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479B1 -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479B1
KR102094479B1 KR1020190103066A KR20190103066A KR102094479B1 KR 102094479 B1 KR102094479 B1 KR 102094479B1 KR 1020190103066 A KR1020190103066 A KR 1020190103066A KR 20190103066 A KR20190103066 A KR 20190103066A KR 102094479 B1 KR102094479 B1 KR 10209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main plate
laser
protrusio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식
Original Assignee
진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식 filed Critical 진영식
Priority to KR102019010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3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 B23K26/032Observing, e.g. monitoring, the workpiece using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피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의 내경 및 외경을 따라 상기 피대상물을 레이저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피대상물에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라 다수의 스페이서를 생산함으로써 그 양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것은 물론, 돌기를 통해 스페이서의 내경 및 외경을 레이저가 관통하며 커팅함으로써 정밀한 가공 및 레이저의 반사를 차단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SPACER FOR LENS}
본 발명은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에 설치되는 렌즈용 스페이서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라 함은 카메라 렌즈와 렌즈 사이에 끼워져 렌즈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내경은 렌즈와 함께 빛이 들어가는 부분이라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에 빛 반사(플레어) 현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공고일자 2012. 08. 16)에는 특허등록 제10-1173835호에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삽입되고,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는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화피막은 블랙옥사이드 또는 브라운 옥사이드로 처리된 산화제2동(Cu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spacer)의 재료로는 금속제가 사용되거나 플라스틱 박막 양면에 검은색 코팅을 한 필름제가 사용된다.
먼저, 금속제의 경우에는 보통 봉 형태의 금속원자재를 CNC 선반이나 자동선반의 기계로 절삭하거나 박판 형태의 금속판을 에칭 또는 프레스 가공을 거쳐 도넛 형태의 스페이서로 제작된다. 그리고, 필름제의 경우에는 프레스 가공을 거쳐 도넛 형태의 스페이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금속원자재의 절삭을 통한 스페이서의 제작시 가공 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하루 생산량 자체가 제한적이어서 제품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금속판의 에칭 공법에 의한 스페이서의 제조는 고가의 에칭 설비를 포함한 전용 양산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스페이서의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6520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1121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페이서의 양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스페이서의 규격 변경에 신속히 대응하여 해당 스페이서를 제작할 수 있는 스페이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의 타발 및 탈리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도록 하여 불량을 최소화하는 스페이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는 상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피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의 내경 및 외경을 따라 상기 피대상물을 레이저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피대상물의 스페이서를 흡입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돌기 내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로부터 커팅된 상기 피대상물의 칩(chip)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광흡수 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구 형상의 상방 중 상기 돌기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반사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에 따르면, 피대상물에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라 다수의 스페이서를 생산함으로써 그 양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것은 물론, 돌기를 통해 스페이서의 내경 및 외경을 레이저가 관통하며 커팅함으로써 정밀한 가공 및 레이저의 반사를 차단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칩이 형성되는 피대상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홈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모터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칩이 형성되는 피대상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홈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동작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모터제어부의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는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라 다수의 스페이서를 생산함으로써 그 양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100)는 필름류의 피대상물(F)을 레이저로 커팅하는 장치로서, 메인 플레이트(110), 공급부(120), 커팅부(130) 및 추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는 상기 피대상물(F)이 통과되는 곳으로, 상기 피대상물(F)이 상부로 통과되는 상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11)의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12)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돌기(112)는 내측에 상하로 관통된 배출공(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광흡수 필름(115)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상면 중 상기 돌기(112)의 외주면과 직교되는 부분에는 상기 돌기(112)의 둘레를 따라 단면이 구 형상으로 형성된 반사방지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방지홈(114)은 구 형상을 가지되, 상기 돌기(112)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부분이 상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방지홈(114)은 상방이 개방된 도넛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홈(114)의 내주면 또한 상기 광흡수 필름(115)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레이저의 반사에 따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부(120)는 피대상물(F)을 이송시키기 위한 원단롤러(121), 언코일러 모터(122), 피딩롤러(123), 구동모터(12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단롤러(121)는 환봉 형태로 이루어져 자신의 몸체에 피대상물(F)이 롤링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그 롤링된 피대상물(F)이 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언코일러 모터(122)는 상기 원단롤러(121)에 연결되어 피드백 모터제어부(125)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원단롤러(121)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원단롤러(121)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123)는 상기 원단롤러(121)로부터 풀려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를 통과한 피대상물(F)의 성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원단롤러(121)로부터 풀리는 피대상물(F)을 일방향으로 피딩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24)는 상기 피딩롤러(123)에 연결되어 상기 피딩롤러(123)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피딩롤러(123)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언코일러 모터(122)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모터(124) 또한 상기 피드백 모터제어부(125)의 구동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상기 커팅부(13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상기 상판과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된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30)는 상기 원단롤러(121)와 피딩롤러(123)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단롤러(121)로부터 상기 피딩롤러(123)를 향해 이동되는 피대상물(F)에 대해 단속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피대상물(F)로부터 다수의 소정 패턴으로 스페이서(S)를 순차적으로 커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부(130)는 상기 피대상물(F)이 하부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112)의 내경 및 외경과 일치하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피대상물(F)에 다수의 스페이서(S)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피대상물(F)은 상기 커팅부(130)에 의해 상기 돌기(112)의 내경에 해당되는 부분에 칩(C)이 생성되고, 상기 칩(C)은 상기 돌기(112)의 배출공(113)을 따라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30)에 의해 상기 돌기(112)의 외경에 해당되는 부분이 커팅됨에 따라 상기 피대상물(F)에 스페이서(S)가 커팅되고, 상기 돌기(112)에 상기 스페이서(S)가 그대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S)는 상기 돌기(112) 상단에서 상기 커팅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커팅되는데, 상기 돌기(112)의 상단에서 상기 돌기(112)의 내경 및 외경이 하방으로 개방됨에 따라 그 커팅이 정밀하게 커팅되는 것은 물론, 상기 커팅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반사되지 않아 상기 피대상물(F)을 커팅한 레이저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140)는 상기 커팅부(13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팅부(130)에 의해 커팅된 피대상물(F)의 스페이서(S)를 흡입하여 분리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부(140)는 상기 커팅부(13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S)를 흡입하는데, 상기 피대상물(F)이 상기 커팅부(130)에 의해 커팅되고, 상기 피대상물(F)의 칩(C)이 상기 배출공(113)으로 배출되고, 상기 스페이서(S)는 상기 돌기(112)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부(140)에 의해 상방으로 흡입되어 분리 배출된다.
예컨대, 상기 추출부(140)는 구동팬(미도시)이 구비되고, 구동팬의 동작에 의해 배출호스(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페이서(S)를 흡입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피대상물(F)의 칩(C)은 하방으로 배출되고, 상기 스페이서(S)는 상방으로 분리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커팅부(130) 및 추출부(140)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150)는 제1 이송레일(151), 제1 이송모터(152), 제2 이송레일(153) 및 제2 이송모터(15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송레일(151)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모터(152)는 상기 제1 이송레일(1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레일(151)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2 이송레일(153)은 상기 제1 이송레일(15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이송모터(152)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제1 이송레일(15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레일(153)에는 상기 커팅부(130) 및 추출부(14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이송모터(154)는 상기 제2 이송레일(153)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송레일(153)을 구동시킨다.
상기 제2 이송모터(154)에 결합된 상기 커팅부(130) 및 추출부(140)는 상기 제2 이송모터(154)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제2 이송레일(153)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레일(151) 및 제2 이송레일(153)은 서로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에 따르면, 피대상물에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라 다수의 스페이서를 생산함으로써 그 양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것은 물론, 돌기를 통해 스페이서의 내경 및 외경을 레이저가 관통하며 커팅함으로써 정밀한 가공 및 레이저의 반사를 차단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페이서 제조장치 110: 메인 플레이트
111: 상판 112: 돌기
113: 배출공 114: 반사방지홈
115: 광흡수 필름 120: 공급부
121: 원단롤러 122: 언코일러 모터
123: 피딩롤러 124: 구동모터
125: 피드백 모터제어부 130: 커팅부
140: 추출부 150: 이송부
151: 제1 이송레일 152: 제1 이송모터
153: 제2 이송레일 154: 제2 이송모터

Claims (5)

  1. 상면에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피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의 내경 및 외경을 따라 상기 피대상물을 레이저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피대상물의 스페이서를 흡입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돌기 내측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부로부터 커팅된 상기 피대상물의 칩(chip)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광흡수 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단면이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구 형상의 상방 중 상기 돌기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반사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3066A 2019-08-22 2019-08-22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KR10209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66A KR102094479B1 (ko) 2019-08-22 2019-08-22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66A KR102094479B1 (ko) 2019-08-22 2019-08-22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479B1 true KR102094479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066A KR102094479B1 (ko) 2019-08-22 2019-08-22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4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205A (ko) 2015-12-03 2017-06-13 이예찬 중앙부 센서 드럼 패드
KR20170112171A (ko)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다중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KR101840387B1 (ko) * 2017-09-01 2018-03-20 우석하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 광학렌즈 스페이서의 제조 장치
KR20190002448A (ko) * 2016-04-28 2019-01-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43190A (ko) * 2017-10-17 2019-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장치
KR101995571B1 (ko) * 2019-05-15 2019-07-02 진영식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205A (ko) 2015-12-03 2017-06-13 이예찬 중앙부 센서 드럼 패드
KR20170112171A (ko)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다중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KR20190002448A (ko) * 2016-04-28 2019-01-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40387B1 (ko) * 2017-09-01 2018-03-20 우석하 레이저 커팅을 이용한 광학렌즈 스페이서의 제조 장치
KR20190043190A (ko) * 2017-10-17 2019-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장치
KR101995571B1 (ko) * 2019-05-15 2019-07-02 진영식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9624B2 (en) Wafer processing method
KR100675961B1 (ko) 필름 접착 방법 및 필름 접착 장치
US9349646B2 (en) Wafer processing method including a filament forming step and an etching step
US8268656B2 (en) Optical device wafer processing method
TWI489587B (zh) Wafer processing method
JP4817805B2 (ja) 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フィルム剥離装置
DE102015201833B4 (de) Haltetisch und Verwendung des Haltetischs
JP2007042808A (ja) ウエーハの分割方法
US20060203222A1 (en) Wafer holding mechanism
US20160236293A1 (en) Apparatus for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US20090107634A1 (en) Film Peeling Method and Film Peeling Device
CN105206571A (zh) 晶片的加工方法
JP2011029434A (ja) 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JP6489970B2 (ja) チャックテ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加工装置
CN103943457A (zh) 分离装置
KR102094479B1 (ko) 렌즈용 스페이서 제조장치
KR20180000429A (ko) 캐리어 웨이퍼와 접착필름을 부착하는 진공 라미네이터 및 그 작동방법
TWI500182B (zh) Processing method of optical device wafers
CN112351590A (zh) 内层pcb板的自动上料预对位方法
JP2006040988A (ja) ウエーハの分割方法および分割装置
DE102005013545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Fertigung äusserst dünner Chips
DE102022201551A1 (de) Bearbeitungsvorrichtung
KR20140082616A (ko) 상부 핀홀펀치를 구비한 절단금형장치
DE102022201549A1 (de) Bearbeitungsvorrichtung
JP2009248320A (ja) 原木の切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