켓의 선반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서포터도 판재의 판금 절곡 등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60)의 하중은, 선반 지지부(43) 그리고 선반 지지부를 연결하는 하부 서포터(50)에 의해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의 결합 및 분리 용이성을 증가시키면서, 사용 과정에서 선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선반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선반(60)도 마찬가지로 금속 판재의 판금 절곡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목재 판재에 비해서 성형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60)에는 선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확장부(63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반(60)은 상판부(61), 상기 상판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프레임 회피부(62) 그리고 프레임 회피부 후방에 위치하는 후벽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벽부(63)는 프레임 회피부(62)의 후방 말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벽부(63)는 대상물 특히 서적이 후방 삽입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61)의 전후 좌우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을 통해서 테두리 부분에서의 상판부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려한 디자인 형성, 강도 보강 그리고 안전성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상판부(61)의 하부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 별도의 보강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이러한 공간에 전술한 하부 서포터(50)가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부 서포터(50)와 상판부(61)의 두께가 선반 중심부에서의 두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견고한 선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회피부(62)의 후면과 측면 그리고 후벽부(63)의 측면 및 상면 또한 절곡을 형성하여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회피부(62)는 상판부(61) 후방에서 좌우 일부분이 생략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세로 프레임(10)과 형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회피부(62)는 좌우 회피부(62a)와 전후 회피부(62b)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후벽부(63) 전체의 좌우폭(L1)은 양측의 전후 회피부(62b)에서의 좌우폭(6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벽부(63)는 상기 전후 회피부(62b)에서 좌측 그리고 우측으로 더욱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확장부(63a)라 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63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의 단턱(12a)에 걸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선반의 좌우 확장부(63a)는 각각 양쪽의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단턱(12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선반이 수평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이러한 단턱(12a)에 의해서 선반(60)이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확장부(63a)를 걸림부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 회피부(62)에 의해서 선반(60)이 후방으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즉, 프레임 회피부(62)의 좌우 회피부(62a)와 상기 플랜지(16)가 전후로 맞닿고 있으므로, 선반의 후방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 회피부(62)의 전후 회피부(62)와 상기 플랜지(16)가 좌우로 맞닿고 있으므로, 선반의 좌우 이탈 및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선반의 좌우 확장부에서 확장된 부분의 폭 및 이에 대응되는 단턱의 (12a)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반(60)의 결합과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선반(60)이 좌우로 기울인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60)이 상기 선반 브라켓(40)에 전방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후 상기 선반(60)을 수평으로 만들면 상기 선반은 세로 프레임(10, 20)에 고정되게 된다. 즉, 선반을 좌우로 기울여 선반의 좌우 후벽부가 세로 프레임의 제2결합부(12, 22)로 삽입되도록 하고, 선반을 수평으로 만들면 선반의 좌우 후벽부의 양단은 각각 단턱(12a, 22a)에 걸려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2결합부(12, 22)를 선반 이탈 방지부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의 과정을 통해서 선반의 분리도 용이하게 된다.
이는, 선반(60)을 세로 프레임(10, 20)과 선반 브라켓(40)에 고정함에 있어서, 선반(60)을 세로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말단으로부터 선반을 삽입 고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게 된다. 아울러, 좌우 복수 개의 선반 브라켓들을 상하 간격을 두고 세로 프레임에 결합한 후, 각 단에 해당하는 선반들을 결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선반의 견고한 고정뿐만 아니라 용이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도서목록표 등과 같은 서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 구조를 갖는 서가에 관한 것이다. 즉,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서가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가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타터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상세한 구성 및 구조 그리고 도서목록표 어셈블리의 장착 및 이동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서가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서목록표는 서가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서 등의 카테고리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가에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한 알림판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자연과학이라는 상위 카테고리의 도서 목록을 400으로 분류하고, 수학 410, 물리학 420, 화학 430, 천문학 440, 식물학 450, 동물학 460, 광물학 470 그리고 생물학 480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해당 서가에 이러한 카테고리에 있는 도서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정보가 하나의 도서목록표에 기재되어 있게 된다. 2중 서가의 경우 우측에는 410 내지 440 번호의 도서 그리고 좌측에는 450 내지 480 번호의 도서가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미려한 디자인과 도서목록표의 변경 용이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특히, 단순히 정보를 알리는 도서목록표가 아닌 도서목록표의 장착 구조에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심미감 등은 제품 경쟁력을 높히고 더 나아가 서점이나 도서관 등의 품격 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가 용이하고, 도서목록표의 변경이 용이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를 갖는 서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7에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가 장착된 서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가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스타터의 세로 프레임 또는 엔더의 세로 프레임에 도서목록표 어셈블리가 장착된 서가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세로 프레임의 구조 특히 도서목록표 조립 홈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서목록표 어셈블리(200)는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결합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이동하는 이동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프레임(10)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외측면 결합부(11)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가(100)는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외측면 결합부(11) 특히 외측면 결합부(11)의 상측 부분에 장착되는 도서목록표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목록표 어셈블리(200)는, 상기 세로 외측면 결합부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서목록표 어셈블리(200)는, 하단이 상기 고정부재(210)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이동부재(220)의 하방 누름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아크릴 재질이나 유리 재질 등으로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도서목록표가 기재된 페이퍼가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세로 프레임(10)은 중공을 갖는 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결합부(11)는, 상기 빔 프레임(15)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단턱(12a)과 상기 단턱의 돌출 말단에서 상기 빔 프레임(15)의 외측면 중앙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 플랜지(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외측면 결합부(11)에 결합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재 바디(211)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바디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 상기 단턱(12a) 그리고 상기 보조 플랜지(17)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확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12)는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보조 플랜지(19)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전방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빔 프레임의 중공(15e)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는 걸이부(216)를 포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확장부의 형성이 배제된 축소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소부(213)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재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바디(211)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걸쳐 상기 이동부재가 전후로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관통홀(214)의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와 상기 빔 프레임의 외측면(15a)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부재 바디(2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는(220), 상기 이동부재 바디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는 누름부(223)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바디를 상기 고정부재 바디의 후면과 밀착시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2)는, 상기 이동부재 바디에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볼트(222a) 그리고 상기 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 바디와 상기 고정부재 바디 사이의 밀착력을 가변하도록 구비되는 노브(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무두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의 바디(221)에 용접 등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2를 통해서, 고정부재(210)와 이동부재(220) 사이의 결합, 이동 및 고정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이동부재 바디(221)를 수용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 프레임(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 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제한 프레임은 고정부재 바디의 후방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이동부재 바디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이동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부재의 이동 거리 제한을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14)은, 상기 이동부재 바디의 상하 이동폭과 대응되도록 높이를 갖고, 상기 이동부재 바디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좌우 폭을 갖는 가로 관통홀(214a) 그리고 상기 볼트가 상기 이동부재와 일체로 관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의 상하 이동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세로 관통홀(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17b)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를 누르는 누름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와 누름부에는 상기 플레이트(23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형성된 홈(231, 231)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는 끼움부(217a, 22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는 플레이트 상부와 하부의 홈(231, 232)에 끼움 고정이 되어, 플레이트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10)의 대부분 구성은 판재의 절곡 가공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동제한 프레임(215)과 끼움부(217a)를 제외하고 일체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제한 프레임(215)은 고정부재(210)의 후방에서 세로 프레임과의 이격 거리를 메우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이동제한 프레임(215)은 이동부재(220)에 대응되는 고정부재의 일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이동제한 프레임으로 인해서 고정부재의 강성이 보강된다. 이동부재의 고정시 이동부재가 고정부재를 당길 수 있는데, 이로 인한 변형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제한 프레임으로 인해서 이러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부재(220)의 대부분 구성은 판재의 절곡 가공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끼움부(226a)를 제외하고 일체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의 일부분은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이동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이동부재의 일부분은 이동부재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재가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관통은, 관통홀의 형상, 판재로 형성된 이동부재의 크기를 부분 별로 달리함, 그리고 이동부재의 삽입 시 자세와 이동부재의 정상 장착 시 자세를 달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220)와 고정부재(210)은 서로 결합된 후 세로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이동부재(220)가 이동제한 프레임(215) 내에서 최하부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부를 통해서 양자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자가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서목록표 어셈블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에 결합된 후 상부 캡(70)에 의해서 더욱 더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상부 캡(70)은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세로 프레임(10) 상단 특히 중공(15e)을 막고, 고정부재(210)의 걸이부(216)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를 설명한다. 특히, 잡지꽂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가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잡지꽂이 어셈블리의 선반과 선반 브라켓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선반과 선반 브라켓과 동일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선반과 선반 브라켓의 크기, 이동 브라켓 장착부 등으로 인해 세부적으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잡지꽂이 어셈블리는 추가적으로 잡지꽂이 이동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본적인 서가의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10, 20),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310)과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선반(32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들 중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 사이에 위치하는 잡지꽂이 이동선반(31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선반(320) 및 상기 선반 브라켓(310)에 고정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 선반의 후단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330)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 선반(315)의 양측에서 상기 잡지꽂이 이동 선반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 브라켓(330)은 일체로 형성된 바디(331) 그리고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다양한 세부 구조를 갖는다. 즉, 이동 브라켓의 고정 및 이동 선반(315)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 구조를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선반(320)은, 상판부(321)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서 상기 상판부와 상하 소정 공간을 갖고 상기 상판부(321)에 고정되는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321)는 잡지꽂이가 설치되지 않는 일반 선반(60)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322)에는, 상기 이동 브라켓(330)이 체결되기 위해 볼트, 너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체결홀(323)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의해 상기 볼트, 너트 또는 레벳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 상기 이동 브라켓(330)에는 상기 체결홀(323)에 대응되는 체결홀(323)이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330)은 상부 선반과 선반 브라켓에 동시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면과 측면에서 이동 브라켓이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 브라켓(33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는 상판부(321)의 하부에서 상판부(321)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브라켓(310)과 선반 브라켓(310)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선반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는 전술한 하부 서포터(50)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포터(50)는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서포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이로 인한 선반 두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330)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 선반(315)이 인출 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하는 인출 지지부(337) 그리고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입 시 상기 잡지꽂이를 지지하는 인입 지지부(338, 3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지지부는 전방 인입지지부(338)와 후방 인입지지부(339)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인입지지부보다 상기 후방 인입지지부가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입 시 무게 중심이 뒤에 위치하게 되어, 이동선반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잡지꽂이 이동 선반의 이동을 위해서,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330)과 상기 잡지꽂이 이동 선반(315)은 롤러(33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에는 슬릿(3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의 후방에는 상기 롤러가 하부로 이동하여 구속되는 구속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잡지꽂이 선반과 결합되는 고정부(3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단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부재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 브라켓(310)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330)의 일측이 고정되는 측판부(311); 상기 측판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313); 그리고 상기 측판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전면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 끼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선반 브라켓(310)은 이동 브라켓의 장착을 위한 체결홀(또는 너트, 315)의 공간을 위해 그 면적이 넓을 수 있다. 다만, 다른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북앤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서가의 특징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적을 지지하고, 서적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후벽부(63)를 포함하는 선반(60) 그리고 상기 선반에 수용된 서적의 좌우로 구분하여 지지하는 북앤드 어셈블리(400)를 포함하는 서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북앤드 어셈블리(400)는, 북앤드(405)와 북앤드를 이동 가능하게 ㅈ바지지하는 고정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북앤드(405)는 바디(410), 상기 바디의 양단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연장부(411, 412) 그리고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선반의 측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13, 414, 415, 416), 그리고 상기 절곡부(413, 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서적의 측면을 지지하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실질적으로 4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북앤드 전체는 하나의 환봉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북앤드 어셈블리(400)는 북앤드(405) 그리고 상기 북앤드의 절곡부가 삽입되고, 상기 선반 후벽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구체적으로, 측방 절곡부 그리고 말단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2 개의 측방 절곡부(413, 414)는 선반 후벽부와 나란하게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2 개의 말단 절곡부(416, 415) 중 하나는 상방 그리고 다른 하나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410), 연장부(411, 412) 그리고 절곡부(413, 414)는 환봉 벤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순 벤딩 작업을 통해서 북앤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가벼우면서도 적은 재료를 이용하면서 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북앤드 어셈블리(400)의 고정부재는, 상기 선반 후벽부(63)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420) 그리고 상기 절곡부(일례로, 측방 절곡부와 말단 절곡부 모두)가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된 후,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20)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일측을 형성하는 전면부(421),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을 형성하는 후면부(424) 그리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선반의 후벽부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상면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21)와 후면부(424)는 상기 상면부에서 각각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연장 길이가 상기 후면부의 연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연장 길이는 양자가 차이가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20)의 일측에는 상기 북앤드가 삽입되는 개구부(427, 428)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424)는, 상기 선반의 후벽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후벽부에 끼워져 상부 이동이 제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부재(430)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북앤드의 측방 절곡부를 지지하는 제1바디(431) 그리고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에 대해서 상기 북앤드의 말단 절곡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북앤드의 외면과 형합하기 위한 그루브(431, 4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430)는 상기 북앤드의 일부분과 밀착 형합되어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30)의 제1바디(431) 전체 그리고 상기 제2바디(43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426)를 통해서 상기 제1고정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북앤드는 상기 제1고정부재(430)에 삽입된 후 말단 절곡부에 의해서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가 상기 북앤드 특히 절곡부(413, 414)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한다. 따라서, 절곡부의 탄성 변형이 제한되며, 따라서 북앤드(405)의 이탈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북앤드의 연장부(414, 413)은 상기 제1고정부재(430)의 후면부 방향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고정부재(430)에 고정된다. 후면부(424)가 즉, 개구부(427, 426)에 의해 형성되는 측방향 공간을 통해서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하 연장부(414, 413)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상하 연장부(413, 414) 사이를 벌리면, 연장부와 절곡부는 상부 고정부(423)과 하부 고정부(424)에 각각 고정된다. 즉 끼움 결합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북앤드가 선반에 대해서 견고히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각각 단일 몸체를 갖도록 사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재질로 인해 일정한 탄성 변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출 재질의 탄성 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제1고정부재 와 제2고정부재 사이의 결합, 그리고,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북앤드 사이의 결합이 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19에서 미설명된 97은 선반에 구비되는 서적들의 정보 내지는 분류 번호를 표시하는 네임 테그이다.
도 23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모두 적용된 서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두 개의 서가가 병렬로 배치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복식 서가가 병렬로 배치되는 경우 양쪽 서가를 서로 견고히 연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가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일례로, 전도 방지부재(9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 방지부재는 바 내지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 방지부재는 서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필요한 경우 천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도 방지부재는 연결부재(99)를 통해서 각각의 서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 미설명된 97은 선반에 구비되는 서적들의 정보 내지는 분류 번호를 표시하는 네임 테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가를 통해서, 미려한 디자인, 사용 편이 그리고 제작, 확장,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한 서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서가 1 : 스타터
2 : 에더 3 : 엔더
10 : 스타터(엔더) 세로 프레임
11 : 제1결합부(도서목록표 결합부, 외측면 결합부)
12 : 제2결합부(가로 프레임 결합부, 선반 이탈방지부, 내측면 결합부)
12a : 단턱
13 : 제3결합부(전면 결합부) 13a : 측판 결합부
13b : 선반 프레임 결합부 15 : 빔 프레임
15a : 외측면(좌측면) 15b : 내측면(우측면)
15c : 전면 15d : 후면
16 : 플랜지 16a : 직선부
16b : 사선부 16c : 베이스부
17 : 보조 플랜지 18 : 분리 플랜지
19 : 보강 리브 19a : 보강 리브 보스
20 : 에더 세로 프레임
22 : 제2결합부(가로 프레임 결합부)
23 : 제3결합부(선반 프레임 결합부(23b))
24 : 체결홀 25 : 빔 프레임
26 : 플랜지 27 : 결합홀
29 : 보강 리브 29a : 보강 리브 보스
30 : 가로 프레임 31 : 상판부재 서포터
40 : 선반 브라켓
41 : 측판부 42 : 절곡끼움부
43 : 선반지지부
50 : 하부 서포터
60 : 선반
61 : 상판부 62 : 프레임 회피부
63 : 후벽부 63a :확장부(걸림부)
70 : 상부 캡 80 : 측판부재
90 : 상판부재 95 : 서포트 레그 96 : 레그 캡 97 : 네임 테그 98 : 전도 방지부재 99 : 연결부재 200 : 도서목록표 어셈블리
210 : 고정부재 211 : 고정부재 바디
212 : 확장부 213 : 축소부
214 : 관통부 214a : 가로 관통홀
214b : 세로 관통홀 215 : 이동제한 프레임
216 : 걸이부 217a : 끼움부
217b : 받침부
220 : 이동부재 221 : 이동부재 바디
222 : 고정부 222a : 무두볼트
222b : 노브 223 : 누름부
223a : 끼움부 230 : 도서목록표 장착 플레이트
231 : 상부 끼움홈 232 : 하부 끼움홈
300 : 잡지꽂이 어셈블리 310 : 잡지꽂이 선반 브라켓
315 : 잡지꽂이 이동 선반 320 : 잡지꽂이 선반
321(선반, 60) 322 :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
323 체결홀 330 :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
331 : 바디 332 : 체결부
333 : 이동 슬릿 334 :롤러 걸림부
335 : 롤러 336 : 롤러 체결부재(단볼트)
337 : 인출 지지부 338 : 전방 인입 지지부
339 : 후방 인입 지지부
400 : 북앤드(이동 칸막이) 어셈블리
405 : 북앤드 410 : 바디
411 : 제1 연장부 412 : 제2연장부
413 : 제1 절곡부 414 : 제2절곡부
415 : 제1말단절곡부 415 : 제2 말단 절곡부
420 : 제1고정부재 421 : 전면부
424 : 후면부 425 : 상면부
430 : 제2고정부재 431 : 제1바디 432 : 제2바디
2 : 에더 3 : 엔더
10 : 스타터(엔더) 세로 프레임
11 : 제1결합부(도서목록표 결합부, 외측면 결합부)
12 : 제2결합부(가로 프레임 결합부, 선반 이탈방지부, 내측면 결합부)
12a : 단턱
13 : 제3결합부(전면 결합부) 13a : 측판 결합부
13b : 선반 프레임 결합부 15 : 빔 프레임
15a : 외측면(좌측면) 15b : 내측면(우측면)
15c : 전면 15d : 후면
16 : 플랜지 16a : 직선부
16b : 사선부 16c : 베이스부
17 : 보조 플랜지 18 : 분리 플랜지
19 : 보강 리브 19a : 보강 리브 보스
20 : 에더 세로 프레임
22 : 제2결합부(가로 프레임 결합부)
23 : 제3결합부(선반 프레임 결합부(23b))
24 : 체결홀 25 : 빔 프레임
26 : 플랜지 27 : 결합홀
29 : 보강 리브 29a : 보강 리브 보스
30 : 가로 프레임 31 : 상판부재 서포터
40 : 선반 브라켓
41 : 측판부 42 : 절곡끼움부
43 : 선반지지부
50 : 하부 서포터
60 : 선반
61 : 상판부 62 : 프레임 회피부
63 : 후벽부 63a :확장부(걸림부)
70 : 상부 캡 80 : 측판부재
90 : 상판부재 95 : 서포트 레그 96 : 레그 캡 97 : 네임 테그 98 : 전도 방지부재 99 : 연결부재 200 : 도서목록표 어셈블리
210 : 고정부재 211 : 고정부재 바디
212 : 확장부 213 : 축소부
214 : 관통부 214a : 가로 관통홀
214b : 세로 관통홀 215 : 이동제한 프레임
216 : 걸이부 217a : 끼움부
217b : 받침부
220 : 이동부재 221 : 이동부재 바디
222 : 고정부 222a : 무두볼트
222b : 노브 223 : 누름부
223a : 끼움부 230 : 도서목록표 장착 플레이트
231 : 상부 끼움홈 232 : 하부 끼움홈
300 : 잡지꽂이 어셈블리 310 : 잡지꽂이 선반 브라켓
315 : 잡지꽂이 이동 선반 320 : 잡지꽂이 선반
321(선반, 60) 322 :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
323 체결홀 330 :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
331 : 바디 332 : 체결부
333 : 이동 슬릿 334 :롤러 걸림부
335 : 롤러 336 : 롤러 체결부재(단볼트)
337 : 인출 지지부 338 : 전방 인입 지지부
339 : 후방 인입 지지부
400 : 북앤드(이동 칸막이) 어셈블리
405 : 북앤드 410 : 바디
411 : 제1 연장부 412 : 제2연장부
413 : 제1 절곡부 414 : 제2절곡부
415 : 제1말단절곡부 415 : 제2 말단 절곡부
420 : 제1고정부재 421 : 전면부
424 : 후면부 425 : 상면부
430 : 제2고정부재 431 : 제1바디 432 : 제2바디
Claims (10)
-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선반 브라켓;
상기 세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선반 브라켓에 안착되며, 복수 개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들 중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 사이에 위치하는 잡지꽂이 이동선반; 그리고
상기 상부 선반 및 상기 선반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의 후단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출 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하는 인출 지지부;
그리고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이 인입 시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을 지지하는 인입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 지지부는 전방 인입지지부와 후방 인입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인입지지부보다 상기 후방 인입지지부가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반은,
상판부;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서 상기 상판부와 상하 소정 공간을 갖고 상기 상판부에 고정되는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 체결부재에는, 상기 이동 브라켓이 체결되기 위해 볼트, 너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의해 상기 볼트, 너트 또는 레벳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브라켓과 선반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상부 선반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서포터는 상기 상하 소정 공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과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은 롤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에는 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후방에는 상기 롤러가 하부로 이동하여 구속되는 롤러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일측에서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잡지꽂이 이동선반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서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브라켓은,
상기 잡지꽂이 이동 브라켓의 일측이 고정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측판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의 전면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절곡 끼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645A KR102098785B1 (ko) | 2019-11-06 | 2019-11-06 | 서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645A KR102098785B1 (ko) | 2019-11-06 | 2019-11-06 | 서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785B1 true KR102098785B1 (ko) | 2020-04-08 |
Family
ID=7027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0645A KR102098785B1 (ko) | 2019-11-06 | 2019-11-06 | 서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785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464A (ja) * | 1999-12-10 | 2001-06-19 | Itoki Crebio Corp | 書 架 |
JP2002357049A (ja) * | 2001-05-30 | 2002-12-13 | Okamura Corp | キャビネット等における扉の案内装置 |
KR200320234Y1 (ko) * | 2003-04-12 | 2003-07-16 | 최규수 | 도서 진열장 |
KR200337047Y1 (ko) * | 2003-09-09 | 2004-01-03 | 주식회사 퍼시스 |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
KR200444838Y1 (ko) * | 2008-02-27 | 2009-06-09 |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 서가 결합구조 |
KR101139350B1 (ko) * | 2011-11-17 | 2012-04-26 | 주식회사 팀스 | 서가용 경사선반 구조 |
KR20190072059A (ko) | 2017-12-15 | 2019-06-25 | (주) 큰산인디컴 |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
-
2019
- 2019-11-06 KR KR1020190140645A patent/KR1020987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1464A (ja) * | 1999-12-10 | 2001-06-19 | Itoki Crebio Corp | 書 架 |
JP2002357049A (ja) * | 2001-05-30 | 2002-12-13 | Okamura Corp | キャビネット等における扉の案内装置 |
KR200320234Y1 (ko) * | 2003-04-12 | 2003-07-16 | 최규수 | 도서 진열장 |
KR200337047Y1 (ko) * | 2003-09-09 | 2004-01-03 | 주식회사 퍼시스 | 잡지 진열 및 보관 서가의 진열대 개폐구조 |
KR200444838Y1 (ko) * | 2008-02-27 | 2009-06-09 |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 서가 결합구조 |
KR101139350B1 (ko) * | 2011-11-17 | 2012-04-26 | 주식회사 팀스 | 서가용 경사선반 구조 |
KR20190072059A (ko) | 2017-12-15 | 2019-06-25 | (주) 큰산인디컴 |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47071A1 (en) | Storage Components for a Configurable Storage System | |
KR200444838Y1 (ko) | 서가 결합구조 | |
KR20070019494A (ko) | 조립식 선반 | |
JP2019170999A (ja) | 組立式棚 | |
KR102098768B1 (ko) | 서가 | |
KR102098776B1 (ko) | 서가 | |
KR102098782B1 (ko) | 서가 | |
KR20170035677A (ko) |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 |
KR102049054B1 (ko) |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 |
US20070145864A1 (en) | Modular furniture system | |
KR102098785B1 (ko) | 서가 | |
KR20070107919A (ko) |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 |
KR102318668B1 (ko) | 확장형 슬라이딩 서가 | |
US7926214B2 (en) | Two-way adjustable sign system | |
JP4388508B2 (ja) | 収納棚 | |
JP3135217U (ja) | 書棚及びそれに用いる棚板係止具 | |
JP2007135954A (ja) | 物品棚装置 | |
KR101217812B1 (ko) |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 |
US20220304482A1 (en) | Modular multi accessory furniture display system | |
JP3241942U (ja) | 組立体用棚受け具 | |
CN110612374A (zh) | 用于护壁板的分隔构件 | |
JP2001046160A (ja) | 棚における奥行き調整機能を有する仕切り装置 | |
JPH11290168A (ja) | 陳列棚等におけるボード取付け装置 | |
JPH11221124A (ja) | 支柱と連結杆との連結装置 | |
JP2003116682A (ja) | 陳列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