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451B1 - 머시닝센터 - Google Patents

머시닝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451B1
KR102095451B1 KR1020190003070A KR20190003070A KR102095451B1 KR 102095451 B1 KR102095451 B1 KR 102095451B1 KR 1020190003070 A KR1020190003070 A KR 1020190003070A KR 20190003070 A KR20190003070 A KR 20190003070A KR 102095451 B1 KR102095451 B1 KR 10209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unit
displacement
machining center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451B9 (ko
Inventor
이나미
최진훈
Original Assignee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451B1/ko
Publication of KR10209545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45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8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thermal effects on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23Q15/24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of linea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m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헤드 스핀들 구조를 갖는 머시닝센터로 2개의 워크피스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미세 X축 변위의 자동보정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 상측에 Y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의 상측에 X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크피스가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1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 스핀들이 형성되는 제 1 헤드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2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스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 2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더블 헤드로 구성되어 동시에 2개의 워크피스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헤드 구성 시, 최소 하나 이상의 헤드가 X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으로 제조되는 공작기계의 몸체 내부에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본 발명은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헤드 스핀들 구조를 갖는 머시닝센터로 2개의 워크피스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미세 X축 변위의 자동보정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MCT)는, 새들 및 테이블이 X축 및 Y축 방향 회동을 실시하며 워크피스의 평면상의 위치를 설정하고, Z축 방향으로 회동하며, 회전하는 스핀들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이 실시되었다.
최근에는, 가공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가공물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더블헤드 방식의 머시닝센터(MCT) 연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2개의 워크피스 가공 시, 열변형 및 기타 변수에 의해, 미세하게 평면상의 위치에서 변위가 발생될 수 있어, 최종 가공 작업물의 치수가 동일하지 않게 가공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스핀들이 구성되는 2개의 헤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X축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미세이동이 가능하고, 센싱되는 작업물의 변위정보에 즉각적으로 헤드 위치를 대응하여 가공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더블 스핀들헤드 머시닝센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0636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6-0090636호 (2016.08.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블 헤드로 구성되는 머시닝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헤드 구성 시, 최소 하나 이상의 헤드가 X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한 머시닝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형으로 제조되는 공작기계의 몸체 내부에 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될 수 있는 머시닝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 상측에 Y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의 상측에 X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크피스가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1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 스핀들이 형성되는 제 1 헤드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2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스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 2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더블 헤드로 구성되어 동시에 2개의 워크피스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헤드 구성 시, 최소 하나 이상의 헤드가 X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으로 제조되는 공작기계의 몸체 내부에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제 1 헤드부 및 X축미세변위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미세변위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되는 베드부(200), 상기 베드부(200) 상측에 Y축이송유닛(310)에 의해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새들부(300), 상기 새들부(300)의 상측에 X축이송유닛(410)에 의해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크피스가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400), 상기 바디부(100)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1 Z축이송유닛(51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 스핀들(520)이 형성되는 제 1 헤드부(500), 상기 바디부(100)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2 Z축이송유닛(610)에 의해, Z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스핀들(6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500)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 2 헤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디부(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기의 각구성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하고,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지면에 수직한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응력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위해 보강부(1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10)는,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구조로서, 상기 바디부(100)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110)로 인해, 뼈대가 형성되어, 내구성을 높이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 벌집구조의 격자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며 맞물려지는 형태의 구조로 내부를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바디부(100)에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기존의 머시닝센터에서 상기 바디부(100)와 동일한 구성은 내부공간이 비어있거나, 단순한 형태의 리브 구조로 구성되어, 70%이상의 무게가 형성되고, 가공작업 시, 하중이 발생되는 전방측으로 휘어지거나 파단이 발생되는 경향이 빈번하였으나 본원발명의 상기 보강부(110) 구조를 통해 비용상승을 최소화 시키며 상기 바디부(100)의 내부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0)는, 상기 바디부(100)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베드부(200)는, 상기 바디부(100)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며,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되어, 통상적인 공작기계의 베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지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면에 플랫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새들부(300)는, 상기 베드부(200) 상측에 Y축이송유닛(310)에 의해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새들부(300)는, 상기 베드부(200)의 상부에 연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새들부(300)는, 상기 Y축이송유닛(310)에 의해, 상기 베드부(200)의 상부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Y축이송유닛(310)은, 상기 베드부(200)와 상기 새들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새들부(300)가 Y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Y축이송유닛(310)은, LM가이드가 형성되고, 볼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버모터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모터는,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새들부(300)를 Y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Y축 방향은 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의 X축 방향은 좌측 및 우측으로 회동 되는 것을 의미하고, 하기의 Z축 방향은 상방 및 하방으로 회동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부(400)는, 상기 새들부(300)의 상측에 X축이송유닛(410)에 의해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크피스가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테이블부(400)는, 워크피스(작업물)가 최종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워크피스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400)는, 상기 새들부(30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부(400)와 상기 새들부(300)의 사이에는 X축이송유닛(410)이 더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부(400)가 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X축이송유닛(410)은, 상기 테이블부(400)가 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들부(300) 및 테이블부(400)가 각각 Y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워크피스를 기지정된 평면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헤드부(500)는, 상기 바디부(100)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1 Z축이송유닛(51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 스핀들(520)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헤드부(500)는, 내부에 상기 제 1 스핀들(520)이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는 회로 기관 및 배선이 마련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헤드부(500)는, 상기 제 1 Z축이송유닛(51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 가능하다.
상기 제 1 Z축이송유닛(510) 및 하기의 제 2 Z축이송유닛(610)은 상기 제 1 헤드부(500) 및 하기의 제 2 헤드부(600)를 용이하게 Z축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핀들(520)은, 작업을 위한 공구(가공팁)가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공구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고, 작업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헤드부(600)는, 상기 바디부(100)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2 Z축이송유닛(610)에 의해, Z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스핀들(62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500)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헤드부(600)는, 상기 제 1 헤드부(50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헤드부(500)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되므로, 워크피스 2개의 가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워크피스가 작업 중, 열변형이나 기타 변수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400)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제 1 헤드부(500) 및 제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X축미세변위부(530)가 더 마련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X축미세변위부(530)는,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헤드부(500)를 X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X축미세변위부(5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31), 상단가이드부(532), 하단가이드부(533), 동력부(534), 변위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531)는,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후면 및 상기 바디부(100)의 사이에 수직 판상으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가이드부(532)는, 상기 베이스부(531)의 상측 전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가이드부(533)는, 상기 베이스부(531)의 하측 전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및 하단가이드부(533)는, 상기 제 1 헤드가 움직이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LM가이드레일(5321) 및 LM가이드블록(532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LM가이드레일(5321) 및 LM가이드블록(5323)으로 인한 경로 형성은, 상기 X축이송유닛(410) 및 Y축이송유닛(310)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및 하단가이드부(533)가 동시에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탱하면서 X축 방향으로 회동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및 하단가이드부(533) 사이에 동력부(534)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헤드부(500)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동력부(534)는, 모터부(5341) 및 볼스크류부(534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헤드부(500)에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기 볼스크류부(5342)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53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가 회전하며 X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헤드부(500)가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2개의 상기 워크피스 중 하나가 변수에 의해 X축 방향으로 미세 변위가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헤드부(500) 및 제 2 헤드부(600)의 하중이 상당하므로,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하단가이드부(533), 동력부(534)만 구성 시, X축 방향 회동 후, X축 방향으로의 위치 고정이 선명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및 제 2 고정클램프부(5331)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및 제 2 고정클램프부(5331)는 각각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및 하단가이드부(533)에 연결 형성되고, 기설정된 명령에 의해, 작동 시, 위치가 고정되어, X축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및 제 2 고정클램프부(5331)는,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X축 방향 회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및 제 2 고정클램프부(5331)는, 상기 LM가이드블록(5322)에 인접 형성되고, 고정을 위한 명령 발생 시, 상기 LM가이드레일(5321)과의 마찰력을 극대화 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LM가이드블록(53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변위조절부(미도시)는, 하기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변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동력부(534)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위조절부(미도시)는, 상기 상단가이드부(532) 및 하단가이드부(533)에 형성되는 LM가이드블록(5322) 및 상기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제 2 고정클램프부(533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위조절부(미도시)는,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의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된 변위데이터 값에 맞춰, 가동되어야 하는 변위값을 결정하고, 이를 상기 LM가이드블록(5322) 및 상기 제 1 고정클램프부(5323), 제 2 고정클램프부(5331)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X축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본원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센싱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2개의 워크피스의 위치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상기 2개의 워크피스의 위치 변위 및 각도 변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센서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워크프로브(센서 등)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값 및 변위값을 측정하여, 하기의 제어부(미도시)에 변위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2개의 워크피스들 간의 변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측정되는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변위데이터를 생성하고, 변위 발생 시, 2개의 워크피스에 동일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변위데이터를 상기 변위조절부(미도시)로 전송하여, 상기 제 1 헤드부(50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부
110 : 보강부
200 : 베드부
300 : 새들부
310 : Y축이송유닛
400 : 테이블부
410 : X축이송유닛
500 : 제 1 헤드부
510 : 제 1 Z축이송유닛
520 : 제 1 스핀들
530 : X축미세변위부
531 : 베이스부
532 : 상단가이드부
5321 : LM가이드레일
5322 : LM가이드블록
5323 : 제 1 고정클램프부
533 : 하단가이드부
5331 : 제 2 고정클램프부
534 : 동력부
5341 : 모터부
5342 : 볼스크류부
600 : 제 2 헤드부
610 : 제 2 Z축이송유닛
620 : 제 2 스핀들

Claims (5)

  1.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부의 전측에 연결되어, 지면에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되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 상측에 Y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새들부;
    상기 새들부의 상측에 X축이송유닛;에 의해 연결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단부에 워크피스가 고정될 수 있게 마련되는 테이블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1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 스핀들;이 형성되는 제 1 헤드부;
    상기 바디부 상부의 전측에 형성되어, 제 2 Z축이송유닛;에 의해, Z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2 스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헤드부와 X축 상에 나란히 형성되는 제 2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헤드부 및 제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후측에 X축 방향으로 미세 이동이 가능하게 제어되는 X축미세변위부;가 더 마련되며,
    2개의 워크피스의 위치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2개의 워크피스들 간의 변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X축미세변위부는,
    상기 제 1 헤드부의 후면 및 상기 바디부의 사이에 수직 판상으로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전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는 상단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 전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는 하단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운데 전면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변위가 형성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변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동력부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는 변위조절부;를 포함하고,
    2개의 워크피스의 1차 가공 이후 형성되는 오차 변위를 상기 센싱부 및 제어부를 통해 변위데이터 생성 후, 상기 변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오차 변위값을 보상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변위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가이드부에는,
    기설정된 명령에 의해, 상기 상단가이드부를 따라 X축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고정클램프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하단가이드부에는,
    기설정된 명령에 의해, 상기 하단가이드부를 따라 X축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고정클램프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벌집구조의 격자 형태로 서로 교차되게 맞물리는 복수개의 보강부;가 더 마련되어,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
KR1020190003070A 2019-01-10 2019-01-10 머시닝센터 KR10209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70A KR102095451B1 (ko) 2019-01-10 2019-01-10 머시닝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70A KR102095451B1 (ko) 2019-01-10 2019-01-10 머시닝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451B1 true KR102095451B1 (ko) 2020-04-23
KR102095451B9 KR102095451B9 (ko) 2023-08-16

Family

ID=7047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070A KR102095451B1 (ko) 2019-01-10 2019-01-10 머시닝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902A (zh) * 2020-06-11 2020-09-11 杭州友佳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变位补偿式多主轴加工中心
KR102175181B1 (ko) 2020-05-10 2020-11-05 손욱익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mct가공장치
KR20230149089A (ko) * 2022-04-19 2023-10-26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컬럼부의 회동에 의한 보정이 가능한 머시닝센터
CN117620284A (zh) * 2023-11-24 2024-03-01 莒南县友园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加工中心用数控龙门铣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0668A (ja) * 2014-02-18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工作機械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US20160193669A1 (en) * 2015-01-06 2016-07-07 Feng-Tien Chen Cnc dual-spindle transmission device
KR20160090636A (ko) 2015-01-22 2016-08-01 (주)유지인트 더블 스핀들헤드 머시닝센터
KR101801202B1 (ko) * 2017-05-22 2017-11-24 윤규종 다축 머시닝 센터
KR101809084B1 (ko) * 2017-06-28 2017-12-14 배미정 탁상 드릴링 머신용 보조 작업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0668A (ja) * 2014-02-18 2015-08-24 株式会社東芝 工作機械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US20160193669A1 (en) * 2015-01-06 2016-07-07 Feng-Tien Chen Cnc dual-spindle transmission device
KR20160090636A (ko) 2015-01-22 2016-08-01 (주)유지인트 더블 스핀들헤드 머시닝센터
KR101801202B1 (ko) * 2017-05-22 2017-11-24 윤규종 다축 머시닝 센터
KR101809084B1 (ko) * 2017-06-28 2017-12-14 배미정 탁상 드릴링 머신용 보조 작업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81B1 (ko) 2020-05-10 2020-11-05 손욱익 클램핑지그를 포함하는 mct가공장치
CN111644902A (zh) * 2020-06-11 2020-09-11 杭州友佳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变位补偿式多主轴加工中心
KR20230149089A (ko) * 2022-04-19 2023-10-26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컬럼부의 회동에 의한 보정이 가능한 머시닝센터
KR102669556B1 (ko) * 2022-04-19 2024-05-27 에프에프지디엠씨 주식회사 컬럼부의 회동에 의한 보정이 가능한 머시닝센터
CN117620284A (zh) * 2023-11-24 2024-03-01 莒南县友园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加工中心用数控龙门铣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451B9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451B1 (ko) 머시닝센터
JP4902316B2 (ja) 斜め加工のための5軸加工機の姿勢保証システム
CN102736559B (zh) 机床的校正值运算方法以及机床的控制装置
KR102047363B1 (ko) 결합된 재료의 첨가 및 성형에 의한 방법 및 기계가공 디바이스
JP5270299B2 (ja) 複合加工旋盤
US10391559B2 (en) Machine tool
WO2009098931A1 (ja) 工作機械
KR101430047B1 (ko) 2축 갠트리 로더의 새들 및 이를 적용한 2축 갠트리 로더
CN101357443A (zh) 具有通过接触检测来校正安装误差的功能的机床
CN106814691B (zh) 数控装置和控制方法
JP5673855B2 (ja) 工作機械
JP5444590B2 (ja) ワーク基準点機上検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加工装置
US20190084108A1 (en) Machine tool for machining a workpiece
KR102583003B1 (ko) 머시닝 센터
CN109571136B (zh) 控制装置和机床
KR100982191B1 (ko) 이중 스핀들 구조를 가지는 수평형 머시닝센터
JP5435169B1 (ja) 工作機械
JP2009291878A (ja) パラレルメカニズム及びそ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2669556B1 (ko) 컬럼부의 회동에 의한 보정이 가능한 머시닝센터
JP6779319B2 (ja) 工作機械
EP4134762A1 (en) Machining method
JPH11235631A (ja) 工作機械
JP3167819B2 (ja) 三次元板材複合加工装置
JP2001198750A (ja) 基板孔明け機のワークテーブル駆動装置
KR102058154B1 (ko) 헤드 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머시닝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