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062B1 -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062B1
KR102094062B1 KR1020170121636A KR20170121636A KR102094062B1 KR 102094062 B1 KR102094062 B1 KR 102094062B1 KR 1020170121636 A KR1020170121636 A KR 1020170121636A KR 20170121636 A KR20170121636 A KR 20170121636A KR 102094062 B1 KR102094062 B1 KR 10209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panel
reinforcement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177A (ko
Inventor
노홍제
Original Assignee
노홍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제 filed Critical 노홍제
Priority to KR102017012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0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가장자리 측면부의 지지력 및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방화문 전체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구를 구성하지 않고, 방화문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가장자리에 대한 접음 및 절곡 공정을 통해, 결합부를 두겹 또는 그 이상의 겹겹으로 구성하여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굽힘응력 및 비틀림응력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방화문 분야 및 방화문 보강구조 분야, 특히 방화문용 프레임의 코너 보강구조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Fire door frame coupling structure of complex layer}
본 발명은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가장자리 측면부의 지지력 및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방화문 전체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구를 구성하지 않고, 방화문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가장자리에 대한 접음 및 절곡 공정을 통해, 결합부를 두겹 또는 그 이상의 겹겹으로 구성하여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굽힘응력 및 비틀림응력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 지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도어와는 다르게 기능적인 면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특히 내화성과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주로 금속재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방화문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다양한 충격을 버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키실린더가 장착되는 부분이나 경첩이 부착되는 힌지부분, 그리고 방화문의 코너부분에 다양한 형태의 보강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551호 '방화문 둘레 장착용 테두리골조의 모서리 고정장치'(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3367호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는, 방화문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코너 결합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기술1의 경우, 고정구를 골조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격벽에 밀착시킨 후, 볼트결합을 통해 이웃하는 두 골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구조에서 고정구는 두 골조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선행기술2의 경우, 모서리부분에 별도의 프레임보강재를 구성하고는 있으나, 프레임보강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덮개를 추가로 결합하는 등, 그 제작공정이 매우 번거로움을 알 수 있다.
한편, 선행기술들에 나타난 프레임의 구조를 보면, 해당 프레임들은 압출성형으로 제작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압출성형은 주로 합성수지나 알루미늄(합금 포함) 등과 같이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재질의 가공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재료는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을 견뎌야 하는 방화문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재료들이다.
방화문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주로 금속재로 제작되며, 금속재 패널의 가공은 주로 롤포밍(Roll forming) 공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선행기술들과 같은 형태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고 이로 인해 선행기술들에 나타난 보강구조를 적용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551호 '방화문 둘레 장착용 테두리골조의 모서리 고정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3367호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방화문의 가장자리 측면부의 지지력 및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방화문 전체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화재발생시 화염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화재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별도의 보강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방화문을 구성하는 금속재의 패널만을 이용하여 보강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롤포밍 공정으로 쉽게 가공이 가능하면서도, 충분한 지지력 및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구를 구성하지 않고, 방화문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가장자리에 대한 접음 및 절곡 공정을 통해, 결합부를 두겹 또는 그 이상의 겹겹으로 구성하여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굽힘응력 및 비틀림응력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는,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방화문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어느 하나는, 홑겹구조로 구성되며, 방화문을 형성하는 패널면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단차부; 및 겹겹구조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중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져 형성된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패널면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절곡면; 및 상기 제1절곡면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2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제2절곡면으부터 다른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측보강면 및 내측보강면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1절곡면 및 제2절곡면이, 상기 패널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보강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보강면은, 상기 제2절곡면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지지부의 내측보강면은, 상기 외측보강면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측보강면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접혀진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강지지부와 결합되는 보강연결부가 패널면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한 다층접힘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이퀄폴딩(Equal folding)방식으로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하프폴딩(Half folding)방식으로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그 종단부가 상기 제2외측절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에 면접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별도의 보강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방화문을 구성하는 금속재의 패널만을 이용하여 보강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화문의 구조 및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쉽게 방화문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결합부 형상을 롤포밍 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가공이 쉬우면서도 충분한 지지력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순하면서도 방화문의 가장자리 측면부의 지지력 및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공정을 통해, 방화문 전체에 대한 밀폐성 향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염차단효과를 향상시키고 화재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지지구 등의 보강부재를 구성하지 않고,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의 가장자리에 대한 접음 및 절곡 공정을 통해, 결합부를 두겹 또는 그 이상의 겹겹으로 구성하여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방화문의 가장자리 결합부에 대하여,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굽힘응력 및 비틀림응력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방화문 분야 및 방화문 보강구조 분야, 특히 방화문용 프레임의 코너 보강구조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면패널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난 전면패널의 가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후면패널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문(A)은 방화문(A)을 구성하는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재질의 내열재 및 내화재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화문(A)은 방화문틀(F)에 힌지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방화문(A)이 닫히는 과정에서 방화문(A)의 손잡이(도시하지 ?음)가 구성된 가장자리 부분은 방화문틀(F)에 부딪히면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화문(A)이 닫힐 경우, 방화문틀(F)과 밀착되는 방화문(A)의 가장자리 중 'a'부분에 상당한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b'부분에도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에 의해 방화문(A)의 가장자리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하면, 방화문(A)이 닫힌 상태에서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방화문(A)의 양측 공간에 대한 밀폐성이 떨어지게 되어 일측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다른 일측 공간이 화염에 노출되거나 화재가 번지는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a'부분 및 'b'부분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충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강재나 보강구조를 적용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부강재나 보강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가공방법에 의해 해당 부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프레임 결합구조가 적용된 방화문(A)은 방화문(A)의 양측 공간에 대한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방화문틀(F)과 다단으로 단차지게 밀착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었다. 물론, 방화문(A)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방화문틀(F)의 형상은 도 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방화문틀(F)의 형상은 특정한 것으로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방화문틀(F)에 다단으로 밀착되도록 닫히는 방화문(A)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형상은 필연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며,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형상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거나, 전면패널(100)의 형상과 후면패널(200)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전후면이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형상을 도 1과 같은 예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도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전면패널(100) 및 후면패널(200)의 형상은 상호 치환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면패널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패널(100)은 방화문(A)의 전면을 구성하는 패널면부(110)를 기준으로, 패널면부(110)의 가장자리에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단차부(120)와 'b'부분에 해당하는 보강지지부(130)를 형성한다.
단차부(120)는 방화문(A)을 형성하는 패널면부(10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의 홑겹구조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홑겹구조의 단차부(120)는 보강지지부(1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연장면(133) 및 지지면(134)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보강지지부(130)는 단차부(120)에서 연장형성되어 후면패널(200)과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 역시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의 겹겹구조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 2에 나타난 단차부(120) 및 보강지지부(130)는, 전면패널(100)의 가장자리가 밀착되도록 접혀져 형성되는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단차부(120)가 홑겹의 구조이기는 하나 보강지지부(130)의 연장면(133) 및 지지면(134)과 함께 지지되므로, 이중구조로 판단할 수 있다.
단차부(12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화문틀(F)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1절곡면(121) 및 제2절곡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면(121)은 패널면부(1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면(122)은 제1절곡면(121)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절곡면(121) 및 제2절곡면(122)은 하기에 설명될 연장면(133)과 더불어 패널면부(110)의 가장자리에 사각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지지부(130)는 제2절곡면(122)으부터 다른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 외측보강면(131) 및 내측보강면(132)의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차부(120)의 제1절곡면(121) 및 제2절곡면(122)은 패널면부(1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지지부(130)는 제2절곡면(122)으로부터 연장되어, 외측보강면(131)과 내측보강면(132)이 밀착되도록 접혀진 상태의 이중구조(두겹)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보강면(132)의 일부는 외측보강면(131)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장면(133) 및 상기 연장면(133)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어 패널면부(110)에 밀착되는 지지면(134)을 형성하면서, 단차부(120) 및 보강지지부(13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면부(110)의 가장자리와 단차부(120) 및 연장면(133)이 사각형 구조를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 보강지지부(130)의 외측보강면(131) 및 내측보강면(132)이 두 겹의 이중구조를 구성하며, 지지면(134)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함으로써, 후면패널(200)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방화문(A)의 사용도중에 발생하는 외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면패널(100)의 각 구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난 전면패널의 가공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하기에 설명될 가공방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롤포밍 공정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롤포밍 공정과 동일 내지 유사한 가공방법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공방법은 물리적 가공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재료인 평면의 패널면부(110)가 공급되면, 패널면부(110)의 가장자리(111)를 접어서 단차부(120) 및 보강지지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급된 패널면부(110)의 가장자리(111) 종단부를 절곡하여 지지면(134)을 형성하고, 지지면(134)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접어서 외측보강면(131) 및 내측보강면(1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장면(133)이 형성되도록 외측보강면(131)의 일부를 반대방향으로 절곡한 후, 제2절곡면(122)이 형성되도록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하고, 마지막으로 제1절곡면(121)이 형성되도록 절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면(134)이 패널면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한 후, 그 중앙부분을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외측보강면(131) 및 제2절곡면(122)을 형성하며, 제1절곡면(121)이 형성되도록 절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면패널(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전면패널(100)과 결합되는 후면패널(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후면패널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갖는 방화문(A)은 전면패널(100)과 결합되는 후면패널(200)에 보강연결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연결부(220)는 전면패널(100)의 보강지지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후면패널(200)의 패널면부(210) 가장자리 중 일부를 절곡하여 연장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연결부(220)는 절곡형성된 가장자리의 일부를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하여, 겹겹의 구조로 구성한 다층접힘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연결부(220)는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면부(220)의 가장자리를 등간격으로 접어서 이퀄폴딩(Equal folding)부(2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등간격으로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방법을 이퀄폴딩방식이라고 한다.
다른 예로, 보강연결부(220)는 도 6의(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면부(220)의 가장자리를 절반씩 순차적으로 접어서 하프폴딩(Half folding)부(2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해당 부분을 절반씩 반복하여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방법을 하프폴딩방식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후면패널(200)의 보강연결부(220)가 이퀄폴딩방식 또는 하프폴딩방식에 의해 겹겹의 구조로 형성되면, 도 1의 'b'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연결부(220)의 종단부가 전면패널(100)의 제2절곡면(122)에 밀착되도록 하여, 전면패널(100)의 보강지지부(130)와 후면패널(200)의 보강연결부(22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강지지부(130)와 보강연결부(220)의 결합은 용접, 리벳팅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보강연결부(220)는 보강지지부(130)의 외측인 외측보강면(131)에 면접촉됨과 동시에, 제2절곡면(122)과 선접촉되면서 보강지지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갖는 방화문(A)은 방화문틀(F)에서 돌출되는 'a'부분과, 'a'부분에 연결되면서 전면패널(100)과 후면패널(200)이 결합되는 'b'부분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강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와 더불어 작업효율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방화문
100 : 전면패널
110 : 패널면부
120 : 단차부
121 : 제1절곡면 122 : 제2절곡면
130 : 보강지지부
131 : 외측보강면 132 : 내측보강면
133 : 연장면 134 : 지지면
200 : 후면패널
210 : 패널면부
220 : 보강연결부
221 : 이퀄폴딩(Equal folding) 222 : 하프폴딩(Half folding)

Claims (10)

  1. 방화문을 구성하는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방화문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어느 하나는,
    홑겹구조로 구성되며, 방화문을 형성하는 패널면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단차부; 및
    겹겹구조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중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져 형성된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패널면부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1절곡면; 및
    상기 제1절곡면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제2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상기 제2절곡면으부터 다른 일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측보강면 및 내측보강면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제1절곡면 및 제2절곡면이, 상기 패널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보강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보강면은,
    상기 제2절곡면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지지부의 내측보강면은,
    상기 외측보강면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측보강면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접혀진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절곡면과 상기 제2절곡면과 함께 패널면부의 가장자리에 사각형태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연장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면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어 패널면부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강지지부와 결합되는 보강연결부가 패널면부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한 다층접힘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이퀄폴딩(Equal folding)방식으로 다수 번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의 가장자리를 하프폴딩(Half folding)방식으로 접어서 밀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패널면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그 종단부가 상기 제2절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강지지부의 외측에 면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21636A 2017-09-21 2017-09-21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10209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36A KR102094062B1 (ko) 2017-09-21 2017-09-21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636A KR102094062B1 (ko) 2017-09-21 2017-09-21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77A KR20190033177A (ko) 2019-03-29
KR102094062B1 true KR102094062B1 (ko) 2020-03-26

Family

ID=6589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636A KR102094062B1 (ko) 2017-09-21 2017-09-21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20B1 (ko) * 2020-09-11 2021-09-06 노홍동 방화문
KR102371730B1 (ko) 2021-05-14 2022-03-04 백지영 개선된 방화문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87B1 (ko) * 2014-11-03 2016-04-11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자체 보강구조를 갖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67B1 (ko) 2006-02-15 2008-04-18 김정렬 모서리 보강재 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호프레임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와 그 제작방법
KR100954551B1 (ko) 2009-07-09 2010-04-23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둘레 장착용 테두리골조의 모서리 고정장치
KR20120094606A (ko) * 2011-02-17 2012-08-27 김형도 철판의 겹판절곡방법
KR101884503B1 (ko) * 2015-08-11 2018-08-01 오경옥 방화성이 향상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87B1 (ko) * 2014-11-03 2016-04-11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자체 보강구조를 갖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77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635B1 (ko) 다중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101491502B1 (ko)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2094062B1 (ko) 복합구조의 방화문 프레임 결합구조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101884503B1 (ko) 방화성이 향상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유닛
JP2012136928A (ja) サッシ
US9598858B2 (en) Thermal insulation panel
CN107949681B (zh) 具有辅助的铰链侧部卡接的门
KR20160071079A (ko) 방화문
JP6182349B2 (ja) 防火建具
CN106852049A (zh) 一种机柜框架用型钢
KR101707048B1 (ko) 방화문의 제조 방법
KR101413194B1 (ko)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JP2013199275A (ja) 車両用ドアサッシュ
JP6362743B2 (ja) 防火建具
KR102298520B1 (ko) 방화문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2531739B1 (ko) 구조보강프레임이 내장된 방화문
JP6914805B2 (ja) 建具
RU2394976C1 (ru) Теплозащитный противовзломный стеклопакет
JP2020076279A (ja) 防火ドア
KR100722763B1 (ko) 방범창용 가드바 및 그 제조방법
ITVI20120322A1 (it) Serramento ad elevata resistenza e sicurezza
CN211774760U (zh) 一种能快速装拆的墙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