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862U - 치과용 집게 - Google Patents

치과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862U
KR20000016862U KR2019990001996U KR19990001996U KR20000016862U KR 20000016862 U KR20000016862 U KR 20000016862U KR 2019990001996 U KR2019990001996 U KR 2019990001996U KR 19990001996 U KR19990001996 U KR 19990001996U KR 20000016862 U KR20000016862 U KR 200000168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tongs
ligation
forceps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희문
Original Assignee
경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문 filed Critical 경희문
Priority to KR2019990001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6862U/ko
Publication of KR20000016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6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치열교정용 브라켓트와 와이어를 결찰선으로 묶어줄때 사용하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결찰선의 양 가닥을 잡아서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지을때 사용하는 집게를 좀더 편리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3)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은 통상의 집게에 있어서 손잡이가 맞닿는 내측면부 양단을 높낮이 차이가 없도록 구비시켜 집게를 돌릴때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4)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결찰선의 양 가닥을 집게로 잡아 매듭을 지을때 돌기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아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집게{DENTAL PINCERS}
본 고안은 치과용 집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시에 사용하는 브라켓트와 와이어를 묶어주는 결찰선이 풀리지 않도록 결찰선의 양가닥을 잡고 돌려 매듭을 짓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각 브라켓트의 슬롯(S1ot)에 하나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치열교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브라켓트와 와이어를 결찰선으로 묶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 결찰선은 묶을때에는 결찰선의 양가닥을 한번 꼬아 집게로 잡고 손으로 집게를 연속적으로 돌림으로서 매듭을 짓게 되는데 종래의 집게는 양측 손잡이가 맞닿는 내측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집게를 한손으로 돌릴 경우 상기 돌기부에 의해 간섭을 받으므로 치열교정시 작업이 순탄치 못하고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여 치열교정시 집게로 결찰선을 묶어줄때 돌기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좀더 신속, 정확하게 결찰선 풀림방지를 위한 매듭을 짓고 치열교정시에 능률향상과 치료시의 편익을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집게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집게를 벌린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집게 2: 3: 손잡이 4: 5: 내측면 6: 8: 걸림턱
7: 9: 걸림턱 14: 브라켓트 16: 와이어 17: 결찰선
18: 접점부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통상의 치과용 집게에 있어서 상호 맞물리도록 걸림홈과 걸림턱이 형성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접점부 내측면부 양단이 높낮이 차이가 없도록 하여 집게를 돌릴때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고안의 치과용 집게에 관한 구성을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단의 각각의 협지구(11)(12)가 형성되고 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2)(3)를 핀(10)으로 결합하는 한편 일측 손잡이(2)의 내측에 판스프링(13)을 리벳으로 고정시키고 판스프링(13) 타측은 손잡이(3)의 내측에 탄지되게 한 치과용 집게(1)에 있어서; 통상의 걸림홈(7)(9)과 걸림턱(6)(8)이 상호 결속되도록 형성된 손잡이(2)(3)의 내측면(4)(5), 접점부(20)와 그 주연을 연장하여 표면의 높낮이 차이가 없도록 균일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치과용 집게에 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먼저, 치과 환자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치열교정용 각 브라켓트(14)를 치아에 붙이고 브라켓트(14)의 슬롯(s1ot)(15)에 와이어(16)를 연결한 다음 브라켓트(14)의 양 날개(18)(19)에 결찰선(17)을 둘러 와이어(16)를 고정시킬때 결찰선(17)의 양가닥을 집게(1)로 잡고 돌려 매듭을 짓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와이어(16)를 치열교정용 브라켓트(14)와 견고히 묶어주기 위한 결찰선(17)의 양가닥을 한번 꼬은 다음 집게(1)의 협지구(11)(12)에 물린 다음 벌어진 손잡이(2)(3)를 눌러 각각의 걸림턱(6)(8)과 걸림홈(7)(9)이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손을 집게(1)의 손잡이(2)(3) 내측면(4)(5)에 끼워 왼쪽 또는 오른쪽 일방향으로 연속 돌리게 되면 양 가닥이 서로 나선 형태로 꼬아지면서 매듭이 형성되어 풀리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2)(3)의 내측면(4)(5)에 손을 끼워 집게(1)를 왼쪽이나 오른쪽어느 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접점부(20)와 내측면(4)(5)의 양단은 높낮이의 차이가 없이 표면이 균일하므로 돌기부에 의한 간섭을 받지않고 좀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집게(1)를 돌려 결찰선(17)이 풀리지 않도록 매듭을 엮을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치과용 집게는 치열교정용 브라켓트와 와이어를 결찰선으로 묶을때 손잡이의 내측면 돌기부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좀더 쉽고 편리하게 왼쪽이나 오른쪽 어느 방향으로 돌려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치열교정용 브라켓트와 와이어를 결찰선으로 묶어주기 위하여 선단에 협지구가 형성되고 이 협지구와 일체로 각각의 손잡이가 형성된 집게의 손잡이 후판 내측면에 돌기부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각 손잡이(2)(3)의 끝에 통상의 걸럼턱(6)(8)과 걸림홈(7)(9)이 형성된 내측면(4)(5)과 이들의 접점부(20)에 높낮이 차이가 없도록 표면을 균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집게.
KR2019990001996U 1999-02-05 1999-02-05 치과용 집게 KR200000168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96U KR20000016862U (ko) 1999-02-05 1999-02-05 치과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996U KR20000016862U (ko) 1999-02-05 1999-02-05 치과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62U true KR20000016862U (ko) 2000-09-25

Family

ID=5475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996U KR20000016862U (ko) 1999-02-05 1999-02-05 치과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68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53B1 (ko) * 2006-09-11 2007-08-2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경추고정장치의 삽입기구
KR20200028225A (ko) * 2018-09-06 2020-03-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53B1 (ko) * 2006-09-11 2007-08-2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경추고정장치의 삽입기구
KR20200028225A (ko) * 2018-09-06 2020-03-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결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9668B1 (en) Orthodontic appliance
WO1991007925A1 (fr) Appareil orthodontique
KR20140010014A (ko) 치과교정용 그리핑 장치
JP3096332U (ja) 歯列矯正用ネジ装置
US1938428A (en) Orthodontia arch bow
CN211278247U (zh) 一种适用于狭小部位螺钉拆装的钳夹
US4392494A (en) Ligature tying instrument
US20020146665A1 (en) Orthodontic treatment pliers
KR20000016862U (ko) 치과용 집게
US3287751A (en) Plier-type cutting and gripping tool
US1958505A (en) Tooth cleaning appliance
US1299102A (en) Orthodontic implement.
US4040186A (en) Orthodontic plier-type tool
KR101308080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절곡플라이어
JP3162226U (ja) リーマ用のエクストラクタおよびリーマ付きのエクストラクタ
JP3199137U (ja) デンタルフロス
CN211023218U (zh) 一种改良的口腔正畸结扎丝成型钳
US5039303A (en) Orthodontic process
WO2021191639A1 (en) Brick line clamp
CN213156236U (zh) 一种便于快速过线的手术钳
KR200244992Y1 (ko) 치아 교정용 기구
CN207693672U (zh) 一种双极电凝分离钳
US2126308A (en) Clamp
CN211439618U (zh) 一种便于调节的平口钳
CN214387698U (zh) 一种口外弓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