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108B1 - 수산물 회전 건조대 - Google Patents

수산물 회전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108B1
KR102097108B1 KR1020190124337A KR20190124337A KR102097108B1 KR 102097108 B1 KR102097108 B1 KR 102097108B1 KR 1020190124337 A KR1020190124337 A KR 1020190124337A KR 20190124337 A KR20190124337 A KR 20190124337A KR 102097108 B1 KR102097108 B1 KR 10209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kewer
frame
mounting ba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19012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 F26B15/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수산물 회전 건조대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수산물 회전 건조대는 전·후프레임(210,220)과 좌·우 프레임(230,240)을 사각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중앙 프레임이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중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b) 결합되는 회전축(3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된 채, 상기 회전축(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주는 기어드 모터(400); 상기 기어드 모터(400)의 온/오프,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반(500);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판형의 거치대 프레임(310); 상기 각 거치대 프레임(310)에 일단이 결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걸개가 마련된 다수의 거치바(600); 상기 일 거치바의 걸개(610)에 일단이 거치되고, 인접한 다른 거치바의 걸개에 타단이 거치되며, 수산물이 꿰어지는 다수의 꼬챙이(7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스터(20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들어 올려서 이동을 제한함과 함께 수평맞춤을 위한 다수의 스크류 잭(80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바(600)는 8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꼬챙이(700)는 그 사이사이에 거치되어 8각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꼬챙이(700)는 각 거치바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다단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개(610)는, 상기 거치바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거치되는 제1 걸개(611)와, 상기 거치바의 타단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거치되는 제2 걸개(61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걸개(611)는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도입되는 v형의 도입홈(611a)과, 상기 도입홈(611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개되어 상기 예리한 단부가 끼워지는 록킹홈(611b)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걸개(612)는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안착되는 v형 안착홈으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산물 회전 건조대{Seafood Rolling Drying Rack}
본 발명은 수산물, 특히 오징어 등의 연체동물을 자연 건조시키기 위한 수산물 건조대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량의 수산물을 거치한 거치대를 바람의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점, 거치대의 회전속도를 가감할 수 있어서 바람의 세기에 따른 속도조절이 가능한 점, 고르지 못한 바닥에서도 수평설치가 가능한 점 등에 특징을 갖는 수산물 회전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농산물(고추, 무우, 감, 건나물, 표고버섯, 인삼 등) 또는 수산물(오징어, 과메기, 멸치, 김 등)을 기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히터장치, 송풍기 등을 이용하여 피건조물이 다단으로 배치된 건조실 내에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불어넣고 이를 적절하게 공급 및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열풍건조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풍건조기는 히터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풍을 피건조물에 전달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하고 매우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에 의하여 품질에 이상(질감이나 색상이 변하게 됨)이 발생할 수 있는 품목(해산물, 감말랭이 등)의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고가의 냉각 시스템(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 등) 및 열교환기 등의 설비가 요구되기는 하지만, 피건조물에 대하여 열을 전달하지 않는 저온 및 제습분위기에서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열풍건조기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품목에 대하여 유효하게 건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품질 또한 더욱 우수한 저온(냉풍) 건조기도 널리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저온건조기는 건조실의 공기공급측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송풍팬에 의한 송풍방식으로 제습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송풍방식의 건조기는 건조실로 공급된 공기가 공기공급측에 배치된 건조선반에만 집중적으로 전달되고 공기배출측에 배치된 건조선반에는 거의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공기공급측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이 공기배출측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시간내에 건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이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게 되는 등 건조효율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건조실에는 건조선반이 종횡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공기가 건조선반을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팬을 강하게 작동시켜 강한 송풍력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함은 물론, 송풍되는 건조공기가 건조선반에 부딪히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상당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저온건조기의 공기배출측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건조공기의 송풍방식이 아닌 흡입방식으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도록 된 건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흡입방식으로 된 건조기의 경우, 대부분 흡입팬을 공기배출측에 설치한 후 흡입된 습공기가 모두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건조실의 공기공급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임에 따라 공기의 순환에 한계가 있었다.
즉, 모든 습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구조임에 따라 흡입팬을 복수개 설치하더라도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마력이 높은 고가의 흡입팬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비용부담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온건조기는 흡입방식이든 송풍방식이든지 피건조물의 습기량에 상관없이 건조실의 습공기의 냉각시스템을 통과하여 제습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습기가 많을 경우에는 효과가 있으나, 습기가 적을 경우에도 똑같이 냉각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에 한계가 있었다.
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6966호 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843744호 문헌 3 :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804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량의 수산물을 거치한 거치대를 바람의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고, 거치대의 회전속도를 가감할 수 있어서 바람의 세기에 따른 속도조절이 가능하며, 고르지 못한 바닥에서도 수평설치가 가능한 수산물 회전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는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프레임(210,220)과 좌·우 프레임(230,240)을 사각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중앙 프레임이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중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b) 결합되는 회전축(3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된 채, 상기 회전축(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주는 기어드 모터(400); 상기 기어드 모터(400)의 온/오프,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반(500);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판형의 거치대 프레임(310); 상기 각 거치대 프레임(310)에 일단이 결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걸개가 마련된 다수의 거치바(600); 상기 일 거치바의 걸개(610)에 일단이 거치되고, 인접한 다른 거치바의 걸개에 타단이 거치되며, 수산물이 꿰어지는 다수의 꼬챙이(7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스터(20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들어 올려서 이동을 제한함과 함께 수평맞춤을 위한 다수의 스크류 잭(80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바(600)는 8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꼬챙이(700)는 그 사이사이에 거치되어 8각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꼬챙이(700)는 각 거치바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다단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개(610)는, 상기 거치바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거치되는 제1 걸개(611)와, 상기 거치바의 타단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거치되는 제2 걸개(61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걸개(611)는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도입되는 v형의 도입홈(611a)과, 상기 도입홈(611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개되어 상기 예리한 단부가 끼워지는 록킹홈(611b)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걸개(612)는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안착되는 v형 안착홈으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수산물 회전 건조대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에 의한 강제건조가 아닌 자연 건조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서 일방향 건조에 비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세기에 따라 거치대의 회전속도를 가변할 수 있어서 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거치대가 8각형상을 가짐에 따라 수산물을 많이 거치할 수 있고, 수직 및 수평상으로 다단 거치가 가능하므로 한 번에 건조할 수 있는 수산물의 양을 기존 대비 증량할 수 있다.
또한, 건조장소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하부에 마련된 스크류 잭에 의해 수평조절이 가능하므로 거치대의 안정적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회전 건조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회전 건조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 사시도
아래에 개시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회전 건조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회전 건조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회전 건조대(100)는 베이스 프레임(200), 회전축(300), 거치대 프레임(310), 거치바(600) 및 꼬챙이(7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수산물 회전 건조대(100)의 최하층을 구성하면서 수산물 회전 건조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전·후 프레임(210,220)과 좌·우 프레임(230,240)을 사각 배열한 형태를 이루며,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지지되는 중앙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0)의 저면 각 모서리측에는 수산물 회전 건조대(100)의 이동을 위하여 캐스터(20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적정 장소에서 정지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4개의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스크류 잭(80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잭은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데 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캐스터(20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닥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 각 스크류 잭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맞추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중앙프레임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상기 거치대 프레임(310)의 상하방향 다단 설치개소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기어드 모터(4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드 모터(400)와 회전축(300)은 90°의 위상차를 가짐에 따라 기어드 모터의 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는 동력전달기어(41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드 모터(40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며, 회전속도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드 모터(400)는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화 된 모터로서, 모터의 고속 회전력을 감속기가 감속시켜서 회전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어드 모터(400)의 온/오프,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500)은 도 1에서와 같이, 전원 온/오프 버튼(510), 회전속도 조절버튼(520), 회전방향 제어버튼(530), 상기 기어드 모터(400)를 기동하기 위한 기동버튼(540), 상기 기어드 모터(400)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55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 프레임(310)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 상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단 설치되어, 상기 거치바(6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 프레임(310)은 판형으로 되어 용접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리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거치바(600)는 사각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각 거치대 프레임(310)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바(600)는 8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거치되는 꼬챙이(700)는 8각형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는 많은 수산물을 꽂아걸 수 있는 최적의 구성이다.
한편, 거치바(600)의 타단에는 상기 꼬챙이(700)를 걸어서 거치하기 위한 걸개(6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개(610)는, 상기 거치바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거치되는 제1 걸개(611)와, 상기 거치바의 타단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거치되는 제2 걸개(6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걸개(611)는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도입되는 v형의 도입홈(611a)과, 상기 도입홈(611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개되어 상기 예리한 단부가 끼워지는 ㄴ자 형상의 록킹홈(611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록킹홈(611b)은 수산물 회전 건조대(100)가 회전동작할 때 원심력에 의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꼬챙이(700)는 수산물을 꿰기 위한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일 거치바(600)의 걸개(610)에 일단이 거치되고, 인접한 다른 거치바의 걸개에 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거치된 꼬챙이(700)는 도 2에서와 같이 8각형 형태가 되어 많은 수산물을 꿰어서 거치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많은 양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꼬챙이(700)는 각 거치바(600)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다단 배치될 수도 있어서 위아래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많은 양의 수산물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제어반(500)의 조작에 의해 기어드 모터(400)를 가동시켜서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면 각 꼬챙이(700)에 꿰어져 있는 수산물이 회전하면서 자연 건조시킬 수 있으며, 주변 상황에 따라, 예컨대, 바람의 세기, 방향 등에 따라 수산물 회전 건조대(100)의 회전방향, 회전속도에 변화를 줌으로 최적의 건조효과를 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수산물 회전 건조대 200 : 베이스 프레임
300 : 회전축 400 : 기어드 모터
500 : 제어반 600 : 거치바
610 : 걸개 700 : 꼬챙이
800 : 스크류 잭

Claims (3)

  1. 전·후프레임(210,220)과 좌·우 프레임(230,240)을 사각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중앙 프레임이 마련된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중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b) 결합되는 회전축(3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설치된 채, 상기 회전축(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켜주는 기어드 모터(400);
    상기 기어드 모터(400)의 온/오프,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반(500);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판형의 거치대 프레임(310);
    상기 각 거치대 프레임(310)에 일단이 결합된 채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걸개가 마련된 다수의 거치바(600);
    상기 일 거치바의 걸개(610)에 일단이 거치되고, 인접한 다른 거치바의 걸개에 타단이 거치되며, 수산물이 꿰어지는 다수의 꼬챙이(7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측에 마련되는 다수의 캐스터(20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을 들어 올려서 이동을 제한함과 함께 수평맞춤을 위한 다수의 스크류 잭(80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바(600)는 8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꼬챙이(700)는 그 사이사이에 거치되어 8각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꼬챙이(700)는 각 거치바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다단 배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개(610)는, 상기 거치바의 타단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거치되는 제1 걸개(611)와, 상기 거치바의 타단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거치되는 제2 걸개(612)로 구성되되,
    상기 제1 걸개(611)는 꼬챙이의 예리한 단부가 도입되는 v형의 도입홈(611a)과, 상기 도입홈(611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확개되어 상기 예리한 단부가 끼워지는 록킹홈(611b)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걸개(612)는 꼬챙이의 고리 부분이 안착되는 v형 안착홈으로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는 수산물 회전 건조대.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4337A 2019-10-08 2019-10-08 수산물 회전 건조대 KR10209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37A KR102097108B1 (ko) 2019-10-08 2019-10-08 수산물 회전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37A KR102097108B1 (ko) 2019-10-08 2019-10-08 수산물 회전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108B1 true KR102097108B1 (ko) 2020-04-03

Family

ID=7028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37A KR102097108B1 (ko) 2019-10-08 2019-10-08 수산물 회전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1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1288A (zh) * 2021-06-24 2021-10-29 浙江湖州父子岭耐火集团有限公司 一种核电钢大电炉用镁碳砖生产工艺
KR20220163632A (ko) * 2021-06-03 2022-12-12 김정래 황태 건조대
KR102481489B1 (ko) 2022-07-03 2022-12-23 김성철 회전식 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082A (ko) * 1997-03-31 1998-11-16 김상희 이동이 가능한 회전식 오징어건조장치
KR20100013343A (ko) * 2010-01-15 2010-02-09 김윤호 회전건조기
KR20130090520A (ko) * 2012-02-06 2013-08-14 연 일 성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140106966A (ko) 2013-02-27 2014-09-04 주식회사 다인 웰빙 오징어 건조장치
KR101843744B1 (ko) 2017-10-25 2018-03-30 박상근 오징어 건조장치
KR200488048Y1 (ko) 2018-11-02 2018-12-07 심우정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90085651A (ko) * 2018-01-11 2019-07-19 신한담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082A (ko) * 1997-03-31 1998-11-16 김상희 이동이 가능한 회전식 오징어건조장치
KR20100013343A (ko) * 2010-01-15 2010-02-09 김윤호 회전건조기
KR20130090520A (ko) * 2012-02-06 2013-08-14 연 일 성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20140106966A (ko) 2013-02-27 2014-09-04 주식회사 다인 웰빙 오징어 건조장치
KR101843744B1 (ko) 2017-10-25 2018-03-30 박상근 오징어 건조장치
KR20190085651A (ko) * 2018-01-11 2019-07-19 신한담 근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건조기
KR200488048Y1 (ko) 2018-11-02 2018-12-07 심우정 농수산물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632A (ko) * 2021-06-03 2022-12-12 김정래 황태 건조대
KR102549405B1 (ko) * 2021-06-03 2023-06-29 김정래 황태 건조대
CN113561288A (zh) * 2021-06-24 2021-10-29 浙江湖州父子岭耐火集团有限公司 一种核电钢大电炉用镁碳砖生产工艺
CN113561288B (zh) * 2021-06-24 2022-10-25 浙江湖州父子岭耐火集团有限公司 一种核电钢大电炉用镁碳砖生产工艺
KR102481489B1 (ko) 2022-07-03 2022-12-23 김성철 회전식 건조기
KR102593721B1 (ko) 2022-07-03 2023-10-24 김성철 회전식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108B1 (ko) 수산물 회전 건조대
KR100506727B1 (ko) 음식물 건조기
CA2559214C (en) Cooking apparatus
US7371999B1 (en) Temperature changing apparatus having a rotating air deflector
RU2011132068A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15490732U (zh) 一种肉牛风干牛肉干晾干架
KR101843744B1 (ko) 오징어 건조장치
KR200488048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953519B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693558B1 (ko) 수직형 회전날개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KR200482171Y1 (ko) 빨래 건조대용 송풍장치
KR20140100649A (ko) 농산물 건조장치
JP2002168563A (ja) 干物装置
CN214483185U (zh) 一种立式的榨菜风干设备
JP5151515B2 (ja) 衣類乾燥装置
CN210642366U (zh) 一种脱水蔬菜用烘箱
KR102392052B1 (ko) 풍향 전환식 농산물 건조기
KR20130005317U (ko) 빨래건조대용 선풍기 및 이의 부착방법
CN211746589U (zh) 一种果蔬烘干机
KR101917872B1 (ko) 자동 풍향 가이드가 구비된 냉풍건조장치
KR20080021309A (ko) 농산물 건조기
CN216074424U (zh) 一种旋转式衣服烘干装置
KR101789727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CN216404841U (zh) 一种室内高效速干晾衣架
JPH0564700A (ja) 浴室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