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772B1 -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772B1
KR102093772B1 KR1020157017663A KR20157017663A KR102093772B1 KR 102093772 B1 KR102093772 B1 KR 102093772B1 KR 1020157017663 A KR1020157017663 A KR 1020157017663A KR 20157017663 A KR20157017663 A KR 20157017663A KR 102093772 B1 KR102093772 B1 KR 10209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witch
detectors
electrical
signal
protectiv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026A (ko
Inventor
마르코 피자토
쥬세페 피자토
Original Assignee
피자토 엘레트리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자토 엘레트리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피자토 엘레트리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5010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1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 H01H3/16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or lid associated with a hinge of the clos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계류 또는 자동화 공장의 보호 장벽(B)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가 보호 장벽(B)의 정지부(M)에 고정되며, 종축(L)과 한 쌍의 축방향 단부 구멍(3,4)을 갖는 박스형 고정부재(2), 보호 장벽(B)의 축회전부(P)에 고정되며, 고정부재(2)로부터 연장되고 축방향 단부 구멍(3,4)을 중심으로 축회전되는 한 쌍의 횡 아암(6,7)을 갖는 가동 부재(5), 예정된 회전각도(α)에서 보호 장벽(B)의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S)를 스위칭하며 박스형 고정부재(2) 내에 위치되는 전기 검출 수단(8)을 포함한다. 한 쌍의 원통형 핀(9,10)이 상기 횡 아암(6,7)에 외팔보 방식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방향 단부 구멍(3,4)에 삽입되어 축회전한다. 핀(9,10)은 그 사이에 어떠한 축방향 연결부재도 갖지 않는 갭(13)을 형성하는 상호 이격된 대향 단부(11,12)를 갖는다. 상기 전기 검출 수단(8)은 한 쌍의 검출기(14,15)를 포함하되, 각 검출기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상호작용하고 각각의 회전각도(α,α')를 갖는다. 상기 검출기(14,15)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Description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MUTIPLE SIGNALING HINGED SAFETY SWITCH FOR MOBILE PROTECTION BARRIEER}
본 발명은 전기안전장치 분야 사용을 위한 것으로, 특히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 스위치는 보호 장벽(protection barrier)에 의해 한정되며, 위험물질, 기계적 가동부 및/또는 동력장치를 보유하는 영역으로의 인적 접근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힌지식 안전 스위치(hinged safety switch)는 보호 장벽의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된 케이싱과 보호 장벽의 도어에 연결되도록 된 가동형 부재를 갖는다.
케이싱은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들이 고정부에 대한 가동부의 회전시 개방 및/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전기접점 유니트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보호 장벽의 가동부가 안전회로에서의 신호의 검출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보호 장벽의 개방 및/또는 폐쇄의 함수로서 복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힌지식 안전 스위치가 관련업계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복수 신호의 발생은 스위치의 설치 유연성을 배가시키며 스위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복수 신호의 발생이, 전기 유니트의 접점들의 오작동에 의해 또는 접점들 사이에 형성되는 순간적인 전기 아크에 기인한 접점들의 명멸(flickering)에 의해 초래된, 잘못된 보호 장벽-개방 및/또는 보호 장벽-폐쇄 신호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보호 장벽 개방 및/또는 폐쇄와 관련한 복수 신호의 발생은 발전소 분야 및 안전을 규율하는 표준규격에 의해 요구되는 것이 보통이다.
2개의 구별되는 전기 접점 유니트를 수용하는 힌지식 전기장치가 이러한 종류의 안전 스위치를 제조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GB2150757호는 가동부가 축회전하는 중앙 핀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기 접점 유니트를 포함하는 힌지식 스위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유니트는 케이싱과 일체로된 제1 부분과, 외부 안전회로에 연결되며 2쌍의 나사에 의해 스위치의 가동부에 부착되는 제2 부분을 갖는다.
보호 장벽이 개방 및/또는 폐쇄될 때, 각 유니트의 부분들은 핀에 대해 상호 축회전하도록 되며, 따라서 전기 접점들이 스위치 된다.
이렇게 하여, 보호 장벽이 개방 및/또는 폐쇄될 때, 2개의 복수 전기신호가 접점 유니트와 관련된 전기안전회로에 발생된다.
이러한 힌지식 장치는 보호 장벽의 개방 또는 폐쇄의 함수로서 복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나, 여전히 단점들을 갖고 있다.
제1 단점은 각 접점 유니트의 전기관련 부분들이 나사를 통해 가동부에 연결되며, 이는 스위치의 전체적인 안전성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실제로, 나사들이 제거 또는 부러지면, 스위치의 가동부는 중앙 핀을 중심으로 고정된 케이싱에 대해 여전히 축회전할 수 있으나 전기접점들이 상호에 대해서도 축회전하도록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나사 손상시, 작업자는 보호 장벽에 의해 한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며, 보호 장벽이 개방 또는 폐쇄될 때, 안전회로와 관련한 전기신호에서의 변화는 없을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이러한 스위치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것으로, 스위치가 많은 부품들과 상대적으로 긴 조립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는 핀 관통용 중앙공을 갖는 접점 유니트의 사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접점 중 제한된 군에서 선택해야만 한다.
또 다른 중대한 단점은 중앙 핀의 손상 시 가동부가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으로, 이는 스위치를 쓸모없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효율적이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보호 장벽의 개방 및/또는 폐쇄의 함수로서 이중의(redundant)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하고 높은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하기 쉬운 소수의 부품들을 갖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안전장치에 관한 현재의 표준규격, 특히 스위치가 등급 4, PLe 및 SIL3로 분류되도록 하는 표준규격 EN ISO 13489-1 및 IEC 62061에 맞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통용되는 다양한 전기접점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규정된 바와 같은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에 의해 달성되며, 이 스위치는 한 쌍의 축방향 단부 구멍이 위치되는 종축을 가지며 보호 장벽의 정지부에 고정되는 박스형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축방향 단부 구멍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한 쌍의 횡 아암을 갖는 보호 장벽에 고정되는 이동부재, 및 예정된 회전 각도에서 상기 보호 장벽의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박스형 부재 내에 위치되는 전기검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횡 아암에 외팔보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단부 구멍에 축회전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원통형 핀을 가지며, 이 핀은 그 안에 어떠한 축방향 연결부재도 갖지 않는 갭을 형성하는, 상호 이격된 대향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기검출수단은 상기 갭 내에 위치되며 한 쌍의 검출기로 구성되되, 각 검출기는 각 핀의 단부와 상호작용하며 각각의 회전 각도를 가지며, 한 쌍의 검출기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독립항에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의 바람직한, 비배타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보호 장벽이 설치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스위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기계식 검출기를 갖는 안전 스위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전자식 검출기를 갖는 안전 스위치 변형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면 VI-VI에서 본, 도 3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부분학대 사시도이다.
도 8은 광학식 검출기를 갖는 안전 스위치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면 X-X에서 본, 도 4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전자식 검출기를 갖는 안전 스위치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근접 센서를 갖는 안전 스위치 변형예의 상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로 표시된 본 발명의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는 기계장치 및 자동화 공장의 안전을 위한 보호 장벽(B)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힌지식 스위치(1)는 위험물질 창고 또는 건축부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보호 장벽(B)에 의해 한정된 감시영역으로 작업자가 접근하였다는것을 경고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장벽(B)은 기계장치 또는 바닥에 고정되는 정지부(M)와, 정지부(M)에 연결되며 작업자에 의한 접근을 허용하는, 패널 또는 도어와 같은, 가동부(P)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1)는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 장벽(B) 가동부(P)의 개방 및/또는 폐쇄의 함수인, 적당한 전기신호(s)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1)는 실질적으로 박스형인 고정부재(2)를 포함하며, 고정부재는 보호 장벽(B)의 정지부(M)에 고정되며 한 쌍의 축방향 단부 구멍(3,4)이 위치되는 종축(L)을 갖는다.
또한, 가동부재(5)가 제공되되, 가동부재는 보호 장벽(B)의 축회전 가동부(P)에 고정되며, 고정부재(2)의 외측에 위치되고 축방향 단부 구멍(3,4)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한 쌍의 횡 아암(6,7)을 갖는다.
스위치(1)는 박스형 부재(2) 내에 위치되며 보호 장벽(B)의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S)를 예정된 회전각도(α)에서 스위치시키는 전기검출수단(8)을 포함한다.
스위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안전회로(S)와의 연결을 위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입력과, 역시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서, 스위치(1)는 횡 아암에 외팔보 방식으로 고정되며 단부 구멍(3,4)에 축회전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핀(9,10)을 포함한다.
핀(9,10)은 상호 이격된 대향 단부(11,12)를 가지며, 이들 단부는 공간 또는 갭(13)을 형성하되 이 갭에는 어떠한 축방향 연결부재도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검출수단(8)은 한 쌍의 검출기(14,15)를 포함하되, 각 검출기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상호작용하며 각각의 회전각도(α,α')를 갖는다.
검출수단(8)은 갭(13)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검출기(14,15)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각각의 회전각도(α,α')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호 조합으로 또는 상호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회전각도(α,α')는 각 핀(9,10)의 회전각과 일치할 수 있으며 검출기(14,15)는 같거나 다른 회전각도(α,α')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회전각도(α,α')를 갖는 검출기(14,15)는 각 전기안전회로(S)가 예정된 지연(delay)으로 폐쇄 및/또는 개방되도록 할 것이다.
한편, 검출기(14,15)는 실질적으로 지연이 없도록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각도(α,α')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검출기(14,15)는 보호 장벽(B)의 움직임과 관련된, 전기안전회로(S)에 독립적이며 이중의(redundant)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것이다.
이러한 이중 신호(s)의 발생은 스위치(1)에 의한 보호 장벽(B) 가동부(P)의 개방 및/또는 폐쇄위치의 특히 안전한 결정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각 핀(9,10)의 독립된 축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한 쌍의 이중의 전기신호(s) 발생은, 핀(9,10)의 하나에서 또는 가동부재(5)의 횡 아암(6,7) 중 하나에서 비정상이 발생할 때에도, 스위치가 완전한 기능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1)는 핀(9,10)의 하나 또는 횡 아암(6,7)의 하나가 사고로 부러졌거나 횡 아암(6,7)이 핀(9,10)을 중심으로 축회전하지 않을 때에도 보호 장벽(B)의 축회전 가동부(P)가 개방 및/또는 폐쇄되는 적절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14,15)는 기계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식 검출기(140,150)는 마이크로스위치, 릴레이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갭(13)은, 종축(L)을 따라 위치되며 예정된 거리(d)로 이격된 상호 마주보는 저면(160,170)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기계식 검출기(140,15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각 기계식 검출기(140,150)는 검출기(140,150)의 상면(220,230)으로 돌출하는 단부(200,210)를 갖는, 종축방향(X,X')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80,1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80,190)의 병진운동은 검출기(140,150)의 고정 접점들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할 것이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환상인 액츄에이터(16,17)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각 검출기(140,150) 사이에 위치되며, 검출기(140,150)와 상호작용하는 단부 벽(18,19)을 갖는다.
특히, 액츄에이터(16,17)는 핀(9,10)의 회전운동을 단부 벽(18,19)의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단부 벽(18,19)은 핀(9,10)의 상응하는 단부(11,12)의 회전시 축방향 병진을 초래하도록 각 슬라이더(180,190)의 돌출 단부(200,210)와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각 액츄에이터(16,17)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의 회전운동을 단부 벽(18,19)의 병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전방 캠 수단(20,2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캠 수단(20,21)은 원동절(push cam)(24,25)을 형성하는, 특정 형상의 제1 전방 벽(22,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캠 수단(20,21)은 원동절(24,25)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종동절(cam follower)(28,29)을 형성하는, 제1 전방 벽(22,23)을 마주보며 상보적 형상의 제2 전방 벽(26,27)를 포함할 수 있다.
핀(9,10)의 대향 단부(11,12)의 회전은 제1 전방 벽(22,23)과 제2 전방 벽(26,27)의 상대적인 회전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회전 동안 원동절(24,25)은 마주보는 종동절(28,29)에 축방향 힘을 가하여 종축 방향(X,X')의 병진운동을 초래할 것이다.
종동절(28,29)은 액츄에이터(16,17)의 단부 벽(18,19)과 연관되어서 핀(9,10)의 회전 동안 슬라이더(180,190)의 축방향 병진운동을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치(1)는 회전각도(α,α')를 조절하기 위해 핀(9,10)에 대한 단부 벽(18,19)의 각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액츄에이터(16,17)와 핀(9,10) 사이에 위치되는 조절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7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수단(30)은 액츄에이터(16,17)와 동축상이며,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평탄면을 갖는 환상 부재(3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평탄면은 단일의 환상 부재(33)로서 원주(C)를 따라 배열되는 일련의 축방향 돌기(35)를 포함한다.
축방향 돌기(35)는 원주(C)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돌기(35)는 핀(9,10)의 횡 단부 면(36,37)에 형성되는, 미도시된, 상응하는 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전각도(α,α')의 조절 중에, 일련의 축방향 돌기(35)는 핀(9,10)의 자유회전을 허용하도록 상응하는 홈과 분리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는 핀(9,10)이 해당 액츄에이터(16,17)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면서 원하는 회전각도(α,α')를 얻기 위한 조정 동안 핀(9,10)을 회전할 수 있다.
회전각도(α,α')를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6,17)와 조정수단(30)은 관련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회전각도(α,α')를 조정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6,17)와 조정수단(30)은 이탈리아 특허 제13621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는 광학방식 검출기(141,151)이거나, 도 4,5 및 도 10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및/또는 전자기 방식 검출기(142,152)일 수 있다.
광학방식 검출기(141,151), 전기 및/또는 전자기 방식 검출기(142,152)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관련된 가동부(240,250)와 이 가동부(240,250)와 상호작용하며 박스형 고정부재(2)에 고정되는 센서(260,27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식 검출기의 가동부(240,250)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에 형성되는 디스크(180,290)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센서(260,270)는 LED 방식 등의, 미도시된 광원과,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빔을 검출하도록 된 수광기(300,3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280,290)는 광원과 수광기(300,310) 사이에 위치되며, 광원에 의해 발생된 빔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20)을 포함할 수 있다.
빔이 관통공(320)을 통과하면, 수광기(300,310)는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빛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하도록 허용될 것이다.
특히, 빔은 해당 핀(9,10)의 대향 단부(11,12)가 회전각도(α,α')와 같은 각도를 회전할 때만 검출될 수 있다.
이 조건에서, 광학방식 검출기(141,151)는 전기안전회로(S)로 보내질 하나 이상의 전기신호를 발생할 것이다.
도 4,5 및 도 10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기 방식 검출기(142,152)는, 예를 들면, 각위치 변환기(angular position trnasduc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이들 검출기의 가동부(240,250)는 센서(360,370)에 의해 발생된 전기 및/또는 자기장을 변화시키기 위해 일정한 각도로 이격된 그루브(groove)(350)를 갖는 환상부(330,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그루브(350)는, 도 4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9,10)의 전방 주연 단부(40,4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센서(360,370)는 핀(9,10)의 횡 단부 면(36,37) 앞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그루브(350)가 핀(9,10)의 축방향 주연 단부(42,43)에 형성되고 센서(360,370)가 핀(9,10)에 평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기 및/또는 전자기 방식 검출기(142,152)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그루브는, 도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9,10)의 전방 주연 단부(40,41) 및 축방향 주연 단부(42,43) 양자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360,370)의 고정부는 핀(9,10)의 전방 및 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계식 검출기(140,150), 광학식 검출기(141,151), 전기 및/또는 전자기식 검출기(142,152)는 사용 슬라이더와 센서의 타입, 접점의 수, 작동 모드 또는 전류 전달 용량에서 전술한 것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스위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수단(8)과 연관된 전자 처리 유니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검출기(14,15)에 의한 총 회전수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제어신호(Sc)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기계식 검출기(140,150)의 접점 또는 광학식 검출기(141,151) 및 전기식 검출기(142,152) 각각의 센서(300,310,360,370)와 연관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예정된 총 회전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예정된 시간 간격 내에서 검출기(14,15)에 의해 실행된 총 전환 수(overall number of commutaions)를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검출된 전환 수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참조 값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Sc)를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스위치(1)가 예정된 공장-사전결정된 값과 같은 총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제어신호(Sc)를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지역 방식, 즉 박스형 고정부재(2)에 수용되거나, 원격방식, 즉 전기안전회로(S)와 연관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핀(9,10)에 의해 결정되는 각 위치에 따른 전기 파라메터를 갖는, 부가적인 전기신호를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는 검출 수단(8)의 작동과 연관된 데이터(D)를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D) 및 부가적인 전기신호는 디지털 방식이며, 스위치(1)는 이 디지털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전자식 연결 버스(electronic connection bus)를 통해 중앙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한, 미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갭(13)에 수용할 수 있다.
전자 처리 유니트(44)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통합장치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반도체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안전회로(S)에 연결된 부가적인 안전장치와 처리 유니트(44)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처리 유니트(44)는 검출기(14,15)의 접점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D)를 부가적인 안전장치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안전장치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에 따라 접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유니트(44)는, 파장 및/또는 강도가 정지부(M)에 대한 보호 장벽(B)의 축회전부(P)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빛을 방출하는, LED의 어레이(46)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9,10)과 상호작용하는, 같은 타입의 한 쌍의 검출기(14,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구성으로, 스위치(1)는 각 핀(9,10)과 상호작용하는, 다른 타입의 한 쌍의 검출기(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검출기(14,15)의 타입은 안전회로(S)의 특정 구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스위치(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가적인 근접센서(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근접센서는 고정부재(2)와 연관된 수동부재(47)와 가동부재(5)에 고정된 익사이터(exciter) 부재(48)를 갖는다.
근접센서(46)는 스위치(1)의 고정부재(2)와 가동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d1)의 함수로서의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접센서(46)는 홀 효과(Hall effect)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근접센서(46)는 검출기 중 하나 대신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근접센서(46)는 고정부재(2)와 가동부재(5) 사이의 거리(d1)에 따라 안전회로(S)를 작동/비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및/또는 비작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처리 유니트(44)는 근접회로(46)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며, 고정 부재(2)와 가동 부재(5) 사이의 거리(d1)가 예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출력으로부터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거리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처리 유니트는 검출기(14,15)의 작동 및 이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안전회로(S)로의 전송을 허용할 것이다.
상기의 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며, 극히 안전하고 다양한 용도의 힌지식 안전 스위치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힌지식 안전 스위치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술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상이한 요구에 따라 재료가 변경될 수 있으며 모든 구성들이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인 구성으로 대치될 수 있다.
힌지식 안전 스위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참조번호로 기술되었으나, 참조번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으로 청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11)

  1. 보호 장벽(B)의 정지부(M)에 고정되며, 종축(L)과 한 쌍의 축방향 단부 구멍(3,4)을 갖는 박스형 고정부재(2), 보호 장벽(B)의 축회전부(P)에 고정되며, 고정부재(2)로부터 연장되고 축방향 단부 구멍(3,4)을 중심으로 축회전되는 한 쌍의 횡 아암(6,7)을 갖는 가동 부재(5), 예정된 회전각도(α)에서 보호 장벽(B)의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회로(S)를 스위칭하며 박스형 고정부재(2) 내에 위치되는 전기 검출 수단(8)을 포함하는, 기계류 또는 자동화 공장의 보호 장벽(B)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에 있어서,
    안전 스위치가 상기 횡 아암(6,7)에 외팔보 방식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방향 단부 구멍(3,4)에 삽입되어 축회전하는 한 쌍의 원통형 핀(9,10)을 포함하되, 이 핀(9,10)은 그 사이에 어떠한 축방향 연결부재도 갖지 않는 갭(13)을 형성하는 상호 이격된 대향 단부(11,12)를 가지며, 상기 전기 검출 수단(8)은 한 쌍의 검출기(14,15)를 포함하되, 각 검출기는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상호작용하고 각각의 회전각도(α,α')를 가지며, 상기 검출기(14,15)는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8)이 상기 갭(13)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14,15)가 기계식 검출기(14,15), 전기 또는 전자기식 검출기(142,152), 및 광학식 검출기(141,151)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환상의 액츄에이터(16,17)가 상기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각 기계식 검출기(140,150)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6,17)가 기계식 검출기(140,150)와 상호작용하는 단부 벽(18,19)을 가지며 상기 핀(9,10)의 회전운동을 단부 벽(18,19)의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안전 스위치가 상기 핀(9,10)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16,17)의 단부 벽(18,19)의 각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16,17)와 각 핀(9,10)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각도(α,α') 조절수단(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30)이 상기 액츄에이터(16,17)와 동축인 환상 부재(31,32)를 포함하되, 환상 부재(31,32)는 환상부재의 원주(C)를 따라 배열되며 상기 핀(9,10)의 횡 단부 면(36,37)에 형성된 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일련의 축방향 돌기(35)를 갖는 평탄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식, 전기 또는 전자기식 검출기(141,151; 142,152)가 각 핀(9,10)의 대향 단부(11,12)와 연관된 가동부(240,250)와, 이 가동부(240,250)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박스형 고정부재(2)에 고정되는 센서(260,2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9. 제 1항에 있어서, 안전 스위치가 상기 검출기(14,15)에 의해 실행된 전환 회수(the number of commutaions)에 따라 변화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검출수단(8)과 연관된 전자 처리 유니트(4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처리 유니트(44)가 상기 검출수단(8)의 작동과 연관된 데이터(D)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안전 스위치가 상기 박스형 고정부재(2)와 연관된 수동부재(47), 및 가동부재(5)에 고정된 익사이터 부재(48)를 갖는 근접센서(46)를 포함하되, 근접센서(46)는 상기 박스형 고정부재(2)와 가동부재(5)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d1)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KR1020157017663A 2012-12-28 2013-12-23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KR102093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344A ITVI20120344A1 (it) 2012-12-28 2012-12-28 Interruttore di sicurezza a cerniera a segnalazione multipla per barriere di protezione mobili
ITVI2012A000344 2012-12-28
PCT/IB2013/061270 WO2014102704A1 (en) 2012-12-28 2013-12-23 Multiple signaling hinged safety switch for mobile protection barri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026A KR20150103026A (ko) 2015-09-09
KR102093772B1 true KR102093772B1 (ko) 2020-03-27

Family

ID=4768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663A KR102093772B1 (ko) 2012-12-28 2013-12-23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36684B2 (ko)
EP (1) EP2815412B1 (ko)
KR (1) KR102093772B1 (ko)
CN (1) CN104185887B (ko)
BR (1) BR112014024128B1 (ko)
IT (1) ITVI20120344A1 (ko)
WO (1) WO2014102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4533B2 (en) 2016-03-10 2019-0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inge
CH717983B1 (de) * 2020-10-20 2023-11-30 Sitter Christian Scharnier für Türen oder Fens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0757A (en) * 1983-11-21 1985-07-03 Cheng Chao An Combined hinge and electric switch assembly
CN1904458A (zh) * 2005-07-29 2007-01-31 皮扎托电气有限公司 用于自动设备和机械的可应用在事故防护板上的设有铰链的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857A (en) * 1975-07-24 1978-01-03 Stanley Works Switch activating hinge having reciprocating cam follower switch actuator
US4049934A (en) * 1976-07-30 1977-09-20 Lawrence Brothers Inc. Security hinge having adjustable cam operator and reciprocable cam follower actuated switch
US4802605A (en) * 1987-04-02 1989-02-07 Gmi Engineering & Management Institute Hinge for cable routing
DE29902528U1 (de) * 1999-02-16 1999-05-27 Klöckner-Moeller GmbH, 53115 Bonn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r beweglichen Schutzeinrichtung mit Sicherheitsschalter und Scharnier
DE102005046082A1 (de) * 2005-09-26 2007-04-12 Bernstein Ag Schaltscharnier
ITVI20120345A1 (it) * 2012-12-28 2014-06-29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elettronico di sicurezza a cerni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0757A (en) * 1983-11-21 1985-07-03 Cheng Chao An Combined hinge and electric switch assembly
CN1904458A (zh) * 2005-07-29 2007-01-31 皮扎托电气有限公司 用于自动设备和机械的可应用在事故防护板上的设有铰链的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5412B1 (en) 2016-04-13
CN104185887A (zh) 2014-12-03
WO2014102704A1 (en) 2014-07-03
BR112014024128B1 (pt) 2021-01-12
KR20150103026A (ko) 2015-09-09
EP2815412A1 (en) 2014-12-24
ITVI20120344A1 (it) 2014-06-29
CN104185887B (zh) 2017-10-03
US20150022027A1 (en) 2015-01-22
US9536684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923B1 (en) Switching arrangement
EP2850628B1 (en) Hinged electronic safety switch
US5880954A (en) Continous real time safety-related control system
KR20160096098A (ko)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US7834280B2 (en) Safety switch
KR102093772B1 (ko) 가동형 보호 장벽용 힌지식 복수신호 안전 스위치
CA2604373C (en) Control unit with a monitoring apparatus
EP2006870B1 (en) Safety switch
JP5195855B2 (ja) スイッチ
US11454348B2 (en) Interlocking device
WO2012073530A1 (ja) スイッチ
IT201600096401A1 (it)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rilevamento della corsa del meccanismo di sblocco
JPH076666A (ja) 開閉位置検出装置
EP2590197B1 (en) Magnetic sensor designed to operate with a corresponding magnet and magnetic contact comprising said magnetic sensor and corresponding magnet
JP4677347B2 (ja) 遮断器の操作器
JPH01227312A (ja) 開閉装置
JPH0451417A (ja) スイッチ機構
ITVI20010056A1 (it) Interruttore ottico di posizione
JPH08195714A (ja) 光警報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