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288B1 -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288B1
KR102097288B1 KR1020180106660A KR20180106660A KR102097288B1 KR 102097288 B1 KR102097288 B1 KR 102097288B1 KR 1020180106660 A KR1020180106660 A KR 1020180106660A KR 20180106660 A KR20180106660 A KR 20180106660A KR 102097288 B1 KR102097288 B1 KR 10209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tion
grip portion
protrusion
grip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225A (ko
Inventor
배태성
이민호
박장근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는 일단부가 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결찰용 와이어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그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는 맞물림시 상기 결찰용 와이어가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orthodontic ligature instrumen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한 후 아치 와이어와 브라켓을 결합하기 위하여 결찰용 와이어를 묶는데 사용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열은 각각의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각각의 브라켓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한 후 결찰용 와이어로 결찰함으로써 교정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브라켓과 아치 와이어에 결찰된 결찰 와이어는 치아에 힘을 가하고, 치아는 결찰 와이어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통해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치열이 교정된다.
이때, 결찰용 와이어는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꼬인 상태로 브라켓에 고정되는 결찰작업이 수행된다.
기존의 치열 교정용 결찰기구는 외과 수술용 니들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즉, 니들 홀더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가위 형상으로 롱로즈 플라이어일 수 있다.
이러한 니들 홀더를 이용한 결찰 작업이 도 8a 내지 8l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작업 순서는,
도 8a는 결찰용 와이어이다.
도 8b는 결찰용 와이어를 간단하게 꼰 것이다.
8c는 결찰용 와이어를 니들 홀더의 집게부 중앙에 안착시킨다.
도 8d는 결찰용 와이어를 니들 홀더에 고정함과 동시에 톱니형 락키에 의해 락킹이 된다.
도 8e ~ 도 8f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찰용 와이어의 중앙에 브라켓이 위치하도록 한 후 결찰용 와이어의 입구가 브라켓의 갈고리 홈에 끼워지도록 삽입한다.
도 8g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찰용 와이어를 끝까지 당겨준다.
도 8h는 니들 홀더의 손잡이 홀에 중지를 끼운 상태에서 손목을 회전시켜 와이어 꼬기를 실시한다. 이때, 중지도 손목 회전각에 맞춰 오므렸다, 폈다 하면서 계속 보조를 맞춰 줘야만 한다.
도 8i는 와이어 꼬기가 완료된 모습이다.
도 8j ~ 도 8k는 결찰 후 니퍼로 커팅 및 커팅 완료된 모습이다.
도 8l은 와이어 절단부의 끝 처리와 결찰 완료 후 구조 명칭이다.
위와 같은 순서로, 도 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찰용 와이어의 결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니들 홀더는 작업자가 결찰용 와이어를 니들 홀더의 집게부에 고정하고, 니들 홀더 손잡이의 홀에 중지를 끼운 상태에서 손목을 회전시켜야만 와이어의 꼬임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의 홀에 끼워진 중지도 손목의 회전각에 맞춰 손가락을 오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계속적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를 꼬는 작업의 회전 반경이 너무 크기 때문에 작업의 안정성과 정밀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손목이나 손가락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KR 10-047290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손목이나 손가락과 같은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안정된 결찰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부가 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결찰용 와이어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그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는 맞물림시 상기 결찰용 와이어가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그립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일 수 있고, 상기 제2그립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돌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바디의 단부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립부의 전방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결찰용 와이어가 작업 중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는 전체길이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가 수평면을 갖는 반원단면 또는 호형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바디의 수평면 및 제2바디의 수평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는 중,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는, 상기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는, 상기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의 맞물림 시 상기 결찰용 와이어의 물림 상태를 지속하기 위한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락키와, 상기 락키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돌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2바디에 걸리는 경우 락킹 상태를 지속할 수 있으며, 상기 락키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돌부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락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키는 상기 제1바디에 힌지축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판상이며, 상기 락키는 일측에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는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장공의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락키는 일부가 상기 슬릿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락키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락키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락키와 접촉되는 일단부 측이 상기 락키의 지지부를 향하도록 길이 중간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는, 상기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의 맞물림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가 서로 대면하는 대향면 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바디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그립부를 통하여 결찰용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킹부를 통해 결찰용 와이어의 물린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찰 작업시 와이어를 꼬는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목이나 손가락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에서 락킹부의 구조 및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6은 주로 외과 수술용으로 사용되는 기구로서 치열 교정 결찰용으로도 사용되는 범용 니들 홀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 ~ 도 7d는 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그립부이며, 그립부의 요소들에 대한 구조와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 도 8l은 기존 결찰 방법으로, 니들 홀더를 이용한 결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도 9a ~ 도 9d는 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에 의한 결찰 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치아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결찰용 와이어(20)의 결찰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10)과 그 홈상에 끼워진 아치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서 결찰용 와이어(20)로 묶기 위한 결찰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 및 그립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10)는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일단부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그립부(12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상기 한 쌍의 그립부(120) 측에 물려지거나 물려진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110)는 한 쌍의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일단부가 서로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가 서로 구속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공지의 핀셋 또는 집게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서로 고정되는 제1부분(111a,112a)과, 상기 제1부분(111a,112a)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부분(111b,112b) 및 상기 제2부분(111b,112b)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3부분(111c,11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11b,112b) 및 제3부분(111c,112c)은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부분(111b,112b) 및 제3부분(111c,112c)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공지의 적절한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111b,112b)은 상기 제1부분(111a,112a)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중 서로 고정된 제1부분(111a,112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부분(111b,112b)을 통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111)와 제2바디(112)의 앞부분을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3부분(111c,112c)의 단부측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111b,112b)은 길이 중간이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 측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부분(111b,112b)은 상기 바디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111)와 상기 제2바디(112)를 가압하여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바디(111), 제2바디(112)의 틈새 경사도를 많이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결찰용 와이어를 꼬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1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바디부(110)를 더욱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111)와 상기 제2바디(112)에 가한 힘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복원력을 통하여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3부분(111c,112c)의 단부측이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전체길이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가 수평면(113a,113b)을 갖는 반원단면 또는 호형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각각의 수평면(113a,113b)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부분(111a,112a)을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평면(113a,113b)은 락킹 상태에서 어느 정도 평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각각의 제3부분(111c,112c)이 수평면(113a,113b)을 갖는 반원단면 또는 호형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마주하는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과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서로 마주하는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과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이 서로 형합되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손목을 회전시킬 필요 없이 두 개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손목과 손가락 같은 관절을 비틀지 않더라도 결찰용 와이어(20)의 꼬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결찰 작업시 와이어를 꼬는 작업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목이나 손가락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바디부(110) 중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과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7a ~ 도 7d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그립부(120)의 요소 기능 중 돌출부(이빨)와 돌출부의 골이 짝맞춤으로 결찰용 와이어가 쐐기식으로 끼이는 구조이고, 도 7b는 락킹시 지렛대의 원리로 그립력을 한층 높이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그립부의 가이드홈(114)은 결찰시 결찰용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 ~ 도 7d는, 그립부의 틈새 역할은 결찰용 와이어가 그립부의 양 돌출부와 골 부에서만 집중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결찰용 와이어의 직선부는 직접 고정되지 않도록 약간 틈새를 주고, 절곡 되는 절곡 부에서만 그립력이 작용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제1바디(111) 중 제3부분(111c)의 수평면(113a)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그립부(121)와, 상기 제2바디(112) 중 제3부분(112c)의 수평면(113b)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그립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상기 제3부분(111c,112c)의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부분(111c,112c)의 자유단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를 통해서만 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바디부(11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3부분(111c,112c) 중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형성된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공간(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찰용 와이어(2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에 물리는 경우,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전체길이 중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와 대응되는 일부 길이에 대해서만 상기 그립부(120)를 통해 물릴 수 있음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며, 상기 제1그립부(121)는 상기 제1바디(111) 중 제3부분(111c)의 수평면(113a)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일 수 있고, 상기 제2그립부(122)는 상기 제2바디(112) 중 제3부분(112c)의 수평면(113b)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2돌출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상기 수평면(113a,113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삼각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단면, 호형단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가 상기 제3부분(111c,112c)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바디부(110)의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 및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일면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삼각단면을 갖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돌출부는 산부가 서로 이웃하는 제2돌출부의 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는 산부가 서로 이웃하는 제1돌출부의 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0)의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 및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 사이에 결찰용 와이어(20)가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 및 제2바디(112)의 제3부분(112c)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서로 맞물린 복수 개의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를 통하여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의 맞물림을 통해 1회 이상 절곡된 상태로 상기 그립부(120) 측에 물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매우 적은 힘을 유지하더라도 돌출부(이빨)의 쐐기원리로 상기 결찰용 와이어(20)가 상기 그립부(120) 측에 견고하게 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키가 락킹이 된 상태에서는 돌부(131c)를 지지부로해서 지렛대의 원리로 제2부분(111b,112b) 탄력의 3배에 달하는 힘으로 그립력이 작용하고 지속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7c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그립부(121) 또는 제2그립부(122) 중 어느 하나의 전방측에 일정깊이 인입되는 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홈(114)과 대응되는 위치가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홈(114)은 상기 제2바디(112) 중 제3부분(112c)에서 제2그립부(122)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 중 상기 가이드홈(114)과 대응되는 위치는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114)은 상기 제2바디(112) 중 제3부분(112c)의 자유단부로부터 제3부분(112c)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립부(122) 중 최전방에 형성되는 제2그립부(122)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114)은 도 7c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120)를 통하여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를 고정 및 결찰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찰용 와이어(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를 제2그립부(122)의 가이드홈(114)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의 맞물림 시 상기 가이드홈(114)의 개방된 상부는 상기 제1바디(111)의 제3부분(111c) 중 상기 가이드홈(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수평면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와 대응되는 길이부분이 항상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의 맞물림을 통해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더불어, 도 7c를 참조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110)를 회전시켜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를 꼬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가이드홈(114)은 상기 결찰용 와이어(20)의 일부가 항상 가이드홈(114)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를 꼬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결찰용 와이어(20)는 그립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결찰용 와이어(20)를 통한 결찰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7c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결찰용 와이어(20)를 물 수 있도록 맞물린 경우, 제1그립부의 1돌출부의 앞쪽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시 제2그립부의 가이드홈(114)부의 윗면과 약간 간격이 띄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는 결찰용 와이어의 직선부는 직접 고정되지 않도록 약간 틈새를 주고, 절곡되는 절곡부는 그립부의 양 돌출부와 골부에서만 집중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락킹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결찰용 와이어(20)가 상기 그립부(120)에 물린 상태를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부(130)는 상기 제1바디(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락키(131)와 상기 락키(13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112)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키(131)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한 후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락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키(131)가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락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락키(131)는 상기 제1바디(111)에 힌지축(134)을 매개로 힌지연결되는 판상의 락키(131)와, 상기 락키(131)의 일측에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키(131)는 상기 절개부(131b)의 하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13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부(131c)가 락키(131)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의 일측에 걸리거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111)는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장공의 슬릿부(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락키(131)는 일부가 상기 슬릿부(116) 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111)에 힌지 축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키(131)는 상기 슬릿부(116)의 내부에서 자유로게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부(131c)는 상기 락키(131)의 회전방향을 기반으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2바디(112)의 일측에 걸리거나 걸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부(13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의 맞물림 시 상기 돌부(131c)가 락킹 위치로 변경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할 필요 없이 락킹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부(130)는 상기 락키(131)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상기 락키(131)가 락킹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락키(131)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공지의 판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락키(131)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슬릿부(116)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릿부(116) 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락키(131) 중 절개부(131b)의 상측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131d)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은 도 4a에서 상기 슬릿부(116) 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상기 락키(131)의 지지부(131d)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락키(131)는 상기 판스프링에서 제공되는 가압력을 통해 회동방향이 일방향, 일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돌부(131c)를 포함하는 락키(131)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락키(131)는 상기 판스프링으로 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을 통해 회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락키(131)는 상기 돌부(131c)가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하여 상기 제2바디(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상기 락키(131)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릴 수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으로 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을 통해 락키(131)의 회동방향이 안내됨으로써 상기 돌부(131c)가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락키(131)는 상기 돌부(131c)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31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131e)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락킹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개구부(132)의 테두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락키(131)는 상기 개구부(132)의 테두리와 접촉된 경사부(131e)를 통해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개구부(132) 측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돌부(131c)가 개구부(132)를 통과한 후 자동 락킹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d를 참조하며, 사용자가 상기 경사부(131e)를 밀어 상기 락키(131)를 회동시키면 상기 락키(131)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돌부(131c)는 제2바디(112)의 일측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돌부(131c)를 포함하는 락키(131)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복원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13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상기 슬릿부(116) 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상기 지지부(131d)의 일면과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길이중간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1d)와 접촉되는 단부측이 상기 지지부(131d)를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11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부(116)로부터 상기 제1그립부(121) 방향으로 일정깊이 절개형성되는 절개홈(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상기 절개홈(11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부재(133)는 상기 절개홈(118)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탄성력 및 복원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어 상기 지지부(131d) 측으로 제공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4b의 상세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키(131)는 락키의 힌지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돌부의 선단면이 일치되는 구조이며, 이에 락키의 절개부도 힌지 위치보다 더 뒤쪽이다. 따라서, 돌출단(131a)도 뒤쪽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락키의 이러한 구조에서는 락킹 후 락키(131)가 절대 빠지지 않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돌부(131c)가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한 후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리는 경우 상기 한 쌍의 그립부(121,122)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파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부(131c)가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한 후 회동을 통해 상기 제2바디(112)에 걸리는 경우 상기 돌부(131c)는 지렛대의 받침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그립부(121,122)는 상기 제2부분(111b,112b)에서 발생되는 탄력의 수배에 해당하는 파지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의 맞물림시 상기 제1바디(111)와 제2바디(112)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정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려 결찰용 와이어(20)를 견고하게 물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바디(111) 또는 제2바디(112) 측으로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으면,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정해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바디(111)에 형성된 제1그립부(121)는 상기 제2바디(112)에 형성된 제2그립부(122)의 직상부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그립부(122) 측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 사이에 배치된 결찰용 와이어(20)를 정확하게 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정렬부(140)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41) 및 가이드홀(14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재(141) 및 가이드홀(142)은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서로 대면하는 대향면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가이드홀(14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141)는 일단부가 상기 제1바디(11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제2바디(112)를 향하도록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142)은 상기 가이드부재(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바디(11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상기 가이드홀(14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바디(111)에 형성된 제1그립부(121)는 상기 제2바디(112)에 형성된 제2그립부(122)의 직상부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그립부(12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하여 상기 제1바디(1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부재(141)와 제1바디(111)의 결합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압입방식, 핀결합 방식 등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상기 제1바디(111)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제1바디(11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41)는 길이 중간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4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141a)가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을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상기 바디부(11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턱(115)은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길이 중간에 둘레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중 수평면(113a,113b)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115)은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의 길이 중,하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를 이용한 결찰 작업 과정에서, 상기 제1그립부(121) 및 제2그립부(122) 사이에 물린 결찰용 와이어(20)를 당길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걸림턱(115)은 상기 바디부(1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2부분(111b,112b)까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결찰용 와이어(20)를 당길 때, 손 감각을 살리기 위해서 가능한 엄지와 집게 손가락의 힘을 빼고 가볍게 수행해야 되는데 이때 걸림턱(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바디부(110)가 손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100)는 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중 수평면(113a,113b)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방향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미끄럼 방지부(150)는 상기 바디부(110)의 표면에 널링 가공을 통해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패드가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150)는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한 바디부(110)의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결찰용 와이어를 뒤로 당기는 경우 상기 바디부(110)를 파지하는 손가락의 힘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치열 교정용 결찰기구에 의한 결찰 방법에 대해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업순서를 도 9a~ 도 9d에 열거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110 : 바디부 111 : 제1바디
111a : 제1부분 111b : 제2부분
111c : 제3부분 112 : 제2바디
112a : 제1부분 112b : 제2부분
112c : 제3부분 113a,113b : 수평면
114 : 가이드홈 115 : 걸림턱
116 : 슬릿부 117 : 틈새공간
118 : 절개홈 120 : 그립부
121 : 제1그립부 122 : 제2그립부
130 : 락킹부 131 : 락키
131a : 돌출단 131b : 절개부
131c : 돌부 131d : 지지부
131e : 경사부 132 : 개구부
133 : 스프링부재 134 : 힌지축
140 : 위치정렬부 141 : 가이드부재
141a : 걸림부 142 : 가이드홀
150 : 미끄럼 방지부

Claims (9)

  1. 일단부가 서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적인 변형을 통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한 쌍의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결찰용 와이어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제1바디 및 제2바디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그립부와 상기 제2바디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는 맞물림 시 상기 결찰용 와이어가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립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이고, 상기 제2그립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부이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는 돌출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이며, 대향 하는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는 서로 물렸을 때 돌출부와 골이 짝을 이루며, 그립 시 결찰용 와이어가 양 골 사이에 쐐기 식으로 끼여서 빠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단부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그립부의 전방 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 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결찰용 와이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제1그립부의 1돌출부의 앞쪽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시 제2그립부의 가이드홈 부의 윗면과 수평면이 약간 간격이 띄워진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를 포함하며,
    이는 결찰용 와이어의 직선 부는 직접 고정되지 않도록 약간 틈새를 주고, 절곡되는 절곡부는 그립부의 양 돌출부와 골 부에서만 집중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며, 락킹 후 돌출된 결찰용 와이어를 좌,우,상,하로 흔들어 봤을 때 가이드홈 부 내에서 유동이 이루어지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는 전체 길이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가 수평면을 갖는 반원단면 또는 호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의 수평면 및 제2바디의 수평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바디 길이의 중,하부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는, 상기 제1그립부 및 제2그립부의 맞물림 시 상기 결찰용 와이어의 물림 상태를 지속하기 위한 락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바디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락키와, 상기 락키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 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돌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2바디에 걸리는 경우 락킹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락키의 회동을 통해 상기 돌부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락킹 상태가 해제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락키는 상기 제1바디에 힌지축을 매개로 힌지연결되는 판상의 락키와, 상기 락키의 일측에 내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부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의 락키는, 상기 힌지축의 중심과 상기 돌부의 선단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이 락키 돌출단의 인선과 직각이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KR1020180106660A 2018-09-06 2018-09-06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KR10209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60A KR102097288B1 (ko) 2018-09-06 2018-09-06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660A KR102097288B1 (ko) 2018-09-06 2018-09-06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25A KR20200028225A (ko) 2020-03-16
KR102097288B1 true KR102097288B1 (ko) 2020-04-06

Family

ID=699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660A KR102097288B1 (ko) 2018-09-06 2018-09-06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2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685A (en) 1997-01-16 1999-09-28 Kazuyuki Higurashi (Partial Interest) Twister for ligature wire
KR200305779Y1 (ko) 2002-07-10 2003-03-03 문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결찰기
KR100472905B1 (ko) 2004-03-31 2005-03-14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치아 교정용 결찰 철사의 결찰 장치
US20110106142A1 (en) 2008-01-24 2011-05-05 Sutureaid Holdings B.V. Suturing instruments and suturing systems
CN202568498U (zh) 2012-04-01 2012-12-05 王莉云 弓丝结扎钳
KR101308080B1 (ko) 2012-04-23 2013-09-12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와이어 절곡플라이어
KR101437153B1 (ko) 2013-07-24 2014-09-0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를 파지하기 위한 포셉
CN206316956U (zh) 2016-11-29 2017-07-1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带自动锁紧装置的封口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862U (ko) * 1999-02-05 2000-09-25 경희문 치과용 집게
KR101316419B1 (ko) * 2011-12-01 2013-10-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유도 재생술시에 사용되는 봉합용 핀셋
KR20180018465A (ko) * 2017-10-27 2018-02-21 이근직 집게형 도구 손잡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685A (en) 1997-01-16 1999-09-28 Kazuyuki Higurashi (Partial Interest) Twister for ligature wire
KR200305779Y1 (ko) 2002-07-10 2003-03-03 문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결찰기
KR100472905B1 (ko) 2004-03-31 2005-03-14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치아 교정용 결찰 철사의 결찰 장치
US20110106142A1 (en) 2008-01-24 2011-05-05 Sutureaid Holdings B.V. Suturing instruments and suturing systems
CN202568498U (zh) 2012-04-01 2012-12-05 王莉云 弓丝结扎钳
KR101308080B1 (ko) 2012-04-23 2013-09-12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와이어 절곡플라이어
KR101437153B1 (ko) 2013-07-24 2014-09-0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를 파지하기 위한 포셉
CN206316956U (zh) 2016-11-29 2017-07-1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带自动锁紧装置的封口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25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207B2 (en) Surgical grasper
US7896900B2 (en) Medical instrument for grasping an object, in particular needle holder
EP1634540A1 (en) Surgical clamp and cutting blade
US5674244A (en) Locking device on a pliers-shaped tool
US5928263A (en) Surgical instrument with flexible actuator and rigid actuator cover
US5250056A (en) Forceps-type surgical instrument
US20020077649A1 (en) Manually adjustable scissors or forceps
US4744272A (en) Foldable tool
US1852542A (en) Cutlery
JP2006504479A (ja) 整形外科用ラチェット式鉗子
US4961742A (en) Suture needle holding instrument
JP7359777B2 (ja) 脊椎固定ロッド湾曲器具
US20100022845A1 (en) Retractor With Adjustable Blades
WO2008120191A2 (en) Surgical instrument particularly useful as tweezers for grasping and holding objects of different thicknesses
JP2004504096A (ja) 安全ラチェットメカニズム
US20060260135A1 (en) Gripcut tool
JP5328421B2 (ja) 鉗子
US20180153535A1 (en) Handle for microsurgical instruments
US8535348B1 (en) Surgical needle holder
KR102097288B1 (ko)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US3287751A (en) Plier-type cutting and gripping tool
US20140046363A1 (en) Surgical forceps
JP2008178517A (ja) ヘアクリップ
WO2011149514A1 (en) Tool for orthodontic appliance
JP2022526284A (ja) 洗浄に関して最適化された器具バネの簡単な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