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476B1 -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476B1
KR102098476B1 KR1020180079318A KR20180079318A KR102098476B1 KR 102098476 B1 KR102098476 B1 KR 102098476B1 KR 1020180079318 A KR1020180079318 A KR 1020180079318A KR 20180079318 A KR20180079318 A KR 20180079318A KR 102098476 B1 KR102098476 B1 KR 10209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ooling
melt
housing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838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7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62Sampling under constant temperature, pressure, or the like
    • G01N2001/1081Storing samples under refrig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01N2001/4033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sample concentrated on a cold spot, e.g. condensation or distil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물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 상기 회전호퍼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 및, 상기 회전호퍼부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를 포함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융물 분리냉각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OLING MELT}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용강의 성분 품질제어 목적으로 최적조건으로 스라그(Slag)의 성분제어 실험을 진행하며 도출된 결과는 생산현장에 적용하여 품질과 원가경쟁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생산강종별 용강의 성분 및 품질적합 스라그(Slag)의 성분조성을 통해 조업과 품질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일반적으로, 생산강종별 최적의 스라그(Slag) 성분조성의 구축목적으로 다수의 부원료 배합을 통해 다양한 용해실험으로 만들어진 스라그(Slag)를 냉각분쇄 공정을 거쳐 성분분석을 진행한다.
다수의 부원료 배합을 통해 각각의 도가니 등의 저장용기에 저장과 오븐장입으로 용해된 스라그(Slag)는 순차적으로 외부의 용기에서 저장한 상태에서 냉각응고를 진행한다.
저장된 용융물은 냉각응고 과정에서 급속한 냉각으로 응고진행 과정 중 크랙과 함께 비산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각각의 용기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소량의 융융물의 냉각 과정에서 주위의 용기에 저장된 용융물과 혼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사유로 생산강종별 용강성분 및 품질제어 목적의 스라그(Slag)조성의 정밀분석이 어려우며 특히 강종별 최적스라그(Slag) 성분조성을 위한 소량진행 용융물이 일부의 비산으로 혼합되어 성분이 크게 변화되고, 이 경우, 부원료의 재배합과 용해를 통해 반복적으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가니와 가열오븐 등의 설비의 사용 등으로 인한 추가적 경비가 소요되고, 실험의 신뢰성의 하락으로 고품질의 실험결과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반복적 재실험으로 인해 실험결과의 산출물을 생산현장에 적기에 보급하기가 어려워지면서 용강의 성분과 품질관리에 많은 장애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융물의 저장과 냉각응고 진행과정에서 용기 개방으로 인해 스라그(Slag) 비산물이 불충분하게 냉각된 고온상태로 작업자 접촉시 화상 등의 산업재해의 우려가 매우 높고, 실험실 주변 및 장치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 등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우려가 대단히 높은 문제점이 있다.
KR 10-1999-0012183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주변에 저장된 용융물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성분분석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화재 등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용융물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 상기 회전호퍼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 및, 상기 회전호퍼부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호퍼부는, 용융물의 인입구와 냉각된 용융물의 인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융물이 냉각되는 호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커버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 중 상기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와 연통되는 수용공간 이외의 나머지 수용공간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호퍼프레임에 의해 용융물의 비산이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부재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에 상기 인출구와 상기 인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프레임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된 측면부분이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퍼프레임은, 상기 호퍼냉각부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호퍼하우징; 상기 호퍼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획호퍼; 및, 상기 복수 개의 구획호퍼의 대향되는 양측면을 밀폐하여 상기 구획호퍼와 함께 용융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퍼냉각부는, 상기 호퍼하우징에 삽입되고, 냉각매체가 인출입되는 인입라인과 인출라인이 형성되는 냉각하우징; 및, 상기 냉각하우징과 상기 호퍼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실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냉각하우징은, 상기 호퍼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하우징의 외주면은 상기 호퍼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원통형의 냉매충전챔버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측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냉각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용융물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 상기 회전호퍼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 및, 상기 회전호퍼부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부는, 상기 회전호퍼부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저장호퍼가 형성되는 분배프레임; 및, 상기 분배프레임을 진퇴시키는 분배실린더;를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주변에 저장된 용융물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성분분석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화재 등으로 인한 설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의 회전호퍼부, 호퍼냉각부의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의 회전호퍼부의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에 용융물이 투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용융물이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냉각된 용융물로 분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분리냉각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는 회전호퍼부(100), 호퍼냉각부(200) 및 저장용기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지지스토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는 용융물(S1)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S1)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100)와, 상기 회전호퍼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100)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200) 및, 상기 회전호퍼부(100)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S2)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호퍼부(100)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에 용융물(S1)을 수용하여 수용된 용융물(S1)의 비산을 차단하고, 호퍼냉각부(200)에서 공급된 냉각매체를 매개로 용융물(S1)을 냉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회전호퍼부(100)는 호퍼냉각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호퍼부(100)는 호퍼냉각부(200)로부터 냉각매체를 매개로 회전호퍼부(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회전호퍼부(100)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호퍼부(100)의 호퍼프레임(13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호퍼냉각부(200)는 회전호퍼부(100)에 설치되고, 회전호퍼부(100)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켜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에 수용된 용융물(S1)을 냉각시킬 수 있다.
호퍼냉각부(200)에서 회전호퍼부(100)로 인입라인(211)을 통해 냉각매체가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냉각매체는 회전호퍼부(100)를 냉각시킨 후 인출라인(2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인입라인(211)과 인출라인(213)은 냉매공급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설정된 온도의 냉각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는 회전호퍼부(100)의 수용공간(135)에 수용된 용융물(S1)을 신속하게 냉각하면서도 용융물(S1)이 회전호퍼부(100)의 인입구(111)로 인입되는 시기와, 인출구(113)로 냉각된 용융물(S2)이 인출시기를 제외하고는 회전호퍼부(100)가 수용공간(135)을 폐쇄하여 용융물(S1)의 비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융물(S1)의 비산을 방지하여 주변에 저장된 용융물(S1)과의 혼합을 방지하여 성분분석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율물의 비산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화재 등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호퍼부(100)는, 용융물(S1)의 인입구(111)와 냉각된 용융물(S2)의 인출구(113)가 형성되는 커버부재(110) 및, 상기 커버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에 수용된 용융물(S1)이 냉각되는 호퍼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호퍼부(100)는, 용융물(S1)의 인입구(111)와 냉각된 용융물(S2)의 인출구(113)가 형성되는 커버부재(110) 및, 상기 커버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가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구획호퍼(133)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135)이 형성되는 호퍼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재(110)는 호퍼프레임(130)이 삽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10)에는 도가니(U)에서 용융물(S1)이 인입되는 인입구(111)와, 냉각된 용융물(S2)이 인출되는 인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구(111)와 인출구(113)는 커버부재(110)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개방된 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인입구(111)와 인출구(113)는 사각형 형상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입구(111)와 인출구(113)는 원통형의 커버부재(110)의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180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입구(111)를 통해 인입된 수용공간(135)에 인입된 용융물(S1)은 호퍼프레임(130)이 180도를 초과하는 회전을 해야 인출구(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인입구(111)를 통해 인입된 수용공간(135)에 인입된 용융물(S1)은 호퍼프레임(130)이 200도 ~ 270도의 범위를 회전을 해야 인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인입구(111)와 인출구(113)는 커버부재(110) 상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호퍼프레임(130)은 커버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호퍼프레임(130)은 구동모터(150)에 의해 회전되면서 커버부재(110)의 인입구(111)와 인출구(113)에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50)는 스테핑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호퍼프레임(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프로그램 제어를 통해 회전속도, 회전주기(회전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호퍼프레임(130)은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동하는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가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구획호퍼(133)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프레임(130)의 수용공간(135)은 중심부분과 측면은 폐쇄되고, 수용공간(135)의 둘레방향은 개방될 수 있다.
물론, 호퍼프레임(130)의 개방된 둘레방향 부분은 커버부재(110)의 인입구(111)와 인출구(113) 부분을 제외하고는 커버부재(1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커버부재(110)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 중 상기 인입구(111)와 상기 인출구(113)에 배치되는 수용공간(135) 이외의 나머지 수용공간(135)은 상기 커버부재(11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회전호퍼부(100)의 커버부재(110)와 호퍼냉각부(200)의 냉각하우징(210)은 고정되고, 회전호퍼부(100)의 호퍼프레임(130)은 고정된 커버부재(110)와 냉각하우징(2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호퍼부(100)의 커버부재(110)와 호퍼냉각부(200)의 냉각하우징(210)은 후술할 지지스토퍼부(400)에 의해 지지베이스(T)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10)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135) 중 상기 인입구(111)와 상기 인출구(113)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35) 이외의 나머지 수용공간(135)은 상기 커버부재(110)와 상기 호퍼프레임(130)에 의해 용융물(S1)의 비산이 차단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재(110)는 양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커버부재(110)의 둘레방향의 일측에는 용융물(S1)이 인입되는 인입구(111)가 형성되고, 커버부재(110)의 둘레방향 타측에는 냉각된 용융물(S2)이 인출되는 인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10)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에 상기 인출구(113)와 상기 인입구(111)가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프레임(130)이 상기 커버부재(11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부재(110)의 개방된 측면부분이 채워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프레임(130)은, 상기 호퍼냉각부(20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호퍼하우징(131)과, 상기 호퍼하우징(131)과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 및, 상기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의 대향되는 양측면을 밀폐하여 상기 구획호퍼(133)와 함께 용융물(S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5)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13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호퍼하우징(131)은 호퍼냉각부(200)의 냉각하우징(210)이 인출입되고, 냉각하우징(210)의 관통홀(215)을 통해 공급된 냉각매체가 충전되는 냉매충전챔버(132)가 형성될 수 있다.
호퍼하우징(131)의 냉매충전챔버(132)는 구획호퍼(133)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호퍼챔버(134)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냉매충전챔버(132)에 공급된 냉각매체가 호퍼챔버(134)와 냉매충전챔버(132)의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
인접한 구획호퍼(133)의 사이에는 용융물(S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프레임(130)은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의 측면의 양측을 밀폐하여 구획호퍼(133)와 함께 용융물(S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35)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137)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판(137)은 원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구획호퍼(133) 및, 호퍼하우징(131)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의 측면판(137)은 원판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호퍼냉각부(200)의 냉각하우징(210)이 삽입되는 타측의 측면판(137)은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원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호퍼하우징(131)의 일측은 측면판(137)에 의해 밀폐되고, 호퍼하우징(131)의 타측은 냉각하우징(210) 및 회전실링부재(2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퍼하우징(131)의 냉매충전공간에 공급된 냉각매체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프레임(130)의 수용공간(135)은 중심부분은 호퍼하우징(131)에 의해 폐쇄되고, 측면은 측면판(137)에 의해 폐쇄되며, 수용공간(135)의 개방된 둘레방향은 커버부재(1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물론, 수용공간(135)의 둘레방향 부분은 커버부재(110)의 인입구(111)와 인출구(113) 부분에서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호퍼냉각부(200)는, 상기 호퍼하우징(131)에 삽입되고, 냉각매체가 인출입되는 인입라인(211)과 인출라인(213)이 형성되는 냉각하우징(210) 및, 상기 냉각하우징(210)과 상기 호퍼하우징(1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하우징(131)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실링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냉각하우징(210)은 호퍼하우징(131)에 삽입되고, 냉각매체가 인출입되는 인입라인(211)과 인출라인(213)이 형성되고 냉각하우징(210)의 관통홀(215)을 통해 호퍼하우징(131)으로 냉각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회전실링부재(230)가 설치되는 홈이 형성되고, 홈에 회전실링부재(2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회전실링부재(230)는 냉각하우징(210)에 설치되고, 고정된 냉각하우징(210)과 회전실링부재(230)에 호퍼프레임(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실링부재(230)는 냉각하우징(210)과 호퍼프레임(130)의 호퍼하우징(131) 사이를 밀폐하여 냉각매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하우징(210)은, 상기 호퍼하우징(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하우징(210)의 외주면은 상기 호퍼하우징(131)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원통형의 냉매충전챔버(132)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냉각하우징(210)은 호퍼프레임(130)의 호퍼하우징(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하우징(210)의 외주면은 상기 호퍼하우징(131)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원통형의 냉매충전챔버(13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하우징(210)은 외주면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의 관통홀(215)이 형성되고, 관통홀(215)을 통해 냉각하우징(210)에서 호퍼하우징(131)의 냉매충전챔버(132)로 냉각매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용융물 분리냉각장치는 일측은 상기 커버부재(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하우징(210)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110)와 상기 냉각하우징(210)을 지지하는 지지스토퍼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스토퍼부는 커버부재(110)와, 냉각하우징(210)에 연결되어 커버부재(110)와 냉각하우징(2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스토퍼부는 일측은 커버부재(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호퍼냉각부(200)의 냉각하우징(2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스토퍼부는 지지베이스(T)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스토퍼부는 삼각형의 상부가 절단된 삼각형 타입의 한 쌍의 삼각지지대(410)가 커버부재(110)의 하단을 양측에서 고정하고, 냉각하우징(210)과 삼각지지대(4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ㄷ'자형 타입의 연결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삼각지지대(410)는 회전호퍼부(100)에서 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 연결되는 냉각하우징(210)과 연결되는 변의 길이가 삼각지지대(410)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스토퍼부(400)에 의해 커버부재(110)와 냉각하우징(2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호퍼부(100)의 호퍼프레임(130)이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저장용기부(300)는, 상기 회전호퍼부(100)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S2)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저장호퍼(311)가 형성되는 분배프레임(310) 및, 상기 분배프레임(310)을 진퇴시키는 분배실린더(330)를 구비할 수 있다.
분배프레임(310)에는 분배실린더(330)에 의해 분배프레임(310)이 이동되면서 복수 개의 저장호퍼(311)에 냉각된 용융물(S2)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분배프레임(310)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분배프레임(310)에는 사각형 형상의 평면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저장호퍼(311)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배실린더(330)는 호퍼프레임(130)이 회전속도에 맞게 분배프레임(310)을 진퇴시켜 커버부재(110)의 인출구(113)의 하측에 복수 개의 저장호퍼(311)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인출구(113)로부터 낙하하는 냉각된 용융물(S2)을 각각의 저장호퍼(311)에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저장호퍼(311)에 하나의 냉각된 용융물(S2)이 저장될 수 있다.
분배실린더(330)는 분배프레임(3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프로그램 제어를 통해 분배프레임(310)의 진퇴속도가 호퍼프레임(130)의 회전속도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회전호퍼부 110: 커버부재
111: 인입구 113: 인출구
130: 호퍼프레임 131: 호퍼하우징
132: 냉매충전챔버 133: 구획호퍼
134: 호퍼챔버 135: 수용공간
150: 구동모터 137: 측면판
200: 호퍼냉각부 210: 냉각하우징
211: 인입라인 213: 인출라인
215: 관통홀 230: 회전실링부재
300: 저장용기부 310: 분배프레임
311: 저장호퍼 330: 분배실린더
400: 지지스토퍼부 410: 삼각지지대
430: 연결대 S1: 용융물
S2: 냉각된 용융물 T: 지지베이스
U: 도가니

Claims (9)

  1. 삭제
  2. 용융물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
    상기 회전호퍼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 및,
    상기 회전호퍼부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호퍼부는,
    용융물의 인입구와 냉각된 용융물의 인출구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융물이 냉각되는 호퍼프레임;을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 중 상기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와 연통되는 수용공간 이외의 나머지 수용공간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호퍼프레임에 의해 용융물의 비산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에 상기 인출구와 상기 인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프레임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된 측면부분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프레임은,
    상기 호퍼냉각부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호퍼하우징;
    상기 호퍼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획호퍼; 및,
    상기 복수 개의 구획호퍼의 대향되는 양측면을 밀폐하여 상기 구획호퍼와 함께 용융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을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냉각부는,
    상기 호퍼하우징에 삽입되고, 냉각매체가 인출입되는 인입라인과 인출라인이 형성되는 냉각하우징; 및,
    상기 냉각하우징과 상기 호퍼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매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7. 제6항 있어서, 상기 냉각하우징은,
    상기 호퍼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하우징의 외주면은 상기 호퍼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원통형의 냉매충전챔버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커버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냉각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9. 용융물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용융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회전호퍼부;
    상기 회전호퍼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호퍼부의 내부로 냉각매체를 유동시키는 호퍼냉각부; 및,
    상기 회전호퍼부에서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분배되는 저장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부는,
    상기 회전호퍼부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출된 냉각된 용융물이 저장되는 복수 개의 저장호퍼가 형성되는 분배프레임; 및,
    상기 분배프레임을 진퇴시키는 분배실린더;를 구비하는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KR1020180079318A 2018-07-09 2018-07-09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KR10209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18A KR102098476B1 (ko) 2018-07-09 2018-07-09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18A KR102098476B1 (ko) 2018-07-09 2018-07-09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38A KR20200005838A (ko) 2020-01-17
KR102098476B1 true KR102098476B1 (ko) 2020-04-07

Family

ID=6937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318A KR102098476B1 (ko) 2018-07-09 2018-07-09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176A (ja) 2001-03-15 2002-09-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スラグ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30610A (ja) * 2003-07-07 2005-0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融物冷却固化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3082582A (ja) 2011-10-11 2013-05-09 Jfe Steel Corp 溶融スラグ処理用双ロール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183A (ko) 1997-07-28 1999-02-25 김종진 슬래그 포밍 전기로 정련조업에 있어서 포옴 슬래그의 가스정체비율 측정방법
KR100558310B1 (ko) * 2003-12-22 2006-03-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융 배재슬래그의 건식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114617A (ko) * 2009-01-07 2011-10-19 알이씨 실리콘 인코포레이티드 분할된 고체 물질의 이동 베드 상에서의 용융 물질의 고체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176A (ja) 2001-03-15 2002-09-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スラグ冷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030610A (ja) * 2003-07-07 2005-0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融物冷却固化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13082582A (ja) 2011-10-11 2013-05-09 Jfe Steel Corp 溶融スラグ処理用双ロール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38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639B1 (ko)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KR102098476B1 (ko) 용융물 분리냉각장치
EP0521252A1 (de) Abfüllanlage für gefährliche, schütt- oder fliessfähige Medien
DE2404647A1 (de) Vorrichtung zum antrieb bzw. zur bewegung eines geraets zum beschicken eines hochofens mit rohstoffen
EP0139321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harmless, dangerous chemical waste material
KR20140066670A (ko) 금속 용해로용 와실체 및 그를 이용한 금속 용해로
WO2006125284A1 (fr) Dispositif de melange a double chambre pour substances pharmaceutiques visqueuses
EP2270410A1 (en) Furnace and method for making beads for X-ray fluorescence analysis
US9993783B2 (en) Post/pedestal-mounted IBC mixing/blending machine
KR102360302B1 (ko) 충전 시스템
JP4232889B2 (ja) 真空溶解鋳造装置
US108940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 extrudate
WO2021130795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JP4391653B2 (ja) 二次冷却可能な真空溶解鋳造装置
JP2000505377A (ja) 多軸スクリュー機械
EP1079930B1 (en) Mill for grinding loose materials
KR20170075402A (ko) 노즐 장치
JP5914720B1 (ja) 樹脂の成形加工機
KR20130092821A (ko) 아크용해를 이용한 원심주조장치
WO2021219478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aterialpatrone, behälter zur anwendung in einem entsprechenden verfahren, materialpatro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ussproduktes unter verwendung der materialpatrone, sowie entsprechendes gussprodukt
JP2006320824A (ja) 粉粒体の混合装置および混合方法
US20180017431A1 (en) Granule Dosing System for Plastics Processing Machines
CN111747802A (zh) 一种用于起爆具的回收药处理工艺
EP247649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zyklieren hermetisch gekapselter Alternativ-Kompressoren von Kühlschränken
JP3938992B2 (ja) 合成樹脂成形品のゲート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