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591B1 - 실감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실감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91B1
KR102097591B1 KR1020130130470A KR20130130470A KR102097591B1 KR 102097591 B1 KR102097591 B1 KR 102097591B1 KR 1020130130470 A KR1020130130470 A KR 1020130130470A KR 20130130470 A KR20130130470 A KR 20130130470A KR 102097591 B1 KR102097591 B1 KR 102097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irradiated
light
sen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699A (ko
Inventor
홍종희
문경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5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밝기가 경감된 직접 조명을 채용하여 벽면 등과 상관없이 효과적인 실감 조명이 가능토록 하고, 직접 조명이 시청자의 주 시청 방향과 어긋나도록 하여 직접 조명에 의한 시청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하며, 다양한 시각 효과를 발생하도록 개선된 실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는 주발광 방향이 측면으로 배치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후 주시청 방향 전면으로 조사 또는 반사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도록 제공된 확산부; 및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갖는 차폐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감 조명 장치 {ENTERTAINMENT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실내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실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감 조명 기술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효과적으로, 실감나게 보여지게 조명을 제어하는 기술로, 조명 장치가 설치된 장소나 분위기 등에 따라 조명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설비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따라 실내 조명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실감 조명 장치는 광원이 직접적으로 조사될 경우, 사용자의 눈에 피로를 가중시키고, 이에 따라 애초 원하는 형태의 실감 조명 효과를 부여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실감 조명 장치는 간접 조명을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일례로, 종래의 실감 조명 장치는 투사벽면에 광원부가 제공되고, 이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벽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광원부는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거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공된다.
또한, 종래의 실감 조명 장치는 멀티미디어 설비, 예컨데 TV의 후면부에 광원이 설치될 수 있어 벽면을 향해 발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감 조명 장치는 TV에서 상영되는 콘텐츠의 영상정보를 반영하여 주변부를 간접 조명하여 실감 조명할 수 있다.
일례로 실감 조명 장치는 TV를 시청하기 적합한 조도와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청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고, TV 화면에 대한 몰입도를 향상시키며, 주변 광원의 반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감 조명 장치는, 광원이 TV 등에 장착될 경우, TV 설치 위치에 따라 광원이 조사되는 벽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이러한 간접 조명 만으로는 효과적인 실감 효과를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6297(2011.07.06.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밝기가 경감되고 방향이 조정가능한 직접 조명을 채용하여 벽면 등과 상관없이 효과적인 실감 조명이 가능토록 하고, 직접 조명이 시청자의 주 시청 방향과 어긋나도록 하여 직접 조명에 의한 시청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하며, 다양한 시각 효과를 발생하도록 개선된 실감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는 주발광 방향이 측면으로 배치된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후 주시청 방향 전면으로 조사 또는 반사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도록 제공된 확산부; 및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갖는 차폐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의 주 발광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의 측면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측면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확산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주광원의 굴절율을 조절하는 프리즘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굴절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부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의 후면에 설치되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갖는 후면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밝기가 경감된 직접 조명을 채용하여 벽면 등과 상관없이 효과적인 실감 조명이 가능토록 하고, 직접 조명이 시청자의 주 시청 방향과 어긋나도록 하여 직접 조명에 의한 시청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하며, 다양한 시각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기존의 단순 간접광의 불균일한 효과에 비하여 발생되는 빛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직, 간접광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보다 나은 실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실감 조명 장치(100)는 일정 공간에서 분위기 등을 유도하기 위한 조명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설비(10) 등에 연계되어 컨텐츠에 따라 색상 및 광도 등을 가변하는 조명 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감 조명 장치(100)는 벽면 또는 멀티미디어 설비(10), 예컨대 TV의 시청면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광원(110)은 주발광 방향이 측면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원(110)으로는 냉음극관(CCFL)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에는 주 발광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각도조절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광원(110)의 주 발광 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의 구성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으나, 광원(110)의 주 발광 방향을 가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시청 방향의 전면에는 확산부(120)가 제공될 수 있다.
확산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주시청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원(110) 및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후 주변 구조물이나 벽면 등에 의해 반사된 후 주시청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원(110)을 확산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부(120)는 확산시트(120)로 제공될 수 있다.
확산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조사 또는 반사되는 광원(110)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확산되는 과정에서 약간 블러드된 느낌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확산부(120)는 확산시트(120)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프리즘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굴절시트를 장착하여 광방향성을 부여하거나 광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확산부(120)는 확산시트(120)의 전면에 제공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125)로는 아크릴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 패널은 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소정의 색상을 갖거나 투과성을 낮춰 반투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의 측면에는 주시청 방향의 전면에 차폐판(13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차폐판(130)에는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광원(110)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패턴은 차폐판(130)의 전면에 기구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슬릿홈(132)의 형태로 차폐판(130)의 전면부에 다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홈(132)은 주시청 방향에서 사용자의 시야각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이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릿홈(132)으로 입사된 광원(110)은 직접 투과되지 않고, 산란되며 적절한 색과 밝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폐판(130)은 불투명 소재로 제공되어 관통 형성된 슬릿홈(132)에 의해 전방으로 빛을 내보내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차폐판(130)은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차폐판(130)은 아크릴 패널일 수 있다.
이때, 차폐판(130)이 투명 또는 불투명 부재로 제공될 경우, 슬릿홈(132)은 관통되지 않으며, 빛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차폐판(130)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내부에 기포를 형성시키거나, 기타 굴절율을 다르게 하는 처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판(130)을 통과한 광은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된 직접광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다른 광들은 외부로 발산된 후 주변 구조물이나 벽면 등에 부딪혀 간접광으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광원(110)의 측면에는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110)을 확산시키는 측면확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확산부(140)는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주광원(110)의 굴절율을 조절하는 프리즘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굴절시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굴절시트(140)는 광원(110)에서 입사된 광을 크게 두 방향, 즉 주시청 방향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 경사지게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광원(110)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의 후면에는 반사시트(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60)는 차폐판(130)의 후면부에 제공되며, 측면확산부(140)를 통과한 후 굴절되거나, 내부 구조물 또는 차폐판(130)이나 슬릿홈(132) 등에서 반사된 광원(110)의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인 도 2를 참고하면, 반사시트(도 1의 160)는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부재로, 본 실시예의 실감 조명 장치(100)는 반사시트(160)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측면확산부(140)를 통과한 후 굴절되거나, 내부 구조물 또는 차폐판(130)이나 슬릿홈(132) 등에서 반사된 광원(110)은 내부 구조물이나 벽면 등에 반사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광원(110)의 주시청 방향의 측면에는 측면확산부(140)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측면확산부(140)는 설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인 도 3을 참고하면, 실감 조명 장치(100)는 광원(110)에서 주시청 방향의 측면으로 나온 빛이 측면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실감 조명 장치(100)는 측면확산부(140)에 의한 확산효과가 미미한 경우, 예컨대 측면부에 인접하여 다른 구조물 또는 벽 등이 설치되는 구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감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실감 조명 장치(100)는 주시청 방향의 후면에 후면차폐판(17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후면차폐판(170)은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110)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172)이 제공될 수 있다.
후면차폐판(170)의 구성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전편차폐판(130)의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실감 조명 장치 110: 광원
120: 확산부(확산시트) 130: 차폐판
132: 슬릿홈 140: 측면확산부(굴절시트)
160: 반사시트 170: 후면차폐판
172: 슬릿홈

Claims (7)

  1. 멀티미디어 설비에 연계되어 컨텐츠에 따라 색상 및 광도등을 가변하는 실감 조명 장치에 있어서,
    주발광 방향이 상기 멀티미디어의 시청면 측면으로 배치된 광원;
    상기 광원의 주발광 방향에 수직한 상기 광원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후 상기 멀티미디어의 주시청 방향 전면으로 조사 또는 반사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도록 제공된 확산부;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상기 확산부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일부가 상기 주시청 방향 전면으로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갖는 차폐판; 및
    상기 확산부와 상기 차폐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광원의 주발광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을 확산시키는 측면확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확산부는 상기 광원의 주발광 방향의 면과 마주하여 상기 광원의 굴절율을 조절하는 프리즘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굴절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확산부를 통과한 후 굴절된 광원은 상기 차폐판을 통과하여 상기 주시청 방향 전면으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주 발광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실감 조명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원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를 포함하는 실감 조명 장치.
  6. 청구항 1, 2 및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의 후면에 설치되는 반사시트(160)를 더 포함하는 실감 조명 장치.
  7. 청구항 1, 2 및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측면에서 주시청 방향 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일부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을 갖는 후면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실감 조명 장치.

KR1020130130470A 2013-10-30 2013-10-30 실감 조명 장치 KR102097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470A KR102097591B1 (ko) 2013-10-30 2013-10-30 실감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470A KR102097591B1 (ko) 2013-10-30 2013-10-30 실감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699A KR20150050699A (ko) 2015-05-11
KR102097591B1 true KR102097591B1 (ko) 2020-04-07

Family

ID=5338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470A KR102097591B1 (ko) 2013-10-30 2013-10-30 실감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153A (ja) * 2003-09-05 2005-03-31 Denso:Kk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92Y1 (ko) * 2008-06-02 2010-10-14 박종윤 후광 효과를 가지는 면발광 채널 간판
KR20110076297A (ko) 2009-12-29 2011-07-06 (주)오픈테크놀러지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CN102933894A (zh) * 2010-06-08 2013-02-13 Opto设计股份有限公司 面状光源装置以及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153A (ja) * 2003-09-05 2005-03-31 Denso:Kk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699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60624A (ja) 照明装置
TW200517747A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device
CN103939791A (zh) 照明装置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TW201508357A (zh) 單面發光式之透明導光板,及使用該導光板之面發光裝置
JP4678058B2 (ja) 光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6994647B2 (ja) 照明装置
US20080278791A1 (en) Display System With Variable Diffuser
KR20140030712A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면 광원 장치를 위한 광 산란 렌즈
JP2012528347A (ja) 透明な発光窓
WO2014053832A1 (en) Improved lcd backlight display
JP200907058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US7703970B2 (en) Illuminated background display apparatus
TWI522696B (zh) 具透視顯示功能之電子裝置及其顯示裝置
CN101763772A (zh) 显示设备
KR102097591B1 (ko) 실감 조명 장치
JPWO2013141020A1 (ja) 導光板、照明装置及び照明スタンド
JP5310482B2 (ja) 照明装置
JP4604745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面光源装置
KR100701249B1 (ko) 직하방식 백라이트 유닛용 확산판
KR20110083974A (ko)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N110161748B (zh) 显示装置及显示方法
JP2005315924A (ja) 面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光束制御板
KR101212521B1 (ko) 도광판을 이용한 모아레 패턴 조명장치
JP4540014B1 (ja) Led面発光照明管の面発光方法及びその照明管
JP2009081083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