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94B1 -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94B1
KR102095794B1 KR1020190134617A KR20190134617A KR102095794B1 KR 102095794 B1 KR102095794 B1 KR 102095794B1 KR 1020190134617 A KR1020190134617 A KR 1020190134617A KR 20190134617 A KR20190134617 A KR 20190134617A KR 102095794 B1 KR102095794 B1 KR 10209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catheter
fluorescent material
balloon
targe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최소기
한종우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오리오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오스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오스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94B1/ko
Priority to US17/620,450 priority patent/US11389067B1/en
Priority to PCT/KR2020/007244 priority patent/WO2021085782A1/ko
Priority to JP2021575990A priority patent/JP7223176B2/ja
Priority to EP20817177.7A priority patent/EP3841965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6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41Photoluminescent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7Applicators for implant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7Catheters delivering medicament other than through a conventional lumen, e.g. porous walls or hydroge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balloon suitable for drug delivery, e.g. by using holes for delivery, drug coating or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2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for temporarily occluding a vessel for isolating a s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a coating or protective layer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을 스캐닝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테터가 상기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BLOOD VESSELS}
본 개시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혈관 영상 카테터의 종래 기술로는 혈관 내 초음파, 혈관 내 근적외선 영상기술,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가 상용화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혈관 내 초음파는 카테터 형태의 기기로 혈관에 삽입되어 혈관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로 아직까지 병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혈관 내 영상화 기술이다. 초음파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100μm 수준으로 낮고 대비도 또한 낮으며 영상 획득 속도가 약 30초 정도로 느리다.
또한, 혈관 내 근적외선 영상기술은 상용화된 기술로 근적외선 빛을 이용하여 분광 방법에 의해 혈관 내벽에 지질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기술로, 최근 혈관 내 초음파와 결합되어 단일 카테터로 개발되기도 하였다.
근적외선 영상기술은 빛을 이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혈관 내부에 존재하는 혈액의 유무에 따라 신호의 감도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분해능이 낮으며, 영상 획득 속도 또한 혈관 내 초음파와 동시에 획득하기 때문에 형상 획득 속도가 느릴 수 있다.
한편,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은 혈관 내 초음파와 마찬가지로 카테터 형태의 기기로 혈관에 삽입되어 빛을 혈관으로 보내고, 돌아오는 빛을 분석하여 혈관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초기에 개발된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는 속도가 혈관 내 초음파 수준으로 빠르지 않아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 개발된 2세대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은 속도가 10배 이상 향상되어, 수 초 이내에 혈관 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 또한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혈액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식염수와 혈관 조영제를 혼합한 용액을 플러싱(Flushing) 하면서 영상을 획득한다. 혈관 내 초음파에 비해 10배 정도 향상된 분해능(~10μm)을 갖기 때문에 혈관 내의 미세한 변화도 관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한편, 최근에는 혈관 내의 보다 정확한 이상 진단을 위해 종래의 기술을 결합하거나, 종래의 기술에서 형광 영상 기술을 추가로 접목한 다기능 영상화 기술이 연구실 수준에서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7441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테터가 상기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는, 원위 말단부에 상기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on)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에 상기 벌룬이 접촉하여 상기 형광물질이 상기 목표 지점의 상기 혈관 내벽에 도포되도록 상기 제 1 카테터의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는: 벌룬(balloon); 상기 벌룬을 원위 말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벌룬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 및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에서 상기 형광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형광물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로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벌룬이 팽창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상기 형광물질 이송관의 외부로 상기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테터가 상기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지점의 근적외선형광 영상과 함께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혈관 스캐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 상기 형광물질이 도포된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 상기 제 1 카테터 또는 상기 제 2 카테터를 회전 및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 2 카테터가 스캐닝한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는, 원위 말단부에 상기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on)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카테터의 근위 말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에 상기 벌룬이 접촉하여 상기 형광물질이 상기 목표 지점의 상기 혈관 내벽에 도포되도록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상기 벌룬에 주입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테터는: 벌룬(balloon); 상기 벌룬을 원위 말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벌룬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 및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에서 상기 형광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형광물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로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카테터의 근위 말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상기 벌룬에 주입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형광물질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구조정보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생화학적인 정보는,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혈관의 영상 획득 시간 및 혈관의 이상 진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혈관 스캐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 스캐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을 스캐닝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카테터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카테터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2 카테터가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검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서의 단계들(방법)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에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 스캐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혈관 스캐닝 장치(100)는 제 1 카테터(110), 제 2 카테터(120), 구동부(130), 데이터 분석부(140) 및 압력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혈관 스캐닝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혈관 스캐닝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카테터(110)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distal end)에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on)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벌룬은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에 구비되어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풍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는 공기 또는 생리식염수와 같이 생체 기관 내로 유입되어도 인체에 무해한 물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110)는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은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벌룬은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에는 벌룬에 코팅된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형광물질은 영상진단 검사 시 특정 조직이나 혈관이 잘 보이도록 투여되는 약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은 혈관 내 목표 지점을 조영하여, 구조와 병변을 관찰하기 위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수 있다. 즉, 형광물질은 조영제, 형광염료(fluorescent dye) 또는, 발형광단(fluorophore)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에서의 형광물질은 인도시아닌 그린(ICG, Indocyanine green)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광물질은 혈관 내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특정 세포를 염색하는 어떠한 물질도 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활성화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염색하는 형광물질인 'CDg16(Compound Designation green 16)'이 발견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근적외선형광 영상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또는, 조영제)를 도포가 완료된 후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혈관에 형광물질을 주사 등으로 주입한 후, 형광물질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때까지 수 십분(20분 내지 40분) 동안 기다려야 한다.
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과 형광물질을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즉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카테터(110)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카테터(110)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벌룬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을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형광물질 이송관은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proximal)에 구비되어 형광물질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 이송관은 원위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110)는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벌룬은 팽창될 수 있다. 즉, 팽창된 벌룬은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한 쪽을 폐색하여,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혈액이 흐르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벌룬이 팽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의 외부로 형광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영역이 폐색된 혈관 내 목표 지점에는 미세 홀을 통해 토출된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근적외선형광 영상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또는, 조영제)를 도포가 완료된 후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혈관에 형광물질을 주사 등으로 주입한 후, 형광물질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때까지 수 십분(20분 내지 40분) 동안 기다려야 한다. 여기서, 형광물질의 도포 시간이 수 수십분 소요되는 이유 중 하나는 형광물질이 혈관에 흐르는 혈액과 혼합되어 형광물질의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한 후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형광물질의 농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 형광물질이 이동하는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의 농도를 유지하고, 혈관 내 목표 지점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서 형광물질을 토출(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카테터(110)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카테터(110)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는 복수의 벌룬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상기 복수의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이송관은 압력 조절부(150)와 연결되어 압력 조절부(150)가 토출하는 유체를 압력 조절부(150)에서 복수의 벌룬 각각까지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력 조절부(150)는 유체 이송관을 통해 복수의 벌룬 각각에 기 전달된 유체를 흡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제 1 벌룬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서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는 제 2 벌룬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각각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을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형광물질 이송관은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되어 형광물질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 이송관은 원위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 이송관은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형광물질이 토출되는 복수의 미세 홀은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미세 홀은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사이에 위치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110)는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각각은 팽창될 수 있다. 즉, 팽창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각각은 혈관 내 목표 지점의 양 쪽을 폐색하여,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혈액이 흐르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각각이 팽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의 외부로 형광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양쪽 영역이 폐색된 혈관 내 목표 지점에는 미세 홀을 통해 토출된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근적외선형광 영상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또는, 조영제)를 도포가 완료된 후 획득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혈관에 형광물질을 주사 등으로 주입한 후, 형광물질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때까지 수 십분(20분 내지 40분) 동안 기다려야 한다. 여기서, 형광물질의 도포 시간이 수 수십분 소요되는 이유 중 하나는 형광물질이 혈관에 흐르는 혈액과 혼합되어 형광물질의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의 양쪽 영역을 폐색한 후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형광물질의 농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 형광물질이 이동하는 시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의 농도를 유지하고, 혈관 내 목표 지점 또는 그와 인접한 위치에서 형광물질을 토출(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형광물질은 몇몇 피검사자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에 대한 부작용(예를 들어, 알레르기 반응)을 갖고 있는 피검사자의 혈관에 형광물질이 주입되는 경우, 혈관 전체에 형광물질이 분산되어 피검사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양쪽 영역을 폐색한 후 국소적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 및 형광물질 이송관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은 형광물질 이송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 이송관은 유체 이송관을 감싸고, 복수의 미세 홀을 외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 및 형광물질 이송관이 구비되는 형태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120)는 제 1 카테터(110)가 혈관에서 제거된 후 상기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카테터(120)는 원위 말단부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스캐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카테터(120)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혈관 내 목표 지점을 스캐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2 카테터(120)의 스캐닝부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데이터는 근적외선형광 영상 및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광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 2 카테터(120)는 OCT/NIRF(Optical Coherence Tomography/Near-Infrared Fluorescence) 카테터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분석부(140)는 제 2 카테터(120)를 통해 획득한 광 신호를 이용하여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혈관의 미세구조정보는 혈관의 외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혈관의 미세구조정보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혈관의 생화학적인 정보는 형광물질에 반응(구체적으로, 형광물질과 결합)하는 특정 세포(예컨대, 대식세포(macrophage))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혈관의 생화학적인 정보는 형광물질에 반응하는 특정 세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물질에 반응하는 대식세포(macrophage)는 몸속 면역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는 몸속 침입 물질을 감지했을 때 활성화되어, 항원을 만들어 낸다. 즉, 검사자는 형광물질에 반응하는 대식세포를 관찰하여, 혈관의 이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한편, 혈관의 생화학적인 정보는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근적외선형광 영상 및 혈관내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카테터(120)는 IVUS/NIRF(IntraVascular UltraSound/Near-Infrared Fluorescence) 카테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는 혈관내초음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카테터(120)는 근적외선형광 영상, 광간섭단층촬영 영상 및 혈관내초음파 영상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분석부(140)는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 즉, 근적외선형광 영상, 광간섭단층촬영 영상 및 혈관내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30)는 카테터(제 1 카테터(110) 및 제 2 카테터(120) 각각)를 360도 회전시키는 회전 스테이지(Rotary Stage), 회전 스테이지와 카테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카테터를 한 스텝씩 움직이는 1축 선형스테이지(1D Motorized Stage)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제 1 카테터(110) 및 제 2 카테터(12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혈관에 제 1 카테터(110)가 삽입될 때, 제 1 카테터(110)의 근위 말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에는 벌룬이 구비되고, 제 1 카테터(110)의 근위 말단부는 구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0)는 혈관에 제 2 카테터(120)가 삽입될 때, 제 2 카테터(120)의 근위 말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카테터(120)의 원위 말단부에는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가 구비되고, 제 2 카테터(120)의 근위 말단부는 구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제 1 카테터(110) 및 제 2 카테터(120) 각각을 혈관 내에서 회전 및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제 1 카테터(110) 및 제 2 카테터(120) 각각을 혈관 내에서 회전 및 이동시켜, 제 1 카테터(110) 및 제 2 카테터(120) 각각의 원위 말단부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달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관을 스캐닝 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혈관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제 1 카테터(110)는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S110). 여기서, 피검사자의 혈관에 도포되는 형광물질은 피검사자의 혈관을 스캐닝(구체적으로,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도포되는 물질일 수 있다.
단계(S110) 이후에,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S120). 즉, 검사자는 제 1 카테터(110)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말단부에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이 구비된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은 상기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가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팽창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150)는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이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유체를 토출하여 상기 벌룬을 팽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조절부(150)에서 토출된 유체는 유체 이송관을 통해 압력 조절부(150)에서 벌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벌룬은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은 팽창된 벌룬과 접촉될 수 있다. 즉, 형광물질이 코팅된 벌룬과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이 접촉하여, 상기 형광물질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과 형광물질을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빠르게 형광물질을 목표 지점에 도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말단부에 팽창 가능한 벌룬이 구비되고,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은 상기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가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팽창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150)는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벌룬이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달했을 때, 유체를 토출하여 상기 벌룬을 팽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조절부(150)에서 토출된 유체는 유체 이송관을 통해 압력 조절부(150)에서 벌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벌룬은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이 폐색될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이 폐색된 후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형광물질 주입구에 형광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이 폐색된 후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형광물질 주입구에 형광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물질 이송관은 형광물질 주입구에 주입된 형광물질을 원위 부분의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 이송관은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 물질을 형광물질 이송관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한 후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형광물질 도포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한 복수의 벌룬이 구비되고,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한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벌룬은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벌룬은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에 구비된 제 1 벌룬 및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에서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 제 2 벌룬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각각은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가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에 도달했을 때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150)는 제 1 카테터(110)에 구비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사이에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할 때, 유체를 토출하여 상기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을 팽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조절부(150)에서 토출된 유체는 유체 이송관을 통해 압력 조절부(150)에서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은 양쪽 영역이 폐색될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이 폐색된 후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형광물질 주입구에 형광물질이 주입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혈관의 양쪽 영역이 폐색된 후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형광물질 주입구에 형광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물질 이송관은 형광물질 주입구에 주입된 형광물질을 제 1 벌룬 및 제 2 벌룬 사이에 위치하고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 이송관은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형광 물질을 형광물질 이송관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의 양쪽 영역을 폐색한 후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형광물질 도포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이후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에서 제거(추출)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이후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제 1 카테터(110)가 혈관에서 제거된 후,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120)는 제 1 카테터(110)가 제거된 혈관에 삽입될 수 있다(S130). 즉, 검사자는 제 1 카테터(110)를 제거한 후에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120)를 혈관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30) 이후에, 제 2 카테터(120)를 통해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140). 즉, 검사자는 제 2 카테터(120)를 이용하여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데이터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 및 근적외선형광 영상과 관련된 광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혈관의 미세구조정보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혈관의 미세구조정보는 혈관의 외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혈관의 생화학적인 정보는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혈관의 생화학적인 정보는 형광물질에 반응(구체적으로, 형광물질과 결합)하는 특정 세포(예컨대, 대식세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혈관의 이상 진단을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의 외관과 관련된 미세구조정보 및 혈관의 이상 여부와 관련된 생화학적인 정보를 통해 피검사자의 혈관 내의 상태가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의 단계는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계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는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외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111)은 제 1 카테터(110)의 원위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벌룬(111)은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112)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룬(111)은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풍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벌룬(111)은 외부면(즉, 피검사자의 혈관 내벽과 닿는 면)에 형광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룬(111)을 감싸는 외피(114)의 일 영역에 형광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벌룬(111)은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서 팽창될 경우, 벌룬(111)의 외면(즉, 벌룬(111)을 감싸는 외피(114)의 일 영역)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외면에 형광물질이 코팅된 벌룬(111)은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형광물질을 접촉하는 방식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을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즉시 도포함에 따라, 제 2 카테터(120)가 광간섭단층촬영 영상과 함께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빠르게 획득 가능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유체 이송관(1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벌룬(11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이송관(112)은 압력 조절부(150)와 연결되며, 압력 조절부(150)가 토출하는 유체(20)를 압력 조절부(150)에서 벌룬(111)까지 전달할 수 있다. 즉, 유체 이송관(112)의 원위 말단부(distal end)에는 벌룬이 연결되고, 유체 이송관(112)의 근위 말단부(proximal end)에는 압력 조절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20)는 공기 또는 생리식염수와 같이 생체 기관 내로 유입되어도 인체에 무해한 물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되는 영역은 외피(114)로 감싸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114)는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 및 유체 이송관(11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114)는 벌룬(111) 및 유체 이송관(112) 각각과 피검사자의 혈관(1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즉, 외피(114)는 혈관 삽입 기구(여기서, 벌룬(111) 및 유체 이송관(112))로 인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된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벌룬(1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벌룬(111)은 형광물질이 코팅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즉, 수축된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벌룬(111)은 유체 이송관(112)을 통해 유체를 전달받기 이전 상태일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서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이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벌룬(111)에 코팅된 형광물질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도포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의 혈관 내벽과 형광물질을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형광물질을 즉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카테터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는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및 외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벌룬(1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벌룬(111)은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112)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룬(111)은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풍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체 이송관(112)은 압력 조절부(150)와 연결되어 압력 조절부(150)가 토출하는 유체(20)를 압력 조절부(150)에서 벌룬(111)까지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력 조절부(150)는 유체 이송관(112)을 통해 벌룬(111)에 기 전달된 유체(20)를 흡입할 수도 있다. 즉, 유체 이송관(112)의 원위 말단부에는 벌룬(111)이 연결되고, 유체 이송관(112)의 근위 말단부에는 압력 조절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근위 부분에 구비되어 형광물질(30)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원위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은 외피와 연통되는 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외부로 형광물질(30)을 토출할 수 있다. 즉, 형광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 및 외피와 연통되는 관을 통해 제 1 카테터(110) 외부로 토출되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의 외피(114)의 내부 영역에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송관(112)은 유체(2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형광물질(30)이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각각은 제 1 카테터(110)의 외피(114) 내부 영역 상에서 인접한 위치에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일 측면이 맞닿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일 단면에서 바라봤을 때, 관(tube) 두 개의 일 측면이 연결된 '8'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각각이 구비되는 위치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몇몇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되는 영역은 외피(114)로 감싸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114)는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114)는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 각각과 피검사자의 혈관(1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즉, 외피(114)는 혈관 삽입 기구(여기서,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적어도 하나의 형광물질 이송관(113))로 인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카테터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는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형광물질 이송관(113) 및 외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벌룬(1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벌룬(111)은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112)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룬(111)은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풍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체 이송관(112)은 압력 조절부(150)와 연결되어 압력 조절부(150)가 토출하는 유체(20)를 압력 조절부(150)에서 벌룬(111)까지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력 조절부(150)는 유체 이송관(112)을 통해 벌룬(111)에 기 전달된 유체(20)를 흡입할 수도 있다. 즉, 유체 이송관(112)의 원위 말단부에는 벌룬(111)이 연결되고, 유체 이송관(112)의 근위 말단부에는 압력 조절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근위 부분에 구비되어 형광물질(30)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원위 부분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113)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은 외피와 연통되는 관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113) 외부로 형광물질(30)을 토출할 수 있다. 즉, 형광물질은 형광물질 이송관(113),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 및 외피와 연통되는 관을 통해 제 1 카테터(110) 외부로 토출되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도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유체 이송관(112)은 형광물질 이송관(11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유체 이송관(112)을 감싸고, 복수의 미세 홀(113-1)을 외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의 외피(114)의 내부 영역에 유체 이송관(112) 및 형광물질 이송관(113)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송관(112)은 유체(2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 이송관(113)은 형광물질(30)이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체 이송관(112)은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이송관(112)은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내부공간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20)는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내부 공간의 일 영역에 구비된 유체 이송관(113)의 내부 공간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형광물질(30)은 형광물질 이송관(113)의 내부 공간 중 유체 이송관(112)이 구비된 일 영역과 상이한 다른 영역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체 이송관(112) 및 형광물질 이송관(113) 각각이 구비되는 위치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몇몇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되는 영역은 외피(114)로 감싸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피(114)는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형광물질 이송관(113)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114)는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형광물질 이송관(113) 각각과 피검사자의 혈관(1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즉, 외피(114)는 혈관 삽입 기구(여기서, 벌룬(111), 유체 이송관(112) 및 형광물질 이송관(113))로 인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가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8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9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카테터(110)에 기초한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다만, 도 9의 내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카테터(110)에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일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된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말단부에 벌룬(111)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즉, 수축된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혈관(1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벌룬(111)은 유체 이송관(112)을 통해 유체를 전달받기 이전 상태일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서 제 1 카테터(110)의 벌룬(111)이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벌룬(111)에 의해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의 일 영역이 폐색될 수 있다. 즉, 팽창된 벌룬(111)은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의 한 쪽을 폐색하여,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혈액이 흐르지 않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대응하는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제 1 카테터(110)에 포함된 벌룬(111)이 팽창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113-1)을 통해 형광물질 이송관의 외부로 형광물질(30)이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영역이 폐색된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는 미세 홀(113-1)을 통해 토출된 형광물질(30)이 도포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한 후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방식으로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때문에, 형광물질과 혈액이 혼합되어 형광물질 도포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형광물질 도포 시간을 최소화하여 제 2 카테터(120)가 광간섭단층촬영 영상과 함께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 가능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1 카테터(110)는 피검사자의 혈관(10) 내 목표 지점(11)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제 1 카테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테터(110)는 벌룬이 팽창된 후, 형광물질 이송관의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카테터(110)는 원위 부분에 위치하는 벌룬 영역에 벌룬을 구비할 수 있다. 벌룬 영역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1 카테터(110)는 근위 부분에 형광물질 주입구(115), 커넥터(116) 및 래치(117)를 구비할 수 있다.
형광물질 주입구(115)는 제 1 카테터(110)의 벌룬이 팽창된 후, 형광물질을 주입 받을 수 있다. 즉, 검사자는 제 1 카테터(110)의 벌룬을 팽창시키고, 형광물질 주입구(115)에 형광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형광물질은 형광물질 이송관의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피검사자의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물질 주입구(115)는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말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형광물질은 형광물질 주입구(115)에 주입되고, 형광물질 이송관을 통과하여, 형광물질 이송관의 원위 말단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미세홀을 통해 혈관 내 목표 지점에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6)는 제 1 카테터(110)를 혈관 스캐닝 장치(1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카테터(110)는 커넥터(116)를 통해 구동부(130)가 제공하는 운동능력을 제공받아, 혈관 내에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테터(110)는 커넥터(116)를 통해 혈관 스캐닝 장치(100)의 압력 조절부(150)로부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카테터(110)는 커넥터(116)를 통해 구동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운동능력, 제어신호 및 특정물질 등을 혈관 스캐닝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도 있다.
한편, 제 1 카테터(110)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래치(117)는 혈관 스캐닝 장치(100)에 연결된 제 1 카테터(110)의 연결을 해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혈관 스캐닝 장치(100)에 연결된 제 1 카테터(110)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 제 1 카테터(110)의 근위 부분에 구비된 래치(117)를 당기거나 눌러서 상기 제 1 카테터(11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 2 카테터가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의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데이터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 및 혈관내초음파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한 광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카테터(120)는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혈관 스캐닝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스캐닝 장치(100)의 데이터 분석부(140) 및 OCT 장치(160)와 연결될 수 있다.
OCT 장치(160)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 1 광원을 통해 제 1 광을 제 2 카테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제 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OCT 장치(160)는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 2 광원을 통해 제 2 광을 제 2 카테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제 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 2 카테터(120)는 제 1 광 및 제 2 광이 조사됨에 따라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반사되는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카테터(12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반사된 광을 데이터 분석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분석부(140)는 혈관 내 목표 지점에서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광간섭단층촬영 영상 및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카테터(120)는 OCT/NIRF(Optical Coherence Tomography/Near-Infrared Fluorescence) 카테터일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혈관의 외관과 관련된 미세구조정보 및 혈관의 이상 여부와 관련된 생화학적인 정보를 통해 피검사자의 혈관 내의 상태가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에서 상기 형광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형광물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로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 1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서 제거한 후에 상기 혈관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를 상기 혈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테터가 상기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는,
    원위 말단부에 상기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on)을 구비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에 상기 벌룬이 접촉하여 상기 형광물질이 상기 목표 지점의 상기 혈관 내벽에 도포되도록 상기 제 1 카테터의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는:
    벌룬(balloon); 및
    상기 벌룬을 원위 말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벌룬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
    을 더 포함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 내 목표 지점에 상기 형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벌룬이 팽창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통해 상기 형광물질 이송관의 외부로 상기 형광물질을 토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테터가 상기 혈관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테터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지점의 근적외선형광 영상과 함께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7. 혈관 내 목표 지점에 형광물질을 도포하기 위해, 가로 방향의 제 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에서 상기 형광물질이 토출되도록 상기 형광물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세 홀로 전달하는 형광물질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 1 카테터;
    상기 형광물질이 도포된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을 스캐닝하기 위한 제 2 카테터;
    상기 제 1 카테터 또는 상기 제 2 카테터를 회전 및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 2 카테터가 스캐닝한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혈관의 미세구조정보 및 생화학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분석부;
    를 포함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는,
    원위 말단부에 상기 형광물질이 코팅된 팽창 가능한 벌룬(balloon)을 구비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의 근위 말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목표 지점의 혈관 내벽에 상기 벌룬이 접촉하여 상기 형광물질이 상기 목표 지점의 상기 혈관 내벽에 도포되도록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상기 벌룬에 주입하는 압력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는:
    벌룬(balloon); 및
    상기 벌룬을 원위 말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벌룬이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벌룬으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이송관;
    을 더 포함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테터의 근위 말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혈관 내 상기 목표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혈관의 일 영역을 폐색시키기 위해 상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상기 벌룬에 주입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형광물질 이송관의 근위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형광물질이 주입되는 형광물질 주입구;
    를 포함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정보는,
    광간섭단층촬영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생화학적인 정보는,
    근적외선형광 영상을 포함하는,
    혈관 스캐닝 장치.
KR1020190134617A 2019-10-28 2019-10-28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9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17A KR102095794B1 (ko) 2019-10-28 2019-10-28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US17/620,450 US11389067B1 (en) 2019-10-28 2020-06-04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blood vessels
PCT/KR2020/007244 WO2021085782A1 (ko) 2019-10-28 2020-06-04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1575990A JP7223176B2 (ja) 2019-10-28 2020-06-04 血管をスキャンする方法及び装置
EP20817177.7A EP3841965A4 (en) 2019-10-28 2020-06-04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BLOOD VESS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617A KR102095794B1 (ko) 2019-10-28 2019-10-28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94B1 true KR102095794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617A KR102095794B1 (ko) 2019-10-28 2019-10-28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9067B1 (ko)
EP (1) EP3841965A4 (ko)
JP (1) JP7223176B2 (ko)
KR (1) KR102095794B1 (ko)
WO (1) WO2021085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782A1 (ko) *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도터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7169A1 (en) * 2020-08-13 2022-02-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Fluoro-acoustic multipipette electrode and methods of use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441A (ko) 2014-08-29 2016-03-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기반 레이저 치료장치
JP2017513645A (ja) * 2014-04-28 2017-06-01 カーディオフォー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ブレーション処置の際にicg色素組成物を用いて組織を視覚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097B1 (en) * 1995-10-06 2002-08-27 Target Therapeutics, Inc. Balloon catheter with delivery side holes
JP2005211589A (ja) 2004-02-02 2005-08-11 Osaka Industrial Promotion Organization 総血流量の測定装置及びカテーテル
WO2006024015A1 (en) * 2004-08-24 2006-03-02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of vessel segments
US11123047B2 (en) 2008-01-28 2021-09-2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Hybri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acquisition of intravascular imaging data and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signal absorption in blood
US8249697B2 (en) 2008-10-07 2012-08-21 Alfred E. Mann Institute For Biomedical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rdiac output monitor with compensation for tissue perfusion
US9168361B2 (en) * 2010-04-30 2015-10-27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Balloon catheter exhibiting rapid inflation and deflation
US8348890B2 (en) * 2011-03-01 2013-01-08 Sanovas, Inc. Nested balloon catheter for localized drug delivery
CN104066368B (zh) 2011-09-22 2017-02-22 乔治华盛顿大学 用于使经消融组织可视化的系统和方法
US10537375B2 (en) * 2015-04-24 2020-01-21 Neurotronic, Inc. Chemical ablation and method of treatment for various diseases
KR101400288B1 (ko) * 2012-11-20 2014-05-2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빛간섭단층촬영 방법 및 빛간섭단층촬영 장치
KR101784363B1 (ko) 2014-09-15 2017-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조직 협착을 위한 전자기 에너지 응용 장치
WO2015160064A1 (ko) 2014-04-18 2015-10-22 부경대학교산학협력단 산광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응용
KR20180106606A (ko) 2017-03-21 2018-10-01 이경용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혈관접착용 카테터 및 내시경
US11147453B2 (en) * 2017-10-03 2021-10-19 Canon U.S.A., Inc. Calibration for OCT-NIRAF multimodality probe
KR102117370B1 (ko) 2017-10-24 2020-06-01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카테터 팁 위치추적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159792A1 (en) * 2017-11-27 2019-05-30 Justin Panian Ultrasound Vessel Preparation and Restenosis Therapy
KR102095794B1 (ko) 2019-10-28 2020-04-02 오리오스메디칼 주식회사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13645A (ja) * 2014-04-28 2017-06-01 カーディオフォー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ブレーション処置の際にicg色素組成物を用いて組織を視覚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027441A (ko) 2014-08-29 2016-03-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기반 레이저 치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782A1 (ko) * 2019-10-28 2021-05-06 주식회사 도터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89067B1 (en) 2019-10-28 2022-07-19 Dotter Inc.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blood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82A1 (ko) 2021-05-06
EP3841965A1 (en) 2021-06-30
JP2022529083A (ja) 2022-06-16
JP7223176B2 (ja) 2023-02-15
EP3841965A4 (en) 2022-07-06
US11389067B1 (en) 2022-07-19
US20220202293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0678B2 (ja) 体液遮断装置
JP6673985B2 (ja) 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
JP5693975B2 (ja) 一体形造影剤インゼクタを備えた画像化カテーテル
JP4769256B2 (ja) 組織の可視化および操作システム
US9332893B2 (en) Delivery of biological compounds to ischemic and/or infarcted tissue
EP1465684B1 (en) Intra vascular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095794B1 (ko) 혈관을 스캐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5030114A1 (ja) 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を用いる投薬方法、カプセル投薬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583694B2 (en) Treatment method
US20210207463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tissue engage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839728B2 (en) Transnasal catheter for imaging and biopsying internal luminal organs
JPS61162956A (ja) リ−クバル−ンカテ−テル
US20180317879A1 (en) Guarded imaging devices and methods
Buehler et al. Transrectal Absorber Guide Raster‐Scanning Optoacoustic Mesoscopy for Label‐Free In Vivo Assessment of Colitis
US20240108864A1 (en) Drug-coated balloon device, system, and procedure
US20210379398A1 (en)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system
RU2605645C1 (ru) Способ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баллонограф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22025651A (ja) 血管観察装置
RU2185099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блитераций уретры
WO2023148623A2 (en) Devices,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samples
JPH04429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