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46B1 -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46B1
KR102095646B1 KR1020180096652A KR20180096652A KR102095646B1 KR 102095646 B1 KR102095646 B1 KR 102095646B1 KR 1020180096652 A KR1020180096652 A KR 1020180096652A KR 20180096652 A KR20180096652 A KR 20180096652A KR 102095646 B1 KR102095646 B1 KR 10209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ight adjustment
cup
portion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191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8009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6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용물의 수준에 따라 또는 보관을 위하여 높이를 형성하는 일부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가 자동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다.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및 서로 다른 두 개의 길이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1_1 내지 11_K)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의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A Cup Having a Portion for Regulating a Length}
본 발명은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용물의 수준에 따라 또는 보관을 위하여 높이를 형성하는 일부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가 자동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에 관한 것이다.
커피 또는 음료의 섭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컵은 금속, 비금속, 종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컵에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몸체가 견고한 구조로 만들어지고, 이에 의하여 사용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컵의 수용 몸체에 내용물이 수용되지 않는 경우 수용 몸체의 내부는 빈 공간이 되므로 보관을 위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단점의 개선을 위하여 보관 또는 소지를 위한 경우 보관 공간을 축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7450호는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부피 가변형 컵에 대하여 개시한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75534호는 텀블러의 외피가 여러 단으로 되어 있어 밀단이 바로 위단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텀블러가 소정의 높이로 줄어들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게 되어 산, 강, 바다 등으로 놀러 가거나 휴가, 캠핑, 야영, 출장, 군사 훈련으로 행군, 여행, 각종 레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다단 신축 텀블러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90169호는 접어서 포갤 수 있고, 펼쳐서 늘릴 수 있으며 기체나 고체 또는 액체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용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접이식 용기는 전체가 부피 축소가 되도록 형성되거나, 강제적으로 신축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일회용 컵에 대하여 적용이 어렵고,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수용 몸체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용기가 신축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7450호(최종하, 2013년06월17일 공고) 부피 가변형 컵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75534호(김은옥, 2014년12월08일 공고) 휴대용 다단 신축 텀블러 선행기술 3: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90169호(이동기, 2005년09월13일 공개) 접이식 용기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방향을 따라 높이 조절 부분이 형성된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 및 서로 다른 두 개의 길이 고정 부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과 높이 조절 부분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높이 조절 부분의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분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경사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면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분은 고정 부분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높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높이 조절 부분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컵의 보관 및 사용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높이 조절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컵의 사용 과정에서 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부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및 서로 다른 두 개의 길이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1_1 내지 11_K)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의 각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컵은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합성수지, 종이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컵은 뚜껑(14) 또는 손잡이(15)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고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높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 수용 몸체의 둘레 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은 바닥 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받침 부분(13)의 위쪽에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원형 띠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용 몸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몸체의 가장 위쪽 부분에 1 고정 부분(11_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이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에 배치되어 수용 몸체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은 견고한 구조로 만들어지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신축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이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견고한 구조는 예를 들어 소재 자체의 특성, 두께 또는 표면 처리와 같은 형태에 의하여 높이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른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구조를 말한다. 이와 같은 견고한 구조에 의하여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은 컵의 사용 과정, 소지 과정 또는 보관 과정에서 형태적 변형 또는 높이 방향으로 변형이 되지 않는다. 이에 비하여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사용 과정, 소지 과정 또는 보관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변형이 되고, 이에 의하여 수용 몸체의 전체 형상이 변할 수 있고, 특히 높이가 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예를 들어 도 1의 좌측에 확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1 경사 면(121)과 2 경사 면(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1 경사 면(121)과 2 경사 면(122)은 경계 면(123)에서 서로 만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경계 면(123)을 기준으로 1 경사 면(121)과 2 경사 면(122)이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1 경사 면(121)은 1 고정 부분(11_1)의 경사에 비하여 큰 경사를 가지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2 경사 면(121)은 1 경사 면(122)과 다른 경사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2 고정 부분(11_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경계 면(123)은 1 고정 부분(11_1)과 2 고정 부분(11_2)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부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1 경사 면(121)은 1 고정 부분(11_1)에 비하여 안쪽으로 경사진 구조가 되거나(제시된 실시 예와 같이), 바깥쪽으로 경사진 구조가 될 수 있다. 1 경사 면(121)이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지면 이에 따라 2 경사 면(122)의 경사 방향이 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서 경계 면(123)은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에서 경사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는다. 또한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에 다수 개의 서로 다른 경사 면(121, 122)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다수 개의 경계 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은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은 큰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종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컵에 뚜껑(14)이 결합되거나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14)은 고정 부분(11_1)에 결합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손잡이(15)는 하나의 고정 부분(11_1) 또는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고정 부분(11_1 및 11_2)에 결합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15)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은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과 같이 접힘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높이 조절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B로 표시된 부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연속적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에 의하여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당기거나 또는 누르는 것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1 고정 부분(11_1)의 위쪽 또는 1 높이 조절 부분(21_1)의 위쪽에 안정 부분(16)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정 부분(16)은 고정 부분(11_1 내지 11_L) 또는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과 유사하게 띠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큰 두께로 만들어지거나 이중 겹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또는 각각의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컵은 전체적으로 고무, 실리콘, PDMS(Polydimethylsiloxane) 또는 이들의 혼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컵은 종이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이 이와 같은 소재로 코팅이 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로 컵이 만들어지는 경우 다수 개의 연속된 산과 골이 연속되는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는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얇은 두께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쉽게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컵의 용도에 따라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하여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이 펼쳐지고, 내용물이 소진되면서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이 접히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피 또는 음료수가 수용 본체에 채워지면 커피 또는 음료수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이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커피 또는 음료수가 소진되면서 위쪽으로부터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이 접힐 수 있다.
높이 조절 부분(21_1 내지 21_K)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져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접히거나 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컵의 수용 몸체는 아래쪽으로 가면서 점차로 지름이 작아지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가장 아래쪽 부분에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 바닥 면을 형성하는 받침 부분(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위쪽의 고정 부분(11_1)에 결합 테두리(141)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반구형이 되는 뚜껑(14)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뚜껑(14)에 스트로(straw)가 삽입될 수 있는 흡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폭 또는 높이를 가진 고정 부분(11_1 내지 11_L) 및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이 높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수용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은 외부 압력에 의하여 높이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분(11_1 내지 11_L)은 PET(Polyethylene Telephthalate), PBT(Polybutylene Telephthalate)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큰 경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은 PE(Polyethyl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경도가 작으면서 쉽게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은 연성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고정 부분(11_1 내지 11_L)에 비하여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로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이 쉽게 휘어지거나 펴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의 (나)는 도 3의 (가)에서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이 휘어져서 서로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위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다양하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 부분(31_1 내지 31_K)이 경사면 또는 산과 골 구조에 의하여 접히거나 펴질 수도 있지만 소재 자체의 물성에 의하여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다양한 형태의 높이 조절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부분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가)를 참조하면, 1 고정 부분(11_1)이 높이 조절 부분과 연결되는 적어도 아래쪽 부분은 수직면 또는 이에 근사한 형상으로 연결되고, 2 고정 부분(11_2)이 높이 조절 부분과 연결되는 적어도 위쪽 부분은 수직면 또는 이와 근사한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1 고정 부분(11_1)과 연결되는 1 경사 면(121)은 2 고정 부분(11_2)과 연결되는 2 경사 면(122)에 비하여 큰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2 고정 부분(11_2)과 2 경사 면(122)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은 1 고정 부분(11_1)과 1 경사 면(121)이 연결되는 경계 부분에 비하여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부분의 구조에 의하여 컵이 소재 또는 두께에 관계없이 높이 조절 부분이 쉽게 펴지거나 접힐 수 있다. 또한 컵의 용도 또는 구조에 따라 1 경사 면(121)과 2 경사 면(122)이 만나는 경계 면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면 구조의 경계 면(123)은 높이 조절 부분(12)의 접힘 또는 펼침 과정에서 유도 면 또는 기준 면이 될 수 있다.
도 4의 (나)를 참조하면, 1 고정 부분(11_1)과 2 고정 부분(11_2)을 연결하는 높이 조절 부분(12)은 곡면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1 고정 부분(11_1)과 2 고정 부분(11_2)의 아래쪽 부분 또는 위쪽 부분은 수직면이 되거나 경사면이 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분(12)이 곡면 형상이 되는 경우 높이 조절 부분(12)은 쉽게 휘어지거나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부분(12)은 연장 면의 중간 부분 또는 중간 부분의 위쪽에 형성된 변형 기준 부분을 중심으로 위쪽 부분은 큰 곡률 반지름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얇고 아래쪽 부분은 작은 곡률 반지름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높이 조절 부분(12)이 쉽게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이와 동시에 1 고정 부분(11_1)과 2 고정 부분(11_2)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다)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부분(12)은 연속적인 웨이브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부드러운 사인파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 부분(12)의 양쪽 끝 부분에 1 고정 부분(11_1)과 2 고정 부분(11_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높이 조절 부분(12)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부분(12)과 1, 2 고정 부분(11_1, 11_2)이 연결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라)를 참조하면, 고정 부분과 높이 조절 부분은 베이스 층(41) 및 코팅 층(42_1, 42_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층(41)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로 만들어지고,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면서 둘레 면을 감싸는 형태로 경도가 높은 필름 소재로 코팅 층(42_1, 42_2)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코팅이 되어 코팅 층(42_1, 42_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코팅이 되지 않는 층은 높이 조절 부분이 되고, 코팅 층(42_1, 42_2)이 형성된 부분은 고정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4의 (마)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 부분(12)의 위쪽 부분은 1 고정 부분(11_1)의 안쪽 또는 바깥쪽 면으로 겹쳐지고 2 고정 부분(11_2)과 연결되는 부분은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적절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하여 높이 조절 부분(12)의 높이가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분(1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높이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높이 조절 부분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컵의 보관 및 사용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높이 조절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컵의 사용 과정에서 컵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_1 내지 11_L: 고정 부분 12, 12_1 내지 12_L: 높이 조절 부분
13: 받침 부분 14: 뚜껑
15: 손잡이 16: 안정 부분
21_1 내지 21_K, 31_1 내지 31_K: 높이 조절 부분
41: 베이스 층 42_1, 42_2: 코팅 층
121, 122: 1, 2 경사 면 123: 경계 면
141: 결합 테두리

Claims (2)

  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컵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및
    서로 다른 두 개의 길이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과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K)은 높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면서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 각각은 높이 조절이 되고,
    높이 조절 부분(12_1 내지 12_L)은 고정 부분(11_1 내지 11_K)에 비하여 큰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소재 자체의 물성에 의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고,
    1 고정 부분(11_1) 또는 1 높이 조절 부분(12_1)의 위쪽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면서 이중 겹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의 안정 부분(16)이 형성되고,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고정 부분(11_1 및 11_2)에 결합되고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 접힘 구조를 갖는 손잡이(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2. 삭제
KR1020180096652A 2018-08-20 2018-08-20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KR10209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52A KR102095646B1 (ko) 2018-08-20 2018-08-20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52A KR102095646B1 (ko) 2018-08-20 2018-08-20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805 Division 2017-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91A KR20190074191A (ko) 2019-06-27
KR102095646B1 true KR102095646B1 (ko) 2020-03-31

Family

ID=6705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52A KR102095646B1 (ko) 2018-08-20 2018-08-20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45U (ko) * 1996-12-26 1998-09-25 박승남 접혀지는 컵라면 용기
KR20050090169A (ko) 2004-03-08 2005-09-13 이동기 접이식 용기
US7678271B2 (en) * 2007-03-22 2010-03-16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llapsible colander and bowl
KR200467450Y1 (ko) 2013-02-25 2013-06-17 최종하 부피 가변형 컵
KR200475534Y1 (ko) 2013-08-20 2014-12-08 김은옥 휴대용 다단 신축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91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349B1 (ko) 적층용 프로젝션을 구비한 용기
ES2297329T3 (es) Recipiente plegable.
ES2625753T3 (es) Recipiente de doble pared
EP2997849A1 (en) Collapsible container
CN102333708A (zh) 具备反转、折回底壁的合成树脂制容器
US20230192351A1 (en) Disposable folding paper cup that folds flat and, when unfolded by pressing of folded portion, has cylindrical upper end
US20160368664A1 (en) Collapsible Container
JP2020500623A (ja) 強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コップ
KR102095646B1 (ko)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JP2013535262A (ja) 可膨張性傘
US1033744A (en) Collapsible cup.
US20220348381A1 (en) Foldable Cup And Spray Cup
US20200281343A1 (en) Collapsible Vessel
US11111069B1 (en) Helix geodesic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KR102019348B1 (ko) 핸들링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50100358A (ko) 휴대용 주름 용기
US20130340625A1 (en) Composite compressible drink mix bag
US11134766B2 (en) Cosmetic container
KR102078502B1 (ko) 접힘 및 복원이 가능한 음료 보관 용기
KR20160139261A (ko) 용량 및 부피조절이 가능한 음료용기
JP3159077U (ja) 折畳式コップ
US20200324932A1 (en) Resin container
RU2781696C1 (ru) Складная дорожная бутылка
KR102280317B1 (ko) 용기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19506439U (zh) 可折叠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