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142B1 -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142B1
KR102096142B1 KR1020170073140A KR20170073140A KR102096142B1 KR 102096142 B1 KR102096142 B1 KR 102096142B1 KR 1020170073140 A KR1020170073140 A KR 1020170073140A KR 20170073140 A KR20170073140 A KR 20170073140A KR 102096142 B1 KR102096142 B1 KR 10209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module
osmosis filter
filter modu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259A (ko
KR102096142B9 (ko
Inventor
정경수
손창선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9528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961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7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1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142B1/ko
Publication of KR1020961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1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에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권취한 후 역삼투압 필터 모듈 크기에 맞게 길이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역삼투막(flat sheet)의 폭을 슬리팅(slitting)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리프 요소의 면적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고,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 이상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VERSE OSMOSIS FILTER MODULE}
본 발명은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에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권취한 후 역삼투압 필터 모듈 크기에 맞게 길이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역삼투막(flat sheet)의 폭을 슬리팅(slitting)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리프 요소의 면적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고,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 이상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증가와 환경 오염 등으로 수처리 기술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처리 사업에 있어서 역삼투 필터 모듈이 중요한 기술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역삼투 필터 모듈은 가정용뿐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최적화된 수처리 소재이며, 물을 끓이는 증류방식에 비해 경제적이고 친환경 기술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역삼투 필터 모듈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역삼투란 농도차가 있는 두 용액을 반투막으로 분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삼투" 현상이라고 하며, 아울러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위의 차이를 "역삼투압"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물 분자만 반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를 역삼투압 설비라고 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반투막이 "역삼투압 필터"이며, 이러한 필터를 모듈화 한 것이 "역삼투압 필터 모듈"이다.
이러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트리코터 패키징(tricoater packaging), 멤브레인 프레팅(membrane prepping), 매뉴얼 롤링(manual rolling), 엔드 트리밍(end trimming) 및 FRP 코팅(Fiber reinforced polymer coating) 등의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할 때, 역삼투막을 향후 제조될 역삼투압 필터 모듈 길이에 맞게 슬리팅함으로써, 슬리팅 공정으로 인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역삼투막 면적이 발생하고, 한 번의 제조로 하나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만이 제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 번의 공정으로 두 개 이상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할 수 있고, 역삼투막의 면적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659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컷팅 공정 시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된 튜브를 절단함으로써, 슬리팅 공정이 생략 가능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팅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역삼투막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는 역삼투막 사이에 공급 스페이서를 개제하고 상기 역삼투막과 상기 공급 스페이서를 접착하여 리프 요소를 형성하는 웰딩(weding) 모듈;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 일부분에 접착체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모듈; 상기 리프 요소 및 상기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튜브에 권취하는 롤링(rolling) 모듈; 및 상기 튜브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는 컷팅(cutting)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는,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상기 웰딩 모듈, 상기 접착제 도포 모듈, 상기 롤링 모듈 및 상기 컷팅 모듈로 안내하는 가이드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컷팅 모듈은,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튜브를 N등분(N은 2보다 큰 정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웰딩 모듈은, 상기 역삼투막 및 상기 공급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은 웰딩 모듈을 통해 공급 스페이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역삼투막을 적층 및 접착하여 리프(Leaf) 요소를 제조하는 단계; 접착제 도포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 일부분에 접착제(Glue)를 도포하는 단계; 롤링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상기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튜브에 권취하는 단계; 및 컷팅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된 상기 튜브를 길이방향으로 절단(cutting)하여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튜브를 N등분(N은 2보다 큰 정수) 이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일한 크기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리프 요소 및 상기 트리코트 여과수로 일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 요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 스페이서 및 상기 역삼투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공급 스페이서와 상기 역삼투막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컷팅 공정 시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된 튜브를 절단함으로써, 슬리팅 공정이 생략 가능하여 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팅 공정이 생략되고, 튜브를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 권취 후 컷팅함으로써, 역삼투막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의 웰딩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의 컷팅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 용어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로서 역삼투막 사이에 메시 부재와 같은 스페이서를 개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100)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의 웰딩 모듈(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의 컷팅 모듈(4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는 웰딩(weding) 모듈(100), 접착제 도포 모듈(200), 롤링(rolling) 모듈(300) 및 컷팅(cutting)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웰딩 모듈(100)은 리프 요소(1, 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리프 요소(1, 2)는 역삼투막(1)과 공급 스페이서(2)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리프 요소(1, 2)는 역삼투막(1) 사이 공급 스페이서(2)가 위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웰딩 모듈(100)은 폴딩 수단(110), 절단 수단(120) 및 접착 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수단(110)은 유입되는 역삼투막(1) 사이에 공급 스페이서(2)를 개재하고 역삼투막(1)을 공급 스페이서(2)와 함께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폴딩함으로써 리프 요소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폴딩 수단(110)은 힌지 수단(111)에 의해 폴딩됨으로써 그 상측에 위치한 역삼투막(1)이 그 내측에 공급 스페이서(2)를 개재한 상태로 폴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절단 수단(120)은 유입되는 역삼투막(1)과 공급 스페이서(2)를 일정한 길이로 재단(혹은 컷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단 수단(120)은 폴딩 수단(1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향후 역삼투압 필터 모듈에서 사용될 리프 요소(1, 2)의 크기에 맞도록 역삼투막(1)과 공급 스페이서(2)를 재단할 수 있다.
접착 수단(130)은 역삼투막(1) 및 공급 스페이서(2)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역삼투막(1)과 공급 스페이서(2)를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이 2개 생산될 경우, 접착제는 역삼투막(1) 혹은 공급 스페이서(2)의 가장자리 및 후술되는 컷팅 모듈(500)에 의해 절단될 부분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 수단은 상술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역삼투막(1) 및 공급 스페이서(2)의 상측부에서 역삼투막(1) 및 공급 스페이서(2)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리프 요소(1, 2) 혹은 트리코트 여과수로(3)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이다.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후술되는 가이드 이송 모듈(500)의 상측부에 위치하며, 가이드 이송 모듈(5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제 도포 영역에 대하여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상술된 리프 요소(1, 2) 제조 시, 역삼투막(1) 혹은 공급 스페이서(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즉,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및 절단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후술되는 튜브(4)에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접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되는 부분은 후술되는 컷팅 모듈(500)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이 동일한 크기로 2개가 생산될 경우,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3)로 가장자리 및 1/2지점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 모듈(200)으로서 잉크 제트형 장치가 사용되거나 일정한 접착제 양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등 다양한 구성 요소가 채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그리고, 접착제 도포 모듈(200)은 압착 수단(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착 수단(210)은 웰딩 모듈(100) 및 접착제 도포 모듈(200)에 의해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의 내측에 도포된 접착제를 압착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웰딩 모듈(100)에 의해 역삼투막(1)의 가장자리 및 1/2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된 경우, 압착 수단(210)에 의해 역삼투막(1)과 공급 스페이서(2)가 압착됨으로써, 역삼투막(1) 및 공급 스페이서(2)의 1/2 부분이 접착되게 될 수 있다.
롤링 모듈(300)은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튜브(4)에 권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롤링 모듈(300)은 접착제가 도포된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튜브(4)에 권취함으로써,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의 형상에 맞도록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며,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롤링 모듈(300)은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롤링하는 속도, 텐션 및 토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컷팅 모듈(400)은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가 권취된 튜브(4)를 튜브(4)의 길이 방향으로 N등분(N은 2보다 큰 정수) 이상으로 절단(혹은 재단)하여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컷팅 모듈(400)은 튜브(4)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향후 사용자가 설정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10) 크기에 맞도록 재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컷팅 모듈(400)으로서 레이저 장치, 나이핑 롤 등 다양한 구성 요소가 채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컷팅 모듈(400)은 컷팅 수단(410) 및 트리밍 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컷팅 수단(410)은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고, 트리밍 수단(420)은 컷팅 수단(410)에 의해 절단된 2개 이상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10) 각각의 한쪽 단면을 컷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트리밍 수단(420)은 롤링된 튜브(4)가 회전하면서 나이프와 같은 절단 기구가 진입하는 형식 혹은 원형의 나이프가 회전하면서 진입하는 형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밍 수단(42)에 의해 역삼투압 필터 모듈(10) 각각이 적절한 길이로 컷팅된 후 양단을 보호 부재로 덮는 공정이 추가되나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 역삼투입 필터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역삼투막의 폭을 향후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길이로 슬리팅한 후, 슬리팅된 역삼투막을 사용하여 리프 요소를 제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슬리팅 공정에 의해 역삼투막의 폭을 미리 재단할 경우, 역삼투막 폭을 미리 역삼투압 필터 모듈 길이에 맞춰 재단하게 되어 사용되지 않는 면적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손실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에 의한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은 슬리팅 공정을 거치지 않은 역삼투막(1)을 이용하여 리프 요소(1, 2)를 제조하고, 리프 요소(1, 2)와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튜브(4)에 권취한 후 역삼투압 필터 모듈(10) 길이에 맞춰 컷팅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 면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는 가이드 이송 모듈(500)에 의해 연속적으로 역삼투압 필터 모듈(10)을 제조할 수 있다. 가이드 이송 모듈(500)은 리프 요소(1, 2)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3)를 웰딩 모듈(100), 접착제 도포 모듈(200), 롤링 모듈(300), 컷팅 모듈(400) 순서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이송 모듈(500)은 막이나 필름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롤러나 장치가 채용 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은 상술된 역삼투압 필터 제조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웰딩 모듈을 통해 리프 요소를 제조하는 단계(S100), 접착제 도포 모듈을 통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0), 롤링 모듈을 통해 튜브에 권취하는 단계(S300) 및 컷팅 모듈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 실시예 1>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두 개 이상이 동일한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를 갖는 4개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웰딩 모듈에 82인치의 역삼투막 상부에 41인치의 공급 스페이서가 제공되고, 역삼투막 및 공급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역삼투막이 폴딩됨으로써, 리프 요소가 제조되는 단계(S100), 접착제 도포 모듈에 41인치의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제공 및 일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S200), 롤링 모듈에 튜브가 제공되고,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튜브에 권취하는 단계(S300), 컷팅 모듈을 통해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된 튜브를 절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100 및 S200단계에서 접착제 혹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일부분은 역삼투막, 공급 스페이서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의 가장자리 및 S400단계에서 절단되는 부분인 10.86인치, 20.5인치, 30.14인치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S100단계에서 역삼투막 및 공급 스페이서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리프 요소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00단계에서는 10.86인치, 20.5인치, 30.14인치 부분을 절단하여 각각 9.64인치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1번째 역삼투압 필터 모듈과 4번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컷팅 수단(41)을 통해 절단된 후에는 10.86인치이지만, 트리밍 수단을 통해 한쪽 단면을 즉, 리프 요소와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되지 않은 부분을 1.22인치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길이를 맞추는 것을 유의한다.
< 실시예 2>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 모듈은 각각 크기가 상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400단계에서 컷팅 수단(41)을 통해 11.86인치, 20.5인치, 28.14인치 부분을 절단하여 11.86인치, 8.64인치, 7.64인치 및 12.86인치의 4개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1번째 및 4번째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한쪽 단면을 절단하여 10.64인치 및 11.64인치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역삼투막
2: 공급 스페이서
3: 트리코트 여과수로
4: 튜브
10: 역삼투압 필터 모듈
100: 웰딩 모듈
200: 접착제 도포 모듈
210: 압착 수단
300: 롤링 모듈
400: 컷팅 모듈
410: 컷팅 수단
420: 트리밍 수단
500: 가이드 이송 모듈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웰딩 모듈을 통해 역삼투막 사이에 공급 스페이서를 개제 및 접착하여 리프(Leaf) 요소를 제조하는 단계;
    접착제 도포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롤링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상기 트리코트 여과수로를 튜브에 권취하는 단계;
    컷팅 모듈을 통해 상기 리프 요소 및 트리코트 여과수로가 권취된 상기 튜브를 길이 방향으로 N등분(N은 2보다 큰 정수)이상 절단(cutting)하여 복수개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이 제조되는 단계; 및
    트리밍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절단면과 대향되는 단면을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일한 크기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은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 모듈의 일측 단면 혹은 양측 단면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요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공급 스페이서 및 상기 역삼투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공급 스페이서와 상기 역삼투막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방법.
KR1020170073140A 2017-06-12 2017-06-12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9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40A KR102096142B1 (ko) 2017-06-12 2017-06-12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40A KR102096142B1 (ko) 2017-06-12 2017-06-12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259A KR20180135259A (ko) 2018-12-20
KR102096142B1 true KR102096142B1 (ko) 2020-04-01
KR102096142B9 KR102096142B9 (ko) 2021-08-06

Family

ID=6495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140A KR102096142B1 (ko) 2017-06-12 2017-06-12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212B1 (ko) * 2019-01-28 2020-06-17 (주)피엔티 역삼투 필터 모듈 마무리 가공 장치
CN109821298B (zh) * 2019-03-21 2021-05-25 浙江沁园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ro膜滤芯的制作方法
KR102519416B1 (ko) * 2021-07-12 2023-04-11 (주)아이피엔 필터 롤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939A (ja) * 1999-06-07 2000-12-12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733267B1 (ko) * 2014-09-29 2017-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1927B2 (en) 2005-03-29 2009-01-27 Grahamtek Technologies Singapore Pte Ltd. Manufacture of casings for use in the desalination of water and the filtration of liquids
KR20170023626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용 트리코트 여과수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역삼투압 필터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939A (ja) * 1999-06-07 2000-12-12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733267B1 (ko) * 2014-09-29 2017-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259A (ko) 2018-12-20
KR102096142B9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142B1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88534B1 (ko) 나선형 권취 모듈의 외주부에 테이프층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KR101733267B1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US8673148B2 (en) Multifiltration cartridge filtration apparatus
US10583400B2 (en) Material efficiency and fabrication of membrane elements
US20050077229A1 (en) Spiral membran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3919955U (zh) 基材膜剥离装置及偏光膜制造装置
US9623379B2 (en) Spliced fiber-reinforced outer shell for cylindrical filtration element
KR102513191B1 (ko) 나선형 권취 요소를 위한 가교 지지체 및 축소된 공급물 스페이서
US4390575A (en) Multichanneled diffusion device
JP2004202382A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CN111644065A (zh) 水处理用膜组件的加工方法
CN102908901A (zh) 制作螺旋卷式反渗透膜元件的方法
JP4936435B2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FR2490970A1 (fr) Garniture filtrante pour filtres de matieres en suspension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KR101966118B1 (ko) 역삼투 필터 모듈 제조 방법
US20220234005A1 (en) Entrance features in spiral wound elements
DE60120207D1 (de) Laminate von asymmetrischen membranen
CN107450112A (zh) 光学膜的制造方法和光学膜
IT202100008879A1 (it) Impianto in continuo per la formatura di un elemento tubolare a partire da un nastro piano di materiale cartaceo e relativo metodo
CN114025866B (zh) 分离膜元件及其使用方法、以及水处理装置
JP4563060B2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CN210192945U (zh) 膜片换卷接膜装置
KR102110073B1 (ko) 역삼투압 필터모듈 자동화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211616995U (zh) 镭射冷烫印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