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209B1 -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209B1
KR102094209B1 KR1020190109913A KR20190109913A KR102094209B1 KR 102094209 B1 KR102094209 B1 KR 102094209B1 KR 1020190109913 A KR1020190109913 A KR 1020190109913A KR 20190109913 A KR20190109913 A KR 20190109913A KR 102094209 B1 KR102094209 B1 KR 102094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helf
pressing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휘근
오광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19010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도서 투입구에 장착되고 투입된 도서의 구김이나 휨을 감지하여 상기 도서의 변형을 검출하는 도서 변형 검출부, 상기 도서 투입구와 도서 보관함 사이의 도서 이송 영역에 위치하고 투입된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보관함으로 이송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을 구비하는 도서 선반부, 및 상기 도서 선반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의 변형이 검출되면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상기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변형 부위를 눌러주는 도서 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BOOK TRANSFER APPARATUS HAVING PRESS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의 도서 이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도서의 구김 또는 휨이 감지되면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휘어 있는 도서를 누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각 도서관은 학생이나 일반인을 위한 대량의 학술자료 및 일반 도서를 비치하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에 비치된 각종 도서들을 열람한 후 특정 도서의 대출을 원할 경우 도서관측에 대출을 신청하고, 정해진 대출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대출받은 해당 도서를 반납하게 된다.
최근에는 도서대출 관리자를 거치지 않고도 무인 도서 대출기를 이용하여 이용자 혼자서 직접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할 수 있는 무인 도서 대출/반납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대출하는 각종 도서에는 이용자들의 이용 상태에 따라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들이 책장을 넘기기 위해 침을 묻히거나 책을 펼쳐서 엎어 놓거나 펼쳐진 책의 페이지가 덮이지 않도록 책갈피를 꽂거나 책에 하중이 걸리는 등에 의해 도서의 표지 또는 종이의 휘어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자동 도서 기기에서는 투입구로 투입되는 도서에 대해 자동 인식이 불가능하여 기기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자동 도서 기기 운영에 잦은 장애로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1028호는 도서 자동대출/반납기에 관한 것으로, 대출/반납될 도서가 거치되는 도서 대출/반납대 일측에 설치되어 도서의 불법적인 복수 대출/반납을 방지하도록 반납/대출될 도서의 높이 또는 외곽선 상태를 촬영하는 CCD카메라, 상기 CCD 카메라로 촬영된 도서의 높이 정보 또는 외곽선 정보를 기저장된 해당 도서의 높이 정보 또는 외곽선 정보와 비교하여 대출/반납되는 도서의 복권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저장된 대출/반납된 도서의 대출/반납의 결과 데이터를 인쇄, 출력하는 대출/반납 확인증 발급기를 포함하여, 도서의 대출/반납이 신속하고 오작동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1671호는 도서대출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와 관통되어 있는 북입출입부, 상기 북입출입부로 전송된 제1도서가 놓여지는 트레이, 상기 북입출입부 또는 상기 트레이에 놓여진 상기 제1도서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 상기 두께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도서의 두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지지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 각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랙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랙,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레이를 상기 랙홈들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랙홈들에 삽입하는 이송로봇, 및 상기 제1도서의 두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트레이가 삽입된 한 쌍의 랙홈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도서의 두께에 따라, 상기 트레이가 삽입될 한 쌍의 랙홈들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이송로봇을 제어하여, 랙에 배치되는 트레이들 간의 간격을, 도서의 두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는, 도서대출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1028호(2004.12.0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71671호(2017.08.21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입된 도서의 구김 또는 휨이 감지되면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휘어 있는 도서를 누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눌림 선반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도서 선반에 놓여진 도서를 누름 및 누름 해제하여 도서의 구김이나 휨 부분을 펴줄 수 있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의 두께 측정을 통해 구김이나 휨의 도서 변형을 감지하고 도서 두께에 따라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하여 도서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도서 이송을 할 수 있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도서 투입구에 장착되고 투입된 도서의 구김이나 휨을 감지하여 상기 도서의 변형을 검출하는 도서 변형 검출부, 상기 도서 투입구와 도서 보관함 사이의 도서 이송 영역에 위치하고 투입된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보관함으로 이송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을 구비하는 도서 선반부, 및 상기 도서 선반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의 변형이 검출되면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상기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변형 부위를 눌러주는 도서 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서 변형 검출부는 상기 도서 투입구에 투입된 도서 표면에 레이저를 투사하고 투사된 레이저 모양을 기반으로 하여 도서의 휘어짐 및 도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이송부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축 이동하고 상기 y축 상에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도서 선반부가 결합되어 상기 도서 선반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서 선반부는 복수개의 도서 선반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상기 도서 이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도서 선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에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도서 선반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서 눌림부는 일정 크기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서 선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도서의 상부를 가압 고정하는 눌림 선반,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리 디스크, 및 상기 로터리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눌림 선반의 양측에 상기 로더가 설치되고 양측의 상기 로더가 같이 움직이도록 양측에 설치된 상기 로더 사이를 샤프트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상기 도서의 두께에 따라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투입된 도서의 구김 또는 휨이 감지되면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휘어 있는 도서를 누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눌림 선반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도서 선반에 놓여진 도서를 누름 및 누름 해제하여 도서의 구김이나 휨 부분을 펴줌으로써 도서의 걸림없이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수월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도서의 두께 측정을 통해 구김이나 휨의 도서 변형을 감지하고 도서 두께에 따라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하여 도서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도서 이송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가 적용된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도서 이송부에 도서 선반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도 2에 있는 도서 선반부에 도서 눌림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의 도서 눌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가 적용된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는 외부 구성을, (나)는 내부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100)은 본체(110), 도어(120), 도서 투입구(130), 모니터(140), 도서 보관함(150) 및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다수의 도서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할 수 있는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케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면 또는 전후 양면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전면 또는 전후 양면을 도어(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하나의 도어(120)가 장착될 수도 있고 다양한 개수의 도어(120)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어(120)는 본체(110)의 개방된 전면 또는 전후 양면을 커버할 수 있고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서 투입구(130)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에 도서 투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서 투입구(130)는 수동 혹은 자동으로 전면 도어가 개폐되면서 도서가 반입 및 반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투입구(130) 내부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160)의 눌림 동작을 위해 도서의 구김이나 휘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140)는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정보 및 공익광고, 기업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고,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니터(1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서 보관함(150)은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도서를 보관 적재할 수 있다. 도서 보관함(150)은 다수의 칸들로 구획되어 있고 각각의 칸에 도서들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보관함(150)의 각 칸은 도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의 대출 및 반납을 위해 도서 투입구(130)와 도서 보관함(150) 사이에 도서 이송을 할 수 있고 도서 이송 과정에서 도서 눌림을 통해 도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 과정에서 도서 보관함(150)에 보관된 특정 도서를 찾아 도서 투입구(130)로 이동시키고 도서 투입구(130)를 통해 투입된 도서를 도서 보관함(150)의 지정된 보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 보관함(150)의 사이에 위치하고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도서 이송 공간을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 보관함(150)에 보관된 도서를 인출하여 이동하거나 도서 투입구(130)에서 이송해온 도서를 도서 보관함(150)에 인입할 수 있고, 이때 도서를 눌림 상태에서 받쳐서 이송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들 및 눌림 선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 투입구(130)에 투입된 반납 도서의 구김이나 휨이 감지되면 이송하기 전에 또는 이송 과정에서 도서 눌림을 통해 도서를 평탄화시킬 수 있게 눌림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 투입구(130)에 투입된 반납 도서의 두께를 측정하고 도서의 두께 편차가 기설정된 문턱값 이상 발생한 경우에 도서가 휘어지거나 책장이 벌어진 도서의 변형 상태로 인식할 수 있고 도서의 상면에 눌림선반을 통해 하중을 가하여 도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를 이송하는 데 있어 도서 종이의 휘어짐을 눌러주어 휘어진 부분에 의해 이동 중 걸릴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도서 두께에 맞는 최적의 도서 위치가 지정되면 도서 보관함(150)의 지정된 도서 위치에 도서를 보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서 이송 장치(160)는 도서 변형 검출부(210), 도서 이송부(220), 도서 선반부(230), 도서 눌림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서 변형 검출부(210)는 도서 투입구(130)에 투입된 도서의 구김 및 휨에 의한 변형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변형 검출부(210)는 도서 투입구(130) 내부에 레이저 센서를 장착하여 도서 투입구(130)에 투입된 도서의 표면에 레이저를 투사하여 도서 표면에 투사된 레이저 모양을 기초로 책장의 휘어짐과 도서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도서 변형 검출부(210)는 도서 표면에 조사된 레이저 빔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 모양의 두께를 픽셀(pixel) 수로 계산하고 계산된 픽셀 수를 기준 픽셀 수와 비교한 편차로 책장의 휘어짐과 도서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픽셀 수는 도서가 없는 상태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을 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변형 검출부(210)는 도서 표면에 대한 높고 낮음으로 휘어짐과 두께를 측정하고 도서 변형을 검출할 수 있다. 도서 변형 검출부(21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서의 구김 및 휨에 의한 변형을 검출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반입되는 도서를 도서 보관함(150)에 보관하거나 도서 보관함(150)에 보관된 도서를 반출할 수 있도록 도서 보관함(150)과 도서 투입구(130) 사이에서 도서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도서 보관함(150)과 도서 투입구(1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도서 이송 영역에 위치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축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220)는 도서를 도서 선반부(230)로 옮긴 후 지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도서 선반부(230)에 안착된 도서들을 순차적으로 반입 혹은 반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서 이송부(220)는 이용자가 선택한 대출하고자 하는 도서가 배치된 도서 보관함(150)의 도서 보관 위치로 이동하여 보관된 도서를 도서 선반부(230)로 옮긴 후 이동하여 도서 선반부(230)가 이용자측의 도서 투입구(13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반납되는 도서일 경우에 이용자가 도서 투입구(130)에 도서를 투입시키면 도서 선반부(230)에 투입된 도서를 올려 해당 도서의 지정 보관 위치로 이동시켜 도서 보관함(150)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전후 양측에 마련된 도서 대출반납 영역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서 선반부(230)는 일정간격 이격하여 다단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서 선반에 1권씩 도서를 안착할 수 있다. 도서 선반부(230)는 도서 이송부(220)에 결합되어 도서 이송부(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선반부(230)는 도서 이송부(220)의 Y-이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고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선반부(230)는 이동 과정에서 도서 안착을 위한 작동에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도서 선반들 각각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서 선반부(230)는 도서 보관함(150)의 트레이에 놓여있는 도서를 트레이 채 운반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선반부(230)에 올려진 도서의 변형이 검출된 경우에 모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하로 움직이는 눌림 선반을 통해 휘어 있는 도서를 눌러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선반부(230)에 결합되어 도서 이송부(2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선반부(230)의 상부에 눌림 선반을 설치할 수 있고 도서 선반에 안착된 1권의 도서를 상부에서 눌림 선반을 통해 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각각의 도서 선반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할 수 있고 각각의 도서 눌림부에서 1권씩 도서를 누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이송부(220)에 의해 도서 이송 과정에서 도서 누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서의 구겨지거나 휘어진 부분이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의 두께에 따라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변형 검출부(210)에 의해 측정된 도서의 두께를 기반으로 하여 눌림 선반을 도서의 상부를 향하여 하향 이동시켜 도서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이송부(220)에 의해 도서가 목적지 위치까지 이송된 경우에는 눌림 선반을 상향 이동시켜 도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이송 과정에서 도서 눌림 작동에 의해 도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도서의 변형을 정상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도서의 구김이나 휨에 의한 변형 발생시 도서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도서 투입구(130)에서 도서 보관함(150)으로 도서를 누름 상태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도서 변형 검출부(210), 도서 이송부(220), 도서 선반부(230) 및 도서 눌림부(24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도서 이송부에 도서 선반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서 이송부(220)는 x축으로 도서 이송을 위한 제1 축이동부재(310)가 바닥면에 설치되고, 제1 축이동부재(310)를 따라 이동하면서 y축으로 도서 이송을 위한 제2 축이동부재(320)가 제1 축이동부재(310)의 상단에 결합된다.
도서 이송부(220)는 제1 축이동부재(310)와 제2 축이동부재(320)에 각각 축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0,340)가 장착된다. 모터(330,340)는 각 축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x축으로, 그리고 y축으로 축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제1 축이동부재(310)의 상단에 제2 축이동부재(320)가 결합되어 x축과 y축으로 축이동할 수 있다. 제1 축이동부재(310)는 도서 보관함(150)과 도서 투입구(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도서 이송 영역 전체에 걸쳐 바닥면에 설치되어 x축에 대한 도서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축이동부재(310)는 상단에 결합된 제2 축이동부재(320)를 x축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축이동부재(320)는 제1 축이동부재(310)의 상면에 입설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제1 축이동부재(310)의 x축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2 축이동부재(320)는 y축에 대한 도서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축이동부재(320)의 일측에 도서 선반부(23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350)를 y축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350)를 통해 제2 축이동부재(320)에 설치되는 도서 선반부(230)는 제2 축이동부재(320)의 y축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고,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z축에 대한 도서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선반부(23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들은 각각 개별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도서 선반부에 도서 눌림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서 선반부(230)는 복수개의 도서 선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도서 선반들(230)은 서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서 선반들(230)은 결합부재(35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도서 이송부(220)와도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50)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도서 선반들(230)이 연결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측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도서 이송부(220)의 y축상에 고정 체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선반부(2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최상단에 위치한 도서 선반의 상부에만 설치되었지만, 도서 선반들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눌림부(240)는 눌림 선반(410), 모터(420), 로터리 디스크(430), 로더(440), 샤프트(450) 및 레벨러(460)를 포함할 수 있다.
눌림 선반(410)은 일정 크기의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눌림 선반(410)은 도서 선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 이동시 도서 선반에 놓여진 도서의 상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모터(420)는 눌림 선반(41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420)는 브러시리스(BLDC)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BLDC 모터는 모터 내부의 마모되기 쉬운 브러시(brush) 부분을 제거해 내구성을 높이고 고속 회전에 무리가 없는 모터이다.
모터(420)의 축상에는 로터리 디스크(430)가 장착되어 모터 축 회전을 통해 특정 크기의 원 회전 운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로터리 디스크(430)의 원 회전 운동에 따라 눌림 선반(410)이 움직일 수 있고 이때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로터리 디스크(430)와 눌림 선반(410)과 도서 선반(230)을 잇는 양측에는 각각 로더(440)가 설치되어 로터리 디스크(430)의 원 회전 운동에 따라 눌림 선반(410)이 상하로 이동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로더(440)는 눌림 선반(41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고 양측에 설치된 로더(440) 사이를 샤프트(45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샤프트(450)는 눌림 선반(4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모터(420) 중 일측 모터의 이상 또는 미작동시 타측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에 설치된 로더가 타측에 설치된 로더와 같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샤프트(450)는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로터리 디스크(430)의 축 중심으로 원 회전을 하며 원 회전의 방향에 따라 눌림 선반(41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레벨러(460)는 눌림 선반(410)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레벨러(460)는 도서 변형 검출부(210)에 의해 측정된 도서의 두께에 따라 모터(410)의 구동을 제어하여 눌림 선반(410)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의 도서 눌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도서 눌림부(240)는 도 5a에 보여진 바와 같이 도서 선반부(230)의 상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서 선반부(230)에 놓여진 도서(500)의 구김이나 휨이 감지되면 도서 눌림부(240)는 모터(420)를 구동하여 모터(420) 축에 장착된 로터리 디스크(430)를 정회전시키고 로터리 디스크(430)의 정회전에 따라 눌림 선반(410)이 로더(440)의 가이드에 따라 도 5b와 같이 도서 선반부(230)에 놓여진 도서(500)을 향하여 하부 이동하게 된다. 도서 눌림부(240)는 눌림 선반(410)을 도서(500) 표면까지 하향 이동시켜 도서(500)를 눌러주어 도서(500)의 구김이나 휨 부분이 펴질 수 있게 한다. 도서 눌림부(240)는 도서 이송부(220)의 도서 이송 과정에서 도서(500)의 눌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도서 이송부(220)가 도서(500)의 지정된 보관 위치에 도달하면 도서(500)의 눌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서 눌림부(240)는 모터(420)를 구동하여 모터(420) 축에 장착된 로터리 디스크(430)를 역회전시키고 로터리 디스크(430)의 역회전에 따라 눌림 선반(410)이 로더(440)의 가이드에 따라 도 5a와 같이 도서(500)로부터 상부 이동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는 투입된 도서를 도서 투입구에서 도서를 위치하고자 하는 지정한 위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도서의 구김이나 휨이 감지되면 도서를 눌림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고 도서의 구김이나 휘어진 부분을 평탄화하여 걸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동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
110: 본체 120: 도어
130: 도서 투입구 140: 모니터
150: 도서 보관함 160: 도서 이송 장치
210: 도서 변형 검출부 220: 도서 이송부
230: 도서 선반부 240: 도서 눌림부
250: 제어부
310: 제1 축이동부재 320: 제2 축이동부재
330,340: 모터 350: 결합부재
410: 눌림 선반 420: 모터
430: 로터리 디스크 440: 로더
450: 샤프트 460: 레벨러

Claims (8)

  1. 도서 투입구에 장착되고 투입된 도서의 구김이나 휨을 감지하여 상기 도서의 변형을 검출하는 도서 변형 검출부;
    도서 투입구와 도서 보관함 사이의 도서 이송 영역에 위치하고 투입된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보관함으로 이송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가 놓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을 구비하는 도서 선반부; 및
    상기 도서 선반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서의 변형이 검출되면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상기 도서의 상부를 가압하여 변형 부위를 눌러주는 도서 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서 눌림부는
    일정 크기의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서 선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 이동에 따라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도서의 상부를 가압 고정하는 눌림 선반;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리 디스크; 및
    상기 로터리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변형 검출부는
    상기 도서 투입구에 투입된 도서 표면에 레이저를 투사하고 투사된 레이저 모양을 기반으로 하여 도서의 휘어짐 및 도서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이송부는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축 이동하고 상기 y축 상에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도서 선반부가 결합되어 상기 도서 선반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선반부는
    복수개의 도서 선반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상기 도서 이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도서 선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서 선반에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도서 선반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눌림 선반의 양측에 상기 로더가 설치되고 양측의 상기 로더가 같이 움직이도록 양측에 설치된 상기 로더 사이를 샤프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눌림부는
    상기 도서 선반에 놓여진 상기 도서의 두께에 따라 상기 눌림 선반의 상하 이동 높이를 조절하는 레벨러를 더 포함하는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KR1020190109913A 2019-09-05 2019-09-05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KR102094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13A KR102094209B1 (ko) 2019-09-05 2019-09-05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13A KR102094209B1 (ko) 2019-09-05 2019-09-05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209B1 true KR102094209B1 (ko) 2020-05-29

Family

ID=7091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13A KR102094209B1 (ko) 2019-09-05 2019-09-05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128A (ko) * 2021-06-09 2022-12-16 (주)지앤씨엔지니어링 보안 문서 캐비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28B1 (ko) 2002-03-22 2004-12-13 주식회사 벼리시스템 도서 자동대출/반납기
KR100718272B1 (ko) * 2003-03-24 2007-05-14 주식회사 벼리시스템 도서 무인반납시스템
KR20150136414A (ko) * 2014-05-27 2015-12-07 이정용 레이저거리측정기를 이용한 동작감지센서로 회전되는 선반
KR101771671B1 (ko) 2017-05-30 2017-08-25 주식회사 이씨오 도서대출반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28B1 (ko) 2002-03-22 2004-12-13 주식회사 벼리시스템 도서 자동대출/반납기
KR100718272B1 (ko) * 2003-03-24 2007-05-14 주식회사 벼리시스템 도서 무인반납시스템
KR20150136414A (ko) * 2014-05-27 2015-12-07 이정용 레이저거리측정기를 이용한 동작감지센서로 회전되는 선반
KR101771671B1 (ko) 2017-05-30 2017-08-25 주식회사 이씨오 도서대출반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128A (ko) * 2021-06-09 2022-12-16 (주)지앤씨엔지니어링 보안 문서 캐비닛
KR102502435B1 (ko) 2021-06-09 2023-02-23 (주)지앤씨엔지니어링 보안 문서 캐비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0042B1 (en) Automatic transaction apparatus
CA126011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S60243865A (ja) デイスク自動交換装置
KR102094209B1 (ko) 눌림 기능을 구비한 도서 이송 장치
US9845217B2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CN107743639A (zh) 用于自动交易机的核心模块
KR100836209B1 (ko) 미디어 저장 디스크 무인 대여기의 디스크 인출입 장치
EP2338817B1 (en) Paper leaves processor and paper leaves processing method
CN108763911A (zh) 验证方法、验证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0740276A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ensuring privacy at automated image media recording station
KR102391614B1 (ko) 카드케이스를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장치
KR102069380B1 (ko) 도서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서대출반납 시스템
JPH11328499A (ja) Icカード使用可能な自動販売機
JPH07118127B2 (ja) 自動カセツト交換装置
KR102121740B1 (ko)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
KR102073211B1 (ko) 도서 변형 검출 장치 및 방법
US6908083B2 (en) Recording plate or film loading device
JP5857080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装置
KR200392079Y1 (ko) 출입카드 교환장치
JP3035431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4242921B1 (ja) 陳列装置
JP2011118740A (ja) 自動取引装置
KR200238815Y1 (ko) 출입카드 교환장치
JPS60243858A (ja) デイスク自動交換装置
JP5857078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