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974A -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974A
KR20110083974A KR1020100003978A KR20100003978A KR20110083974A KR 20110083974 A KR20110083974 A KR 20110083974A KR 1020100003978 A KR1020100003978 A KR 1020100003978A KR 20100003978 A KR20100003978 A KR 20100003978A KR 20110083974 A KR20110083974 A KR 2011008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body case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모
김형진
민경익
이기언
최경식
김현정
윤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974A/ko
Publication of KR2011008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4/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와 주위와의 휘도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와 주위와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조명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주위의 휘도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DISPALY DEVICE HAVING LIGHTING PART}
본 발명은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을 인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보고자 하는 물체의 휘도와 그 물체의 배경이 되는 영역의 휘도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물체의 휘도가 너무 높거나 배경의 휘도가 너무 낮아 극도의 휘도차가 발생할 경우 심한 눈부심이 발생한다.
특히, 야간에 거실 또는 침실에서 TV를 시청하고 있을 때, TV 화면이 보고자 하는 물체가 되고 TV 주변, 즉 벽이 배경이 된다. 그런데, TV 화면은 자체의 휘도를 가지고 있으며 휘도는 수시로 변동하고 있지만, 주변의 휘도(즉, 벽면)는 천정에 설치된 조명기구에 의해 제공되며 휘도가 변동하지 않는다.
한편, 인간이 물체를 불쾌감 또는 불능감 없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휘도와 배경의 휘도가 적정한 수준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휘도비가 최소 3:1 수준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조명기구가 점등된 상태에서 TV를 시청할 경우 배경이 되는 벽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기 때문에 TV 화면의 변동되는 휘도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조명기기가 소등된 상태에서 TV를 시청할 경우 변동되는 TV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심하게 느끼게 되고, 눈의 피로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눈의 시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명기구가 소등된 상태에서 TV를 시청할 경우 TV 주위에 일정하고 적정한 휘도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주위와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와 주위와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주위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재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입사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 중의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으로 출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는 입사각도로 입사될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위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주위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이하 '디스플레이장치'라 함)는 일예로서, 본체 케이스(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조명부(140)를 포함한다.
본체 케이스(12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0)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30)는 본체 케이스(1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 케이스(120)는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이 표시되며, 본체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광을 방출한다.
한편, 본체 케이스(120)와 디스플레이부(130)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명부(140)는 본체 케이스(120)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130)와 주위와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보다 자세하게 조명부(140)에 대하여 살펴보면, 조명부(140)는 본체 케이스(120)의 후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또한, 조명부(140)는 본체 케이스(120)의 후방으로 광을 조사하여 벽면(10)에 조명광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설치된 주위와의 휘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부(140)는 본체 케이스(120)의 후면 상부측과 양측면측 가장자리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 케이스(120)의 상부와 양측면측에 조명광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40)는 일예로서, 회로기판(142), 발광다이오드(144), 및 렌즈부재(146)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기판(142)은 본체 케이스(120)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144)가 실장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회로기판 또는 금속회로기판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44)는 회로기판(142)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며,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44)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해 본체 케이스(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벽면(10)에 조명광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재(146)는 발광다이오드(14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켜 본체 케이스(120)의 주위로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렌즈부재(1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4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46a)과, 입사면(146a)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입사면(146a)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146b)과, 입사면(146a)으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으로 출사시키는 반사면(146c)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44)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먼저 입사면(146a)을 통해 렌즈부재(146) 내부로 입사된다. 이후, 입사된 광 중 도 2에 도시된 입사면(146a)의 상부측으로 입사된 광은 출사면(146b)에서 굴절되어 상부측으로 조사된다.
또한, 입사면(146a)으로 입사된 광 중 일부, 즉 도 2에 하부측 입사면(146a)으로 입사된 광은 반사면(146c)에 의해 반사된 후 출사면(146b)으로 출사된다. 이때에도 출사면(146b)으로 출사되는 광은 굴절되어 상부측으로 상향 조사된다.
한편, 반사면(146c)은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는 입사각도로 반사면(146c)에 입사될 수 있도록 라운드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부재(146)는 공기보다 큰 굴절률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렌즈부재(146)로부터 공기로 출사되는 광은 출사면(146b)에 입사되는 각보다 큰 각으로 굴절되어 출사된다.
그런데, 반사면(146c)으로 입사되는 광은 전반사되는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반사면(146c)으로 입사되므로, 반사면(146c)에서 전반사되어 출사면(146b)측으로 광의 진행경로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44)의 하부측으로 방출되는 광이 본체 케이스(120)의 상부측으로 상향 조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위에 광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 주위, 즉 벽면(10)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20 : 본체 케이스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조명부

Claims (4)

  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와 주위와의 휘도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광을 방출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주위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입사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 중의 일부를 반사하여 상기 출사면으로 출사시키는 반사면;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입사되는 광이 전반사되는 입사각도로 입사될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00003978A 2010-01-15 2010-01-15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83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78A KR20110083974A (ko) 2010-01-15 2010-01-15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78A KR20110083974A (ko) 2010-01-15 2010-01-15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74A true KR20110083974A (ko) 2011-07-21

Family

ID=4492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978A KR20110083974A (ko) 2010-01-15 2010-01-15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220A1 (ko) * 2017-08-03 2019-02-07 이종선 시력 보호를 위한 tv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WO2021132994A1 (en) * 2019-12-26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220A1 (ko) * 2017-08-03 2019-02-07 이종선 시력 보호를 위한 tv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WO2021132994A1 (en) * 2019-12-26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112107B2 (en) 2019-12-26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451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20100053229A1 (en) Rim system for a display
WO2013035788A1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スタンド
ES2534052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ambiental para un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JP2010224089A (ja) プリズム
TW201205132A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7755827B2 (en) Display system with variable diffuser
JP5763114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の制御方法
EP1983763A3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ion video display device
US20150253491A1 (en) Lcd backlight display
JP4695060B2 (ja) 照明装置
US7172304B2 (en) Illuminator having forward lighting
US8390470B2 (en) Display device
JP2011095309A (ja) 映像表示システム、照明装置
KR20110083974A (ko) 조명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7090335A1 (ja) 照明構造
JPWO2013141020A1 (ja) 導光板、照明装置及び照明スタンド
US20190004238A1 (en) Optical module and illumination apparatus
JP2020095061A (ja) 映像表示装置
US202303086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mber
JP2014026093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4026094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CN110161748B (zh) 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220707154U (zh) 一种具有侧发光防眩板的灯具
JP2006019095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