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40B1 -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40B1
KR102095640B1 KR1020180060035A KR20180060035A KR102095640B1 KR 102095640 B1 KR102095640 B1 KR 102095640B1 KR 1020180060035 A KR1020180060035 A KR 1020180060035A KR 20180060035 A KR20180060035 A KR 20180060035A KR 102095640 B1 KR102095640 B1 KR 10209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plunger
paint
fillin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960A (ko
Inventor
김정신
Original Assignee
김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신 filed Critical 김정신
Priority to KR102018006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6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3Adding propellants in flu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18Aero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프레임을 덮는 전면부(3), 후면부, 측면부(4) 및 상면부(5)가 결합된 함체(2); 상기 함체(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6); 상기 함체(2)의 하부에서 스프레이 캔(40)이 들어갈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챔버(20); 상기 작업챔버(20)의 상방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플런저 케이싱(11);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3);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L자형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끼움레일(12); 상기 함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플런저(13)와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1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상기 함체(2)의 표면 일부에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레버(8); 및 상기 작업챔버(20) 내의 바닥면(21)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안착대(22);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13)의 하단부에는 압착마개(3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레일(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어댑터 보울(adaptor bowl, 1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하부에는 빈 스프레이 캔(4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안쪽으로는 충전컵(50)이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Spray paint can fi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레이 작용을 위한 압축가스만이 들어가 있고 아직 페인트 액은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스프레이 캔에다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액을 손쉽게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가구 등의 물건을 페인트로 도색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 도색제를 붓이나 롤러같은 도구를 사용해서 물체에 직접 도포하는 것과 에어브러시, 스프레이 건 또는 스프레이 캔 등을 사용해서 원거리에서 도포하는 것이 있는데, 이 중 제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스프레이 캔을 사용하는 것이다.
페인트를 도색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레이 캔 안에는 페인트 용액과 함께 상기 페인트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는데 필요한 고압가스가 함께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혹은 에어로졸 형식의 페인트 캔은 페인트 제조사가 직접 제작하여 판매할 수도 있지만,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페인트의 색상이 매우 다양한 것을 고려하면, 그렇게 수많은 색상을 페인트 제조사에서 캔에 밀봉하여 판매한다는 것은 수요와 판매 상황을 예측하기 어려워서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에서 스프레이 캔 안에다가는 스프레이 분사를 위한 압축가스만을 채워넣고, 구체적인 색깔에 관한 페인트 액은 나중에 소비자의 요구나 주문을 고려해서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스프레이 캔 충진장치"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314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의 "스프레이 캔 충진장치"는 주입실린더 안에 페인트, 투명광택제, 코팅제 등을 넣고서 전기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피스톤에 의해 상기 주입실린더 안의 페인트 액 등을 밀어서 스프레이 캔 안에 충전해 넣도록 한 것이었는데, 이미 고압의 압축가스가 채워져 있는 스프레이 캔 안에다가 페인트 액을 넣는 것은 실제로 어려웠으며, 주변으로 페인트 액이 튀어버려서 주변 환경을 더럽히는 등 문제가 많았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관련 법규가 강화되어서 소규모 도장업체에서 차량 등의 도색을 위해 사용되던 스프레이 건 방식의 도포작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페인트 액을 빈 스프레이 캔 안에다 채워서 사용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자는 스프레이 캔 안에다 페인트 액 등을 안전하면서도 손쉽게 채워 넣을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레이 작용을 위한 압축가스 만이 들어가 있고 아직 페인트 액은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스프레이 캔에다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액을 손쉽게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어댑터 보울(adaptor bowl)을 스프레이 캔과 단단히 결합시키고 그 어댑터 보울을 충전장치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전제에서, 상기 어댑터 보울 안에 추가적으로 겹쳐 끼워진 충전컵에 페인트 액을 담은 다음 플런저의 강한 압력에 의해 압착마개를 충전컵 안으로 압입 하강시킴으로써, 충전컵 안에 담겼던 페인트 액을 한방울도 튀거나 흘림이 없이 100% 안전하게 스프레이 캔 안에다가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내부에 금속 재질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덮는 전면부(3), 후면부, 측면부(4) 및 상면부(5)가 결합된 함체(2); 상기 함체(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6); 상기 함체(2)의 하부에서 스프레이 캔(40)이 들어갈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챔버(20); 상기 작업챔버(20)의 상방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플런저 케이싱(11);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3);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L자형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끼움레일(12); 상기 함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플런저(13)와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1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상기 함체(2)의 표면 일부에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레버(8); 및 상기 작업챔버(20) 내의 바닥면(21)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안착대(22);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13)의 하단부에는 압착마개(3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레일(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어댑터 보울(adaptor bowl, 1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하부에는 빈 스프레이 캔(4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안쪽으로는 충전컵(50)이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컵(50)에는 페인트 액이 담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상기 압착마개(30)가 원통형의 테두리벽(30c)과, 상기 테두리벽(30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부(30b), 및 상기 디스크부(30b)의 일부로서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된 플랜지(33)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30c)의 내벽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선부(34a)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선부(34a)는 각각 상기 테두리벽(30c)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부(30b)의 외면(外面) 중앙에는 돌기봉(3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부(30b)의 최대 직경은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1.0~3.5㎜ 만큼 더 크고, 상기 플랜지(33)는 상기 디스크부(30b)의 외면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들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고 라운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33)의 가장자리 부분들에는 모서리부(3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상기 어댑터 보울(10)이, 원통형 측면부(103); 상기 원통형 측면부(103)의 상단부에서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된 상단 확장림(rim, 101); 상기 원통형 측면부(103)의 하단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서 중심쪽을 향해 연장되되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는 바닥면부(106); 및 상기 바닥면부(106)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닥 커버판(107);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커버판(107)은 결합볼트(107a)에 의해서 상기 바닥면부(106)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 커버판(107)의 중앙 부분에는 하단 중앙 관통공(111)이 뚫려 있으며, 상기 하단 중앙 관통공(111)의 주변으로는 끼움 돌출부(110)가 어댑터 보울(10)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101)은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 마련된 끼움레일(12)을 타고 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끼움 돌출부(110)는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마련된 상단 시밍림(seaming rim, 45)의 안쪽면과 접촉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어댑터 보울(10)이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컵(50)이 내부에 페인트 수용공간(55)를 가진 원통형 몸체(500);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일측을 막는 바닥면(56);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상단에서 방사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상단 테두리부(51);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형태를 그대로 이어받아 마감된 내측 상단턱(51c); 상기 내측 상단턱(51c)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와 만나는 수평 확장부(502); 상기 수평 확장부(502)와 상단 테두리부(51)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보강살들(504);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의 내벽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립(lip, 51a)들;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더 연장되되, 원통형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호형 엣지연장부(52); 상기 바닥면(56)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관(54); 상기 삽입관(54)에 형성되어서 상기 페인트 수용공간(55) 안의 페인트 액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과공(54a); 및 상기 바닥면(56)의 밑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삽입관(54)의 주위를 둘러싸는 호형 포위벽(53);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컵(50)은 열경화성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스프레이 작용을 위한 압축가스 만이 들어가 있고 아직 페인트 액은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스프레이 캔에다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액을 손쉽게 충전해 넣을 수 있으므로 특히 차량용 도색을 위해 소량의 스프레이 페인트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는, 금속 재질의 어댑터 보울(adaptor bowl)을 사용해서 스프레이 캔과 단단히 결합시키고 그 어댑터 보울을 충전장치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어댑터 보울 안에 추가적으로 겹쳐 끼워진 충전컵에 페인트 액을 담은 다음 플런저의 강한 압력에 의해 압착마개를 충전컵 안으로 압입 하강시킬 때, 상기 충전컵 안에 담겼던 페인트 액을 한방울도 튀거나 흘림이 없이 100% 안전하게 스프레이 캔 안에다가 충전해 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정면부에 있는 유리문(7)을 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도2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있는 플런저(13)의 하단부에 압착마개(30)를 끼우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5는 상기 플런저(13)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페인트 액 충전을 위한 빈 스프레이 캔(40)을 넣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이때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는 어댑터 보울(10)과 충전컵(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컵(50)에는 페인트 액(41)이 담겨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은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마련된 구멍 부분에 어댑터 보울(10)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어댑터 보울(10)의 밑면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6에 도시된 빈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6에 도시된 장면에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의 결합체가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1 내지 도13은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플런저(13)가 하강함에 의해 상기 충전컵(50)에 담긴 페인트 액(41)이 압착마개(30)에 밀려서 스프레이 캔(40)의 내부로 충전되어 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4는 상기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하는데, 특히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4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결합관계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17은 도15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분리 상태에 관한 측단면도이다.
도18의 그림<a>는 도14 내지 도17에 도시된 압착마개(30)의 저면도이고, 그림<b>는 압착마개(30)의 측면도이며, 그림<c>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압착마개(30)의 단면도이다.
도19는 상기 충전컵(50)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에 도시된 충전컵(50)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21은 도19에 도시된 충전컵(50)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22는 상기 충전컵(50)의 내부에 압착마개(30)가 강제적으로 압입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3은 그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3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 나아가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 내에 압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5는 페인트 액의 충전이 완료된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충전컵(50)을 뒤집어서 덮어 끼울 수 있음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26은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충전컵(50)이 뒤집어져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는 높이 방향으로 긴 육면체의 형상으로 된 함체(2)의 전면 하부에 유리문(7)이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어 있고, 밑에는 책상 또는 테이블 위에 올려놓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받침판(6)과 다리들(6a)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측면부(4)에는 상하 방향으로 전환 조작이 가능한 조작레버(8)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레버(8)는 작업챔버(20, 도2 참고) 내의 플런저(plunger, 13; 도3 참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동작을 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8)가 상방으로 올라가 있으면 플런저(13)는 상방으로 올라가는 동작을 하게 되며, 상기 조작레버(8)가 하방으로 내려가 있으면 상기 플런저(13)는 하방으로 내려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조작레버(8)는 사용 중의 내구성 유지와 오염 방지를 위해 단부와 함체(2)가 만나는 부분이 주름고무(8a)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함체(2)의 전면부(3)에는 장치의 이름이 표시된 장비명 표시부(9)가 존재하며, 함체(2)의 상부에는 상부면(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2)에 있어서 전면부(3) 및 측면부(4)를 구성하는 판재는 철, 스텐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 혹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해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3) 및 측면부(4)는 내부의 프레임(미도시)에 볼트(2a, 2b)를 사용해서 결합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의 하부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된 유리문(7)은 전면부(3)의 일측에 설치된 경첩들(7c)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여닫을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는 유리문(7)에 설치된 문 손잡이(7a)를 잡고 유리문(7)을 여닫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문(7)은 그 안쪽의 충전챔버(20, 도2 참조)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서 도면부호 11은 플런저 케이싱(plunger casing)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10은 도6에서 후술할 어댑터 보울(adaptor bowl)을 가리킨다. 어댑터 보울(10)은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1의 미설명 도면부호 70은 유리문(7)의 안쪽 면에 설치된 밀착지지대를 가리키는데, 상기 밀착지지대는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부분의 일부에 접촉해서 어댑터 보울(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 지지대(70)는 장식볼트(7b)에 의해서 유리문(7)에 결합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장식볼트(7b)는 미관을 고려하여 예쁜 형상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장식 형상의 볼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능성을 갖춘 볼트들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정면부에 있는 유리문(7)을 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여닫이 방식으로 열어제낀 유리문(7)의 안쪽면에는 밀착 지지대(7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 지지대(70)의 중앙 부분은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7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71)는 후술하는 어댑터 보울(10, 도6 및 도7 참조)의 원통형 측면부(103, 도7 참조)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어서, 유리문(7)을 닫으면 작업챔버(20) 안에 배치된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를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 지지대(70)는 접착제를 사용해서 유리문(7)의 안쪽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볼트, 리벳 등의 기계요소를 사용해서 유리문(7)의 안쪽면에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문(7)의 안쪽면에는 내측 고정편(7d)이 결합되는데, 상기 내측 고정편(7d)은 유리무(7)의 외측면에 설치된 문 손잡이(7a)와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충전챔버(20) 안을 살펴보면, 상부로부터 플런저 케이싱(11)이 연장되어 내려와 있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좌우 양측으로는 L자형의 끼움레일(12)들이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수직 아래쪽에는 바닥면(21)에 회전 안착대(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안착대(22)는 밑면의 중앙에 수나사 타입의 축이 설치되어 있고(미도시), 그에 대응하여 바닥면(21)에는 암나사 형태의 소켓 혹은 관부가 마련되어 있어서(미도시), 상기 수나사 타입의 축과 암나사 형태의 관부가 서로 결합됨에 의해, 회전 안착대(22)를 시계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안착대(2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안착대(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3~4개 정도의 파지용 홈들(2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손가락을 파지용 홈(22b)에 넣어 회전 안착대(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2에서 도면부호 22a는 회전 안착대(22)의 중앙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22a)에 스프레이 캔(40)이 올려지게 된다(도10 참조).
도3 내지 도6과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를 사용하여 빈 스프레이 캔(40) 안에 페인트 액을 채우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도3 및 도4는 도2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있는 플런저(13)의 하단부에 압착마개(30)를 끼우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5는 상기 플런저(13)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는 측면부(4)에 플런저(13)의 상승 혹은 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레버(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8)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폐쇄 상태를 변경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레버(8)가 위쪽으로 향해 있으면 플런저(13)가 올라가 있게 되는데, 이렇게 플런저(13)가 올라간 상태에서는 플런저 케이싱(11)의 내부 공간 안에 숨어 있게 되며(도2 참조), 조작레버(8)가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도3처럼 내려와서 플런저 케이싱(11)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플런저(13)는 함체(2)의 상부 공간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의 로드에 연결된 것으로서, 실린더의 팽창 혹은 수축 모드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에 사용되는 실린더는 유압 혹은 공압 방식이나 전기모터를 사용한 구동방식에 의한 것들이 모두 사용가능한데, 본 발명의 장치에서 필요한 힘의 정도와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면 공압 방식의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런저(13)의 작동 도구로 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조작레버(8)에 의해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공압발생장치 또는 압축공기 봄베로부터 실린더까지 연결된 공기배관 상에 설치되어서, 압축공기를 실린더의 헤드쪽 혹은 로드쪽으로 전달하는 통로들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조작레버(8)의 위치에 의해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실린더의 헤드쪽 혹은 로드쪽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될 경우, 플런저(13)의 움직임이 끝난 후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통로를 잠가서 더 이상 불필요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연결된 감속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플런저(1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전기모터와 그에 필요한 감속장치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함체(2)의 상부 안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조작레버(8)의 조작에 의해 전기모터가 가동되었다가 플런저(13)의 움직임이 끝난 후에는 전기모터의 보호를 위해서 전기모터에 공급된 전기의 흐름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서 하방으로 최대한 내린 플런저(13)는 원통형의 형체를 갖고 있으며, 하단부에는 압착마개(30)를 끼울 수 있다. 상기 압착마개(30)는 후술하는 도14 내지 도17에 나타난 것처럼 충전컵(50)의 하단부에 결합시켜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지만, 또한 그 압착마개(30) 자체가 충전컵(50)의 컵 내부공간 안으로 압입(壓入)되어서 들어갈 수 있다.
도3 중의 확대된 그림 부분을 참고하면, 상기 압착마개(30)는 마치 병뚜껑처럼 한쪽 면이 움푹 파여진 캡(cap)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압착마개(30)는 원통형의 테두리벽(30c)과, 상기 테두리벽(30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부(30b, 도11 참조), 및 상기 디스크부(30b)의 일부로서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된 플랜지(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크부(30b)의 바깥쪽 면을 '외면'이라고 부르고, 그 반대쪽의 움푹 함몰된 부분을 '내면'(30a)이라고 부른다.
상기 압착마개(30)의 내면(30a)이 상기 플런저(13)의 하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이 플런저(13)에 밀착됨으로써, 압착마개(30)가 플런저(1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 상에는 복수 개의 돌출선부(34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선부(34a)는 수직방향으로 일자(一字) 모양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돌출선부(34a)는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으로부터 0.1~1㎜의 두께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며,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의 원주(圓周)를 따라 3~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선부(34a)들에 의해서 압착마개(30)는 플런저(13)에 어느 정도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플런저(13)의 하단부에 압착마개(30)가 끼워진 상태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압착마개(30)는 테두리 외측면(31) 상에 빙 둘러서 원형 돌출링(32)이 형성되어 있다.
도4의 상태에서 조작레버(8)를 위로 올리면, 밑으로 내려와 있던 플런저(13)가 상승하여 플런저 케이싱(11)의 안쪽 공간으로 들어가 버린다(도5 참조). 도5에서 점선들은 플런저(13)가 밑으로 내려와 있을 때의 흔적을 그린 것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페인트 액 충전을 위한 빈 스프레이 캔(40)을 넣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이때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는 어댑터 보울(10)과 충전컵(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컵(50)에는 페인트 액(41)이 담겨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을 참고하면, 어댑터 보울(10)은 먼저 빈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 밸브 구멍 위치에 결합되며, 그 다음으로 충전컵(50)이 어댑터 보울(10) 속으로 들어가서 결합된다. 이때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는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rim, 52)에 접촉하게 되며, 충전컵(50)의 하단부에 형성된 호형(弧形) 엣지 연장부(52)는 어댑터 보울(10)의 바닥에 닿게 된다. 그 결과, 충전컵(50)의 밑면에 형성된 삽입관(54, 도9 참조)이 스프레이 캔(40)의 밸브 구멍에 끼워져서 스프레이캔(40)과 충전컵(50)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페인트 액(41)을 상기 충전컵(50) 안에 부어 넣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원하는 색깔의 페인트 액(41)을 페인트 컨테이너(60)에 일차로 담았다가 상기 충전컵(50)에 부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인트 컨테이너(60)는 페인트 액(41)을 따라 넣는 작업의 편의상 그 테두리 부분의 일부가 마치 커피포트의 주둥이처럼 돌출되어 나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컵(50)은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해서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면부호 61은 상기 페인트 컨테이너(60)의 손잡이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102는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바닥내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42는 스프레이 캔(40)의 상단 시밍(seaming) 접합부이고, 43은 하단 시밍 접합부이며, 44는 상단돔(dome)부를 가리킨다.
충전컵(50) 안에 페인트 액(41)을 채운 다음에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안에 상기 스프레이 캔(40),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의 조립체를 넣는데, 이때,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101)이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 마련된 끼움레일(12)을 타고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충전컵(50)이 플런저 케이싱(11)의 직하방에 놓이게 되며, 이때 스프레이 캔(40)은 회전 안착대(22)의 정 중앙에 놓이게 된다. 상기 회전 안착대(22)는 회전에 의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프레이 캔(40)을 작업챔버(20) 안에 넣기 전에는 회전 안착대(22)의 높이를 최대한 낮춰 놓았다가 스프레이 캔(40)을 다 넣은 후에는 회전 안착대(22)의 높이를 올려서 회전 안착대(22)의 중앙부(22a)가 스프레이 캔(40)의 하단 시밍 접합부(43)와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스프레이 캔(40),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의 조립체를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에 장착 완료한 상태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7은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상기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마련된 밸브 구멍 부분에 어댑터 보울(10)이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어댑터 보울(10)의 밑면은 구멍이 나 있고, 이 구멍 부분에 바닥 커버판(107)이 결합볼트(107a)에 의해 결합되어서 어느 정도 그 구멍을 막고 있는데, 상기 바닥 커버판(107)의 중앙 부분에서 'ㄱ'자형으로 꺾여 형성된 끼움돌출부(110)가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존재하는 상단 시밍림(seaming rim, 45)의 안쪽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어댑터 보울(1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끼움 돌출부(110)는 그 하단부가 스프레이 캔(40)의 상단 돔부(44) 안쪽에 형성된 탑 밀봉돔(dome, 48)과 접촉할 수 있다. 도7에서 상기 스프레이 캔(40)의 탑 밀봉돔(48)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상단 시밍림(45)의 안쪽에는 상단 함몰공간(48a)이 마련되며, 이 상단 함몰공간(48a) 안에 상기 끼움돌출부(11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댑터 보울(10)은 높은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철, 스텐레스, 황동,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금속 재질들 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어댑터 보울(10)의 밑면에 결합되는 바닥 커버판(107)은 금속 재질의 스프레이 캔(40)과 접촉되는 것을 고려하여 높은 강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면서도 약간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을 참고하여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원통형 측면부(103)와 바닥면부(106)는 금속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바닥면부(106)는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바닥면부(106)에 바닥 커버판(107)이 결합된다. 원통형 측면부(103)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단 확장림(101)을 이루며, 이 상단 확장림(101)이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끼움레일(12)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도6 참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바닥면부(106)에 바닥커버판(107)이 결합될 때, 바닥면부(106)의 가장자리 부분까지는 겹쳐지지 않아서, 바닥면부(106)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링형(ring type) 홈(108)이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커버판(107)의 밑면에서는 바닥면부(106)와 겹쳐지지 않는 부분이 끼움 돌출부(110)에 의해 움푹 함몰된 부분을 이루어서 시밍림(seaming rim) 안착홈(109)이 된다. 어댑터 보울(10)이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결합되면,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돌출된 상단 시밍링(45)이 어댑터 보울(10)의 시밍링 안착홈(109) 안에 들어가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의 하단부는 바닥면부(106)의 위치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내려와서 바닥 돌출링(104)을 이루는데, 상기 바닥 돌출링(104)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에서 페인트 액을 스프레이 캔(40) 안으로 강제 충전하는 과정에서 어댑터 보울(10)이 플런저(13)로부터 받게 되는 큰 하중을 견디는데 필요한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바닥 돌출링(104)에 인접한 밑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 개의 바닥패드들(105)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바닥패드들(105)은 고무 혹은 탄성이 좋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 보울(10)은 원통형 측면부(103)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테이퍼 형태로 그 직경이 좁아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형 측면부(103)의 하단부의 직경은 외경 및 내경 모두 그 상단부의 직경 보다 0.1~5% 만큼 작아지게끔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에서 페인트 액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스프레이 캔(40)의 구조를 살펴보면, 용기의 재질은 스틸 혹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으며, 캔 내부에 채워질 페인트 액을 스프레이 형태로 캔 밖으로 방사하기 위해 필요한 고압가스로서 DME(dimethyl ether) 가스, 프로판가스 또는 냉매가스가 미리 충전되어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스프레인 캔(40)은 엄밀히 말해 완전히 빈 캔은 아니며, 스프레이 방식의 분사를 위해 필요한 고압가스가 미리 들어가 있되, 다만 페인트 액이 채워지기 전이라는 의미에서 '빈 스프레이 캔'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빈 스프레이 캔'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를 사용해서 페인트 액을 채워 넣으면, 고압가스와 페인트 액의 혼합물이 스프레이 캔(40) 안에 존재하게 되며, 고압가스의 도움을 받아 페인트 액이 밸브(46)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상기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은 3피스 혹은 2피스 방식으로 제작되며, 원통형의 용기의 상단에는 상단 돔부(44)가 결합되고, 상단 돔부(44)와 원통형 용기 자체는 시밍(seaming) 가공에 의해서 상단 시밍 접합부(42)로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단 돔부(44)의 중앙에는 가스튜브(401)가 설치되어서 스프레이 캔(40)의 용기 내부의 저장공간(49)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튜브(401)에 밸브(4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46)는 내부에 밸브마개(46b)와 상기 밸브마개(46b)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6c) 및 상기 밸브(46)를 가스튜브(401)내에 위치시키는 노즐결합홀더(46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46)가 위치하는 용기의 상단부는 오므림 가공에 의해 노즐결합관부(47)를 형성하며, 상기 노즐결합관부(47)는 그 내부에 노즐결합홀더(46a)를 물고 있어서, 밸브(46)가 노즐결합관부(47)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어댑터 보울(10)의 밑면을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8을 참고하면, 어댑터 보울(10)이 바닥면부(10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볼트공들(107b)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공들(107b)의 내벽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서 결합볼트(107a)들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 커버판(107)의 중앙부에는 끼움 돌출부(110)가 아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돌출부(110)의 가운데는 뚫려서 하단 중앙통과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9는 도6에 도시된 빈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충전컵(50)은 플라스틱 등의 열경화성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컵(50)이 어댑터 보울(10) 안에 밀착해서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가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101)에 얹혀져서 접촉하게 되고, 충전컵(50)의 측면부는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의 내벽면에 밀착하게 되며, 충전컵(50)의 하단부에 마련된 호형 엣지연장부(52)는 어댑터 보울(10)의 링형 홈(108, 도7 참조)안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충전컵(50)의 바닥면(56)의 정중앙에 형성된 삽입관(54)은 스프레이 캔(40)의 노즐결합관부(47)의 구멍 안으로 삽입되어서 밸브(46)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 충전컵(50)의 삽입관(43) 주변에 돌출해서 형성된 호형 포위벽(53)은 어댑터 보울(10)의 끼움돌출부(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충전컵(50)이 스프레이 캔(40)의 밸브(46)와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충전컵(50) 안에 담긴 페인트 액(41)에 압력을 가해서 스프레이 캔(40) 안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상기 스프레이 캔(40) 안에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액(41)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입관(54)에는 통과공(54a)이 뚫려 있어서, 충전컵(50) 안의 페인트 액(41)은 통과공(54a)을 통해서 스프레이 캔(40)의 가스튜브(401)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9를 참고하면, 상기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의 내벽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립(lip, 51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립(51a)들은 페인트 액의 충전완료후에 충전컵(50)을 스프레이 캔(40)의 상단부에 결합시키는데 있어 상단 시밍 접합부(42)와 맞물리는 끼움돌기로서의 역할을 한다(도25 및 도26 참조).
도9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51b는 상단 테두리부(51)의 아랫면에 위치한 테두리 접촉부를 특정해서 가리키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 접촉부(51b)는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101)과 접촉한다.
도10은 도6에 도시된 장면에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의 결합체가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안착대(22)를 돌려서 최대한 상방으로 올림으로써, 스프레이 캔(40)과 그에 결합된 어댑터 보울(10) 및 충전컵(50)을 플런저 케이싱(11)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유리문(7)을 닫으면 그 유리문(7)의 안쪽면에 부착된 밀착 지지대(70)가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를 감싸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11 내지 도13은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플런저(13)가 하강함에 의해 상기 충전컵(50)에 담긴 페인트 액(41)이 압착마개(30)에 밀려서 스프레이 캔(40)의 내부로 충전되어 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서 상하 승강운동을 할 수 있는 플런저(13)의 하단부에는 압착마개(30)가 끼워지고, 그 압착마개(30)가 플런저(13)의 힘에 의해 충전컵(50) 내부로 압입됨으로써, 충전컵(50) 안에 있는 페인트 액(41)이 삽입관(54)을 통해 스프레이 캔(40)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상기 압착마개(30)의 플랜지(33)는 디스크부(30b)로부터 테두리벽(30c) 쪽을 향해서 라운드 형상으로 곡선화되어 있고, 모서리부(33a)의 최대 직경은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1.0~3.5㎜ 정도 더 크게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33)의 직경 자체가 충전컵(50)의 상단부의 입구쪽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손의 힘으로 압착마개(30)를 충전컵(50) 안에 밀어 넣어서는 똑바로 삽입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작업챔버(20) 내에 스프레이 캔(40)과 어댑터 보울(10)이 단단하게 고정됨에 의해서, 그에 따라 상기 충전컵(50)의 위치가 변함없이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25~70kgf/㎠의 센 압력으로 플런저(13)가 압착마개(30)를 충전컵(50) 안으로 밀어넣게 되면, 압착마개(30)의 플랜지(33)가 중심쪽으로 수축변형되면서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 안에 제대로 압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12 및 도13 참조).
도12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 내에서 수축변형되어 가면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충전컵(50) 안의 페인트 액(41)이 삽입관(54)을 통해 스프레이 캔(40) 안으로 충전되어 들어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바닥면(56)까지 내려가서 압착마개(30)의 디스크부(30b) 중심에 형성된 돌기봉(35)이 충전컵(50)의 삽입관(54)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삽입관(54)의 통과공(54a)이 막힌다(도13 참조).
도13에서 도면부호 130은 실린더 장치(미도시)에 연결된 로드(rod, 130)이며, 131은 상기 실린더 로드(130)와 플런저(13)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가리킨다.
도13과 같이 충전컵(50) 안의 페인트 액(41)을 모두 짜내서 스프레이 캔(40)안으로 채워넣은 후에는, 상기 플런저(13)를 상승시키는데, 이때 상기 압착마개(30)는 이미 충전컵(50)의 내벽과 바닥에 단단히 밀착되어서 끼워진 상태이므로, 압착마개(30)는 그 자리에 그대로 머물게 되고, 플런저(13)만 분리되어서 빠져 올라온다. 그 다음에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플런저 케이싱(11)으로부터 어댑터 보울(10)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스프레이 캔(40)을 작업챔버(20)로부터 빼내면 되며, 이어서 어댑터 보울(10)을 스프레이 캔(4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어댑터 보울(10)로부터 충전컵(50)을 분리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액의 충전작업이 완료된다.
도14는 상기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사용전 상태를 도시하는데, 특히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14에 도시된 상기 충전컵(50)은, 앞서 도9 내지 도13에서 설명한 것과 달리 엎어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단 테두리부(51)가 아래로 내려가 있고, 하단부의 호형 엣지연장부(52)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다. 충전컵(50)의 호형 엣지연장부(52)는 충전컵(5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되, 2개의 부분으로 나눠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형 엣지연장부(52)의 안쪽으로는 상기 압착마개(30)가 결합된다. 상기 압착마개(30) 역시 앞서 도3 내지 도5와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된 상태와 달리 돌기봉(35)이 위쪽을 향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착마개(30)의 테두리 외측면(31)이 충전컵(50)의 호형 엣지연장부(52)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이때 압착마개(30)의 테두리 외측면(31)에 돌출 형성된 원형 돌출링(32)이 충전컵(50)의 호형 엣지연장부(5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내측 돌출링(52a)에 걸림으로써, 압착마개(30)와 충전컵(50)은 그냥 쉽게 빠지지는 않을 정도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도17 참조)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5를 참고하면, 상기 충전컵(50)의 밑면(56a) 부분을 잘 볼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충전컵(50)의 밑면(56a) 중앙에는 삽입관(5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관(54)의 주변에는 2개의 호형 포위벽(53)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충전컵(50)의 몸체 부분은 원통 형상을 가지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끔 테이퍼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전컵(50)의 외부 표면에 있어 하단부 근처에서는 단턱부(5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57)는 충전컵(50)의 상단부로부터 테이퍼 형태로 외경이 좁아지면서 연장된 몸체의 외표면 상에서 약간의 단차를 주어 턱을 형성한 것으로 사출성형 과정에서의 작업 편의성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또한 플런저(13)에 의한 압착마개(30)의 강제 압입 과정에서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바닥면(56, 도13 참조)에 이르렀을 때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충전컵(50)의 하단부가 방사방향으로 팽창하기 쉽도록 설계한 것이기도 하다.
도16은 도14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결합관계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16에 도시된 것처럼, 압착마개(30)의 테두리 외측면(31)에 형성된 원형 돌출링(32)은 충전컵(50)의 호형 엣지연장부(5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내측 돌출링(52a)을 넘어서 위치하게 되며, 이렇게 상기 압착마개(30)의 원형 돌출링(32)과 충전컵(50)의 내측 돌출링(52a)이 걸림으로써, 압착마개(30)는 충전컵(50)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도16에서 도면부호 51c는 충전컵(50)의 내측 상단턱을 가리키는데, 이 내측 상단턱(51c)은 충전컵(50)의 몸체로부터 그대로 연장된 것이며, 상단 테두리부(51)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도19 및 도22 참조).
도17은 도15에 도시된 충전컵(50)과 압착마개(30)의 분리 상태에 관한 측단면도이다.
도18의 그림<a>는 도14 내지 도17에 도시된 압착마개(30)의 저면도이고, 그림<b>는 압착마개(30)의 측면도이며, 그림<c>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압착마개(30)의 단면도이다.
도18의 그림<a>는 돌기봉(35)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 즉 압착마개(30)의 내면(30a)이 위로 향한 상태를 내려다본 평면도이며, 그림<a>에는 압착마개(30)의 테두리 내측면(34) 상에 3개의 돌출선부(34a)들이 돌출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돌출선부들(34a)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의 플런저(13)가 압착마개(30)에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18의 그림<b>를 참고하면, 도면부호 D1은 압착마개(30)의 디스크부(30b)의 최대 외경이며, D2는 압착마개(30)의 테두리벽(30c)에 있어 원형 돌출링(32)까지 포함한 외경이며, D3는 상기 원형 돌출링(32)을 제외한 테두리벽(30c)의 외경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림<c>에서 도면부호 D4는 압착마개(30)의 디스크부(30b)에 형성된 돌기봉(35)의 직경이며, H1은 압착마개(30)의 전체 높이를 가리키고, H2는 플랜지(33)를 제외한 테두리벽(30c)만의 높이를 가리키며, H3는 원형 돌출링(32)부터 테두리벽(30c)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가리킨다. 그리고 H4는 상기 돌기봉(35)의 돌출 높이를 가리킨다.
본 발명자가 실제 실험한 바에 의하면, 상기 압착마개(30)의 디스크부(30b)의 직경(D1)은 57.0~65㎜로 하고, D2는 55.5~62.5㎜로 하며, D3는 55.0~61.0㎜로 하는 것이 좋았고, 돌기봉(35)의 직경(D4)은 1.5~3.0㎜로 하고, 압착마개(30)의 총 높이(H1)는 6.0.~8.5㎜로 하며, 테두리벽(30c)의 높이(H2)는 5.4~7.5㎜로 하고, H3는 1.5~3.5㎜로 하며, 상기 돌기봉(35)의 높이(H4)는 1.5~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도19는 상기 충전컵(50)의 사시도이다. 도19를 참고하면, 상기 충전컵(50)의 원통형 몸체(500)는 그대로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내측 상단턱(51c)으로까지 이어지며, 상기 내측 상단턱(51c)의 주변부에는 상단 테두리부(51)가 확장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 테두리부(51)는 내측 상단턱(51c)으로부터 수평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확장부(502) 및 상기 수평 확장부(502)로부터 상방으로 꺾여서 이어진 수직 연장부(503)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와 내측 상단턱(51c)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보강살(504)들이 형성되어서, 상단 테두리부(5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립(lip, 51a)들이 원주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립(51a)들은 이후 사용이 끝난 충전컵(50)을 스프레이 캔(40)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사용할 때, 스프레이 캔(40)의 상단 시밍 접합부(42)에 충전컵(5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도25 침 도26 참조).
도20은 도19에 도시된 충전컵(50)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21은 도19에 도시된 충전컵(50)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도20을 참고하면, 충전컵(50)의 내부에는 페인트 수용공간(55)이 존재하며, 여기에 페인트 액(41)이 부어지게 된다. 도20에서 충전컵(50)의 하단부 근처에 형성된 단턱부(57)는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20에서 도면부호 D11는 삽입관(54)의 외경이며, D12는 삽입관(54)의 내경을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L1은 삽입관(54)의 돌출된 전체 길이를 가리키고, L2는 호형 포위벽(53)의 돌출된 높이를 가리킨다.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의하면, 상기 삽입관(54)의 외경(D11)은 2.5~3.8㎜로 하고, 삽입관(54)의 내경(D12)은 1.4~2.6㎜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도21에서 도면부호 L3는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의 돌출립(51a)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으로부터 상단 테두리부(51)의 끝부분까지의 거리이고, L4는 내측 상단턱(51c)으로부터 상단 테두리부(51)의 끝부분까지의 거리이며, L5는 충전컵(50)의 원통형 몸체(500)의 높이이고, L6는 충전컵(50)의 원통형 몸체(500)와 상단 테두리부(51)까지 포함한 높이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D13은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의 외경을 가리킨다.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의하면, 도21에서 L3는 1.3~2.5㎜로 설정하고, L4는 3.3~4.7㎜로 설정하며, L5는 43.1~52.5㎜로 설정하고, L6는 45.0~55.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의 외경(D13)은 65.0~78.7㎜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도22는 상기 충전컵(50)의 내부에 압착마개(30)가 강제적으로 압입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3은 그 단면도이며, 도24는 도23에 도시된 상태에서 더 나아가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 내에 압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즉, 도23 및 도24는 압착마개(40)가 충전컵(50)의 내부의 페인트 수용공간(55)안에 들어가서, 플런저(13)의 압력에 의해 압입 하강하면서 페인트 액(41)을 충전컵(50)의 삽입관(54)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25는 페인트 액의 충전이 완료된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충전컵(50)을 뒤집어서 덮어 끼울 수 있음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26은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충전컵(50)이 뒤집어져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1)에 의해서 페인트 액의 충전이 완료된 스프레이 캔(40)에는 방금 페인트 액의 충전작업을 위해 사용된 충전컵(50)을 덮어서 결합시킬 수 있다. 방금 전에 페인트 액을 충전하느라 사용한 충전컵(50)안에는 비록 페인트 액이 완전히 빠져나갔기는 하지만, 방금 전에 페인트 액의 배출을 위해서 사용한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 안에 삽입된 채로 들어가 있다. 상기 압착마개(30)에는 방금 전에 충전한 페인트 액의 흔적이 그대로 묻어 있게 되므로, 그 압착마개(30)에 묻은 페인트 액의 색깔을 보면, 방금 전에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에 채워넣은 페인트의 색깔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페인트 액의 충전에 사용된 충전컵(50)을 버리지 않고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의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안에 충전된 페인트의 색깔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충전컵(50)의 상단 테두리부(51)의 내벽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립(51a, 도23 참조)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립(51a)들이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의 상단 시밍 접합부(4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타고 넘어가서 걸릴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컵(50)은 페인트 액의 충전이 완료된 스프레이 페인트 캔(40)의 보관을 위한 훌륭한 뚜껑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2: 함체
2a, 2b: 볼트 3: 전면부
4: 측면부 5: 상면부
6: 받침판 6a: 다리
7: 유리문 7a: 문 손잡이
7b: 장식볼트 7c: 경첩
7d: 내측 고정편 8: 조작레버
8a: 주름고무 9: 장비명 표시부
10: 어댑터 보울(adaptor bowl) 11: 플런저 케이싱
12: 끼움레일 13: 플런저(plunger)
20: 작업챔버 21: 바닥면
22: 회전 안착대 22a: 중앙부
22b: 파지용 홈 30: 압착마개
30a: 내면 30b: 디스크부
30c: 테두리벽
31: 테두리 외측면 32: 원형 돌출링
33: 플랜지 33a: 모서리부
34: 테두리 내측면 34a: 돌출선부
35: 돌기봉 40: 스프레이 캔
41: 페인트 액 42: 상단 시밍(seaming) 접합부
43: 하단 시밍(seaming) 접합부 44: 상단돔(dome)부
45: 상단 시밍림(seaming rim) 46: 밸브
46a: 노즐결합홀더 46b: 밸브마개
46c: 스프링 47: 노즐결합관부
48: 탑 밀봉돔(dome) 48a: 상단함몰공간
49: 내부공간 50: 충전컵
51: 상단 테두리부 51a: 돌출립(lip)
51b: 테두리 접촉부 51c: 내측 상단턱
52: 호형(弧形) 엣지연장부 52a: 내측 돌출링
53: 호형 포위벽 54: 삽입관
54a: 통과공 55: 페인트 수용공간
56: 바닥면 56a: 밑면
57: 단턱부 60: 페인트 컨테이너
61: 손잡이 70: 밀착 지지대
71: 오목부 101: 상단 확장림(rim)
102: 바닥내면 103: 원통형 측면부
104: 바닥돌출림(rim) 105: 바닥패드
106: 바닥면부 107: 바닥커버판
107a: 결합볼트 107b: 볼트공
108: 링형 홈 109: 시밍림(seaming rim) 안착홈
110: 끼움돌출부 111: 하단 중앙통과공
112: 내부공간 130: 실린더 로드(rod)
131: 연결장치 401: 가스튜브
500: 원통형 몸체 502: 수평확장부
503: 수직연장부 504: 보강살

Claims (7)

  1. 내부에 금속 재질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외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덮는 전면부(3), 후면부, 측면부(4) 및 상면부(5)가 결합된 함체(2);
    상기 함체(2)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6);
    상기 함체(2)의 하부에서 스프레이 캔(40)이 들어가서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챔버(20);
    상기 작업챔버(20)의 상방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플런저 케이싱(11);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3);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 좌우측에 각각 L자형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끼움레일(12);
    상기 함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플런저(13)와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1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
    상기 함체(2)의 표면 일부에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레버(8); 및
    상기 작업챔버(20) 내의 바닥면(21)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안착대(22);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13)의 하단부에는 압착마개(3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레일(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어댑터 보울(adaptor bowl, 10)이 끼워지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하부에는 빈 스프레이 캔(40)이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안쪽으로는 충전컵(50)이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충전컵(50)에는 페인트 액이 담기고,
    상기 압착마개(30)는 원통형의 테두리벽(30c)과, 상기 테두리벽(30c)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부(30b), 및 상기 디스크부(30b)의 일부로서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확장된 플랜지(33)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30c)의 내벽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선부(34a)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돌출선부(34a)는 각각 상기 테두리벽(30c)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부(30b)의 외면(外面) 중앙에는 돌기봉(3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부(30b)의 최대 직경은 상기 테두리벽(30c)의 외경보다 1.0~3.5㎜ 만큼 더 크고, 상기 플랜지(33)는 상기 디스크부(30b)의 가장자리 부분들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고 라운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33)의 가장자리 부분들에는 모서리부(3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2)의 전면부(3)의 아래쪽에 여닫이 식으로 설치되며, 경첩(7c)에 의해서 상기 함체(2)와 결합된 유리문(7); 및
    상기 유리문(7)의 안쪽 면에 설치되되, 상기 유리문(7)이 닫혔을 경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와 밀착 접촉하도록 곡면형의 표면을 가진 밀착 지지대(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 지지대(70)에는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착지지대(70)는 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울(10)은,
    원통형 측면부(103);
    상기 원통형 측면부(103)의 상단부에서 방사방향 바깥쪽으로 확장된 상단 확장림(rim, 101);
    상기 원통형 측면부(103)의 하단에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서 중심쪽을 향해 연장되되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는 바닥면부(106); 및
    상기 바닥면부(106)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닥 커버판(107);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커버판(107)은 결합볼트(107a)에 의해서 상기 바닥면부(106)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 커버판(107)의 중앙 부분에는 하단 중앙 관통공(111)이 뚫려 있으며, 상기 하단 중앙 관통공(111)의 주변으로는 끼움 돌출부(110)가 어댑터 보울(10)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상단 확장림(101)은 상기 플런저 케이싱(11)의 하단부에 마련된 끼움레일(12)을 타고 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끼움 돌출부(110)는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마련된 상단 시밍림(seaming rim, 45)의 안쪽면과 접촉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어댑터 보울(10)이 스프레이 캔(40)의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울(10)은 철, 스텐레스, 황동,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바닥 커버판(107)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원통형 측면부(103)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 보울(10)의 바닥면부(106)는 그 상면에 있어서 상기 바닥 커버판(107)과 겹쳐지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바닥 커버판(107)의 높이보다 함몰되어서 링형 홈(10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컵(50)은
    내부에 페인트 수용공간(55)를 가진 원통형 몸체(500);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일측을 막는 바닥면(56);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상단에서 방사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상단 테두리부(51);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형태를 그대로 이어받아 마감된 내측 상단턱(51c);
    상기 내측 상단턱(51c)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와 만나는 수평 확장부(502);
    상기 수평 확장부(502)와 상단 테두리부(51)의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보강살들(504);
    상기 상단 테두리부(51)의 내벽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립(lip, 51a)들;
    상기 원통형 몸체(50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더 연장되되, 원통형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호형 엣지연장부(52);
    상기 바닥면(56)의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관(54);
    상기 삽입관(54)에 형성되어서 상기 페인트 수용공간(55) 안의 페인트 액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과공(54a); 및
    상기 바닥면(56)의 밑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삽입관(54)의 주위를 둘러싸는 호형 포위벽(53);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컵(50)은 열경화성 합성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마개(30)는 플런저(13)의 하강시 압력에 의해서 상기 충전컵(50)의 원통형 몸체(500) 안으로 압입되며,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내부에 밀착하여 내려감에 따라 충전컵(50) 안의 페인트 액(41)은 스프레이 캔(40)의 내부 공간으로 강제적으로 주입되고, 압착마개(30)가 충전컵(50)의 원통형 몸체(500) 안에서 끝까지 내려간 때에는 상기 압착마개(30)의 디스크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봉(35)이 충전컵(50)의 삽입관(54)안에 끼워져서 통과공(54a)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KR1020180060035A 2018-05-27 2018-05-27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KR10209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35A KR102095640B1 (ko) 2018-05-27 2018-05-27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35A KR102095640B1 (ko) 2018-05-27 2018-05-27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960A KR20190134960A (ko) 2019-12-05
KR102095640B1 true KR102095640B1 (ko) 2020-03-31

Family

ID=6900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035A KR102095640B1 (ko) 2018-05-27 2018-05-27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833A (zh) * 2021-09-18 2021-12-07 湖北雅远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附着力、高遮盖力的内墙涂料灌装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821B2 (ja) * 1990-03-23 2000-05-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車体カバー取付構造
KR101313060B1 (ko) * 2012-03-28 2013-10-14 제이에스덴트테크(주) 페인트 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821U (ja) * 1997-02-14 1997-10-03 武蔵ホルト株式会社 粘性液体充填装置
KR200240065Y1 (ko) * 1998-07-29 2001-11-22 이대현 에어충진용에어탱크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821B2 (ja) * 1990-03-23 2000-05-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車体カバー取付構造
KR101313060B1 (ko) * 2012-03-28 2013-10-14 제이에스덴트테크(주) 페인트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960A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497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an airless pump
KR101449663B1 (ko) 어플리케이트를 푸쉬버튼으로 사용하는 콤팩트
KR200479430Y1 (ko)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EP0208394B1 (en) Container type toilet implement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663782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CN110891455B (zh) 排放泵内置型粉底容器
US20170305642A1 (en) Gel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pump
KR200480194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10485321B2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JP2009517298A (ja) 液状内容物の定量排出容器
KR102095640B1 (ko)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US20190090611A1 (en) Pump-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ide button
US7870976B2 (en) Pressurized can with inner shell
CN105768499B (zh) 一种旋转出料式化妆品容置瓶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90226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2169977B1 (ko)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6283335B1 (en) Oil sprayer with hand operated air pump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059952B1 (ko)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CN201228113Y (zh) 具备自动开关阀门的容器
KR200480198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