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27B1 -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27B1
KR102095627B1 KR1020177036874A KR20177036874A KR102095627B1 KR 102095627 B1 KR102095627 B1 KR 102095627B1 KR 1020177036874 A KR1020177036874 A KR 1020177036874A KR 20177036874 A KR20177036874 A KR 20177036874A KR 102095627 B1 KR102095627 B1 KR 10209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hielding sheet
shielding
front c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796A (ko
Inventor
위셩 리
Original Assignee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고어텍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0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차폐 기구 및 렌즈 차폐 방법 및 상기 차폐 기구를 사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공개한다. 렌즈 차폐 기구는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마련되었으며, 차폐 기구는, 특정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차폐시트 세트는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또한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한 차폐시트 세트를 드라이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차폐시트 세트로부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렌즈 차폐 기구는 양호한 차폐 효과를 구비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 공간이 적다.

Description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렌즈 차폐 기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각자의 동공 거리는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 기타 일부 디스플레이 제품(예를 들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은 각 사용자의 동공 거리에 적응되기 위하여 렌즈 위치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고, 사용자의 개별화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며, 도 1에서, (11)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프론트 케이스이고, (12)는 렌즈이다. 렌즈(12)를 이동하여 동공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 렌즈(12)의 위치 변동에 의해 제품의 내부 구조가 노출되며, 이는 노출된 영역을 통해 이물질이 제품 내부에 들어가 제품 성능과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제품의 미적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차폐 기구와 렌즈 차폐 방법를 제공하며, 이는 렌즈의 위치 변동에 의해 제품의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어 이물질이 제품 내부에 들어가 제품 성능, 수명 및 미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밖에 렌즈 차폐 기구를 포함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더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렌즈 차폐 기구를 제공하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마련되었으며, 상기 차폐 기구는, 특정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시트 세트는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또한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폐시트 세트를 드라이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차폐시트 세트로부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시트 세트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또한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폐시트 세트를 드라이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 세트로부터 상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시트 세트는: 서로 결합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또한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제1 차폐시트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엇갈리게 전개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로부터 함께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렌즈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차폐시트를 관통하는 두 개의 돌출 기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차폐시트와 렌즈의 고정 결합을 달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돌출 기둥과 매칭되는 두 개의 제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제한 구멍에 걸리고 또한 상기 제한 구멍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는 클립 훅(clip hook)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및 하부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클립 훅과 매칭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클립 훅과 매칭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의 연결을 달성하며;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 거리가 상기 제한 구멍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렌즈위의 돌출 기둥은 상기 제한 구멍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제1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노출 영역을 가리도록 하며; 상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상기 돌출 기둥을 드라이빙하여 상기 제한 구멍의 제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제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슬롯의 길이 범위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클립 훅에 상대하여 계속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는 서로 엇갈린 전개로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노출 영역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었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폐시트의 재질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였으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렌즈에는 본 발명의 상기 렌즈 차폐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렌즈 차폐 기구에 대응되어, 본 발명은 렌즈 차폐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렌즈 위치가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리도록 마련되었으며, 해당 차폐 방법은, 일정한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폐시트 세트를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하고, 또한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차폐시트 세트를 드라이빙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차폐시트 세트로부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나의 차폐시트 세트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차폐시트 세트는, 서로 결합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제1 차폐시트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엇갈리게 전개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가 공동으로 상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너비를 구비한 한 차폐시트 세트를 이용하여, 해당 차폐시트 세트를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시키며, 이에 따라, 렌즈를 좌우 이동하여 동공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에 해당 차폐시트 세트가 렌즈의 좌우 이동에 따라노출된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렌즈 차폐 기구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 성능, 수명 및 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사용한 차폐시트는, 체적이 작고, 원가가 저렴한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렌즈 차폐 기구를 사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차폐 효과가 양호하며, 원가가 저렴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분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제1 차폐시트와 렌즈의 연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제2 차폐시트와 프론트 케이스의 연결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프론트 케이스의 정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에서 한 차폐시트와 두 개의 차폐시트를 사용하여 엇갈리게 전개하여 가리는 방식의 결과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초기화 상태의 뒷면 예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초기화 상태의 정면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렌즈가 우측으로 제1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뒷면 예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된 렌즈가 우측으로 제1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정면 예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렌즈가 우측으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뒷면 예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도시된 렌즈가 우측으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정면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며 동공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어 이로 인한 이물질이 케이스내에 들어가 제품 성능, 수명 및 미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 본 발명은 차폐 기구를 통해 하나의 차폐시트 세트를 사용하여 렌즈 위치가 변동 시 노출되는 영역을 가리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전체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당 렌즈 차폐 기구는, 렌즈(22)가 좌우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21)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마련되며, 렌즈 차폐 기구는 특정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23)를 포함하며, 차폐시트 세트(23)는 렌즈(22)의 좌우 양측에 설정되고, 또한 렌즈(22)와 고정 연결되며, 렌즈(22)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한 차폐시트 세트(23)를 움직이도록 하며, 차폐시트 세트(23)로부터 렌즈(22)가 좌우로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리도록 한다.
이외에, 도 2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는, 렌즈(22)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차폐시트 세트(23)로부터 렌즈(22)가 좌우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릴 수 있으며, 따라서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에 진입하여 제품 성능, 수명 및 미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당 차폐 기구는 체적이 작고, 차폐 면적이 크며,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폐시트 세트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제1 차폐시트는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렌즈와 고정 결합되어,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차폐시트를 움직이도록 하며, 제1 차폐시트로부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폐시트 세트는 두 개의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제1 차폐시트는 각각 두 개의 렌즈(좌측 렌즈 및 우측 렌즈)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좌, 우 렌즈는 모두 이동하며 동공 거리를 조정하는 동시에 노출 영역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성능, 수명 및 미관에 영양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제1 차폐시트의 사이즈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등 비교적 작고 정밀한 제품의 케이스 사이즈도 덩달아 커지기 때문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제품의 사이즈를 줄이지 위해 크기가 제한된다.
이 외, 본 실시예에서, 차폐시트 세트는 단 하나의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제1 차폐시트를 두 렌즈 중 하나의 좌우 양측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오직 차폐시트가 장착된 해당 렌즈를 이동하여 좌우로 동공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렌즈가 좌우로 이동 시 노출되는 영역을 더 잘 가릴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차폐시트를 절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가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의 분해 구조 예시도이며,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차폐시트 세트는 서로 결합된 제1 차폐시트(34) 및 제2 차폐시트(35)를 포함하며, 제1 차폐시트(34)는 렌즈(32)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어 렌즈(32)와 고정 결합되며, 제2 차폐시트(35)는 제1 차폐시트(34)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제2 차폐시트(35)는 프론트 케이스(31)와 결합되어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31)에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32)가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 제 1 차폐시트(34)는 제 2 차폐시트(35)를 엇갈리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렌즈(32)의 좌우 이동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31)의 노출 영역이 제1 차폐시트(34) 및 제2 차폐시트(35)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차폐시트는 두 개의 제1 차폐시트 및 두 개의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제1 차폐시트는 각각 두 개의 렌즈(좌측 렌즈 및 우측 렌즈)와 결합되며, 두 개의 제2 차폐시트는 각각 두 개의 제1 차폐시트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렌즈 및 우측 렌즈는 모두 이동하여 동공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운동의 밸런스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노출 영역이 나타나 성능, 수명 및 미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한 세트의 차폐시트는 오직 하나의 제1 차폐시트 및 하나의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제1 차폐시트를 두 렌즈 중 하나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하나의 제2 차폐시트가 해당 하나의 제1 차폐시트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오직 차폐시트가 장착된 해당 렌즈를 이동하며 좌우로 동공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가 좌우로 이동 시 노출되는 영역을 더 잘 가릴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는 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제1 차폐시트와 렌즈의 결합 구조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제2 차폐시트와 프론트 케이스의 결합 구조 예시도이며, 아래 도 4 내지 도 5를 결합하여 본 실시예의 렌즈 차폐 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렌즈(4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 1 차폐시트(44)를 관통하는 두 개의 돌출 기둥(4201)이 형성되어, 제1 차폐시트(44)와 렌즈(42)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2 차폐시트(55)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돌출 기둥(4201)과 매칭되는 두 개의 제한 구멍(5501)이 형성되며, 돌출 기둥(4201)은 제한 구멍(5501)에 걸리고 또한 제한 구멍(5501)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일 수 있으며, 프론트 케이스(51)에는 클립 훅(clip hook)(5101)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차폐시트(55)의 상부 지점과 하부 지점 사이의 중간 위치에 클립 훅(5101)이 매칭된 슬롯(55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차폐시트(55)는 슬롯(5502)과 클립 훅(5101)의 매칭을 통해 프론트 케이스(51)와 결합되어 있다.
렌즈(42)가 제한 구멍(5501)의 길이보다 작은 거리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42)위의 돌출 기둥(4201)은 제한 구멍(5501)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제2 차폐시트(55)는 움직이지 않으며, 렌즈(42)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51)로부터 노출된 영역은 제1 차폐시트(44)에 의해 가려진다.
렌즈(42)가 좌우 이동하고 또한 돌출 기둥(4201)을 드라이빙하여 제한 구멍(5501)의 한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 돌출 기둥(4201)은 제2 차폐시트(55)를 드라이빙하여 슬롯(5502)의 길이 범위내에서 프론트 케이스(51)의 클립 훅(5101)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을 지속하도록 하며, 렌즈(42)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51)로부터 노출된 영역은 제1 차폐시트(54) 및 제2 차폐시트(55)의 상호 엇갈린 전개로 가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제품에는 두 개의 렌즈들(42)이 존재하며, 이는 각각 왼쪽 렌즈 및 오른쪽 렌즈이며, 움직임의 밸런스를 위해, 각 렌즈(42)에는 네 개의 돌출 기둥(4201)이 설치되어 있다. 그 중 두 개의 돌출 기둥(4201)은 렌즈(42)의 윗부분에 설치되고, 나머지 두 개는 렌즈(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 기둥(4201)은 전부 제1 차폐시트(44)를 관통하여, 제2 차폐시트(55)에 대응하는 제한 구멍(5501)에 걸린다. 이에 따라, 렌즈(4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여기서,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며,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렌즈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원리는 동일하다), 돌출 기둥(4201)은 렌즈(42)의 움직임에 따라 제한 구멍(5501)내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렌즈(42)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51)로부터 노출된 영역은 제1 차폐시트(44)에 의해 가려진다.
렌즈(42)의 이동 과정에서, 돌출 기둥(4201)은 제한 구멍(5501)의 오른쪽 경계에 도달하도록 오른쪽으로 움직이며, 이때, 계속 오른쪽으로 렌즈(42)를 이동하면, 돌출 기둥(4201)이 제한 구멍(5501)을 드라이빙하며, 제2 차폐시트(55)의 슬롯(5502)은 클립 훅(5101)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차폐시트(44) 및 제2 차폐시트(55)는 서로 엇갈리게 전개되어, 렌즈(4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프론트 케이스(51)의 영역을 가린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2 차폐시트(55)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슬롯(5502)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며, 즉, 렌즈(42)가 오른쪽으로 계속 이동하는 거리는 슬롯(5502) 길이에 의존한다.
도 6은 도 3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 중 프론트 케이스의 정면 예시도이며, 도 6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의 정면 예시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렌즈가 중간에 위치한 것이며, 즉 아직 좌우로 이동하여 동공 거리를 조정하지 않은 초기화 상태이며, 도 6에서는 프론트 케이스(61), 렌즈(62), 렌즈(62) 좌우 양측에 정렬된 제1 차폐시트(64) 및 제1 차폐시트(64) 좌우 양측에 정렬된 제2 차폐시트(65)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프론트 케이스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등 렌즈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제품이 사용자 눈과 마주치는 케이스를 말하는 것이며, 즉 사용자 눈과 가장 가까운 그 케이스다.
이 외, 실제적으로 사용 시, 제한 구멍 및 홈의 길이는 렌즈의 좌우 이동 길이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을 만큼 합리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동공 거리를 조정하는 동안 노출된 영역이 가려지는 것을 달성하는 조건하에서, 차폐시트 사이즈(즉 차폐시트 넓이)는 작을수로 좋으며, 차폐시트의 사이즈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등 제품의 케이스 사이즈에 영향을 미친다.
요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 및 경량화 발전 경향에 따라,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의 이러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서로 엇갈리게 전개시키는 설계를 통해 차폐시트의 사이즈를 줄인다. 아래 도 7을 결합하여 차폐시트 개수 및 사이즈 사이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공한 렌즈 차폐 기구에서 한 차폐시트와 두 개의 차폐시트를 사용하여 엇갈리게 전개시켜 가리는 방식의 결과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좌측, 중앙, 우측의 세 개의 도면으로 나누어지며, 여기서 좌측 도면은 렌즈가 동공 거리를 조절하지 않은 초기화 상태를 도시하고, 중앙 도면은 렌즈가 오른쪽으로 일정한 위치를 이동 시의 제1 이동 위치를 나타냈고, 우측 도면은 렌즈가 계속 오른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움직일 때의 제2 이동 위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도면 아래의 첫번째 줄 내용은,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가 서로 어긋나게 전개될 때, 동일한 거리(본 실시예에서는 렌즈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5mm를 이동하도록 디자인하였다)를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사이즈며, 또한 프론트 케이스(71), 제1 차폐시트(74) 및 제2 차폐시트(75)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 7 중 도면 아래의 두번째 줄 내용은, 단 하나의 차폐시트(76)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 필요한 사이즈 및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아래 두 경우에서, 렌즈 사이즈(렌즈 길이)가 동일하며 즉 전부 24.6mm이며,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여기서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도 설명하는 것은, 렌즈가 왼쪽으로 이동 시, 그 원리가 동일한 것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공 거리를 조절 시 제1 이동 위치(렌즈는 오른쪽으로 2.5mm를 이동)로 이동하고 또한 더 나아가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차폐시트(74) 및 제2 차폐시트(75)가 서로 협력하면, 오직 36.9mm의 사이즈로 노출 영역을 가리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일한 영역을 가리기 위하여, 렌즈가 오직 차폐시트(76)만 사용하면, 44.6mm의 사이즈를 디자인하여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 위치는 전술된 돌출 기둥(4201)이 제한 구멍(5501)내에서 자유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참조할 수 있으며, 제2 이동 위치는 전출된 돌출 기둥(4201)이 제한 구멍(5501)의 경계까지 이동하여 따라서 슬롯(5502)을 드라이빙하여 클립 훅(clip hook)(5101)에 대해 이동하는 상태를 참조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제1 차폐시트(74) 및 제2 차폐시트(75)를 엇갈리게 전개하는 방안은 차폐시트(76)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5mm의 사이즈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도 더 작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소형화 발전 추세에 맞추어, 제품의 경쟁력을 재고할 수 있다. 이 외, 본 실시예에서, 렌즈 길이 24.6mm 및 렌즈 이동 거리 5mm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는, 렌즈 크기 및 렌즈의 좌우 이동 경로에 따라 차폐시트의 매칭 사이즈를 합리적으로 디자인해야 하며, 본 실시예의 39.6mm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추가 도면을 제공하였으며, 해당 도면들은 여러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폐 기구 구조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두 방향에 대해 설명하였기 때문에, 도면에서 사용한 좌/우 이동 방향은, 좌/우 참조물을 주의하면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 5에서 도시된 차폐시트의 오른쪽 이동과 도 6, 도 7에서 도시된 차폐시트의 오른쪽 이동은, 용어상 동일한 오른쪽으로 이동이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방향이 아니라, 두 개의 반대 방향이며, 도 5는 차폐시트의 뒷면에서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멀리한 방향에서 보는 투시도이고, 도 6, 도 7은 프론트 케이스에서 사용자 눈에서 가까이 하는 방향에서 보이는 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공한 렌즈 차폐 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초기화 상태하의 뒷면 예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도시된 렌즈 차폐 기구가 이동하지 않는 초기화 상태하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공한 렌즈 차폐 기구의 렌즈가 우측으로 제1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뒷면 예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된 렌즈가 우측으로 제1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정면 예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공한 렌즈 차폐 기구의 렌즈가 우측으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뒷면 예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도시된 렌즈가 우측으로 제2 이동 위치로 이동하는 정면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렌즈의 이동 위치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차폐 기구 운동 과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8a는 렌즈가 이동하지 않는 초기화 상태하의 뒷면 예시도이며, 도 8a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초기화 상태에서, 렌즈가 아직 좌우로 이동하지 않으며, 돌출 기둥(4201)은 위치 제한 구멍(5501)의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이다. 도 8b에서 도시된 프론트 케이스의 정면 예시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렌즈(42), 제1 차폐시트(44) 및 제2 차폐시트(55)의 위치 관계이다. 그 다음, 렌즈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동공 거리를 조절하기 시작하며, 도 9a를 참조하면, 렌즈 및 제1 차폐시트는 일정한 거리를 움직이고, 렌즈 돌출 기둥(4201)은 제2 차폐시트의 제한 구멍(5501)내에서 자유로 움직인다. 렌즈는 돌출 기둥(4201)을 드라이빙하여 제한 구멍(5501)의 제일 오른쪽 경계 위치로 이동한다. 이 ? 제2 차폐시트는 움직이도 않고, 제1 차폐시트로부터 렌즈가 이동하여 노출된 프론트 케이스 영역을 가린다. 도 9b를 참조하면, 렌즈(4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제1 차폐시트(44)는 렌즈(42)를 따라 오른쪽으로 움직여(제1 차폐시트의 측벽을 당기는 것과 같음)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노출된 프론트 케이스 영역을 가리도록 한다. 도 10a는 렌즈가 오른쪽으로 제2 이동 위치까지 이동하는 뒷면 예시도이며, 도 9a를 기반으로, 렌즈는 제1 이동 위치에 도달한 후 계속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돌출 기둥(4201)은 제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 렌즈(42), 제1 차폐시트(44), 제2 차폐시트(45)는 함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제1차폐시트(44) 및 제2 차폐시트(55)로부터 서로 엇갈리게 전개되어 렌즈(4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리도록 한다. 상세한 내용은 도 10b를 참조하여, 렌즈(42)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제1 차폐시트(44) 및 제2 차폐시트(55)가 노출한 측변은 도 9b에서 노출된 측변보다 많으며, 이는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거리가 도 9b에서의 렌즈 이동 거리보다 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제1 차폐시트(44) 및 제2 차폐시트(55)가 서로 어긋나게 전재되어 렌즈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릴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의 렌즈 차폐 기구의 작동 과정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상기 과정에서 알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해당 차폐 기구는 체적이 작고, 가림 영역이 디자인 수요를 만족시키며, 구조가 간잔하고 달성하기 쉬운 장접이 존재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폐시트는 렌즈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일체형 구조는 대량 생산하기에 용이하고 또한 제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차폐시트의 재질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사용한 차폐시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해당 렌즈 차폐 기구의 원가를 절약할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한 한 세트의 차폐시트를 예시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더 많은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차폐시트가 서로 어긋나게 전개하여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노출된 프론트 케이스 영역을 가리는 실시 원리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 외,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였으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렌즈에는 본 발명의 상기 렌즈 차폐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차폐 기구에 대응되게, 본 발명은 렌즈 차폐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렌즈 위치가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리도록 마련되었으며, 해당 차폐 방법은, 일정한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이용하여, 한 세트의 차폐시트를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하고, 또한 렌즈와 고정 결합하여,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한 세트의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이동하도록 하며, 차폐시트 세트로부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차폐시트 세트는, 제1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제1 차폐시트를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하고, 렌즈와 고정 결합하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제1 차폐시트로부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한 차폐시트 세트는, 서로 연결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제1 차폐시트는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제2 차폐시트는 제1 차폐시트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제2 차폐시트는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어, 프론트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차폐시트는 렌즈가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제 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어긋나게 전개하도록 하며,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로부터 공동으로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렌즈 차폐 방법은 전술된 렌즈 차폐 기구와 대응되므로, 본 실시예 중의 렌즈 차폐 방법의 실시 단계는 전술한 렌즈 차폐 기구 부분의 구체적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해당 렌즈 차폐 기구 및 렌즈 차폐 방법은, 아래 장점을 구비하였다.
1.렌즈가 이동하여 내부 구조가 노출되어, 미관에 영향을 미치고, 외부 이물질이 진입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진입하여 제품을 파괴하여, 수명 및 제품 미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한다.
2.한 세트의 차폐시트는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가 서로 협력하여, 차폐 기구가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렌즈 차폐 기구가 전 제품 사이즈에 대한 영향을 감소하거나 거희 영향이 없도록 한다.
3.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러한 렌즈 차폐 기구는 달성하기가 쉽고, 제작에 간편하며, 원가가 저렴하다.
이 외,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이 제공한 이러한 렌즈 차폐 기구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해당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도 상술한 장점을 구비하였으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체험 및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비교적 좋은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보호적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인드 및 원칙내에서 실시한 그 어떠한 수정, 동등교체, 개선 등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적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 영역이 노출되는 것을 가리도록 하는 렌즈 차폐 기구에 있어서,
    상기 렌즈 차폐 기구는 특정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시트 세트는, 서로 결합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또한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제1 차폐시트의 좌우 양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대해 좌우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 거리 미만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차폐시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엇갈리게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 모두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제 1 차폐시트를 관통하는 두 개의 돌출 기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차폐시트와 렌즈의 고정 결합을 달성하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돌출 기둥과 매칭되는 두 개의 제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제한 구멍에 걸리고 또한 상기 제한 구멍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움직이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는 클립 훅(clip hook)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및 하부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클립 훅(clip hook)과 매칭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클립 훅과 매칭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 거리가 상기 제한 구멍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렌즈위의 돌출 기둥은 상기 제한 구멍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움직이지 않으며, 상기 제1 차폐시트를 이용해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따른 프론트 케이스의 노출 영역을 가리도록 하며,
    상기 렌즈가 좌우 이동하여 상기 돌출 기둥을 드라이빙하여 상기 제한 구멍의 제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제2 차폐시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슬롯의 길이 범위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클립 훅에 대해 계속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서로 엇갈리는 전개로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이동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노출 영역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시트는 상기 렌즈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기구.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시트의 재질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기구.
  7.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렌즈에는 청구항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기재된 상기 렌즈 차폐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8. 렌즈 위치가 이동하여 노출된 영역을 가리도록 하는 렌즈 차폐 방법에 있어서,
    서로 결합된 제1 차폐시트 및 제2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특정 너비를 구비한 차폐시트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와 고정 결합된 상기 제1 차폐시트를 상기 렌즈의 좌우 양측에 정렬하고,
    상기 제2 차폐시트를 상기 제1 차폐시트의 좌우 양측에 정렬하고, 프론트 케이스에 대해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차폐시트를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 거리 미만을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차폐시트를 이동시켜서,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렌즈가 좌우로 일정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가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엇갈리게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 모두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방법.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차폐 방법은,
    상기 렌즈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제 1 차폐시트를 관통하는 두 개의 돌출 기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차폐시트와 상기 렌즈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돌출 기둥과 매칭되는 두 개의 제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 기둥은 상기 제한 구멍에 걸리고 또한 상기 제한 구멍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움직이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는 클립 훅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차폐시트의 상부 지점과 하부 지점 사이의 중간 위치에 상기 클립 훅이 매칭된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폐시트는 상기 슬롯과 상기 클립 훅의 매칭을 통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렌즈가 상기 제한 구멍의 길이보다 작은 거리만큼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렌즈 상의 상기 돌출기둥이 상기 제한 구멍에서 스라이딩하여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차폐시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렌즈가 상기 제한 구멍의 최대 길이까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 기둥이 상기 슬롯의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프로트 케이스의 상기 클립 훅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차폐시트를 엇갈리게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렌즈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케이스로부터 노출되는 영역이 상기 제1 차폐시트 및 상기 제2 차폐시트 모두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차폐 방법.
  11.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렌즈에는 청구항 제6항에서 기재된 상기 렌즈 차폐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0177036874A 2015-07-30 2016-05-25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095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58892.4 2015-07-30
CN201510458892.4A CN105044911A (zh) 2015-07-30 2015-07-30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PCT/CN2016/083321 WO2017016299A1 (zh) 2015-07-30 2016-05-25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796A KR20180008796A (ko) 2018-01-24
KR102095627B1 true KR102095627B1 (ko) 2020-04-29

Family

ID=5445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874A KR102095627B1 (ko) 2015-07-30 2016-05-25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1400B2 (ko)
EP (1) EP3299867B1 (ko)
JP (1) JP6574858B2 (ko)
KR (1) KR102095627B1 (ko)
CN (1) CN105044911A (ko)
WO (1) WO2017016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4911A (zh) 2015-07-30 2015-11-1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CN108363940B (zh) * 2017-12-07 2021-11-30 上海点与面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虹膜采集模块中的测距控制方法及装置
CN108549151B (zh) * 2018-04-16 2020-11-17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显示设备
CN110186113A (zh) * 2019-07-09 2019-08-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WO2021033790A1 (ko) * 2019-08-19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JP7455596B2 (ja) 2020-01-31 202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230083653A1 (en) * 2021-09-14 2023-03-16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CN115857669A (zh) * 2022-10-27 2023-03-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9123A (zh) 2013-06-26 2013-09-18 郭社健 可防止漏光的3d摄影机遮光罩
KR101419007B1 (ko)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6754A (en) * 1951-07-28 1954-12-14 Paul O Mamock Folding stereoscope
JPH08106064A (ja) * 1994-10-06 1996-04-23 Canon Inc 表示装置
EP1045596A2 (en) 1999-04-12 2000-10-18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0295637A (ja) * 1999-04-12 2000-10-20 Mr System Kenkyusho:Kk 立体画像表示装置
US6547403B2 (en) * 2001-03-16 2003-04-15 Minoru Inaba Stereo slide mount and stereo slide viewer
JP4399789B2 (ja) * 2004-06-21 2010-01-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3次元画像鑑賞メガネ
KR101117784B1 (ko) * 2005-03-09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CN102209124B (zh) 2011-06-08 2014-03-12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私网与公网通信的方法及网络地址转换设备
CN103309124B (zh) * 2013-06-26 2015-12-02 郭社健 3d摄影机上的框形遮光罩
CN203376542U (zh) * 2013-06-26 2014-01-01 郭社健 可防止漏光的3d摄影机遮光罩
CN203376543U (zh) * 2013-06-26 2014-01-01 郭社健 3d摄影机上的框形遮光罩
CN103309122B (zh) 2013-06-26 2015-10-14 郭社健 便于清洗镜头的3d摄影机遮光罩
CN203825300U (zh) * 2014-04-08 2014-09-10 张晓东 3d手机眼镜
CN203981982U (zh) * 2014-07-08 2014-12-03 廊坊市艺鸿电子科技有限公司 3d电影手机观看装置
CN204989627U (zh) * 2015-07-30 2016-01-20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镜头遮挡机构和头戴显示器
CN105044911A (zh) * 2015-07-30 2015-11-1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镜头遮挡机构、方法和头戴显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007B1 (ko)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CN103309123A (zh) 2013-06-26 2013-09-18 郭社健 可防止漏光的3d摄影机遮光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3401A (ja) 2018-08-16
US10481400B2 (en) 2019-11-19
US20180188539A1 (en) 2018-07-05
EP3299867A4 (en) 2018-05-30
KR20180008796A (ko) 2018-01-24
CN105044911A (zh) 2015-11-11
WO2017016299A1 (zh) 2017-02-02
EP3299867B1 (en) 2021-10-13
EP3299867A1 (en) 2018-03-28
JP6574858B2 (ja)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627B1 (ko) 렌즈 차폐 기구와 방법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US987475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head mount display
KR20090099576A (ko)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N104793452A (zh) 一种微型投影设备
US10386887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095038B1 (en) Head-mounted display
EP2105781A1 (en) Head mount display
CN106504651B (zh) 一种曲率可变的显示装置及其框体结构
JP6923648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09714452A (zh) 电子设备及其组装方法
KR200494163Y1 (ko) 보호 케이스
KR1022080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695939B2 (en)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20170111485A1 (en) Removable device case
EP3306383B1 (en) Display apparatus
US9121990B2 (en) Planar light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449110B2 (en) Viewing glass with adjustment mechanism
US20230213802A1 (en) Display device
US9200747B2 (en) Outer-hanging touch apparatus
JP6499355B1 (ja) 立体視ビューワー
US10722402B2 (en) Goggle device and buckling module thereof
CN102843536B (zh) 液晶电视装配结构
CN108055369B (zh) 移动终端
CN204989627U (zh) 一种镜头遮挡机构和头戴显示器
US10973690B2 (en) Goggle device and spectacle fram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