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93B1 -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93B1
KR102094793B1 KR1020190161351A KR20190161351A KR102094793B1 KR 102094793 B1 KR102094793 B1 KR 102094793B1 KR 1020190161351 A KR1020190161351 A KR 1020190161351A KR 20190161351 A KR20190161351 A KR 20190161351A KR 102094793 B1 KR102094793 B1 KR 10209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locking
stag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호 filed Critical 정준호
Priority to KR102019016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05F2017/007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with means for interlocking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단을 이루는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3단 미닫이도어를 연동시키는 3단 미닫이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3단 미닫이도어의 하단부 각각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3단 미닫이도어와 함께 상기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슬라이더;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가운데에 배치된 중앙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연동벨트; 및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와 상기 연동벨트를 연결하면서 상기 연동벨트의 텐션 조절을 허용하는 벨트텐셔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THREE DOORS}
본 발명은 3단을 이루는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3단 미닫이도어를 서로 연동시키는 3단 미닫이도어용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실내의 독립된 공간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나 외부와 통하는 창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2단 또는 3단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3단으로 이루어진 미닫이문은 출입 또는 창의 공간을 넓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러한 3단 미닫이문의 개폐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연동장치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331호는 창호 틀의 상하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중간과 좌우 양측으로 구성된 3 쪽의 미닫이 창호를 서로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미닫이 창호 상단의 좌우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 상기 중간 미닫이 창호의 상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좌우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홈 레일; 상기 홈 레일 내측을 통해 좌우 롤러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홈 레일의 전후에 위치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전후에 각각 연결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 상단에는 연결편이 홈레일의 상단을 넘어 전후로 절곡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좌우 미닫이 창호 상단의 좌측 또는 우측 끝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연결편이 끼워지도록 연결구가 형성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동장치는 작동이 원활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상기 롤러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불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시 상기 롤러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동장치는 미닫이문들의 연동을 통해 문의 개방 또는 폐쇄만을 도모하는 구성일 뿐, 미닫이문들을 개방된 상태로 록킹하여 함께 슬라이드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3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42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미닫이도어들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중앙미닫이도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는 연동벨트를 외곽미닫이도어에 연결함에 있어서 연동벨트의 텐션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동벨트의 일부분을 절단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절단부위의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연동벨트의 절단부위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곽미닫이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함으로써 외곽미닫이도어 및 상기 중앙미닫이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3단을 이루는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3단 미닫이도어를 연동시키는 3단 미닫이도어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3단 미닫이도어의 하단부 각각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3단 미닫이도어와 함께 상기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슬라이더;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가운데에 배치된 중앙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연동벨트; 및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와 상기 연동벨트를 연결하면서 상기 연동벨트의 텐션 조절을 허용하는 벨트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텐셔너는,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고, 상기 연동벨트의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걸려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동벨트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상기 외곽미닫이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하여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및 상기 중앙미닫이도어를 함께 이동시키는 도어록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록커는,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에 고정된 도어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록킹돌기;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각각에 고정된 상기 도어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록킹돌기와 포개지는 형태로 걸리면서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를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록킹하는 록킹블록; 및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도어슬라이더의 저면 일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도어슬라이더의 시소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록킹블록을 상승시켜 상기 록킹돌기에서 분리시키는 시소블록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미닫이도어들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중앙미닫이도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는 연동벨트가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벨트텐셔너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연동벨트의 늘어짐에 의한 슬립이 발생할 경우에도 연동벨트를 교환하지 않고도 텐션을 조절함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벨트텐셔너를 구성하는 걸림홀더의 걸림홈이 연동벨트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연동벨트의 절단부위를 고정하므로 연동벨트가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록커의 구성을 통해 외곽미닫이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중앙미닫이 도어에 록킹함으로써 외곽미닫이도어 및 중앙미닫이 도어를 서로 포개져 개방된 상태로 함께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록커를 구성하는 시소블록이 외곽미닫이도어를 시소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록킹블록을 승강시키므로 록킹돌기에 결합된 록킹블록을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외곽미닫이도어를 중앙미닫이도어에서 언록킹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텐셔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텐셔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을 이루는 3단레일(1)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3단 미닫이도어를 연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슬라이더(100), 연동벨트(200) 및 벨트텐셔너(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슬라이더(100)는 미닫이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3단레일(1)에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도어슬라이더(100)는 3단을 이루는 미도시된 미닫이도어 각각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제각기 고정될 수 있으며, 3단레일(1)을 이루는 각각의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슬라이더(100)는 3단 미닫이도어 중 가운데 배치된 중앙미닫이도어에 결합되는 중앙도어슬라이더(110)와, 3단 미닫이도어 중 외곽에 배치된 외곽미닫이도어에 결합되는 외곽도어슬라이더(12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슬라이더(100)는 미도시된 고정축이 상면에 구비되어 미닫이도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구성을 통해 미닫이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동벨트(200)는 3단 미닫이도어 중 가운데에 배치된 중앙미닫이도어에 결합되는 도어슬라이더(100), 즉 중앙도어슬라이더(110)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중앙미닫이도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면서 외곽도어슬라이더(120)를 직선운동시킴으로써 연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동벨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본체(210) 및 회전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롤러(220)는 중앙도어슬라이더(1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본체(210)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벨트본체(210)는 한 쌍의 회전롤러(220)에 감긴 형태로 후술되는 벨트텐셔너(3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무한궤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함 벨트본체(210)는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210a)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를 이루면서 후술되는 벨트텐셔너(300)에 의해 폐루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벨트텐셔너(300)는 3단 미닫이도어 중 중앙미닫이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100) 즉, 외곽도어슬라이더(120)에 각각 설치되어 외곽도어슬라이더(120)와 연동벨트(200)를 연결하면서 연동벨트(200)의 텐션 조절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벨트텐셔너(300)는 연동벨트(200)를 구성하는 벨트본체(210)의 절단부위를 외곽도어슬라이더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외곽미닫이도어의 이동시 연동벨트(200)를 회전시키면서 중앙미닫이도어와 함께 연동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벨트본체(210)의 텐션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벨트본체(210)의 텐션이 저하된 경우 텐션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이다.
구체적으로, 벨트텐셔너(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더(310) 및 걸림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홀더(310)는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100) 즉 외곽도어슬라이더(120)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어 외곽도어슬라이더(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벨트본체(210)의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걸려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홀더(310)는 벨트본체(210)의 걸림돌기(210a)에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홈(320)이 형성됨으로써 벨트본체(210)를 절단된 상태로 걸림홈(320)에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걸림돌기(210a)의 걸림 수량을 조절하면서 벨트본체(210)의 고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본체(210)는 걸림홀더(310)의 걸림홈(320)에 절단된 양단부가 제각기 끼워져 고정되면서 폐루프형태, 즉 무한궤도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걸림홈(320)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10a)의 수량을 조절하면서 텐션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본체(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걸림홈(320)이 벨트본체(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형태로 연장될 경우에는 벨트본체(210)의 작동 시 걸림돌기(210a)에 힘이 가해지면서 벨트본체(210)가 걸림홀더(31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으나, 걸림홈(320)이 벨트본체(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는 벨트본체(210)의 작동 시 걸림돌기(210a)와 벨트본체(210) 자체로 힘이 분산되므로 벨트본체(210)가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걸림홈(3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본체(2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벨트본체(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걸림홈(320)은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본체(210)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도 2 내지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커(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록커(400)는 외곽미닫이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경우 외곽미닫이도어를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함으로서 외곽미닫이도어 및 중앙미닫이도어를 함께 개방된 상태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도어록커(400)는 록킹돌기(410), 록킹블록(420) 및 시소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돌기(410)는 중앙미닫이도어에 고정된 도어슬라이더(100) 즉, 중앙도어슬라이더(1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도어슬라이더(120)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록킹블록(420)은 전술한 록킹돌기(410)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외곽미닫이도어를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록킹블록(420)은 외곽미닫이도어에 고정된 도어슬라이더(100) 즉, 외곽도어슬라이더(12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외곽미닫이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경우 록킹돌기(410)와 포개지는 형태로 걸리면서 외곽도어슬라이더를 중앙도어슬라이더에 록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블록(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410)가 안착상태로 걸려 고정되는 안착홈(4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421)의 일측에 안내경사면(422)이 형성됨으로써 록킹돌기(410)를 안착홈(42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록킹블록(420)은 외곽미닫이도어의 개방시 외곽도어슬라이더(120)와 함께 이동하며, 외곽미닫이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경우 록킹돌기(410)과 포개지면서 안내경사면(422)을 통해 록킹돌기(410)를 안착홈(421)에 안착시켜 록킹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곽도어슬라이더(120)는 록킹블록(420) 및 록킹돌기(410)를 통해 중앙도어슬라이더(110)와 록킹됨으로써 함께 3단레일(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시소블록(430)은 록킹블록(420)을 록킹돌기(410)와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시소블록(430)은 외곽도어슬라이더(120)의 저면 일부분에 돌출형성되어 3단레일(1)을 지지할 수 있으며, 외곽도어슬라이더(120)의 시소운동을 허용함으로써 록킹블록(420)를 승강시키면서 록킹블록(420)을 록킹돌기(4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록킹블록(420)은 도 5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4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시소블록(430)을 중심으로 외곽도어슬라이더(120)가 시소운동함에 따라 상승하면서 록킹돌기(4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미닫이도어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는 두 개의 외곽미닫이도어 중 하나를 개방한다.
이때, 외곽도어슬라이더(120)는 외곽미닫이도어와 함께 3단레일(1)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되며, 걸림홀더(310)에 고정된 벨트본체(2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다른 하나의 외곽도어슬라이더(120)는 벨트본체(210)의 회전에 의해 걸림홀더(310)가 이동함에 따라 개방되는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다른 하나의 외곽미닫이도어를 개방시킨다.
미닫이도어의 연동과정에서 슬립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걸림홀더(310)의 걸림홈(320)에 고정된 벨트본체(210)를 분리한 후, 걸림돌기(210a)의 걸림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벨트본체(210)의 텐션을 증가시킨다.
한편, 외곽미닫이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경우, 록킹블록(420)은 외곽도어슬라이더(120)와 함께 이동하면서 록킹돌기(410)과 포개지며, 안내경사면(422)을 통해 록킹돌기(410)를 안착홈(421)에 안착시킴으로써 외곽도어슬라이더(120)를 중앙도어슬라이더(110)에 록킹 할 수 있다.
외곽도어슬라이더(120)를 중앙도어슬라이더(110)에서 분리할 경우, 사용자는 시소블록(430)을 중심으로 외곽도어슬라이더(120)를 시소운동시키면서 록킹블록(420)를 상승시킴으로써 록킹블록(420)을 록킹돌기(4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는 중앙미닫이도어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는 연동벨트(200)가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벨트텐셔너(300)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한 연동벨트(200)의 텐션이 저하될 경우 용이하게 텐션을 조절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록커(400)의 구성을 통해 외곽미닫이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함으로써 외곽미닫이도어 및 중앙미닫이도어를 서로 포개져 개방된 상태로 함께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도어슬라이더
110 : 중앙슬라이더
120 : 외곽슬라이더
200 : 연동벨트
210 : 벨트본체
210a : 걸림돌기
300 : 벨트텐셔너
310 : 걸림홀더
320 : 걸림홀더
400 : 도어록커
410 : 록킹돌기
420 : 록킹블록
421 : 안착홈
422 : 안내경사면
430 : 시소블록

Claims (5)

  1. 3단을 이루는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3단 미닫이도어를 연동시키는 3단 미닫이도어용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3단 미닫이도어의 하단부 각각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3단 미닫이도어와 함께 상기 3단레일 각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슬라이더;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가운데에 배치된 중앙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이동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연동벨트;
    상기 3단 미닫이도어 중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와 상기 연동벨트를 연결하면서 상기 연동벨트의 텐션 조절을 허용하는 벨트텐셔너; 및
    상기 외곽미닫이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에 록킹하여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및 상기 중앙미닫이도어를 함께 이동시키는 도어록커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록커는,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에 고정된 도어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록킹돌기;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각각에 고정된 상기 도어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개방에 의해 상기 록킹돌기와 포개지는 형태로 걸리면서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를 상기 중앙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에 록킹하는 록킹블록; 및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도어슬라이더의 저면 일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곽미닫이도어 도어슬라이더의 시소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록킹블록을 상승시켜 상기 록킹돌기에서 분리시키는 시소블록를 포함하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텐셔너는,
    상기 외곽미닫이도어의 도어슬라이더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에 제각기 고정되고, 상기 연동벨트의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로 걸려서 고정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홀더를 포함하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연동벨트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161351A 2019-12-06 2019-12-06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KR10209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351A KR102094793B1 (ko) 2019-12-06 2019-12-06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351A KR102094793B1 (ko) 2019-12-06 2019-12-06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793B1 true KR102094793B1 (ko) 2020-03-30

Family

ID=7000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351A KR102094793B1 (ko) 2019-12-06 2019-12-06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331U (ko) 2009-09-28 2011-04-05 김미숙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
KR20130006103A (ko) * 2011-07-08 2013-01-16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1738897B1 (ko) * 2016-04-08 2017-05-24 정영호 3중 연동도어의 연동장치
KR101744251B1 (ko) 2015-08-28 2017-06-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331U (ko) 2009-09-28 2011-04-05 김미숙 미닫이 창호 연동장치
KR20130006103A (ko) * 2011-07-08 2013-01-16 김영숙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101744251B1 (ko) 2015-08-28 2017-06-08 장영근 3단 미닫이문용 연동장치
KR101738897B1 (ko) * 2016-04-08 2017-05-24 정영호 3중 연동도어의 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42017B2 (en) Winding-up screen device
US20150101250A1 (en) Variable-width security gate unit
US9249619B2 (en) Window covering
US20130212947A1 (en) Load Bearing Structural Closure System
KR102094793B1 (ko) 3단 미닫이 도어용 연동장치
KR102133783B1 (ko)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와이어 브라켓 어셈블리
US5178199A (en) Bi-parting shutter system
KR101236524B1 (ko) 접이문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232994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WO2014098756A1 (en) Sliding shutter arrangement
KR102153038B1 (ko) 레일 미노출 구조를 갖는 창호
JP4469115B2 (ja) 連動引戸ユニット
KR10125123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102019868B1 (ko) 포켓 연동도어
JPH08511311A (ja) 窓遮蔽装置
KR102385394B1 (ko) 완벽한 이물질 유입 차단 성능을 갖는 레일 은폐식 창호시스템
US2226131A (en) Window shade
KR102017200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요철 완화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2000345769A (ja) 連動式引戸
JP2017214756A (ja) 建具
KR20230139699A (ko) 다중 연동 도어의 흔들림 방지 장치
US2204923A (en) Comfort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