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208B1 -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208B1
KR102098208B1 KR1020150078375A KR20150078375A KR102098208B1 KR 102098208 B1 KR102098208 B1 KR 102098208B1 KR 1020150078375 A KR1020150078375 A KR 1020150078375A KR 20150078375 A KR20150078375 A KR 20150078375A KR 102098208 B1 KR102098208 B1 KR 10209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ight
uni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525A (ko
Inventor
이승헌
김세훈
최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208B1/ko
Priority to US14/919,837 priority patent/US10127889B2/en
Priority to CN201610196205.0A priority patent/CN106251800B/zh
Priority to PCT/KR2016/005426 priority patent/WO2016195301A1/en
Publication of KR2016014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Abstract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국부 영역(partial area)의 휘도를 국부적으로(locally)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표면으로 조사되는 외부 빛에 인해 저하되는 시인성을 개선시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로는 TV, 모니터, 전광판, 전자 액자, 키오스크, 휴대폰, 빔 프로젝터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종류가 다양해 지면서 그 크기나 활용 방법 등도 다양해지고 있다. 일 예로, 야외 공연이나 집회, 응원, 선거 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야외 장소 또는 사람들이 많이 지나는 전철역, 광장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 등에 설치되는 야외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야외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고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될 수도 있고,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설치되어 다양한 장소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야외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은 대부분 낮시간대에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광이나 주변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 등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조사되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야외가 아닌 실내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라고 하더라도, 창문 등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 광이나 강한 실내 조명, 플래시 라이트 등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들은 대부분 상당히 큰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가진다. 이를 일컬어, LFD(Large Format Display)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LFD 시스템은 광고 보드, 디지털 표지판(Digital signage) 또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 영역에만 빛이 조사되어, 국부 영역에서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을 개선시키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국부 영역(partial area)의 휘도를 국부적으로(locally)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상기 빛이 조사되는 국부 영역(local area)의 휘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연결부 및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빛의 조도 값이 불균일하면, 각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고, 상기 광 세기 맵을 이용하여 상기 휘도를 조정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영역은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인 영역은 시인성 저하 영역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의 영역은 정상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영역 별로 상이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를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이 입사되는 영역의 컨텐츠 색상을 보정하여, 상기 빛에 의한 컬러 변경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일부 영역이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면, 상기 일부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시인성 개선 방법은,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하는 휘도 조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빛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연결부 및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조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빛의 조도 값이 불균일하면, 각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광 세기 맵을 이용하여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역의 휘도를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상기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영역은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고, 감지된 상기 빛의 조도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인 영역은 시인성 저하 영역으로 판단하며,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의 영역은 정상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를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컬러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이 입사되는 영역의 컨텐츠 색상을 상기 컬러 특성에 따라 보정하여, 상기 빛에 의한 컬러 변경 영향을 상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하는 휘도 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외부 광으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현상 및 컬러 왜곡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처리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조도 센서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면 방향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비해 적은 수의 조도 센서를 사용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내부에 내장된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빛 입사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2는 빛의 입사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컨텐츠(101)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TV, 모니터, 전광판, 전자 액자, 키오스크,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태양(1)에 노출된 야외 환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실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태양(1)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화면(101)의 일부 영역(10)에 입사되면, 해당 영역(10)의 컨텐츠는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의 내용을 완전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일 예로, 컨텐츠가 광고 영상이라면, 빛이 입사되는 영역(10) 내에 광고 대상의 이름이나 제조회사 명칭, 로고 등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광고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는, 운동 경기를 생중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라면,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화면(101) 상으로 조사되는 빛의 특성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동작을 상이하게 수행한다. 이에 따라,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시인성 저하 문제를 개선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국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증대시키거나, 컨텐츠의 레이아웃이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동작은 다양한 빛의 특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의 특성에는 빛의 조도, 세기, 컬러, 입사 방향, 입사 면적, 분포도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빛의 입사 상태를 감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현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단일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감지부(120)는 빛의 조도, 세기, 컬러, 입사 방향, 입사 면적, 분포도 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감지부(120)는 조도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광량 센싱 레이어,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외부의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한다. 제어부(130)는 다르게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 마이컴, 프로세서, CPU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의 시스템(1000)으로 구현된 경우라면,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내에서 빛이 조사되고 있는 영역의 경계 부분을 그대로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된 경계 부분 이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상향 조정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빛 입사 영역(10)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러프하게 검출하여, 그 사각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빛 입사 영역(10)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우측 상단 부분에 형성되었다면, 제어부(130)는 빛 입사 영역(10)의 최좌측 경계에 해당하는 픽셀 좌표와, 최하단 경계에 해당하는 픽셀 좌표를 판단하고, 그 픽셀 좌표들(또는,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가산한 픽셀 좌표들)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 영역을 설정한다. 제어부(130)는 설정된 사각 영역 내의 휘도를 상향 조정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도 있다.
휘도 조정 방법은 영상 처리 기법 또는 하드웨어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중에서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부분의 픽셀값을 변경할 수 있다. 하드웨어 제어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된 백라이트부 또는 OLED의 밝기 값을 국부적으로 조정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영상 처리 기법과 하드웨어 제어 기법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의 시스템(1000)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르게는, 비디오월(wall) 또는 멀티비전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3개씩 배열된 총 9개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매트릭스 패턴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상이한 개수로 적층된 계단형, 중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적층 개수가 줄어드는 삼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들 간의 연결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야외에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비디오 월처럼 서로 연결하여 LFD 시스템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컨텐츠(40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빛이 조사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실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들(100-1 ~ 100-9)의 베젤이 존재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베젤 영역의 도시는 생략한다.
컨텐츠(400)는 다수의 오브젝트(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이미지, 텍스트, 그래픽 아이콘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컨텐츠(400)에 포함된 오브젝트(42)의 일부 영역이 빛이 조사되는 영역(10) 내에 표시되고 있으면, 빛이 조사되는 영역(10)의 휘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휘도 조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 기법 및 하드웨어 제어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빛이 조사되는 영역(10) 내의 오브젝트 부분(42-2)과, 그 영역(10) 밖의 오브젝트 부분(42-1)의 휘도를 차별화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휘도 조정 값은 빛의 조도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하드웨어 제어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들이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각 디스플레이(100-1 ~ 100-9)들에서는 국부적인 휘도 조정이 어렵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단위로 휘도를 조정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들 중에서 빛이 조사되는 영역(1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100-3, 100-5, 100-6, 100-9) 자체의 휘도를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디스플레이(100-3, 100-5, 100-6, 100-9)의 휘도는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디스플레이(100-3, 100-5, 100-6, 100-9) 내에서의 빛이 조사되는 영역(10)의 크기 비율에 따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크기 이상 빛이 조사되는 디스플레이(100-3, 100-6, 100-9)의 휘도는 크게 조정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에 빛이 조사되는 디스플레이(100-5)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한다.
또는, 빛이 조사되는 영역(10)에 완전히 포함되는 디스플레이(100-6)는 그 디스플레이 자체의 휘도를 조정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100-3, 100-5, 100-9)에서는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픽셀 단위로 휘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를 조정한 디스플레이(100-6)와, 영상 처리를 적용한 디스플레이(100-3, 100-5, 100-9) 사이에서는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심리스(seamless)하게 연결되도록 스무딩(smoothing) 처리를 해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는 디스플레이 패널 하측에 발광소자가 균일하게 배치된 로컬 디밍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 각각에 디밍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빛이 입사되는 영역(10) 내의 휘도를 픽셀 별로 개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휘도 조정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S510),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한다(S520). 빛의 감지 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빛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한다(S530). 휘도 조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자체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국부적으로 픽셀 휘도 값을 변경하는 방법과, 디스플레이부 자체의 출력 휘도 값을 변경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지 여부는 빛의 조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출력 휘도 별로 시인성이 저하되는 조도 임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조도 임계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제조시나 판매 또는 설치 시, 또는 업데이트 시에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저장될 수 있다. 조도 임계치는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반복 실험 및 통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감지된 빛의 조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시인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임계치 이상이면 시인성이 저하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치는 반드시 하나만 설정되어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임계치는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가 저장되어 있고,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임계치를 이용하여 시청 환경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영역은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고,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 이하 제2 임계치 초과인 영역은 시인성 저하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임계치 미만의 영역은 정상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시 불가 영역이란 사용자가 아예 컨텐츠 식별을 할 수 없는 수준의 영역을 의미하고, 시인성 저하 영역이란 컨텐츠 식별은 가능하지만 정상 영역에 비해 식별력이 떨어지는 수준의 영역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각 영역별로 상이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빛이 조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오브젝트(601 ~ 607)를 포함하는 컨텐츠(60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였다. 도 6의 컨텐츠(600)는 웹 페이지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컨텐츠(600)의 종류 및 그 컨텐츠(600)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6의 (a)에서는 빛이 입사되기 이전의 컨텐츠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웹 페이지의 주소 창(601)이 화면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표시되고, 각종 메뉴(602 ~ 605)들이 화면 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며, 이미지(606) 및 텍스트(607)가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빛이 입사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감지부(120)는 빛의 입사 영역(10)을 감지한다. 도 6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상단 부분에 빛이 입사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10)이 감지되면, 빛의 입사 영역(10)을 피한 나머지 영역에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도록 컨텐츠(600)의 레이아웃을 변경한다. 도 6의 (b)에 따르면, 주소 창(601)의 가로 길이가 축소되고, 메뉴(602 ~ 695)들은 주소창(601)의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작게 배열되도록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태양의 위치 이동에 따라 빛의 입사 영역이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c)는 빛이 상단 우측부터 상단 좌측 영역으로까지 확장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감지부(120)에 의해 빛의 입사 영역이 변경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컨텐츠(600)의 레이아웃을 다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의 (c)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상위 3개의 디스플레이(100-1, 100-2, 100-3)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컨텐츠(600)가 표시되도록 변경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에 속하는 디스플레이(100-1, 100-2, 100-3)는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란 디스플레이(100-1, 100-2, 100-3)를 아예 턴 오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00-1, 100-2, 100-3)에 단색 화면(예를 들어, 블루 또는 블랙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100-1, 100-2, 100-3)를 이용한 화면 시청이나 터치 입력 등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6의 (a) 내지 (c)에서의 각 오브젝트의 위치 변경 방법은 일 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컨텐츠의 레이아웃은 다양한 버전으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자는 서로 다른 레이아웃으로 제작된 다양한 버전의 컨텐츠를 각각 제작한 후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된 버전(version) 중에서 현재 빛 입사 영역과 오브젝트가 최대한 겹치지 않는 버전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가 사진 이미지나 동영상인 경우에도, 다양한 버전의 컨텐츠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면, 제어부(130)는 빛 입사 영역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버전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가 그래픽 렌더링 화면이라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내의 각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될 좌표값을 임의로 또는 기 설정된 룰에 따라 변경하여, 각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나 크기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빛이 조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컨텐츠의 스케일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빛이 입사되기 이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전체 디스플레이(100-1 ~ 100-9)를 모두 사용하여 하나의 컨텐츠(70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빛이 입사되면, 감지부(120)는 빛의 입사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컨텐츠(70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의 스케일을 변경한다. 도 7의 (b)에서는 빛이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하단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빛이 입사된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100-6, 100-8, 100-9)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컨텐츠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축소시킨다. 제어부(130)는 4개의 디스플레이(100-1, 100-2, 100-4, 100-5)에 컨텐츠(700)를 디스플레이하고, 빛이 입사된 영역(1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100-6, 100-8, 100-9)는 비활성화시킨다. 가로 세로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빛이 입사되지 않은 디스플레이(100-3, 100-7)도 함께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가로 세로 비율을 맞출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빛이 입사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전부를 활용해서 컨텐츠(70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에 대한 스케일링 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변경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시인성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빛이 조사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컨텐츠의 오브젝트 중 일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의 (a)는 다수의 오브젝트(801, 802, 803)를 포함하는 컨텐츠(80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 하단 영역(10)에 빛이 입사되면, 제어부(130)는 도 8의 (b)와 같이 컨텐츠(800)를 변경한다. 이 경우, 도 6의 실시 예와는 달리 빛 입사 영역(10) 내의 오브젝트(802, 803)들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802)만을 빛이 입사되지 않는 좌측 상단 위치로 이동한다. 주요 오브젝트(802)에는 광고 대상의 이름이나 제조회사 명칭, 로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컨텐츠(800)가 영화 컨텐츠인 경우, 자막 정보가 주요 오브젝트(802)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빛 입사 영역(10) 내의 오브젝트 들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802)만을 다른 위치로 변경한다. 변경 방법은 레이아웃 변경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다양한 위치에 주요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버전의 컨텐츠들을 모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주요 오브젝트(802)가 우측 하단에 있는 버전을 디폴트로 가지고, 부가적으로 주요 오브젝트(802)가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좌측 하단, 화면 중앙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표시되는 다양한 버전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된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빛에 의해 주요 오브젝트(802)에 대한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버전의 컨텐츠는 정지 이미지, 동영상 뿐만 아니라 각종 그래픽 화면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내의 각 오브젝트에 대해서 오브젝트 ID 및 기타 속성 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빛 입사 영역(1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속성을 확인하여, 그 중요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특정 마크나 텍스트에 대해서는 제품 이미지 등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중요도가 높은 오브젝트라고 판단되면, 해당 오브젝트 ID의 표시 좌표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에서는 빛의 입사 영역이 감지되면 그 입사 영역의 위치나 크기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하였으나, 빛이 입사된다고 하더라도 조도가 약한 경우에는 반드시 변경할 필요는 없다. 즉,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빛의 입사로 인해 인식이 불가능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거나, 인식은 가능하지만 식별력이 떨어지는 시인성 저하 영역이 존재하면, 그 가시 불가 영역을 피해서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도록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가로 세로 길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8에서는 제어부의 처리 방식에 따라 구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6 내지 8의 실시 예들에 대한 별도의 흐름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제어부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빛의 조도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또는 영역별로 상이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양한 처리 알고리즘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910).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상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한다(S915). 여기서 빛은 태양 직사광이 될 수 있으나, 시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빛이라면 전부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광이나 기타 조명에 의한 빛이 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빛이 센싱되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균일하게 입사되고 있는지 판단한다(S920). 균일성 판단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의 조도 분포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120)가 복수 개의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빛의 조도 값이 불균일하면, 각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광 세기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세기 맵에 기초하여 균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균일 여부는 기 설정된 오차 범위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인터폴레이션 방법 및 광 세기 맵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조도가 균일하다고 판단되면, 그 조도의 세기에 기초하여 식별 불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25).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조도 값이라고 판단되면 식별 불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식별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930). 경고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시각적 메시지로 출력될 수도 있고,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향 메시지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별도로 마련된 호스트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있다면, 그 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또는, 경고 메시지를 일정 시간 출력하다가 자동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턴-오프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10)를 비활성화시켜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반면, 식별 불가능한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시인성이 저하되는 정도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935). 식별 불가능 여부, 시인성 저하 여부는 서로 다른 임계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평균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면 식별 불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평균 조도가, 제1 임계치보다 작은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시인성 저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인성이 저하되는 상태로 판단되면(S935),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조정한다(S940). 구체적으로는, 조도의 크기에 맞추어 휘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의 조도 분포가 균일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S920), 국부적으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45). 가시 불가 영역인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임계치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가시 불가 영역이 국부적으로 생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한다(S950).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 변경 방법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시인성 저하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55). 시인성 저하 영역인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임계치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인성 저하 영역이 국부적으로 생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시인성 저하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한다(S960).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S965), 상술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9에서는 가시 불가 영역을 먼저 판단하고, 시인성 저하 영역을 다음에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예들이 도 9의 단계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힌지 및 모터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모터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110)의 배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사용자 방향으로 움직이고 좌측 가장자리 부분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상측 가장자리 부분이 사용자 방향으로 움직이고 하측 가장자리 부분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면, 빛의 입사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명세서 후반부에서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그에 의한 영향을 상쇄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빛을 감지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대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복수의 조도 센서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면 방향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전면부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면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들(100-1 ~ 100-9)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감지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연결부 및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 센서(121-1 ~ 121-16)를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각 디스플레이(100-1 ~ 100-9)의 가장자리가 베젤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조도 센서(121-1 ~ 121-16)들은 각 디스플레이(100-1 ~ 100-9) 사이의 연결 지점 및 전체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 부분에 고르게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조도 센서(121-1 ~ 121-16)들은 디스플레이(100-1 ~ 100-9)와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 또는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들은 디스플레이(100-1 ~ 100-9) 각각의 베젤 영역에 일체로 제작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상단 모서리 부분에 고정적으로 조도 센서가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9)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센서가 충분히 많은 수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면, 제어부(130)는 각 조도 센서에서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광 세기 맵을 바로 생성할 수 있다. 광 세기 맵이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형태에 매칭되도록 생성하여, 각 영역 별 조도값을 기록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베젤이 생략되거나 베젤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들 사이에 조도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 공간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최소한의 개수의 조도 센서를 배치하고, 그 조도 센서들의 센싱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비해 적은 수의 조도 센서를 사용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조도 센서들에서 센싱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고, 그 광 세기 맵을 이용하여 시인성 저하 영역이나, 가시 불가 영역, 정상 영역 등을 구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비용 및 베젤 공간 등을 고려하면, 조도 센서의 수는 적을 수록 유리하다. 이에 따라, 도 11에서는 전체 디스플레이부(100)의 모서리 영역 및 중심 영역에 총 6개의 조도 센서(122-1 ~ 122-6)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각 조도 센서(122-1 ~ 122-6)의 센싱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전체 영역에서의 대략적인 조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인터폴레이션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센서의 값을 참조하여 주변 조도를 보간하는 최근방 이웃 보간법(Nearest neighbor interpolation or Piecewise constant interpolation), 주위를 둘러 싸고 있는 4개의 값에 가중치를 곱한 값들의 선형 합을 산출하여 보간하는 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 행 별로 보간을 실시한 후 다시 열 별로 보간을 실시하는 3차 회선 보간법(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3차 다항식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스플라인 보간법(Spline interpolation), 두 점을 이은 직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근사화된 보간값을 산출하는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on) 등과 같은 다양한 보간법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다항식을 만들어 보간하는 다항식 보간법(Polynomial interpolation), 체비세프 다항식 보간법(Chebyshev Polynomial interpolation), 랑그랑제 다항식 보간법(Lagrange Polynomial interpolation), 네빌레(Nevile)의 반복 보간법, 뉴튼 다항식에 의한 보간법, 뉴튼 분할 차분법 등과 같은 다양한 보간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조도 값을 보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보간 값은 두 지점을 직선으로 잇고, 그 사이값을 선형으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도 1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는 각 모서리 부분에 4개의 조도 센서(122-1, 122-2, 122-5, 122-6)가 배치되고, 중심 부근에 두 개의 조도 센서(122-3, 122-4)가 배치된다. 제어부(130)는 모서리 부분의 조도 센서(122-1, 122-2, 122-5, 122-6) 사이의 중간 지점을 결정하고, 각 조도 센서(122-1, 122-2, 122-5, 122-6)들에서 센싱한 조도 값의 중간값을 중간 지점의 조도 값으로 추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조도 센서(122-1)의 조도 값이 50000(Lux)이고, 제2 조도 센서(122-2)의 조도 값이 100000(Lux)라면, 그 중간 지점(123-1)의 조도 값은 75000(Lux)가 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어부(130)는 각 조도 센서(122-1 ~ 122-6)들 사이의 중간 지점(123-1 ~ 123-9)의 조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다시 추정된 지점들 간의 중간 지점의 조도 값을 다시 추정하여 보다 세밀한 광 세기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감지부가 외부로 노출된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감지부는 디스플레이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내부에 내장된 감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각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유기 발광체(OLED),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12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LCD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112)을 필요로 하는데, 이 경우에는, 광량 센싱 레이어(125)는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백라이트 유닛(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량 센싱 레이어(125)는 CCD나 CMOS, RGB 센서나 조도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125-1)가 내장된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면의 백라이트 유닛(112)에서 제공되는 백라이트가 광량 센싱 레이어(125)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11)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광량 센싱 레이어(125)의 기본 보드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광량 센싱 레이어(125)가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후면에 배치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동안에는 광량 센싱 레이어(125)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작거나 아예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30)는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비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통해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야외에 설치된 LFD인 경우, 광고 출력이 주목적이다. 따라서, 광고 사이의 블랙 아웃 타임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비활성화시켜, 외부 빛이 광량 센싱 레이어(125)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2의 (a)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동작 중인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12의 (b)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비활성화시킨 상태에서, 광량 센싱 레이어(125)에서 센싱되는 빛의 광량을 감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광 세기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광량 센싱 레이어(125)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 조도 센서를 사용하는 실시 예에 비해 신뢰성이 향상되고,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보다 정밀한 휘도 감지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그레이 스케일 기반의 로우 비트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도 가능해진다.
도 12에서는 광량 센싱 레이어(125)가 백라이트 유닛(112)와 별도로 마련되어, 백라이트 유닛(112) 앞쪽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량 센싱 레이어(125)는 백라이트 유닛(112)과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라이트 유닛(112) 상에서의 여유 공간에 CCD 등과 같은 센서(125-1)를 배치할 수도 있다. 각 센서(125-1)들은 백라이트 유닛(112) 내의 발광 소자(미도시)들과 나란하게 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광량을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백라이트 유닛(112)의 뒷쪽에 광량 센싱 레이어(125)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감지부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복수의 카메라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3에 따르면, 4대의 카메라(126-1 ~ 126-4)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부 모서리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되었다.
제어부(130)는 각 카메라(126-1 ~ 126-4)가 촬영한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빛이 입사되는 영역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각 촬영 이미지들을 복수의 블럭으로 구분한 후, 각 블럭의 대표 픽셀 값을 산출한다. 제어부(130)는 원본 이미지에서 대응되는 블럭의 대표 픽셀 값과, 촬영 이미지 내의 각 블럭의 대표 픽셀 값을 서로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있으면 시인성 저하 영역 또는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한다.
도 14는 외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4에 따르면, 하나의 외부 카메라(126)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카메라(126)에서 촬영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제어부(130)로 각종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제어부(130)가 시스템(1000)에 내장된 형태가 아니라 별도로 마련된 호스트 장치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경우에는, 그 호스트 장치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촬영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인성 저하 영역 또는 가시 불가 영역을 판단한다.
도 15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빛 입사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총 12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우측 하단 영역에 빛이 입사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로 인해 시청에 영향을 받는 영역, 즉, 관심 대상 영역(Region of Interest : ROI)을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치를 이용하여 ROI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설정하여, 그 임계치를 기준으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분된 영역별로 상이한 휘도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10000 Lux 초과 12000 Lux 이하 범위 내의 픽셀들은 500 칸델라의 휘도로 조정하고, 조도 12000 Lux 초과 14000 Lux 이하 범위 내의 픽셀들은 600 칸델라의 휘도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복수 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패치로 순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패치 평균 조도가 임계치를 능가하는 지점을 캐치한 후, 추출된 패치들을 스무스(smooth)하게 합쳐서 ROI(Region of Interest)를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양자화(quant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조도 센서들에서 센싱된 조도값 및 인터폴레이션에 의해 산출된 조도값들을 양자화하여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제어부(130)는 그룹핑된 그룹들 단위로 ROI(Region of Interest)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측정될 수 있는 조도는 대략 0 ~ 120000 Lux의 범위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각 디스플레이가 256 단계의 밝기 표현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30)는 0 ~ 120000 Lux의 조도 범위를 가지는 120001 종류의 센싱 값을 256 가지의 그룹으로 양자화한다. 제어부(130)는 양자화된 그룹들과 디스플레이 휘도를 매핑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조도를 이용하여 생성한 광 세기 맵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5에서는 광 세기 맵 상에서 조도 세기를 기준으로 구분된 다양한 영역(1500-1, 1500-2, 1500-3, 1500-4)를 도시하였다. 제어부(130)는 각 영역들의 조도 크기와 임계치를 비교하여, 각 영역 별로 상이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가장 조도가 높은 제1 영역(1500-1)부터 제2 영역(1500-2), 제3 영역(1500-3)까지를 시인성이 저하되는 ROI(Region of Interest)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외곽의 제3 영역(1500-3)의 경계를 그대로 따라서 그 내부의 휘도만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영역 경계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러프하게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는 제3 영역(1500-3)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1500)을 ROI(Region of Interest)로 결정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 다른 예로는, 제어부(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12) 중에서 ROI(Region of Interest)가 존재하는 디스플레이들을 디스플레이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도 15에서는 제6, 7, 8, 10, 11, 12 디스플레이(100-6, 100-7, 100-8, 100-10, 100-11, 100-12)를 ROI(Region of Interest)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ROI(Region of Interest)가 결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휘도를 조정하거나,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스케일을 조정하여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내에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FD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모듈러, 피넛링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커다란 디스플레이 월(wall)을 구성하게 된다. 제어부(130) 및 감지부(120)의 배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양한 구현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6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 감지부(120), 제어부(130), 수신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는 각각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를 포함한다. 각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는 디스플레이(100-1 ~ 100-n) 내에서의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는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특성에 맞게 색감이나 휘도, 화이트 밸런스 등과 같은 속성을 조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는 디스플레이 패널, 버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감지부(120)의 구성 예 및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40)는 외부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신부(140)는 각종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 장치나 기타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40)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한 휘도 제어, 컨텐츠 레이아웃 변경, 컨텐츠 스케일 변경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작업은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30)가 직접 처리할 수도 있고,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 내의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들이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가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할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체 컨텐츠 화면을 재생하고, 재생된 컨텐츠 화면 내에서 상술한 ROI(Region of Interest)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해 국부적으로 휘도를 조정하는 처리나 레이아웃 변경, 스케일 변경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처리가 완료되면, 컨텐츠 화면을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배치 형태에 맞게 복수 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한 후,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로 제공한다.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내의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는 제공된 서브 화면을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ROI(Region of Interest)를 판단한 후, ROI(Region of Interest) 정보를 각 서브 화면 데이터와 함께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 내의 이미지 프로세서(1600-1 ~ 1600-n)는 제공된 ROI(Region of Interest)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디스플레이할 서브 화면에 대한 영상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하드웨어 제어 기법으로 휘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ROI(Region of Interest)가 포함된 컨텐츠 영역을 표시할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휘도 조정 명령 또는 디밍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휘도 조정 명령을 수신한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어하여 휘도를 조정한다.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휘도 조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장치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비디오 월(1710), 감지 장치(1720), 호스트 장치(17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으로 보면, 비디오 월(1710)은 도 2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대응되고, 감지 장치(1720)는 감지부(120)에 대응되며, 호스트 장치(1730)는 제어부(130)에 대응될 수 있다.
비디오 월(1710)은 서로 결합된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와 호스트 장치(173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1110)를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는 각종 연결 도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제1 인터페이스(111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마다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도 있다.
감지 장치(1720)는 디스플레이(100-1 ~ 100-n)들 사이의 연결부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은 베젤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1210-1 ~ 1210-m), 복수의 센서(1210-1 ~ 1210-m)들과 호스트 장치(173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122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1730)는 감지부(1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비디오 월(17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호스트 장치(1730)는 PC(Personel Computer), 랩탑 컴퓨터, 휴대폰, PDA,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인터페이스부(131), CPU(132), 메모리(133)를 포함한다. 제3 인터페이스부(131)는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부(1110, 122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CPU(132)는 메모리(13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술한 다양한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32)는 감지 장치(1720)에서 감지된 센서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고, 광 세기 맵에 기초하여 ROI(Region of Interest)를 결정한다. ROI(Region of Interest)가 결정되면, CPU(132)는 ROI(Region of Interest)에 대해서 휘도 조정 처리를 수행하거나, 컨텐츠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CPU(132)와 메모리(133)가 별도의 구성요소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SoC나 기타 상이한 형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100-1 ~ 100-n)를 포함한다.
도 18에서,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는 인터페이스부(1810-1 ~ 1810-n), 프로세서(1820-1 ~ 1820-n)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810-1 ~ 1810-n)들은 디스플레이(100-1 ~ 100-n) 상호간의 통신 또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프로세서(1820-1 ~ 1820-n)들은 디스플레이(100-1 ~ 100-n)에서 표시될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18과 같은 구성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은 다양한 예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들은 자체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휘도 조정 작업, 컨텐츠 레이아웃 변경, 스케일 변경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인터페이스부(1810-1 ~ 1810-n)는 외부 장치들로부터 동일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10-1 ~ 1810-n)들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각 프로세서(1820-1 ~ 1820-n)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820-1 ~ 1820-n)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체 컨텐츠 이미지를 복원한다. 프로세서(1820-1 ~ 1820-n)는 전체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개수, 배치 형태, 배치 위치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서브 이미지를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서(1820-1 ~ 1820-n)는 해당 디스플레이 자체 또는 주변 디스플레이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에 따라, 자신이 처리할 서브 이미지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00-1)가 전체 디스플레이(100-1 ~ 100-n)들 중에서 좌측 최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이고, 제1 디스플레이(100-1)가 ROI(Region of Interest)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 1(1820-1)은 전체 컨텐츠 이미지를 전체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맞게 분할한 후, 좌측 최상단 이미지의 휘도를 조정하거나 컨텐츠 레이아웃 변경, 스케일 변경, 디스플레이 비활성화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동작은 내장된 프로세서들(1820-1 ~ 1820-n)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각 디스플레이(100-1 ~ 100-n)들 중에서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 동작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들이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디스플레이(100-1)가 마스터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 1(1820-1)가 중앙 프로세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820-1)는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체 컨텐츠 화면을 복원한 후, 전체 컨텐츠 화면 내에서 ROI에 해당하는 컨텐츠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거나, 전체 컨텐츠 화면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1(1820-1)은 처리된 컨텐츠 화면을 전체 디스플레이(100-1 ~ 100-n)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맞게 분할 한 후, 인터페이스부 1(1810-1)을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100-2 ~ 100-n)로 전송한다. 다른 디스플레이(100-2 ~ 100-n)의 프로세서들(1820-2 ~ 1820-n)은 해당 디스플레이(100-2 ~ 100-n)의 고유 특성에 맞게 각종 옵션을 조정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형태 및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2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감지부(120)가 디스플레이(100)에 내장된 광량 센싱 레이어(125)를 포함한다.
광량 센싱 레이어(125)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투과한 빛이 입사되면, 분산 배치된 복수의 센서(125-1)를 이용하여 빛의 컬러를 판단한다. 센서(125-1)로는 CCD, CMOS, RGB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해 빛의 컬러 성분이 파악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이미지(1900) 내에서 빛 입사 영역(10)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1910)의 컬러를 보상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외부의 시청자가 빛 입사 영역(10)에 해당하는 이미지 영역(1910)의 컬러가 원 색상처럼 인식할 수 있도록 컬러를 보상하여, 나머지 이미지 영역(1920)의 컬러를 이질감 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빛의 컬러 성분에 R값이 많다면,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영역(1910)의 R 값을 낮추어, 시청자 입장에서는 나머지 이미지 영역(1920)의 R값과 유사하게 느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윗쪽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0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힌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빛이 일 방향에서 입사되어 시인성 확보가 불가한 경우, 힌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포즈(pose)를 변경한다. 도 2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전면 우측 방향으로 빛이 입사되면,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방향의 반대 방향, 즉, 화살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킨다. 회전 각도(β)는 입사 방향 및 입사 각도(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α와 β는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서 빛의 입사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이 완전히 사라지거나 최소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방향이 원 방향으로부터 완전히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계 각도를 설정하여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최대한으로 ±10도 이내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입사 각도(α) 및 회전 각도(β)를 다양하게 매칭시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된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에 빛이 입사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측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킨다.
도 21은 도 2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모터부(21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 및 감지부(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모터부(210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모터부(210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지지부(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설치된 힌지의 형태를 변경시켜 디스플레이부(110)를 상, 하, 좌, 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2는 빛의 입사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2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22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곡면 형태의 투명 지지부(127) 및 복수의 조도 센서(128-1 ~ 128-7)를 포함한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상부 또는 전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120)가 도 22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방향 또는 입사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20)의 우측 방향에 배치된 센서(128-5, 128-6, 128-7)의 센싱 값이 주변 센서들의 조도 값보다 크면, 제어부(130)는 우측 방향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방향 또는 입사 각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정면 방향에 위치하지 않고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입사되는 태양 광이 아닌 반사 광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시청자의 위치 또는 반사광의 입사각을 고려하여 ROI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모션 감지 센서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빛의 입사 영역과 시청자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ROI의 위치, 크기,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이 우측 가장 자리에만 입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청자가 좌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면, 제어부(130)는 ROI를 화면 중앙 부분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모션 감지 센서나 카메라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앞쪽 방향에 타겟 영역을 설정하여 둘 수도 있다. 타겟 영역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시청자가 주로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타겟 영역 내에 시청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빛의 입사 방향 및 각도와 타겟 영역의 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ROI의 위치, 크기,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빛이 직접적으로 입사되는 영역 이외에, 반사광으로 인해 시청 방해를 받게 되는 영역도 고려하여, ROI의 위치, 크기,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타겟 영역을 설정해 둔 경우, 빛이 디스플레이부(110)로 입사되는 것이 감지되면 그 입사 방향 및 각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확인된 빛의 입사 방향 및 각도 조건 하에서, 타겟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부(110)를 바라보았을 때 시청자가 시인성이 저하된다고 느끼는 반사광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직접적으로 빛이 입사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반사광 영역까지 모두 포함시켜 ROI를 결정할 수 있다. 타겟 영역의 범위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크기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반사광 영역은 타겟 영역을 기준으로 빛의 입사 방향 및 각도 조건 별로 다양하게 설정되어 미리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카메라나 모션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실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그 실제 위치를 기준으로 빛의 입사 방향 및 각도를 고려하여 반사광 영역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개선 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내부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방송국에서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2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입력부(160), GPU(165), 방송 수신부(170), 비디오 처리부(175), 음향 처리부(180), 음향 출력부(18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디스플레이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별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한다. 디스플레이부(110) 및 감지부(120)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 예들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30)는 프로세서(2310) 및 메모리(23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310)는 메모리(23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2320)에는 감지부(120)에서 감지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조도, 광세기, 컬러 등과 같은 다양한 빛의 특성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 검출된 빛의 특성에 기초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는 맵 생성 모듈, ROI를 결정하는 ROI 결정 모듈, ROI에 따라 국부적으로 휘도를 조정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 컨텐츠 화면의 레이아웃을 조정하는 레이아웃 조정 모듈, 컨텐츠 화면의 스케일을 변경하는 스케일링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모리(2320)에 임베디드될 수도 있지만,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메모리(2320)로 복사되어 프로세서(2310)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310)는 메모리(2320)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시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의 서버 장치나 호스트 장치 또는 기타 소스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종류나 이용 환경 등에 따라, 통신부(140)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유선 랜, WiFi, WiFi-Direct,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기타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60)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푸쉬 버튼, 휠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동작들에 대한 온/오프 설정 또는 옵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휘도 조정 옵션, 레이아웃 변경 옵션, 스케일 변경 옵션 등을 온/오프 선택할 수 있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별도로 마련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휘도 조정 옵션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휘도를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빛의 조도 값, 즉, 임계치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UI 화면을 통해 설정된 각종 입력 값들을 메모리(2320)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해둘 수 있다.
GPU(Graphic Processing Unit)(165)는 각종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23에서 GPU(165)는 제어부(130)와 별개로 마련된 구성요소인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제어부(130)에 내장될 수도 있다. GPU(165)는 도 8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일부를 분리하여 다른 위치로 변경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GPU(165)는 도 6 또는 도 7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레이아웃이나 스케일을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송 수신부(17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170)는 튜너(171), 복조부(172), 등화부(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튜너(171)는 프로세서(2310)로부터의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부(172)는 튜너(171)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한 복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복조부(172)는 튜너(171)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등화부(173)는 복조부(172)를 통해 복조된 방송 신호에 대한 등화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등화부(173)는 전송 대역에서 각 주파수에 대한 감쇠와 전파 시간 지연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회로를 통해 진폭 또는 위상의 일그러짐을 약하게 하는 처리(주파수 영역의 등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응답 펄스에 포함되는 일그러짐을 제거한 회로를 통해 응답 파형을 이상적인 파형에 가깝게 하는 처리(시간 영역의 등화)을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7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처리부(180)는 음향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음향 처리부(180)에서는 음향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85)는 음향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음향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도 23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구현 예에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외부 스크린으로 빔을 송출하여 이미지를 맺게 하는 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빔 프로젝터로 구현된 경우, 상술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구성들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생략되고, 대신에 빔 송출부(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빔 송출부는 광원(beam source), 렌즈, 반사경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빔 프로젝터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는 외부 스크린에 맺힌 이미지 상에서 ROI를 검출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내장 또는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즉, 빔 프로젝터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의 이미지를 촬영한 후, 그 촬영된 이미지의 휘도 값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여 ROI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빔 프로젝터로 구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ROI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카메라의 촬상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ROI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ROI가 존재하면, 제어부(130)는 빔 송출부의 빔 출력 강도를 높여서 휘도를 높이거나, 이미지가 스크린 상에서 ROI를 피해서 맺혀지도록 빔 출력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이미지의 레이아웃 자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광으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시인성 개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하는 휘도 조정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부
120: 감지부 130: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국부 영역(partial area)의 휘도를 국부적으로(locally)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빛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의 휘도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상기 빛이 조사되는 국부 영역(local area)의 휘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연결부 및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빛의 조도 값이 불균일하면, 각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고, 상기 광 세기 맵을 이용하여 상기 휘도를 조정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영역은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인 영역은 시인성 저하 영역으로 판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의 영역은 정상 영역으로 판단하여, 각 영역 별로 상이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를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이 입사되는 영역의 컨텐츠 색상을 보정하여, 상기 빛에 의한 컬러 변경 영향을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일부 영역이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면, 상기 일부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시인성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하는 휘도 조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조정 단계는,
    상기 빛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의 휘도를 조정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연결부 및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조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빛의 조도 값이 불균일하면, 각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조도 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광 세기 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광 세기 맵을 이용하여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역의 휘도를 상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빛의 조도가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영역은 가시 불가 영역으로 판단하고, 감지된 상기 빛의 조도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제2 임계치를 초과하고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인 영역은 시인성 저하 영역으로 판단하며, 감지된 빛의 조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의 영역은 정상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가시 불가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오브젝트 중에서 주요 오브젝트를 상기 가시 불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조도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배치된 광량 센싱 레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빛의 컬러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이 입사되는 영역의 컨텐츠 색상을 상기 빛의 컬러 특성에 따라 보정하여, 상기 빛에 의한 컬러 변경 영향을 상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 개선 방법.
  19.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영역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조정하는 휘도 조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조정 단계는,
    상기 빛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의 휘도를 조정하는, 기록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상기 빛에 의한 가시 불가 영역이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의 레이아웃 또는 스케일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50078375A 2015-06-03 2015-06-03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75A KR102098208B1 (ko) 2015-06-03 2015-06-03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4/919,837 US10127889B2 (en) 2015-06-03 2015-10-22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CN201610196205.0A CN106251800B (zh) 2015-06-03 2016-03-31 用于增强可见度的显示系统及其方法
PCT/KR2016/005426 WO2016195301A1 (en) 2015-06-03 2016-05-23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375A KR102098208B1 (ko) 2015-06-03 2015-06-03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525A KR20160142525A (ko) 2016-12-13
KR102098208B1 true KR102098208B1 (ko) 2020-04-07

Family

ID=5744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375A KR102098208B1 (ko) 2015-06-03 2015-06-03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27889B2 (ko)
KR (1) KR102098208B1 (ko)
CN (1) CN106251800B (ko)
WO (1) WO20161953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0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6431A (zh) * 2016-03-04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屏以及实现拼接屏的显示内容自动分配的方法和装置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KR102517336B1 (ko) * 2016-03-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비전 장치
JP7051720B2 (ja) 2016-06-28 2022-04-11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飾用途と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用途のための湾曲成形プラスチック表面への薄い強化ガラスの積層
CN115327805A (zh) 2016-07-05 2022-11-11 康宁公司 固定装置和汽车内饰系统
WO2018081068A1 (en) 2016-10-25 2018-05-03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KR102624365B1 (ko) * 2016-12-13 2024-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1190B1 (ko) * 2016-12-14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심 조정 방법
KR102545813B1 (ko) * 2016-12-30 202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102077696B1 (ko) 2017-01-03 2020-02-1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만곡된 커버 유리 및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을 갖는 차량 인테리어 시스템 및 이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2259693B1 (ko) 2017-03-1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603051B1 (en) * 2017-03-22 2021-07-21 Gentex Corporation Display assembly incorporating an image sensor
CN106887212A (zh) * 2017-03-28 2017-06-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装置及其亮度调节方法
BR112019022210A2 (pt) * 2017-05-12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letrônico
KR102558993B1 (ko) 2017-05-15 2023-07-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윤곽 유리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7210913A1 (de) * 2017-06-28 2019-01-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US11332011B2 (en) 2017-07-1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0971044B2 (en) * 2017-08-24 2021-04-06 Radiant Vision System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electronic visual displays using fractional pixels
KR102564868B1 (ko) 2017-09-12 2023-08-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장식용 유리 상에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데드프론트 및 관련 방법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TWI806897B (zh) 2017-09-13 2023-07-01 美商康寧公司 用於顯示器的基於光導器的無電面板、相關的方法及載具內部系統
CN107728976B (zh) * 2017-09-22 2021-02-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画面调节方法及其装置
TW201918462A (zh) 2017-10-10 2019-05-16 美商康寧公司 具有改善可靠性的彎曲的覆蓋玻璃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TWI810223B (zh) 2017-11-21 2023-08-01 美商康寧公司 用於抬頭顯示器系統的非球面鏡及其形成方法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WO2019108016A1 (en) 2017-11-30 2019-06-06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KR20190069030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0611B1 (ko) * 2017-12-28 2022-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와 그 광학 보상 방법
KR102510902B1 (ko) * 2018-01-17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방법
KR102389201B1 (ko) * 2018-02-14 2022-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7361705B2 (ja) 2018-03-13 2023-10-16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亀裂抵抗性の湾曲したカバーガラスを有する乗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102478607B1 (ko) * 2018-03-27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372402B1 (en) 2018-03-27 2019-08-06 Panoscape Holdings, LLC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f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KR102513951B1 (ko) * 2018-05-09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색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20018301A1 (en) * 2018-07-16 2020-01-23 Corning Incorporated Display with localized brightness adjustment and related methods
WO2020018284A1 (en) 2018-07-16 2020-01-23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old-bent glass substrat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886766B2 (en) 2018-08-28 2024-01-30 Panoscape Holdings, LLC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JP7140603B2 (ja) * 2018-08-28 2022-09-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WO2020115905A1 (ja) * 2018-12-07 2020-06-1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調整方法
EP3669748A1 (en) * 2018-12-19 2020-06-24 Koninklijke Philips N.V. A mirror assembly
US11290628B2 (en) * 2018-12-27 2022-03-29 Dynascan Technology Corp. Display apparatus
EP3680883A1 (en) * 2019-01-11 2020-07-15 Audi Ag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rising the display device
DE102019203566A1 (de) * 2019-03-15 2020-09-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uerung der Bildwiedergabe einer Anzeigevorrichtung
CN110096243A (zh) * 2019-03-19 2019-08-06 西安工业大学 一种智能广告牌
KR102041346B1 (ko) * 2019-05-07 2019-11-06 주식회사콘스탄텍 시인성 및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광판 및 전광판 시스템
WO2020246296A1 (ja) * 2019-06-06 2020-12-1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システム
EP3771695A1 (en) 2019-07-31 2021-02-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KR20210019900A (ko) * 2019-08-13 202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930954B (zh) * 2019-12-16 2021-07-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亮度补偿方法及补偿系统
KR20220136379A (ko) * 2020-03-31 2022-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N113936587B (zh) * 2020-06-30 2023-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KR102179298B1 (ko) * 2020-07-31 2020-11-16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주변 환경에 따른 그림자와 태양각에 따른 음영 보상(補像) led 전광판
TWI746201B (zh) * 2020-10-06 2021-11-1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影像校正方法
DE102021114563A1 (de) 2021-06-07 2022-12-08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n eines Bildes
CN113643674B (zh) * 2021-08-13 2022-09-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屏幕亮度调节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KR20230064719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30156556A (ko) * 2022-05-06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하우징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569630B1 (ko) * 2023-01-20 2023-08-24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블랙라인 보정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전광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8501A1 (en) * 2003-05-30 2008-09-11 Diamond Michael B Display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8233379A (ja) * 2007-03-19 2008-10-0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20090115751A1 (en) * 2007-11-07 2009-05-07 Young Electric Sig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ple Displays
US20120212466A1 (en) * 2009-10-30 2012-08-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20130321369A1 (en) * 2012-05-31 2013-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5092A1 (de) 1998-09-30 2000-04-06 Volkswagen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lligkeitssteuerung von Displays in einem Kraftfahrzeug
JP4424920B2 (ja) 2003-03-27 2010-03-03 名古屋電機工業株式会社 屋外用表示装置、屋外用表示装置の表示方法および屋外用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
WO2010134438A1 (ja) * 2009-05-19 2010-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10005015A (ko) 2009-07-09 2011-01-17 김형동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30219B2 (en) * 2009-10-30 2014-05-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5761953B2 (ja) * 2009-12-08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59955B1 (ko) * 2010-01-26 201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TWI497247B (zh) 2010-01-28 2015-08-21 Chi Mei Comm Systems Inc 實現亮度調節的資料處理設備及方法
US20110193872A1 (en) 2010-02-09 2011-08-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 system for hybrid daylight-coupled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US20110242142A1 (en) 2010-03-30 2011-10-06 Ati Technologies Ulc Multiple display chrominance and luminance method and apparatus
WO2011125271A1 (ja) * 2010-04-06 2011-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738105B1 (ko) 2010-10-22 2017-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평판 표시장치
US9286020B2 (en) * 2011-02-03 2016-03-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loa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isplays
KR20120119717A (ko) * 2011-04-22 201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색 보정 방법
KR102049783B1 (ko) 2012-09-28 2019-1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도 변화에 따른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52947B2 (en) 2012-12-07 2015-02-10 Htc Corporation Display method for sunlight readab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39458A (ko) 2013-10-0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133643B (zh) * 2014-04-07 2020-10-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用户距离调节显示器亮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8501A1 (en) * 2003-05-30 2008-09-11 Diamond Michael B Display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8233379A (ja) * 2007-03-19 2008-10-0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20090115751A1 (en) * 2007-11-07 2009-05-07 Young Electric Sign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ple Displays
US20120212466A1 (en) * 2009-10-30 2012-08-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20130321369A1 (en) * 2012-05-31 2013-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260A1 (ko) * 2021-08-19 2023-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1800B (zh) 2021-10-08
CN106251800A (zh) 2016-12-21
WO2016195301A1 (en) 2016-12-08
KR20160142525A (ko) 2016-12-13
US20160358582A1 (en) 2016-12-08
US10127889B2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208B1 (ko) 시인성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792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1035462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10258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708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82278B1 (en) Projected display
US20140098076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KR1021896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257483B (zh) 一种显示屏开合角度的调节方法及多屏终端
CN110476147B (zh) 电子装置及其显示内容的方法
JP2011082798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1800729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70025094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664445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25440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33665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KR201800716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808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84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200035567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180124565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80076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51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