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786B1 -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786B1
KR102093786B1 KR1020180064958A KR20180064958A KR102093786B1 KR 102093786 B1 KR102093786 B1 KR 102093786B1 KR 1020180064958 A KR1020180064958 A KR 1020180064958A KR 20180064958 A KR20180064958 A KR 20180064958A KR 102093786 B1 KR102093786 B1 KR 10209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nger
cuff
hard water
grip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809A (ko
Inventor
조근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행동 부자유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또는 조임 동작에 의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Grip strength generating apparatus for cervical segments of the cord patient}
본 발명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행동 부자유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또는 와이어 조임 동작에 의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32-3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에 해당하는 목척추(경추)가 7개, 등에 해당하는 흉추가 12개, 허리에 해당하는 요추가 5개, 엉덩이에 있는 천추가 5개, 마지막으로 꼬리뼈라 불리는 미추가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지며, 각 척추몸통과 몸통의 뒤쪽에 위치한 양측 척추 후궁에 의해 척주관이라는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 안에는 척수 등 신경조직이 안전하게 들어 있다.
척추 손상은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로 된 구조물인 척추체, 척추경, 척추후궁, 횡돌기 및 극상돌기 등의 골절과 척추를 지지하는 연부조직의 손상을 말하며, 척추 손상에 의한 신경 손상은 척수와 신경뿌리 손상으로 구분한다.
척수 손상은 크게 완전 척수 손상과 불완전 척수 손상 또는 부분 척수 손상으로 구분된다. 완전 척수 손상은 손상 받은 척수 이하 부위의 모든 척수기능을 잃어 운동 및 감각 능력이 전혀 없는 경우를 말한다.
사지마비와 하반신 마비의 구분은 손상 받은 척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경수 손상일 경우 사지마비가 되고, 경수 아래 부위일 때 하반신 마비가 된다.
이러한 척추 손상 중 예컨대, 경수(頸髓) 손상은 5번, 6번, 7번에 많이 발생하며,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경수 5번 손상 환자는 어깨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하고, 경수 6번 손상 환자는 손목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하며, 경수 8번 손상 환자는 사물은 잡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수 손상 환자 중 손목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한 경수 6번 손상 환자의 경우, 악력을 발생시켜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손에 착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이하 문헌 2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문헌 1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 형태의 외피; 상기 외피 상의 인체의 손가락 관절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연장된 와이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상기 외피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 중 개방(open) 움직임 또는 폐쇄(close)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인체의 손가락 관절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외골격형 글러브이다.
이러한 문헌1은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파지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장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를 가지는 동작 보조 장갑과 상기 동작 보조 장갑의 갑옷 측에 배치되어 상기 손가락 삽입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연재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된 선상 부재와 상기 장착자의 피부에 밀착시켜, 손가락을 동작시키기 위한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와, 그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에 따라 출력된 검출 신호(detecting signal)에 근거해 상기 구동부에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해 상기 선상 부재는 신장 동작 또는 굴곡 동작에 따라 신축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주름상자모양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통상체와, 그 통상체의 중공부에 삽통된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상체에 횡가된 횡가부재에 따라 나누어진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장가 되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평행으로 삽통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의 일단이 주방향이 다른 2점에 연결된 회 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회 동부재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중 한편을 끄는 것으로 상기 통상체를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신장 방향 또는 굴곡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이다.
이러한 문헌 2는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선상 부재를 손가락의 관절의 동작 방향으로 신장 또는 굴곡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2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손가락의 굴신 작용을 유도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지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경수 환자가 사용하는데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므로, 장치 자체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헌 1,2의 좀 더 상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명칭 : 골격형 글로브 ; 출원일: 2014년04월21일)
문헌2 :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명칭 :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 ; 출원일: 2009년04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행동 부자유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또는 와이어의 조임 동작에 의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위치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원위지대(11d)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이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을 유도하는 와이어(12);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13 ; Boa dial);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고, 상기 각 착용부위는 손바닥 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는 장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팔목대(11a)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각 손가락 끝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팔목대(12a)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 와이어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부분으로 핑거 와이어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12)를 수용하는 중공을 가지며 착용부(11)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12)의 신축 경로를 제공하는 중공체인 가이드부(14)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14)는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경수 6번 손상 환자가 착용부(11)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팔목을 상방으로 꺾었을 때 와이어(12)가 끌어당겨지면서 각 손가락 부분에 착용된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김으로써, 손가락 전체가 오므려지면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없는 경수 6번 손상 환자도 발생된 악력을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장치 또는 복잡한 구조 없이,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13)을 마련함으로써,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에 더하여, 손가락이 당겨짐으로 인해 악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신축다이얼(13)을 조여줌으로써, 악력이 발생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악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14)가 신축다이얼(13)에 인접한 위치에서 각 손가락 끝단에 이르도록 연장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되, 각 관절의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됨으로써, 상기 와이어(12)의 끌어 당겨지거나 풀리는 동작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보호함은 물론, 'V'컷팅된 부분이 절곡되더라도 와이어(12)를 누르면서 압박하지 않게 되므로 원활한 와이어의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팔목 굴신 작용에 의해 손가락이 당겨지는 것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팔목 굴신 작용에 의해 손가락이 당겨지는 것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위치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원위지대(11d)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이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을 유도하는 와이어(12);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13 ; Boa dial);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착용부(11)인 환형 밴드는 손바닥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팔목대(11a)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1)는 장갑 그 자체인 것일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와이어(12)는 팔목대(12a)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 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 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일 수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팔목대(11a)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일 수 있다.(미도시)
이때, 상기 5가닥의 와이어는 독립된 5개의 신축다이얼(13)에 각각 권취되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신축다이얼(13)은 버튼 잠김 상태에서는 클러치 구조에 의해 일방회전하면서 와이어(12)를 끌어당겨 조이고, 버튼 해제 상태에서는 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와이어(12)가 풀리도록 하는 클러치 다이얼(보아 다이얼(Boa Dial))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12)의 신축 경로를 제공하는 중공체인 가이드부(14)가 착용부(11)의 손바닥과 손가락 부분에 더 마련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상기에서 가이드부(14)는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융기부(15)는 경질로 이루어진 블록체가 착용부(11)에 접착 또는 재봉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착용부(11)와 동일 재질로 성형 또는 가공을 통해 동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15)는 최고점 부분에 와이어(12)가 정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경로(15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위치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원위지대(11d)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이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을 유도하는 와이어(12);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13 ; Boa dial); 을 포함하여서 된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1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착용부(11)인 환형 밴드는 손바닥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피부 호흡 내지 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팔목대(11a)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로서, 양단에 대응되는 벨크로파스너(매직테이프)가 마련되거나 고정클립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되면, 착용자의 팔목 굵기에 맞게 밀착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팔목 굴신 작용에 따라 느슨해질 수 있는 팔목 부분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용부(11)는 장갑 그 자체인 것도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되면, 땀 배출이 원활하지는 않으나 손 전체에 착용력을 유지하여 와이어(12)의 끌어당김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11)는 표면에 땀 배출을 위한 타공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되거나,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신출다이얼(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가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될 경우, 상기 와이어(12) 각각이 각 손가락을 독립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여 길이가 각각 다른 손가락마다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와이어(12)가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될 경우, 상기 와이어(12)가 손바닥 부분에 어수선하게 배열되지 않고 간결하게 배열되도록 함과 동시에, 끌어 담김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중 절곡되는 부위의 선단 부분 및 손바닥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에 의해 착용부(11)에 밀착된 상태로 끌어 당겨짐이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부(14)가 와이어(12)를 손가락 끝 부분에 위치한 원위지대(11d) 방향으로 정확히 유도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끌어당김이나 풀어짐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4)는 신축다이얼(13)에 인접한 위치에서 각 손가락 끝단에 이르도록 연장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되, 각 관절의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와이어(12)의 끌어 당겨지거나 풀리는 동작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보호함은 물론, 'V'컷팅된 부분이 절곡되더라도 와이어(12)를 누르면서 압박하지 않게 되므로 원활한 와이어의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와이어(12)의 움직임이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와이어(12)가 내부면에 배치될 경우,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파지하려는 사물에 간섭을 주거나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와이어(12)의 끌어당김에 대한 작용점을 손바닥으로부터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어(12)의 끌어 당겨지는 정도를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융기부(15)는 경질로 이루어진 블록체가 착용부(11)에 접착 또는 재봉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착용부(11)와 동일 재질로 성형 또는 가공을 통해 동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기부(15)는 최고점 부분에 와이어(12)가 정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경로(1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경로(15a)가 와이어(12)의 유동 즉, 좌우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정확한 끌어당김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의 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팔목이 하방으로 굽혀진 상태가 되도록 착용한다. 즉, 팔목대(11a)에 마련된 신축다이얼(13)을 기준으로 손바닥의 두터운 부분에 위치하는 융기부(15)와 근위지대(11b)와 중위지대(11c) 및 원위지대(11d)가 상대적으로 신축다이얼(13) 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7의 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을 상향으로 각도 조정하여 들어올리면, 상기 팔목대(11a)에 마련된 신축다이얼(13)을 기준으로 손바닥의 두터운 부분에 위치하는 융기부(15)와 근위지대(11b)와 중위지대(11c) 및 원위지대(11d)가 상대적으로 신축다이얼(13) 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신축다이얼(13)와 융기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다이얼(13)와 융기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그 넓어진 길이만큼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겨 손가락 관절이 접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악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경수 6번 손상 환자가 착용부(11)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팔목을 상방으로 꺾었을 때 와이어(12)가 끌어 당겨지면서 각 손가락 부분에 착용된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김으로써, 손가락 전체가 오므려지면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없는 경수 6번 손상 환자도 발생된 악력을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장치 또는 복잡한 구조 없이,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13)을 마련함으로써,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에 더하여, 손가락이 당겨짐으로 인해 악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신축다이얼(13)을 조여줌으로써, 악력이 발생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악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14)가 신축다이얼(13)에 인접한 위치에서 각 손가락 끝단에 이르도록 연장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되, 각 관절의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됨으로써, 상기 와이어(12)의 끌어 당겨지거나 풀리는 동작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보호함은 물론, 'V'컷팅된 부분이 절곡되더라도 와이어(12)를 누르면서 압박하지 않게 되므로 원활한 와이어의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11 : 착용부
11a : 팔목대 11b : 근위지대
11c : 중위지대 11d : 원위지대
12 : 와이어 13 : 고정부
14 : 가이드부 15 : 융기부
15a : 가이드경로

Claims (8)

  1.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에 착용하는 착용부;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의 팔목 하방에 위치하고, 타측 단은 착용부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원위지대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이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을 유도하는 와이어; 상기 팔목 하방에 위치하는 와이어 일측 단의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한편, 와이어를 감아서 조이거나 누름에 의해 풀어주는 신축다이얼; 을 포함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팔목과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만곡진 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팔목을 상향 절곡시켰을 때 상기 와이어의 끌어당김에 대한 작용점을 손바닥 보다 높게 위치시켜, 와이어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는 융기부;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중공을 갖는 중공체로서, 상기 착용부의 굴신 작용하는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의 신축 경로를 제공하는 한편, 굴신 작용하는 부위가 'V'커팅되어, 해당 부위가 굽혀졌을 때 와이어의 눌림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팔목대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 중위지대, 원위지대로 구분 착용되고, 상기 각 착용부위는 손바닥 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장갑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팔목대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5가닥의 와이어는 독립된 신축다이얼에 각각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팔목대에 마련되는 신축다이얼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 와이어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부분으로 핑거 와이어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4958A 2018-06-05 2018-06-05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10209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58A KR102093786B1 (ko) 2018-06-05 2018-06-05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58A KR102093786B1 (ko) 2018-06-05 2018-06-05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809A KR20190141809A (ko) 2019-12-26
KR102093786B1 true KR102093786B1 (ko) 2020-03-26

Family

ID=6910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958A KR102093786B1 (ko) 2018-06-05 2018-06-05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99B1 (ko) * 2020-05-12 2022-01-18 광주과학기술원 상지 건 고정 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9635A1 (en) 2014-12-12 2016-08-11 Harris Corporation Passive locking hand exoskelet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302A (ja) * 2005-06-23 2007-01-11 Toshiharu Yuda 指保護具
KR101256717B1 (ko) * 2010-09-30 2013-04-19 양람권 휴대용 마사지 장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9635A1 (en) 2014-12-12 2016-08-11 Harris Corporation Passive locking hand exoskelet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3749호(2012.4.9.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00302호(2007.1.11. 공개) 1부.*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4484687호(2015.7.22.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809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0046B2 (en) Flexible members for anchoring to the body
EP1901685B1 (en) Corset
CA2286959C (en) Thumb splint
CN109172265A (zh) 手指外骨骼机器人
JP2006015156A (ja) 医療用膝包帯
US10092440B2 (en) Compression belts for selective chest compression following thoracic and cardiothoracic surgery and for selective abdominal compression following abdominal surgery
US11672721B2 (en) Motion assisting apparatus
US20190364990A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US10368594B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KR102058848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102093786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US20170065448A1 (en) Brace for protecting a region of a limb
KR102540561B1 (ko) 정형 외과 보조용 안정화 로드
JP6924056B2 (ja) 衣類
JP6978012B2 (ja) 肩甲上腕関節外転装具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US10973672B2 (en) Compression belts for selective chest compression following thoracic and cardiothoracic surgery and for rib fracture stabilization
EP1674054B1 (en) Functional glove for the hand of a disabled person
JP2526250Y2 (ja) 股関節部緊締バンド
JP6949308B2 (ja) 矯正用締め付け腰ベルト及びその締め付け方法
KR20220165125A (ko) 파지력 유지 장갑
JP3218221U (ja) たすきベルト
JP2007169861A (ja) 膝サポータおよび膝サポータ用補助ベルト
JP2017029345A (ja) 頸椎牽引装具
CN114767367A (zh) 一种用于臂丛神经损伤的术后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