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52B1 -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52B1
KR102059952B1 KR1020170081749A KR20170081749A KR102059952B1 KR 102059952 B1 KR102059952 B1 KR 102059952B1 KR 1020170081749 A KR1020170081749 A KR 1020170081749A KR 20170081749 A KR20170081749 A KR 20170081749A KR 102059952 B1 KR102059952 B1 KR 10205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ead
pump
container
overcap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740A (ko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8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52B1/ko
Priority to PCT/KR2018/007332 priority patent/WO201900474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펌프 헤드로서 마그네틱 사양을 적용하여 본체와 오버캡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펌프 헤드부를 외측 펌프 헤드부로 감싸고 있는 펌프 헤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토출 통로 구조물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오버캡; 및 상기 펌프 헤드와 상기 오버캡에 결합된 복수개의 영구자석;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WITH PUMP}
본 발명은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사양의 오버캡 조립 구조 및 펌프 헤드 구조에서 펌프 헤드의 분해를 방지 또는 펌프로부터의 펌프 헤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에는 에어로졸 캔, 미스트 분사장치와 같은 기존의 스프레이 제품과, 별도의 충전가스 없이 펌핑력에 의해서만 내용물을 토출 또는 분배하는 제품이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 제품은 제품 상부에 결합된 버튼을 한 번 누르는 동작으로 내용물을 충전가스 또는 펌핑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가스 등을 이용한 제품의 경우에는 충전가스의 사용이 끝난 경우 용기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펌핑버튼은 하나의 몸체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플라스틱 소재와 금속 소재를 서로 합체한 이형 소재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용기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특허문헌: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3595호(2006.12.05.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형 소재의 펌프 헤드 자체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자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본체로부터의 펌프 헤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펌프 헤드와 오버캡에 영구자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 펌프 헤드부를 외측 펌프 헤드부로 감싸고 있는 펌프 헤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토출 통로 구조물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오버캡; 및 상기 펌프 헤드와 상기 오버캡에 결합된 복수개의 영구자석;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 및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의 사이에 개재된 제 1 영구자석; 및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게 대면하도록, 상기 오버캡에 설치된 제 2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오버캡의 내부의 천장면과 상기 펌프 헤드의 상면이 서로 비접촉하도록, 상기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사이에 제공되는 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버캡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차폐시키도록 개방된 하단과 폐쇄된 상단을 갖고, 상기 제 2 영구자석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자석안착홈이 상기 폐쇄된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캡바디; 상기 제 2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자석고정돌기; 상기 제 2 자석안착홈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판안착부; 및 상기 마감판안착부에 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의 저면과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상면 사이에 공간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내부의 천장쪽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펌프 헤드의 측면에 개방된 일측 구멍;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에서 상기 일측 구멍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펌프 헤드의 하방향으로 개방된 타측 구멍; 및 상기 타측 구멍이 형성된 토출 통로 구조물의 하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언더컷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는,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의 하부와 결합되는 이너파이프; 및 상기 언더컷홈부에 형합되도록, 상기 이너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언더컷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스커트부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펌프 외부캡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돌기부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자석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 영구자석은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에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토출 통로 구조물의 일측 구멍에 일체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일측 구멍에 삽입되는 노즐부에 의해서,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를 감싸는 중간 용기; 및 상기 중간 용기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 상기 중간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의 재질은, 불투명 재질, 반투명 재질 및 투명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용기의 개방된 하단과 상기 중간 용기의 기저부의 내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게 상기 피스톤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돌출된 하단돌출부;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수용부; 및 상기 중공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공수용부를 감싸고, 상기 내부 용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피스톤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펌프 헤드 또는 오버캡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간 자력에 의해 오버캡을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 헤드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자력에 의해 펌프 헤드 전체가 본체의 펌프로부터 비정상적으로 탈거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중 용기로서 고품질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및 펌프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 및 펌프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인체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유해성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한 환경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어리스(airless) 펌프를 구비한 용기 제품일 수 있다. 여기서, 에어리스 펌프는 후술되는 펌프(240)로 약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또는 용기 제품은 내용물(C)을 담고 있고, 펌프(240)와 결합되는 본체(200)와, 그의 상부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본체(200)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오버캡(100)을 포함한다.
오버캡(1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불투명 재질, 반투명 재질 및 투명 재질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펌프 헤드(250)는 하향으로 누름 작동될 때, 펌프(240)에서 내용물을 본체(20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펌프 헤드(250)는 이형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분리형태로 제작된 후 조립에 의해 합체될 수 있다. 예컨대, 펌프 헤드(250)는 내측 펌프 헤드부(252)와 외측 펌프 헤드부(258)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펌프 헤드부(25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금속 박판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슬라이딩 돌기부(251)를 제외하고,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외측면 및 상면을 모두 감싸게 된다.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단순 금속 코팅에 의한 것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스크레치 등에 매우 강하고, 펌프 헤드(250)의 외표면이 매우 미려한 제품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렇게 이형 소재의 펌프 헤드(25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사출 성형이 용이한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대부분의 외표면을 외측 펌프 헤드부(258)로 마감하여,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펌프 헤드(250)에 따르면, 내측 펌프 헤드부(252)는 외측 펌프 헤드부(258)에 의해 감싸져 있다. 본체(200) 및 오버캡(100)에는 영구자석(120, 257)이 제공된다.
영구자석(120, 257)은 쌍을 이루거나, 또는 복수개로 이루어져서, 상호 이격되게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자력을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영구자석(120, 257)은 펌프 헤드(250)와 오버캡(100)에 결합된다.
영구자석(120, 257)은 내측 펌프 헤드부(252) 및 외측 펌프 헤드부(258)의 사이에 개재된 제 1 영구자석(257)과, 이런 제 1 영구자석(257)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게 대면하도록, 오버캡(100)에 설치된 제 2 영구자석(120)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영구자석(120)의 상면과 제 1 자석안착홈(253)의 상부테두리에는 미표기된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가 더 개재될 수 있고, 이들을 통해서 외측 펌프 헤드부(258)를 내측 펌프 헤드부(252)에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외측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폐쇄된 상부 및 개방된 하부의 직경이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내측 펌프 헤드부(252)에 결합될 수 있고, 접착제 등의 별도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외측 펌프 헤드부(258)의 내표면과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외표면이 상호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영구자석(257)과 제 2 영구자석(120)의 사이에는 갭(G)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갭(G)은 오버캡(100)의 내부의 천장면과 펌프 헤드(25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지칭한다.
따라서, 오버캡(100)이 본체(200)의 상부를 차폐하듯이 결합 또는 씌워지더라도, 오버캡(100)의 내부의 천장면은 갭(G)에 의해 펌프 헤드(250)의 상면과 비접촉할 수 있다.
갭(G)의 사이 간격은 영구자석(120, 257)간 서로 잡아 당기는 자력(예: 인력)에 의해서, 오버캡(100)을 본체(200)에 밀착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으므로,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펌프 헤드(250)의 내측 펌프 헤드부(252)는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자석안착홈(253)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자석안착홈(253)에 안착되는 제 1 영구자석(257)은 외측 펌프 헤드부(258)에 의해 감싸져서 차폐될 수 있다.
특히,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스커트부에는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일측 구멍(254a)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외측 펌프 헤드부(258)에는 일측 구멍(254a)에 일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관통홀(259)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금속 캡 형태의 구조물로서,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폐쇄되어 있고, 하단과 상단 사이의 벽에 상기 관통홀(259)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펌프 헤드부(258)는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상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내측 펌프 헤드부(252)에 결합된다. 이때, 외측 펌프 헤드부(258)의 저면은 제 1 영구자석(257)의 상면에 밀착된다. 또한, 외측 펌프 헤드부(258)의 관통홀(259)과 외측 펌프 헤드부(258)의 일측 구멍(254a) 상호 일치될 수 있다.
노즐부(290)는 노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노즐부(290)는 펌프 토출구일 수 있다.
노즐부(290)는 상호 일치되어 겹쳐진 관통홀(259) 및 일측 구멍(254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때, 노즐부(290)는 외측 펌프 헤드부(258) 및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분리 또는 분해를 방지하는 고정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1 영구자석(257)의 자력 또는 외력이 펌프 헤드(250)에 작용하더라도, 노즐부(290)에 의해 외측 펌프 헤드부(258)가 내측 펌프 헤드부(252)로부터 분해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영구자석(120, 257)은 갭(G)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버캡(100) 및 펌프 헤드(250)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오버캡(100)을 열거나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수직 방향이 아닌 경사 방향으로 오버캡(100)을 잡아 당길 경우에도 오버캡(100)의 내부의 천장면과 펌프 헤드(250)의 상면간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오버캡(100) 개방시의 펌프(240)의 오작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만일, 오버캡(100)의 내부의 천장면과 펌프 헤드(250)가 자력 작용만을 위하여 서로 밀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오버캡(100)을 잡아 비틀거나 경사지게 벗겨내는 동작 만으로도, 오버캡(100)의 내부의 천장면이 펌프 헤드(250)를 하향으로 약간 누르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펌프(240)가 작동되는 경우, 내용물(C)이 토출될 수 있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갭(G)으로 인하여, 오버캡(100)의 개방시, 펌프(240)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가 오버캡(100)을 용이하게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이처럼, 본체(200) 및 오버캡(100)은 영구자석(120, 257)의 자력에 의해서, 상호 탈부착 가능한 마그네틱 사양의 오버캡 조립 구조를 신뢰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오버캡(100)은 캡바디(110), 제 2 자석안착홈(111), 마감판안착부(112), 자석고정돌기(113), 마감판(130)을 포함한다.
캡바디(110)는 본체(200)의 상부를 차폐시키도록 개방된 하단과 폐쇄된 상단을 갖는다.
제 2 영구자석(120)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자석안착홈(111)은 캡바디(110)의 폐쇄된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자석고정돌기(113)는 제 2 영구자석(120)을 제 2 자석안착홈(111)에 고정시키도록 제 2 자석안착홈(11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영구자석(120)은 미표기된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제 2 자석안착홈(111)의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마감판안착부(112)는 제 2 자석안착홈(111)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에 의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2 자석안착홈(111)의 상부에 배치된다.
마감판(130)은 억지 끼움 방식 또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마감판안착부(112)에 결합되어서, 제 2 자석안착홈(111) 및 마감판안착부(112)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시킨다.
이때, 마감판(130)의 저면과 제 2 영구자석(120)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부(114)가 제공된다.
캡바디(110)의 공간부(114)는 마감판(130)의 변형을 탄성범위 내에서 허용하므로, 그 결과 마감판(130)이 충격 흡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돕는다.
또한, 공간부(114)는 여분의 영구자석을 더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자력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두께의 영구자석(미표기)를 설치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펌프 헤드 구조에는 펌프 헤드(250)의 분해를 방지 또는 펌프(240)로부터의 펌프 헤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 역할과 내용물 토출 역할을 담당하는 노즐부(290)와, 노즐부(290)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는 외측 펌프 헤드부(258) 및 내측 펌프 헤드부(252)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 등과 같이 내부 용기(23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된 내용물(C)을 저장하고, 정량 토출 또는 분배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므로써, 내용물(C)은 화장품 원료 또는 화장료 등으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액상, 점액상의 다른 내용물도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불투명 재질, 반투명 재질 및 투명 재질 어느 하나의 재질을 선택하여 만든 외부 용기(210), 중간 용기(220), 내부 용기(230)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용기(210), 중간 용기(220), 내부 용기(230)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유리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용기(210), 중간 용기(220) 및 내부 용기(230)는 모두 동일하게 투명 재질 혹은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내용물(C)의 종류, 충전량, 잔량 등을 사용자 시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외부 용기(210)만을 투명 재질(예: 유리, 크리스탈, 투명 플라스틱 등)로 만들고, 중간 용기(220) 또는 내부 용기(230)를 불투명 재질로 만들 경우, 제품 디자인 및 색상이 표현 용기 표면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외부 용기(210), 중간 용기(220) 및 내부 용기(230)간 결합을 통해서, 앰플형 디자인의 기저부(221, 211) 및 웨이브형 바닥부(212)와 같은 디자인적 요소를 갖는 고품질의 용기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용기(220)의 기저부(221)의 하부에는 웨이브형 바닥부(212)에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중공형 연장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벤트홀(222)이 중공형 연장부(22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기는 벤트홀(222)을 통해 중간 용기(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펌프(240)의 작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내부 용기(230)의 입구(232)의 상면테두리에는 비드부(233)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드부(233)의 상부와 펌프(240)의 체결고정돌기(243)의 저면 사이에는 실링부(280)가 설치된다. 실링부(280)는 내용물(C)이 내부 용기(23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실링부(280)는 오링 형태 환형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개스킷의 역할을 담당한다. 실링부(280)는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펌프(240)를 내부 용기(230)에 조립시킬 때, 비드부(233)는 실링부(280)의 저면을 가압하면서 상호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더욱더 실링부(280)에 기밀하게 접촉됨으로써, 실링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펌프 내부캡(260)은 펌프(240)의 체결고정돌기(243)를 덮은 상태에서 내부 용기(230)의 제 1 체결부(261)에 결합된다. 제 1 체결부(261)는 언더컷 돌기 및 홈 방식으로 펌프 내부캡(260)과 내부 용기(230)를 상호 결합시킨다.
외부 용기(210) 및 중간 용기(220)의 폐쇄된 하단에 해당하는 기저부(221, 211)는 상광하협의 형태 또는 앰플형 디자인 형태로서 육안 식별 가능하게 표출될 수 있다.
웨이브형 바닥부(212)와 기저부(221, 211)의 형상 조합에 의해서, 중간 용기(220)가 외부 용기(210)의 내부에서 고급스러운 와인 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웨이브형 바닥부(212)는 화장품 용기를 놓아두는 기준면에 이물질 등이 있더라도, 상기 기준면에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을 실현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직립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는 단순히 용기 형상만을 미려한 곡면으로 표현하는 것을 훨씬 뛰어 넘는 기능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기존 사용품과의 차별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기능적으로도 중간 용기(220)의 폐쇄된 하단에 해당하는 기저부(221, 211)는 내부 용기(230)의 개방된 저면 아래쪽으로 돌출된 피스톤(231)의 하단돌출부(231a)를 기저부(221, 211)의 내부 공간(221a)에 수용하는 역할과, 이와 함과 함께, 내용물(C)의 충진 또는 저장시 내부 용기(230)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접촉된 피스톤헤드부(231c)가 충진 압력에 의해서 내부 용기(230)의 개방된 하단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피스톤(231)의 하단돌출부(231a)를 정지 및 지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피스톤(231)은 내부 용기(230)의 개방된 하단과 중간 용기(230)의 기저부(221, 211)의 내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게 피스톤(2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돌출된 하단돌출부(231a)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231)은 하단돌출부(231a)의 상부에 연결되며, 펌프(24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수용부(231b)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231)은 중공수용부(231b)에 연결되고, 중공수용부(231b)를 감싸고, 펌프(230)의 펌핑에 따른 내용물(C)의 토출량 만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 용기(23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S)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피스톤헤드부(231c)를 포함한다.
피스톤(231)의 중공수용부(231b)는 피스톤헤드부(231c)의 하단부와 동일 레벨의 바닥부를 포함하고, 그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피스톤(231)의 상사점 위치에서 펌프(24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처럼, 피스톤(231)은 피스톤헤드부(231c)를 내용물(C)의 충진 또는 저장에 따라 내부 용기(230)의 하사점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펌프(240)의 작동에 따라 내부 용기(230)의 상사점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피스톤(231)의 중공수용부(231b)가 펌프(240)의 하단부를 상대적으로 더 수용함으로써, 그 결과, 피스톤(231)의 상사점 위치가 상대적으로 최대 위치로 되어서, 내부 용기(230)의 내용물(C)을 거의 잔량 없이 최대로 토출시킬 수 있고, 내부 용기(230) 대비 내용물(C)의 충진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펌프(240)는 내부 용기(230)의 내용물(C)을 토출 통로 구조물(254)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토출 통로 구조물(254)은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내부의 천장쪽에 배치된다.
토출 통로 구조물(254)은 직각 형태의 관로일 수 있다. 예컨대,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일측 구멍(254a)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펌프 헤드(250)의 측면에서 개방될 수 있다.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타측 구멍(254b)은 일측 구멍(254a)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펌프 헤드(250)의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타측 구멍(254b)이 형성된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하부는 펌프(240)의 이너파이프(241)에 삽입되어서, 상호 관통하게 이너파이프(241)에 결합된다.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타측 구멍(254b)은 이너파이프(241)의 내경에 공간상 서로 연결되어서 내용물(C)의 토출 경로가 될 수 있다. 타측 구멍(254b)로 유입된 내용물(C)은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일측 구멍(254a) 및 노즐부(290)를 경유하여 펌프 헤드(25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펌프 헤드(250)는 이너파이프(241)에 1차 결합되고, 펌프 외부캡(270)에 2차 결합됨으로써, 펌프(240)의 작동 및 자력 작용만으로는 본체(200)에서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펌프 외부캡(270)은 펌프 내부캡(260)을 감싼 상태에서 언더컷 돌기 및 홈 방식의 제 2 체결부(272)에 의해서 펌프 내부캡(260)의 외측에 결합된다.
예컨대, 1차 결합을 위해서, 토출 통로 구조물(254)의 하부의 외표면에는 언더컷홈부(2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너파이프(241)의 내주면에는 언더컷홈부(256)에 형합되는 언더컷돌기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언더컷홈부(256) 및 언더컷돌기부(242)는 형합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있음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기 어려운 체결 상태를 만든다.
또한, 2차 결합을 위해서, 펌프 헤드(250)의 내측 펌프 헤드부(252)의 스커트부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딩 돌기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외부캡(27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251)에 체결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정지 돌기부(271)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헤드(250)가 펌프 외부캡(270)의 개방된 상부로 삽입되었을 때, 슬라이딩 돌기부(251) 및 정지 돌기부(271)는 미끄럼 대우 관계의 경사 단턱 결합, 혹은 후크 체결 방식과 같이 체결되고, 이후 서로 단턱끼리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펌프 헤드(250)의 하향 이동은 허락하지만, 펌프 외부캡(270)의 위쪽 방향으로 펌프 헤드(250)가 이탈되지 않게 제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펌프 외부캡(270)의 개방된 상부의 일측에는 펌프(240)의 작동시 노즐부(29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폭과 수직 길이를 가는 가이드홈(27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273)의 상부는 펌프 헤드(250)와 펌프 외부캡(270)의 결합디 노즐부(290)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펌프 외부캡(270)의 개방된 상부의 타측에는 펌프(240)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는 절개부(274)가 형성되어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펌프 헤드(250) 또는 오버캡(100)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영구자석(120, 257)간 자력에 의해 오버캡(100)을 본체(200)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특히, 영구자석(120, 257)은 분해 가능하게 구성된 펌프 헤드(250) 또는 오버캡(100)에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기존 방식에서 자석류를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실장할 때, 이중 사출시의 유동압에 의해 자석류의 위치가 변동된 후, 사출 완료에 따라 변동된 상태로 고착됨으로써, 자석류의 자력 발생이 제품 마다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펌프(24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오버캡(100)을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오버캡(100)은 본체(200)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력을 이기는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오버캡(100)을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발휘한다.
이후, 펌프 헤드(25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져서 하향으로 이동할 경우, 펌프(240)의 이너파이프(241)도 하향으로 이동하여 내용물(C)을 펌핑하게 된다.
내용물(C)은 펌핑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서 이너파이프(241) 및 토출 통로 구조물(254) 및 노즐부(290)를 통해서 펌프 헤드(25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특히, 오버캡(100)을 본체(2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영구자석(120, 257)에 의한 자력은 내측 펌프 헤드부(252) 및 외측 펌프 헤드부(258)를 포함한 펌프 헤드(250)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노즐부(290)가 내측 펌프 헤드부(252) 및 외측 펌프 헤드부(258)를 상호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펌프 헤드(250)의 내측 펌프 헤드부(252) 및 외측 펌프 헤드부(258)가 비 정상적으로 분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펌프 헤드(250)는 언더컷홈부(256) 및 언더컷돌기부(242)의 형합에 의한 1차 결합과, 슬라이딩 돌기부(251) 및 정지 돌기부(271)에 의한 2차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장착되어서, 비 정상적으로 본체(200)의 펌프(2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외부 용기(210), 중간 용기(220), 내부 용기(230)에 의한 3중 용기 구조로서 견고하면서도, 앰플형 디자인 등에 의한 고품질의 용기 제품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오버캡 110 : 캡바디
120 : 제 2 영구자석 130 : 마감판
200 : 본체 210 : 외부 용기
220 : 중간 용기 230 : 내부 용기
240 : 펌프 250 : 펌프 헤드
252 : 내측 펌프 헤드부 257 : 제 1 영구자석
258 : 외측 펌프 헤드부 260 : 펌프 내부캡
270 : 펌프 외부캡 280 : 실링부

Claims (12)

  1. 내측 펌프 헤드부를 외측 펌프 헤드부로 감싸고 있는 펌프 헤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토출 통로 구조물에 내용물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가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오버캡; 및
    상기 펌프 헤드에 배치되는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오버캡에 배치되는 제 2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캡은,
    상기 제 2 영구자석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자석안착홈이 형성되는 캡바디;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의 상부에 배치된 마감판안착부;
    상기 마감판안착부에 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의 저면과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상면 사이에 공간부가 제공되고,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와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는 이형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보다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에 끼움 맞춤되도록,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외측면은 하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고,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와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에 형성되는 일측 구멍과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끼움 맞춤되는 노즐부에 의해 분리가 방지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를 감싸는 중간 용기;
    상기 중간 용기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용기의 하부에는 중공형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연장부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중간 용기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벤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구자석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 및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 2 영구자석은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대하여 상호 이격되게 대면하도록, 상기 오버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의 내부의 천장면과 상기 펌프 헤드의 상면이 서로 비접촉하도록, 상기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제 2 영구자석의 사이에 제공되는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은,
    상기 제 2 영구자석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자석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캡의 상기 캡바디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차폐시키도록 개방된 하단과 폐쇄된 상단을 갖고,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은 상기 폐쇄된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안착부는,
    상기 제 2 자석안착홈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자석안착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내부의 천장쪽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펌프 헤드의 측면에 개방된 일측 구멍;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에서 상기 일측 구멍에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펌프 헤드의 하방향으로 개방된 타측 구멍; 및
    상기 타측 구멍이 형성된 토출 통로 구조물의 하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언더컷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토출 통로 구조물의 하부와 결합되는 이너파이프; 및
    상기 언더컷홈부에 형합되도록, 상기 이너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언더컷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스커트부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펌프 외부캡의 내주면의 슬라이딩 돌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자석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석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 영구자석은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에는,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토출 통로 구조물의 일측 구멍에 일체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일측 구멍에 삽입되는 노즐부에 의해서, 상기 외측 펌프 헤드부와 상기 내측 펌프 헤드부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상기 중간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의 재질은,
    불투명 재질, 반투명 재질 및 투명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피스톤이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내부 용기의 개방된 하단과 상기 중간 용기의 기저부의 내표면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게 상기 피스톤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돌출된 하단돌출부;
    상기 하단돌출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수용부; 및
    상기 중공수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공수용부를 감싸고, 상기 내부 용기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피스톤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70081749A 2017-06-28 2017-06-28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59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49A KR102059952B1 (ko) 2017-06-28 2017-06-28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PCT/KR2018/007332 WO2019004740A1 (ko) 2017-06-28 2018-06-28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49A KR102059952B1 (ko) 2017-06-28 2017-06-28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40A KR20190001740A (ko) 2019-01-07
KR102059952B1 true KR102059952B1 (ko) 2019-12-27

Family

ID=6474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49A KR102059952B1 (ko) 2017-06-28 2017-06-28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9952B1 (ko)
WO (1) WO2019004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73B1 (ko) * 2019-12-19 2021-06-30 (주)연우 이중 용기
KR102188867B1 (ko) * 2020-01-29 2020-12-11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에어브러시의 캡 고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192A (ja) * 2006-01-19 2007-08-02 Fumio Tanaka ポンプ及び蓋付き容器
US20140224845A1 (en) 2011-06-15 2014-08-14 Chanel Parfums Beaute Member for dispensing a fluid care, makeup, or washing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595Y1 (ko) 2006-09-26 2006-12-11 (주)민진 회전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090103120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200479844Y1 (ko) * 2014-03-04 2016-03-11 (주)에뛰드 자석의 자기력을 활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1050Y1 (ko) * 2014-11-04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잔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에어리스 화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192A (ja) * 2006-01-19 2007-08-02 Fumio Tanaka ポンプ及び蓋付き容器
US20140224845A1 (en) 2011-06-15 2014-08-14 Chanel Parfums Beaute Member for dispensing a fluid care, makeup, or wash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740A1 (ko) 2019-01-03
KR20190001740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80194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5547107A (en)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CN114206748B (zh) 用于封闭液体乃至糊状产品的容器的装置以及由这种装置封闭的再填充物
US20150175314A1 (en) Tubular Cosmetics Container
KR20110102475A (ko) 휴대용 충전식 분무기
US10485321B2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KR200477195Y1 (ko)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가 탈부착 가능한 화장품 펌프용기
KR102059952B1 (ko) 펌프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2020147373A (ja) 識別手段を具備した化粧品容器
US20230013434A1 (en) Double container
KR20100005468U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20220169432A1 (en)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KR200480198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20210060592A1 (en) Spray Gun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KR102095640B1 (ko) 스프레이 페인트 캔 충전장치
KR101861811B1 (ko)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200480196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KR200482749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2404107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