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059B1 - 마그네틱 믹싱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믹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059B1
KR102097059B1 KR1020190150839A KR20190150839A KR102097059B1 KR 102097059 B1 KR102097059 B1 KR 102097059B1 KR 1020190150839 A KR1020190150839 A KR 1020190150839A KR 20190150839 A KR20190150839 A KR 20190150839A KR 102097059 B1 KR102097059 B1 KR 10209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magnetic
shaft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정승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5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59B1/ko
Priority to PCT/KR2020/013168 priority patent/WO2021101060A1/ko
Priority to US17/778,086 priority patent/US202300013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01F33/453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supporting the stirring element in one point
    • B01F13/08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01F13/0845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with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01F33/4532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using a bearing, tube, opening or gap for internally supporting the stir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01F33/453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using a stud for supporting the stir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3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4Mixing of ingredients for microbiology, enzymology, in vitro culture or genetic manipulation
    • B01F2215/0073

Abstract

마그네틱 믹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는, 구동모터부를 관통하되 구동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구동모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교반용기의 외측에 마련되어 샤프트 상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 정상 작동시 샤프트의 교반용기 측 말단에 결합되며 제1영구자석을 구비하는 회전로터; 및 교반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되 정상 작동시 제1영구자석과 자성 결합되는 제2영구자석이 마련된 임펠러부를 포함하며, 제1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다운(down) 구동되어 샤프트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회전로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믹싱장치{MAGNETIC 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마그네틱 믹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용기에 마련되어 액상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 가능하게마련되며, 반응발효조 또는 미생물 배양탱크에 있어서도 액상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그네틱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상 혼합물을 교반하기위해 사용되는 교반용기는 상부에 믹서장치를 장착하였으며, 그 예로 한국실용신안공개 제2000-12086호(2000.07.05.)에는 '교반장치의 조립식 임펠러'가 개시되어 있다.
즉, 반응발효조 또는 미생물 배양탱크를 포함하는 교반용기 내의 액상 혼합물을 교반하기 위해서는 임펠러와 같은 교반 날개를 이용한 믹싱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믹싱장치는 전술한바와 같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12086호(2000.07.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반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되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마련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믹싱장치는, 모터 및 기어박스의 크기가 교반용기의 용량에 대응하여 커지기 때문에 교반용기의 상부에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수리나 교체를 위하여 교반용기에서 분리시키는 작업을 실시할 시에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믹싱장치를 교반용기의 하부에 장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믹싱장치를 교반용기의 하부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모터의 출력축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교반날개를 구비한 회전축이 휨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교반용기에 저장된 혼합물을 원활하게 혼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즉, 교반용기에 저장된 고점도의 액상 혼합물이 교반날개 또는 회전축의 외면에 달라붙게 되면서 회전축에 회전력에 간섭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또한, 혼합물이 교반용기의 내부에서 와류되면서 회전축을 강한 회전력으로 가압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믹싱장치의 회전축은 교반용기의 내부에서 교반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기 때문에 휨 변형되기 쉬운 구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은, 회전축이, 모터에 의한 진동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면서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지 못한채로 회전되기 때문에 액상 혼합물이 균일하게 교반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심각하게는 믹싱장치 상에서 회전축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마그네틱을 이용한 믹싱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모터의 출력축 일단에는 마그네틱을 구비한 로터를 장착시키고, 그 로터의 상부에는 마그네틱을 장착한 임펠러를 안착시켜 자력으로 임펠러를 고정 및 회전 시키는 구조의 마그네틱 믹싱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그네틱 믹싱장치는, 로터 상에서 임펠러를 고정시키기 위해 강한 자력의 마그네틱이 사용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용으로 자력에 변동이 발생되어 이탈되는 경우 베어링이 손상되거나 풀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임펠러가 이탈되거나 임펠러의 회전이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103045호 (세드나이엔지(주)), 2008.11.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그네틱의 자력에 변동이 발생되어 자력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마련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동모터부를 관통하되 상기 구동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구동모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교반용기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 상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 정상 작동시 상기 샤프트의 상기 교반용기 측 말단에 결합되며 제1영구자석을 구비하는 회전로터; 및 상기 교반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되 정상 작동시 상기 제1영구자석과 자성 결합되는 제2영구자석이 마련된 임펠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다운(down) 구동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회전로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로터는,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일면이 상기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에 걸림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제1영구자석을 지지하는 걸림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하우징이 결합되는 일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에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되 수동으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핸들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의 자성 결합시 상기 회전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채 교반용기와 결합되는 웰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웰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의 자력에 변동이 발생되어 자력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교반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교반용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정상 작동 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교반용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자력이탈 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작동 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자력이탈 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교반용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정상 작동 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교반용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자력이탈 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작동 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자력이탈 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100)는, 구동모터부(110)와, 구동모터부(110)의 일측에 결합되되 교반용기(5)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하우징(120)과, 업/다운(up/down) 구동가능하며 제1영구자석(M1)을 구비하는 회전로터(130)와, 웰딩부(140)와, 교반용기(5)의 내측에 배치되되 정상 작동시 제1영구자석(M1)과 자성 결합되는 제2영구자석(M2)이 마련된 임펠러부(150)와, 임펠러부(150)와 웰딩부(140) 사이에 마련되어 임펠러부(15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160)와, 구동모터부(110)를 사이에 두고 제1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일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샤프트(110a)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170)과, 제2하우징(170)에 관통하여 샤프트(110a)와 연결되어 수동으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핸들유닛(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부(110)는 임펠러부(15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원으로서, 교반용기(5)의 외측 하부에 배치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교반용기(5)의 외측에 필요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부(110)에는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샤프트(110a)가 결합된다.
샤프트(110a)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샤프트(110a)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감속기(1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감속기(111)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하우징(120)은 샤프트(110a) 상부를 수용하여 샤프트(110a)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은 구동모터부(110)에 장착된 감속기(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웰딩부(140)의 저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20)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계속적인 사용으로 자성의 변화가 발생하는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어 결합이 이탈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회전로터(130)는 중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다운(down) 구동된다.
다시 말해,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은 마그네틱 믹싱장치(100)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자성이 변하는 자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구자석의 자성이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의 자성 결합이 해제되어 결합이 이탈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불완전 결합, 또는 자성 결합의 해제 상태로 계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져 베어링과, 임펠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고, 임펠러의 회전이 측정되지 않으며, 베어링이 풀리거나 결합용 볼트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100)는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구자석의 자성이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자성이탈이 유도되어 회전로터(130)는 중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다운(down) 구동된다. 정상상태의 회전로터(130a)에서 자성이탈이 발생하여 중력에 의하여 다운 구동된 자성이탈 회전로터(130b)는 제1하우징(120)의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121)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자력이탈 시에도 임펠러부(150), 베어링부(16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베어링부(160)에서 풀림 현상이나 체결구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회전로터(130)는 정상 작동시 샤프트(110a)의 교반용기(5) 측 말단에 결합되되 자력이탈시 중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하방으로 다운 구동되어 자성 변형이 일어나 채로 임펠러부(150)의 회전이 계속되어 비틀림 등의 비정상 회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로터(130)는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121)에 걸림결합되는 걸림지지부(131)를 포함하여 회전로터(130)가 자성이탈로 자동으로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다운(down)구동 되어도 과이탈 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지지부(131)는 일면이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121)에 걸림결합되며 타면은 제1영구자석(M1)을 지지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정상 작동시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의 거리를 가깝게 하므로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성이탈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자성이탈의 민감도를 향상시켜 자성이탈 발생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로터(1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영구자석(M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영구자석(M1)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로터(130)에 다수개로 내장될 수 있으며, 회전로터(130)의 상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정상 작동 시 구동모터부(1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로터(1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웰딩부(140)는,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의 자성 결합되어 정상 작동하는 경우 회전로터(13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채 교반용기(5)와 결합된다.
다시 말해, 교반용기(5)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로 교반용기(5)와 결합될 수 있으며, 교반용기(5)의 저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교반용기(5)의 내부로 돌출되되 회전로터(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돌출캡(141) 및 돌출캡(141)의 하부에 마련되되 교반용기(5)의 접촉되는 제1플렌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캡(141)은 교반용기(5)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내측에는 회전로터(130)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S1)이 형성된다.
제1플렌지(143)는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공을 구획 형성하는 교반용기(5)의 내면이나 교반용기(5)의 바닥면 또는 저면과 접합될 수 있다.
제1플렌지(143)가 교반용기(5)의 접합되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접합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교반용기(5)의 기밀을 유지하는 측면에서는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제1플렌지(143)의 둘레면과 교반용기(5)의 삽입공(5a) 내면을 서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볼트나 너트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으로 제1플렌지(143)와 교반용기(5)를 서로 체결한 뒤 실링부재를 이용하여 교반용기(5)의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도 바람직하다.
임펠러부(150)는, 웰딩부(140)의 돌출캡(141)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수용공간(S2)을 형성하되 제2영구자석(M2)이 내장되는 본체(151) 및 본체(151)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되는 교반날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51)는, 교반용기(5)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캡(141)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되는 구성을 가지는바, 제1수용공간(S1)에 삽입된 회전로터(130)의 회전과 연동되어 교반용기(5)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로터(130)에 내장된 제1영구자석(M1)과 본체(151)에 내장된 제2영구자석(M2)이 자성 결합됨에 따라서 회전로터(130)가 회전되면 임펠러부(150)의 본체(151)도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51)에 내장된 제2영구자석(M2)은 돌출캡(141)의 제1수용공간(S1)에 삽입된 회전로터(130)의 제1영구자석(M1)과 자성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부(1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로터(130)와 연동되어 본체(151)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베어링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51)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51a, 도2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암형 베어링(161)과, 암형 베어링(16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숫형 베어링(163) 및 숫형 베어링(163)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와셔(165)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형 베어링(161)과 숫형 베어링(163)은 관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암형 베어링(161)은 숫형 베어링(163)은 통과되고 와셔(165)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암형 베어링(161)과 상기 숫형 베어링(163)은 텅스텐 카바이드(Tungsten Carbide)와 같이 강도가 우수하고 산과 알카리성에 강한 내식성을 가지는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와셔(165)는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믹싱장치는, 높이조절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00)는, 샤프트(110a)의 하단과 연결된 승강로드(R)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며,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에 의해 웰딩부(140)의 제1수용공간(S1)에 삽입된 회전로터(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샤프트(110a)에 결합되되 샤프트 연결용 와셔(211)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용 샤프트 연결부(210)와, 높이 조절용 샤프트 연결부(210)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커넥터 와셔(221)를 구비하-는 높이조절 커넥터(220)와, 높이조절 커넥터(220)의 내측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높이 조절용 핸들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재(200)는, 웰딩부(140)에 임펠러부(150)를 장착시키거나 웰딩부(140)상에 장착된 임펠러부(150)를 웰딩부(140) 상에서 수동으로 이탈시킬 시에, 웰딩부(140)에 수용되는 회전로터(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과간의 인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높이조절부재(200)를 나사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로드(R)와 상기출력축(110a)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로터(130)가 웰딩부(140)의 제1수용공간(S1)에서 하강될 수 있다.
그러면, 회전로터(130)에 내장된 제1영구자석(M1)이상기 제1수용공간(S1)에서 노출됨에 따라서 임펠러부(150)의 제2영구자석(M2)간의 인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웰딩부(140)의 상부에 안착된 임펠러부(150)를 웰딩부(140)상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킨 후, 장치의 교체나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웰딩부(140)의 제1수용공간(S1)에서 회전로터(130)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임펠러부(150)를 웰딩부(140)에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펠러부(150)의 제2수용공간(S2)에 웰딩부(140)의 돌출캡(141)을 삽입시킬 시에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간의 인력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임펠러부(150)를 웰딩부(140)에 안착시키는 것이 정확한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웰딩부(140)의 돌출캡(141)이 임펠러부(150)의 제2수용공간(S2)에 삽입되면 작업자는 높이조절부재(200)를 나사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웰딩부(140)의 제1수용공간(S1)에서 하강되었던 회전로터(130)가 상승되면서 제1수용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간에 인력이 발생되어 임펠러부(150)가 웰딩부(140)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핸들유닛(180)은 제2하우징(170)에 관통하여 샤프트(110a)와 높이조절부재(2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즉 핸들유닛(180)은 높이조절부재(200)에 결합되어 샤프트(110a)에 연결되며, 핸들유닛(180)을 수동으로 회전하여 높이조절부재(200)를 조절할 수 있고, 핸들유닛 베어링(181)과, 핸들유닛 회전축(182)과, 핸들유닛 손잡이(183)를 포함한다.
또한, 제2하우징(170)은 샤프트(110a)의 하부와 높이조절부재(200)를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재(200)가 과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력이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회전로터(130)가 하방으로 다운 구동되어 임펠러부(150) 및 베어링부(160)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력이탈이 발생하여 자동으로 회전로터(130)가 하방으로 다운 구동되더라고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121)가 자성이탈로 다운 구동된 회전로터(130)를 지지하므로 과토출되어 하방으로 토출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력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이조절부재(200)를 통하여 수동으로 제1영구자석(M1)과 제2영구자석(M2)를 결합해제 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구성의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네틱의 자력에 변동이 발생되어 자력이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교반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마그네틱 믹싱장치 110 : 구동모터부
120 : 제1하우징 130 : 회전로터
140 : 웰딩부 150 : 임펠러부
160 : 베어링부 170 : 제2하우징
180 : 핸들유닛 200 : 높이조절부재

Claims (6)

  1. 구동모터부를 관통하되 상기 구동모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구동모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교반용기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 상부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
    정상 작동시 상기 샤프트의 상기 교반용기 측 말단에 결합되며 제1영구자석을 구비하는 회전로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되 정상 작동시 상기 제1영구자석과 자성 결합되는 제2영구자석이 마련된 임펠러부;
    상기 구동모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하우징이 결합되는 일측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부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되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핸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다운(down) 구동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회전로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터는,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의 자성 변형으로 자성 결합이 해제되는 자성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일면이 상기 자성이탈 회전로터 지지부에 걸림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제1영구자석을 지지하는 걸림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2영구자석의 자성 결합시 상기 회전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채 교반용기와 결합되는 웰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웰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
KR1020190150839A 2019-11-21 2019-11-21 마그네틱 믹싱장치 KR10209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39A KR102097059B1 (ko) 2019-11-21 2019-11-21 마그네틱 믹싱장치
PCT/KR2020/013168 WO2021101060A1 (ko) 2019-11-21 2020-09-28 마그네틱 믹싱장치
US17/778,086 US20230001366A1 (en) 2019-11-21 2020-09-28 Magnetic mix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39A KR102097059B1 (ko) 2019-11-21 2019-11-21 마그네틱 믹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59B1 true KR102097059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39A KR102097059B1 (ko) 2019-11-21 2019-11-21 마그네틱 믹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01366A1 (ko)
KR (1) KR102097059B1 (ko)
WO (1) WO20211010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060A1 (ko) * 2019-11-21 2021-05-27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마그네틱 믹싱장치
KR102529757B1 (ko) 2023-03-03 2023-05-09 정승호 모터직결식 자동 자력이탈장치
KR102662592B1 (ko) * 2024-01-22 2024-05-03 주식회사 바이오비쥬 미용 약제 제조용 가교제 투석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80061A (zh) 2021-09-15 2024-05-03 萨尼舒尔股份有限公司 小容量磁力混合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045A (ko) 2008-11-06 2008-11-26 세드나이엔지(주) 마그네틱 커플러를 이용한 반응발효 교반장치
KR20180001238U (ko) * 2016-10-24 2018-05-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KR20180113270A (ko) * 2017-04-06 2018-10-16 세드나이엔지(주) 비접촉 부양식 마그네틱 교반기
KR200488254Y1 (ko) * 2017-06-30 2019-01-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36B1 (ko) * 2009-11-30 2012-06-22 정종헌 마그네틱 교반기의 믹서구조
KR102097059B1 (ko) * 2019-11-21 2020-04-03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마그네틱 믹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3045A (ko) 2008-11-06 2008-11-26 세드나이엔지(주) 마그네틱 커플러를 이용한 반응발효 교반장치
KR20180001238U (ko) * 2016-10-24 2018-05-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KR20180113270A (ko) * 2017-04-06 2018-10-16 세드나이엔지(주) 비접촉 부양식 마그네틱 교반기
KR200488254Y1 (ko) * 2017-06-30 2019-01-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060A1 (ko) * 2019-11-21 2021-05-27 주식회사 엠엠피이엔지 마그네틱 믹싱장치
KR102529757B1 (ko) 2023-03-03 2023-05-09 정승호 모터직결식 자동 자력이탈장치
KR102662592B1 (ko) * 2024-01-22 2024-05-03 주식회사 바이오비쥬 미용 약제 제조용 가교제 투석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060A1 (ko) 2021-05-27
US20230001366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059B1 (ko) 마그네틱 믹싱장치
KR200488254Y1 (ko) 마그네틱 믹싱장치
US20050141342A1 (en) Mixer for aseptic liquids
US9694331B2 (en) Mixer having rotating mixing container
US7874719B2 (en)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for a drive system for a mixer
KR200486653Y1 (ko) 마그네틱 믹싱장치
FI20050923A (fi) Vaahdotuslaitteen lisäsekoitin
CN111790283A (zh) 高混机及混料仓卸料装置
KR20210033223A (ko) 마그네틱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교반기
KR101550254B1 (ko) 탈황 설비용 교반기
KR200442439Y1 (ko) 교반장치
CN102716687A (zh) 可拆卸搅拌器
CN214051444U (zh) 一种磁力搅拌桶
CN202725095U (zh) 一种搅拌装置
KR102529757B1 (ko) 모터직결식 자동 자력이탈장치
KR102299866B1 (ko) 교반기의 메카니칼 씰 교체용 지그
CN202778378U (zh) 污水搅拌器
CN214182636U (zh) 一种搅拌充分的物料搅拌机
KR101377439B1 (ko) 마그네틱 커플링
CN218654952U (zh) 一种应用于离心机的法兰及离心机
CN219518595U (zh) 一种下磁力搅拌器
CN213101696U (zh) 一种固定牢靠的分散机
CN214773055U (zh) 一种强制式单卧轴混凝土搅拌机
CN214635522U (zh) 同轴式高效侧装搅拌器
CN215311807U (zh) 一种固化剂搅拌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