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99B1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99B1
KR102094399B1 KR1020180059253A KR20180059253A KR102094399B1 KR 102094399 B1 KR102094399 B1 KR 102094399B1 KR 1020180059253 A KR1020180059253 A KR 1020180059253A KR 20180059253 A KR20180059253 A KR 20180059253A KR 102094399 B1 KR102094399 B1 KR 10209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mobile unit
pin
output device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072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이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이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이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8005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99B1/ko
Priority to CN201980034503.1A priority patent/CN112292722B/zh
Priority to PCT/KR2019/006253 priority patent/WO2019226011A1/ko
Publication of KR2019013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72A/ko
Priority to KR1020200035075A priority patent/KR10237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99B1/ko
Priority to US17/103,157 priority patent/US120398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수 특성을 제공하며,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핀이 다운 구동할 때에 자성체 부재와 자력 부재의 인력에 의해 핀이 더욱 쉽게 다운 구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핀이 표현 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다양한 회로 등이 내장되어 제조의 의성이 감소하고 제어상의 불편성이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 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시 이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안정적으로 구동에 곤란이 있어 정보 출력 장치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장치는 촉각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 장치들을 포함하는 데, 이를 이용해 웨어러블 장치를 구현할 경우 방수에 한계가 있어, 실생활에서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표현 홀을 포함하는 표현 면과, 상기 각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운동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핀과, 상기 표현 면 내측이 위치하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유닛과, 상기 표현 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유닛과 핀의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자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에 반응해 회전해 상기 핀에 운동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현 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이동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은 상기 이동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과 결합되는 지지 홈을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홈은 적어도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 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을 향해 돌출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핀이 수분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도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저전력 구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구동 모듈의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핀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전력 사용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최적의 촉각 표현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이동 유닛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유닛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유닛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유닛의 홀더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이동 유닛의 홀더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 유닛의 홀더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 유닛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구동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구동 유닛 및 이동 유닛의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핀의 다른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갖는 표현 면(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현 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현 면(100)의 내측에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들이 위치하고, 각 정보 출력 모듈(IU)들은 각 표현 홀(100a)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각 정보 출력 모듈(IU)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을 통해 표현 면(100)을 출입함으로써 상기 표현 면(100)에 돌출 신호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신호는 복수의 핀(400)이 상기 표현 홀(100a)에서 선택적으로 출입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신호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표현 면(100)이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100)에 현출되는 상기 핀들(400)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촉감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핀들(400)에 의해 촉감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촉감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이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을 갖는다. 이러한 곡면을 포함하는 표현 면(100')도 복수의 표현 홀(100a)을 가지며, 표현 홀(100a)의 내측에 정보 출력 모듈(IU)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곡면이 단일의 곡률을 갖는 면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곡면은 복수의 곡률을 갖는 부정형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현 홀(100a)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개방된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핀(4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출입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복수의 정보 출력 모듈(IU)을 포함하는 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모듈(IU)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모듈(IU)의 일 실시예는 구동 유닛(200)과, 이동 유닛(300)과, 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200)은 제어 모듈(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제1 방향(X1)을 따라 감겨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 모듈(CM)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2 방향(X2)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유닛(2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라는 표현은 반드시 유선 연결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그 사이에 다른 전달 매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300)은 상기 구동 유닛(200)의 동작, 더욱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200)에 포함된 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반응하여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 유닛(300)은 마그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유닛(300)은 회전 운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은 결과적으로 제2 방향(X2)으로의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유닛(300)은 구동 유닛(200)의 운동에 종속하여 운동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제어 모듈(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핀(400)은 이동 유닛(3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제2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유닛(300)과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유닛(300)이 제2 방향(X2)으로의 운동을 포함하므로, 상기 핀(400)은 제2 방향(X2)을 따라 전술한 표현 홀을 통한 선택적 출입을 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은 이동 유닛(300)과 결합된 것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유닛(300)과 핀(400)의 사이에 물리적 운동을 전달하는 전달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핀들(400)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유닛(300)과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은 운동하는 이동 유닛(300)에 직접적으로 접하거나, 이동 유닛(300)과의 별도의 링크 기구(미도시) 또는 운동 전달 기구(미도시)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동 유닛(300)의 제2 방향(X2)에 따른 운동에 연동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제2 방향은 이동 유닛(300)의 운동 방향인 제2 방향(X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방향(X1)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핀(400)의 운동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은 전술한 돌출 신호를 구현하기 위한 출입 방향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핀(400)이 이동 유닛(300)에 결합된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핀(400)이 이동 유닛(300)과 분리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다른 방향일 수 있는 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X2)은 상기 제1 방향(X1)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출력 장치가 뒤집히는 등, 그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에, 구동 유닛(2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핀(400) 및/또는 이동 유닛(300)이, 상기 표현 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미도시)가 상기 핀(400) 및/또는 이동 유닛(300)과 표현 면(100)의 내측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탄성부재일 수 있는 데, 상기 구동 유닛(200)의 자력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할 때 상기 핀(400)이 표현 면(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 유닛(200)과 이동 유닛(300)의 사이에는 격벽(50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격벽(500)에 의해 구동 유닛(200)과 이동 유닛(300)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 유닛(200)과 이동 유닛(300)이 물리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구동 유닛(200)을 수분으로부터 밀봉되게 하여 보다 향상된 방수 구조를 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사 이동 유닛(300)이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 있다고 하더라도 이 환경이 구동 유닛(200)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이동 유닛(30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이동 유닛(300)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바디(310)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바디(310)는 회전 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 유닛(300)의 바디(310)는 회전 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데, 상기 회전 축(330)은 이동 유닛(300)의 중심, 더욱 구체적으로 바디(310)의 중심(340)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310)가 회전 축(33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도 4의 오른 쪽 상태와 같이 제2 방향(X2)으로 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바디(310)가 회전하여 제2 방향(X2)으로 운동함에 따라 이 운동이 핀(400)에도 전달되어 핀(400)도 제2 방향(X2)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동 유닛(300)은 자력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자력 부재(320)도 이동 유닛(300)의 중심, 구체적으로 바디(310)의 중심(340)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유닛(300)의 바디(310)가 구동 유닛(200)의 코일에 의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회전할 때에 더 적은 힘으로 효율 좋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320)는 바디(310)에 내장될 수 있는 데, 영구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방향(X2)을 따라 N극(321)과 S극(322)이 형성된 자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력 부재(320)의 중심은 바디(310)의 회전 축(330)과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력 부재(320)의 중심은 바디(310)의 회전 축(330)과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자력 부재(320)의 중심과 바디(310) 회전 축(330)의 위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바디(310)의 회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바디(310)의 회전 축(33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회전 축(330)은 제1 회전 축(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축(331)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예컨데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된 직선부(3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부(3311)는 회전 중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축(330)은 제2 회전 축(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축(332)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디(310)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홀더(350)에 장착될 수 있는 데, 홀더(350)는 상자체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내부에 바디(310)가 수용되고, 바디(310)의 회전 축(330)이 지지되는 지지 홈(3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 홈(351)에 회전 축(330)이 지지된 상태에서 바디(3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350)는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 홈(35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홈(351)은 원형으로 구비된 제1 지지 홈(3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지지 홈(351)에 장착된 회전 축(33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 체 바디가 회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홈(351)은 제2 지지 홈(3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홈(3512)은 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 홈(3512)은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 홈(3512)에 장착된 회전 축(330)의 위치가 제2 방향(X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회전 축(330)의 위치가 제2 방향(X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바디(310)가 회전하면서 바디(310)가 제2 방향(X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바디(310)가 핀(400)을 움직이는 데에 작은 힘만으로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디(310)가 제2 방향(X2)을 따라 회전하면서 핀(400)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코일에 전기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핀(4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직선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홈(351)은 역 U자 형태로 구비된 제3 지지 홈(3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홈(3513)은 직선 구간(3514) 및 곡선 구간(35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310)는 회전하면서 직선 구간(3514)에 위치하고 있던 회전 축(330)이 곡선 구간(3515)을 거쳐 다른 직선 구간까지 갈 수 있다. 이에 따라 핀(400)이 표현 면 외측으로 올라온 상태와 내려간 상태에서 자력 부재와 코일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전력으로 핀(400)을 움직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유닛(3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다르면, 구동 유닛(200)은 코일 축(210)과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 축(210)은 제2 방향(X2)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 코일 축(210)에 코일(220)이 감겨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코일(220)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코일(220)은 제2 방향(X2)을 따라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은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2 방향(X2)을 따라 자성의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자성의 극성 변화에 자력 부재(320)가 반응함에 따라 회전 축(330)을 중심으로 바디(31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축(21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코일(220)이 감겨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 축(210)의 일부에만 코일(220)이 감겨질 수 있다. 코일 축(210)은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220)에 전기 인가가 멈춘 상태에서도 코일 축(210)에는 해당 자성이 일정 정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유닛(200)은 이동 유닛(300)을 향해 돌출된 지지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은 코일 축(210)에 결합되어 제2 방향(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데, 코일 축(210)이 자성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코일 축(210)과 지지대(2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코일 축(210)만 자성체로 형성되고, 지지대(230)는 비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310)는 마그넷 부재(320)가 수용되는 수용부(311)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수용부(311)는 바디(310)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30)는 바디(310)의 내측까지 돌출되어 수용부(311) 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한 쌍의 바디(310) 사이에 수용부(311)가 구비됨으로써 지지대(230)이 바디(310)의 내측까지 인입된다고 하더라도 바디(310)의 회전에 지지대(2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350)는 내측 공간부(352)에서 바디(310)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대(230)가 바디(310)의 내측까지 돌출되어 수용부(311) 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됨에 따라 바디(310)의 회전 시 지지대(230)가 바디(310), 예를 들면 수용부(311)를 지지해 주고, 이에 따라 바디(31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230)가 길게 연장됨에 따라 지지대(230)과 자력 부재(330)와의 거리가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지지대(230)가 자성체로 형성된 경우 코일(220)에 의해 형성된 자력에 의해 특성 극성을 띠게 되는 데, 이에 따라 적은 자력이라 하더라도 자력 부재(330)에 보다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구동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코일(220)에 전기가 가해진 후, 전기가 차단되어도, 지지대(230)는 자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디(310)는 도 12의 오른쪽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도 다시 역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핀(400)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핀(400)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계속해서 코일(220)에 전기를 인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장치 전체의 운용 전력 및/또는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핀(400)에는 자성체 부재(420)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부재(420)는 판상 또는 부피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자성체 부재는 핀(400)에 필름 형상으로 코팅될 수도 있고, 핀(400)을 형성할 때 혼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핀(400)이 자성체 부재(420)를 포함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핀(400)이 표현 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400)이 표현 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다시 표현 면 내측으로 다운 구동할 때에 핀(400)의 자중에 의한 움직임 뿐 아니라, 상기 자성체 부재(420)와 자력 부재(320)의 인력에 의해 핀(400)이 더욱 쉽게 다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운 구동의 용이성 및 핀의 돌출 방지 기능을 전원 인가 없이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저전력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100': 표현 면 100a: 표현 홀
200: 구동 유닛
300: 이동 유닛
400: 핀
500: 격벽

Claims (9)

  1. 복수의 표현 홀을 포함하는 표현 면;
    상기 각 표현 홀을 통해 상기 표현 면으로 출입하도록 운동하고, 상기 표현 면에 돌출 신호를 표현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핀;
    상기 표현 면 내측이 위치하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동 유닛; 및
    상기 표현 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유닛과 핀의 사이에 개재되며, 각각 자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에 반응해 회전해 상기 핀에 운동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이 회전하는 회전 축은, 상기 핀이 운동하는 운동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이동 유닛 사이에 개재된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구동 유닛을 상기 핀 외측의 환경에 노출시키지 않게 밀봉하도록 구비된 정보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 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격벽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된 정보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이동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은 상기 이동 유닛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정보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 유닛의 회전 중심과 결합되는 지지 홈을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은 적어도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 핀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구간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동 유닛을 향해 돌출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180059253A 2018-05-24 2018-05-24 정보 출력 장치 KR10209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53A KR102094399B1 (ko) 2018-05-24 2018-05-24 정보 출력 장치
CN201980034503.1A CN112292722B (zh) 2018-05-24 2019-05-24 信息输出装置
PCT/KR2019/006253 WO2019226011A1 (ko) 2018-05-24 2019-05-24 정보 출력 장치
KR1020200035075A KR102376202B1 (ko) 2018-05-24 2020-03-23 정보 출력 장치
US17/103,157 US12039883B2 (en) 2018-05-24 2020-11-24 Information out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53A KR102094399B1 (ko) 2018-05-24 2018-05-24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075A Division KR102376202B1 (ko) 2018-05-24 2020-03-23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72A KR20190134072A (ko) 2019-12-04
KR102094399B1 true KR102094399B1 (ko) 2020-03-27

Family

ID=6900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53A KR102094399B1 (ko) 2018-05-24 2018-05-24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06B1 (ko) * 2016-04-20 2018-08-31 주식회사 오파테크 스마트 점자 학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학습방법
KR20170135774A (ko) * 2017-09-06 2017-12-0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72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159B1 (ko) 단자연결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자연결장치
US119890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622173B2 (en) Lens driving device
CN107533810B (zh) 盲字致动器及利用它的盲字输出装置
KR102130777B1 (ko) 정보 출력 장치
JPWO2015170555A1 (ja) 眼鏡型電子機器
KR20170135774A (ko) 정보 출력 장치
US11508259B2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2022006175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70125761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094399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85687A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34700A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504327B1 (ko) 정보 출력 장치
US20220230517A1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US20110156502A1 (en) Spring plate and voice coil motor using the same
KR102228634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763397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2072707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1586289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WO2020129747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763399B1 (ko)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15648A (ko) 정보 출력 장치
CN112292722B (zh) 信息输出装置
CN116719443B (zh) 一种触觉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