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12B1 -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12B1
KR102093512B1 KR1020190067861A KR20190067861A KR102093512B1 KR 102093512 B1 KR102093512 B1 KR 102093512B1 KR 1020190067861 A KR1020190067861 A KR 1020190067861A KR 20190067861 A KR20190067861 A KR 20190067861A KR 102093512 B1 KR102093512 B1 KR 10209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spindle
pair
shaft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KR102019006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수문 양측의 인상과 하강 동조가 가능한 수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문 구조물은, 유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3)을 구비하는 유압모터(41), 제1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문의 일측을 승강시키며 상기 유압모터(41)의 동력을 제3감속기(48)에 전달하는 제2감속기(44) 및 제2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제2감속기(44)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문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제3감속기(4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Flood Gate System Using Hydraulic Motor}
본 발명은 수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수문 양측의 인상과 하강 동조가 가능한 수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문은 수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조물로서, 수문과, 수문이 승강하는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프레임과, 수문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수문의 원활한 승강을 위해 수문의 양측에 승강 동력이 전달되는데, 이러한 승강 동력은 수문 양측의 승강이 동조하도록 전달되어야 한다.
수문의 승강을 위한 구동부로서는, 체인구동, 유압실린더,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문 구조물은 구동부와 동력전달부가 물과 이물질에 노출될 수 있어 이들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부가되는데, 체인구동, 유압실린더, 유압식 액추에이터 방식의 구동부를 수문 양측에 동조하면서 이물질 침투 방지 구조를 부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런 연유로, 종래의 수문 구조물은 동력계의 구조가 복잡할 수밖에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523818호 등록특허공보 제891552호 등록특허공보 제12785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문의 승강 동조가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수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계에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간단하게 차단할 수 있는 수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로구조물(7)의 수로 출구(72)에 설치되어 수로 출구(72)를 개폐하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수문 구조물(1)을 제공한다.
상기 수문 구조물(1)은, 적어도 상기 수로 출구(72)를 덮는 크기의 수문(30); 상기 수문(3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기둥부재(12)를 포함하는 수문 프레임(10); 및 상기 수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구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구동부(40)는: 구동장치로서, 유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3)을 구비하는 유압모터(41);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중 제1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제2입력축(442)을 통해 상기 유압모터(41)의 회전력을 제2회전속도로 전달받고, 제2출력축(444)을 통해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속도로 출력하며, 제1승강출력축(443)을 통해 상기 제2회전속도보다 감속된 제3회전속도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2감속기(44);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중 제2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제3입력축(482)을 통해 상기 제2출력축(444)의 회전력을 제2회전속도로 전달받고, 제2승강출력축(483)을 통해 상기 제3회전속도로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3감속기(48); 상기 제2출력축(444)의 회전력을 상기 제3입력축(48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샤프트(46); 상기 제1측 기둥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함께 상기 제3회전속도로 회전하고, 하단부가 상기 수문(30)의 제1측에 고정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1스핀들(491); 및 상기 제2측 기둥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과 함께 상기 제3회전속도로 회전하고, 하단부가 상기 수문(30)의 제2측에 고정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스핀들(492);을 포함한다.
상기 수문 프레임(10)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바닥부재(11); 및 측방으로 연장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중간빔(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1),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및 상기 중간빔(13)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가 상기 수로 출구(72)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에는 'ㄷ'자 단면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22)이 설치되고, 상기 수문(30)의 양측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22)에 각각 수용되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핀들(491)과 상기 제2스핀들(492)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22)의 'ㄷ'자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핀들(491)과 상기 제2스핀들(49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한 쌍의 신축관(493)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신축관(493)의 상단부는,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신축관(493)의 하단부는, 상기 수문(3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암스크류부재(3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문(3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34)가 마련되고, 상기 암스크류부재(35)는 상기 중공부(3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은 상기 암스크류부재(35)를 통해 상기 암스크류부재(35)의 하부에서 상기 중공부(34)에 수용되거나 상기 중공부(34)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즉 한 쌍의 스핀들은 신축관과 수문의 중공부에 의해 외부로부터 확실히 격리된 환경 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서, 상기 제2입력축(442)과 상기 제2출력축(444)과 상기 제3입력축(482)은 m개의 치를 가지는 제1베벨기어(81)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서,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은 m개보다 많은 n개의 치를 가지는 제2베벨기어(8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2출력축(444)의 제1베벨기어(81)는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의 제2베벨기어(82)와 맞물리고, 상기 제3입력축(482)의 제1베벨기어(81)는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의 제2베벨기어(82)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는, 상기 기둥부재(12)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조립체(60)를 통해 상기 기둥부재(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부재(61);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제1측과 제2측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재(63);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지지면부재(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 슬라이드가 가능한 슬라이더(64); 및 상기 슬라이더(64)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를 연결하는 커버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부재(61)는 상기 기둥부재(12)에 고정되고, 상기 제2감속기(44)와 제3감속기(48)는 상기 슬라이더(6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상부는 연결빔(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부근에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를 지지하여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의 처짐을 방지하는 축수부재(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축수부재(51)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수용부재(511); 및 상기 샤프트수용부재(511)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빔(5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계 구조를 가지는 수문 구조물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수문의 승강 동조가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문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로 구동계에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과 도 2는 수로구조물에 본 발명의 수문 구조물이 적용된 상태에서 수문이 닫혀 있는 상태와 열려 있는 상태를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문 구조물을 수로구조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수문 프레임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수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수문 프레임의 기둥부재의 상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수문과 개폐구동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수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개폐구동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개폐구동부의 제1감속기와 제2감속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력전달샤프트의 처짐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개폐구동부의 제3감속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구동 계통의 간략도이다.
도 16은 제2감속기와 제3감속기가 거치되는 슬라이더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슬라이더 조립체가 수문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수문을 개방하였을 때 물이 배출되는 방향,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 상방은 수문을 개방할 때 수문이 상승하는 방향, 하방은 수문을 닫을 때 수문이 하강하는 방향, 제1측방은 상기 전후방 및 상기 상하방과 모두 수직을 이루는 방향, 그리고 제2측방은 제1측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수문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문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실시예의 수문 구조물(1)은 수로구조물(7)에 설치된다. 수로구조물(7)은 물이 흐르는 통로가 되는 수로(71)와, 상기 수로(71)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로(71)를 흐른 물이 배출되는 수로 출구(72)를 구비한다.
상기 수문 구조물(1)은 상기 수로구조물(7)의 수로 출구(72)에 설치된다. 상기 수문 구조물(1)은 상기 수로 출구(7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수로(71)를 흐르는 물의 배출을 제어한다.
상기 수문 구조물(1)은 상기 수로 출구(7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수문(30), 상기 수문(30)을 지지하고 상기 수문(30)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수문 프레임(10), 및 상기 수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30)의 개폐동작을 일으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구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수문 프레임(10)은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수문(30)이 상기 수문 프레임(10)의 하단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수문(30)은 상기 수로 출구(72)를 폐쇄한다. 상기 수문(30)이 상기 수문 프레임(10)의 상단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수문(30)은 상기 수로 출구(72)를 완전히 개방한다.
상기 수문(30)의 크기는 상기 수로 출구(72)의 단면적과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수문 프레임(10)의 높이는 대략 상기 수문(30)의 높이의 2배일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40)는 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문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수문 프레임]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수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한다.
수문 프레임(10)은 상기 수문(3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기둥부재(12)와,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부재(11)와,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중간빔(13)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는 서로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재(11)는 측방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도면에는 상기 바닥부재(11)가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상기 중간빔(13)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중앙부를 고정한다.
상기 기둥부재(12)와 바닥부재(11)와 중간빔(13)은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높이는 상기 중간빔(13)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상하로 2등분 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1),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및 상기 중간빔(13)에 의해 규정되는 직사각형 내지 정사각형 형태의 개구는, 상기 수로 출구(72)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수문 구조물(1)은, 그 개구가 상기 수로구조물(7)의 수로 출구(72)와 일치하도록 상기 수로구조물(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에는 가이드레일(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ㄷ'자 단면의 형강이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재(12)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의 'ㄷ'자 형강의 개방부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수문(3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에 수용되고, 상기 수문(30)은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수문(30)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의 폭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문(30)은 상기 가이드레일(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중간빔(13)은 상기 가이드레일(22)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후방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중간빔(13)의 앞면에는 상인방부재(23)가 설치된다. 상인방부재(23)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을 가리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22)에 각각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인방부재(23)는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1)의 상부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2)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인방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인방부재(21)는 형강일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11)에 매립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바닥부재(11)의 상부면은 상기 수문(30)의 하단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의 내면 중 전방의 내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일웨지(221)가 마련된다. 상기 레일웨지(221)는 상기 수문(30)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상부가 상기 상인방부재(23)에 밀착하고,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22)의 내면 중 후방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상기 수문(30)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문(30)의 하면은 상기 하인방부재(21)와 밀착되고,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상부는 상기 상인방부재(23)와 밀착되고,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양측은 상기 가이드레일(22)의 후방 측 내면과 밀착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기둥부재(12)와 가이드레일(22)의 상단부에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재(24)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ㄷ"자 평판 형상이며, "ㄷ"자 형상의 한 쌍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22)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부위의 하부에는 지지리브(241)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리브(241)는 상기 베이스부재(24)와 상기 가이드레일(22)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단부가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상단부에는, 지지돌기(12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25)는 후술할 연결빔(5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돌기(125)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레일(22)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인방부재(21), 가이드레일(22), 상인방부재(23), 베이스부재(24) 및 지지리브(241)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 레일(20)을 구성할 수 있다.
[수문]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수문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수문(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대략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문(3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중공부(34)와 동축 상에 암스크류부재(35)가 설치된다. 상기 암스크류부재(35)는 상기 수문(30)의 상부면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암스크류부재(35)는 후술할 한 쌍의 스핀들(49)과 나사 맞물림되고, 상기 수문(30)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스핀들(49)은 상기 중공부(34)에 수용되거나 상기 중공부(34)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수문(3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베어링(31)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베어링(31)은 상기 가이드레일(22)의 내면과 구름 접촉하여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안내한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베어링(31)은 롤러일 수 있다.
상기 수문(30)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웨지(22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도어웨지(33)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웨지(33)는 수문(3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일웨지(221)와 접하며 상기 수문(30)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수문(30)의 후면의 가장자리에는 실링부재(32)가 설치된다. 상기 수문(30)이 하강하여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실링부재(32)는 상기 상인방부재(23), 상기 하인방부재(21),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2)과 접하여 수로 출구(72)의 수밀을 이룬다.
[개폐구동부]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개폐구동부를 설명한다.
실시예의 개폐구동부의 동력은 유압모터(41)에 의해 발생한다. 유입라인(411)을 통해 유압모터(41)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은 유압모터(41)의 회전축(413)을 회전시키고, 유출라인(412)을 통해 유압모터(41)로부터 유출된다. 상기 유압모터(41)에 공급되는 유압은 전동 유압펌프(미도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정전 등이 발생하여 전동 유압펌프의 작동이 불가능할 때에는 연료로 작동하는 비상 엔진을 구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유압모터(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41)는 지지부재(414)를 통해 기둥부재(1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414)는 기둥부재(12)의 상단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문(30)이 전후로 약간 이동할 때 유압모터(41)의 설치 구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가령 수문(3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가 매우 미세하거나, 동력 전달을 위한 축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적용할 경우라면, 유압모터(41)를 기둥부재(12)의 상단에 고정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유압모터(41)의 회전축(413)읜 제1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수문(30)은 자중이 크고 수압에 대항하기 때문에, 빠르게 개폐하기보다, 느리더라도 큰 힘으로 승강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유압모터(41)의 회전축(413)의 제1회전속도는 제1감속기(42)를 통해 감속된다.
제1감속기(42)는 상기 회전축(413)과 연결되는 제1입력축(4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입력축(422)은 상기 회전축(413)에 의해 제1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1입력축(422)에 의해 입력된 회전속도는 제1회전속도보다 느린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어 제1출력축(423)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1입력축(422)에 의해 입력된 토크는 제1출력축(423)을 통해 증가되어 출력된다.
상기 제1입력축(422)과 상기 제1출력축(423)은 서로 교차되거나 꼬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입력축(422)과 제1출력축(423)이 서로 직교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이처럼 개폐구동부(40)는 제1감속기(42)를 통해 유압모터(41)에서 발생한 동력의 전달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모터(41), 제1감속기(42)는 후술할 제2감속기(44)와 함께 제1측 기둥부재(12)의 상단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422)과 제1출력축(423)은 제1하우징(42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421)은 레그부(424)에 의해 지지된다. 레그부(424)는 기둥부재(12)의 상단부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문(30)이 전후로 약간 이동할 때 제1감속기(42)의 설치 구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가령 수문(30)의 전후방향 이동거리가 매우 미세하거나, 동력 전달을 위한 축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적용할 경우라면, 제1감속기(42)를 기둥부재(12)의 상단에 고정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제1감속기(42)의 제1출력축(423)은 제1커플러(43)를 통해 제2감속기(44)의 제2입력축(442)과 연결된다. 상기 제1출력축(423)과 상기 제2입력축(442)의 회전 중심축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속기(44)는 제1측 기둥부재(12)의 가이드레일(22)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부재(1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속기(44)와 후술할 제3감속기(48)는 각각 후술할 슬라이더 조립체(60)를 통해 기둥부재(12)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축(442)은 상기 제2감속기(44)의 제2하우징(44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441) 내부까지 연장되고, m개의 치를 가지는 제1베벨기어(81)에 연결된다. 제2입력축(442)과 거기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81)는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감속기(44)는 상기 제2하우징(44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441) 내부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승강출력축(443)을 구비한다. 제1승강출력축(443)의 상단부에는 n개의 치를 가지는 제2베벨기어(82)가 연결된다.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거기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82)는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81)와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의 제2베벨기어(82)는 서로 직교하며 맞물려 연동 회전한다. 상기 제2베벨기어(82)의 치의 개수는 상기 제1베벨기어(81)보다 많다(m < n). 따라서 제2입력축(442)의 제2회전속도는 그보다 느린 제3회전속도로 감속되어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을 회전시키고, 그만큼 토크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스핀들(491)과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은 제1스핀들(491)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제1스핀들(491)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핀들(491)은 수문(30)의 제1측 상부에 마련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핀들(49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스크류부재(35)가 상승하면서 수문(30)이 함께 상승하고, 제1스핀들(491)이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스크류부재(35)가 하강하면서 수문(30)이 함께 하강한다.
상기 제2감속기(44)는 상기 제2하우징(44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441) 내부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출력축(444)을 구비한다. 상기 제2출력축(444)은 상기 제2입력축(442)과 축방향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축(444)은 상기 제2하우징(441) 내부에서 m개의 치를 가지는 제1베벨기어(81)와 연결된다. 제2출력축(444)과 거기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81)는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81)와 상기 제2출력축의 제1베벨기어(81)의 치는 m개로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81)와 상기 제2출력축의 제1베벨기어(81)는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의 제2베벨기어(82)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2입력축(442)의 제2회전속도는 상기 제2출력축(444)에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제2출력축(444)은 제2커플러(45)를 통해 동력전달샤프트(46)와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는 제1측 단부에서 상기 제2출력축(444)과 동축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축(444)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는 제1측 기둥부재(12)부터 제2측 기둥부재(12)까지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는 제2측 단부에서 제2커플러(47)를 통해 제3감속기(48)의 제3입력축(482)과 동축을 이루며 연결되고, 상기 제3입력축(482)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출력축(444), 동력전달샤프트(46) 및 제3입력축(482)은 제2회전속도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감속기(48)는 제2측 기둥부재(12)의 가이드레일(22) 상부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조립체(60)를 통해 상기 기둥부재(1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축(482)은 상기 제3감속기(48)의 제3하우징(481)을 통해 상기 제3하우징(481) 내부까지 연장되고, m개의 치를 가지는 제1베벨기어(81)에 연결된다. 제3입력축(482)과 거기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81)는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3감속기(48)는 상기 제3하우징(481)을 통해 상기 제3하우징(481) 내부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승강출력축(483)을 구비한다. 제2승강출력축(483)의 상단부에는 n개의 치를 가지는 제2베벨기어(82)가 연결된다.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과 거기에 연결된 제2베벨기어(82)는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3입력축(482)의 제1베벨기어(81)와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의 제2베벨기어(82)는 서로 직교하며 맞물려 연동 회전한다. 상기 제2베벨기어(82)의 치의 개수는 상기 제1베벨기어(81)보다 많다(m < n). 따라서 제3입력축(482)의 제2회전속도는 그보다 느린 제3회전속도로 감속되어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을 회전시키고, 그만큼 토크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스핀들(492)과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은 제2스핀들(492)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과 제2스핀들(492)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핀들(492)은 수문(30)의 제2측 상부에 마련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제2감속기(44)의 제2입력축(442)의 회전방향은, 상기 제2감속기(44)의 제2베벨기어(82)를 통해 상기 제2출력축(444)에 전달되면서 반대방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2감속기(44)의 제2입력축(442)외 회전방향은, 상기 제3감속기(48)의 제3입력축(482)의 회전방향과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개폐구동부(40)가 구동하면서 상기 제1스핀들(491)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스핀들(492)은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제1스핀들(491)의 나사산의 방향과 제2스핀들(492)의 나사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제1스핀들(491)이 오른나사라면, 제2스핀들(492)은 왼나사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2스핀들(492)이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스크류부재(35)가 상승하면서 수문(30)이 함께 상승하고, 제2스핀들(492)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스크류부재(35)가 하강하면서 수문(30)이 함께 하강한다.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81), 상기 제2출력축(444)의 제1베벨기어(81), 그리고 상기 제3입력축(482)의 제1베벨기어(81)의 치의 수는 m개로 서로 같고,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의 제2베벨기어(82)와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의 제2베벨기어(82)의 치의 수는 n개로 서로 같다. 따라서 회전방향은 고려하지 않고 살펴보면, 제2입력축(442)과 제2출력축(444)과 제3입력축(482)은 제2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제1승강출력축(443)과 제2승강출력축(483)은 제3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의 나사산의 피치 내지 리드를 동일하게 하면, 수문(30)의 제1측과 제2측의 승강이 정확히 동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수문(30)의 동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49)의 상하방향 길이는, 대략 가이드레일(22)의 1/2일 수 있다.
따라서 수문(30)이 하강하여 수로 출구(72)를 막고 있는 상태(도 1 참조)에서는, 스핀들(49)의 대부분이 노출될 수 있고, 수문(30)이 상승하여 수로 출구(72)를 열고 있는 상태(도 2 참조)에서는, 스핀들(49)의 대부분이 수문(30)의 중공부(34) 내부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은 신축관(493)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신축관(493)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신축관(493)은 상하로 신축 가능한 신축부(4931)와, 상기 신축부(49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된 고정부(4932)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의 고정부(4932)는 상기 제2감속기(44) 또는 제3감속기(48) 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하단의 고정부(4932)는 상기 수문(30)의 암스크류부재(35) 쪽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문(30)이 하강하면, 신축관(493)이 신장되어 스핀들(49)을 외부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배치/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문(30)이 상승하더라도, 신축관(493)은 수축되며 수문(30)의 중공부(34)에 수용되지 않은 스핀들(49) 상부를 보호할 수 있다.
스핀들(49)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고 상기 신축관(493)으로 커버하여 보호하면, 물로 인해 스핀들(49)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침투하여 스핀들(49)을 마모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수문(30)의 구동계통에 대한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수문(30)이 하강하였을 때에는 신축관(493)이 스핀들(49)을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구동 계통에 이물이 침투하는 것이 차단되고, 수문(30)이 상승하였을 때에는 수문(30)의 중공부(34)에 스핀들(49)이 수용되어 구동 계통에 이물이 침투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는 수문의 폭만큼 길게 연장되므로,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는 동력전달샤프트(46)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의 회전을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는 축수부재(51)를 더 구비한다. 두 기둥부재(12)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돌기(125) 상에, 두 기둥부재(12)를 좌우로 연결하는 연결빔(5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축수부재(51)는 상기 연결빔(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축수부재(51)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를 수용하고 회전 지지하는 샤프트수용부재(511)와, 상기 샤프트수용부재(511)와 상기 연결빔(50)을 연결하는 지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웨지(221)와 도어웨지(33)에 의해 수문(30)은 전후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샤프트(46) 역시 연결빔(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축수부재(51)는 상기 연결빔(5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지지부(512)는 상기 연결빔(50) 상에 놓여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슬라이더 조립체]
이하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슬라이더 조립체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일웨지(221)와 도어웨지(33)에 의해 수문(30)은 전후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적어도 상기 제2감속기(44)와 제3감속기(48)는, 수문(30)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기둥부재(1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지지면부재(6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면부재(61)는 상기 기둥부재(12)의 상단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재(24)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중앙부에는 제1개구(611)가 마련된다. 제1개구(611)는 상기 가이드레일(2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스핀들(49)이 관통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상면에서 상기 제1개구(611)의 주위에는 윤활부재(612)가 설치된다. 윤활부재(612)는 후술할 슬라이더(64)의 전후방향 이동을 윤활한다.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제1측과 제2측에는 측벽부재(63)가 연결된다. 상기 측벽부재(63)는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상부 공간은 상기 측벽부재(63)에 의해 측방으로 막힌 상태가 되고, 후술할 슬라이더(64)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더(64)는 대략 상기 두 측벽부재(63)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4)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상부에 놓여져서, 상기 지지면부재(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64)에는 제2개구(641)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2개구(641)는 제1개구(611)와 매칭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스핀들(49)은 제1개구(611)와 제2개구(641)를 관통하여 제2감속기(44) 또는 제3감속기(48)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감속기(44) 또는 제3감속기(48)는 상기 슬라이더(64)에 마련된 체결홀(642)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64)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재(65)는 상기 슬라이더(64)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를 연결한다. 커버부재(65)는 상기 슬라이더(64)에 설치된 제2감속기(44) 또는 제3감속기(48)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2감속기(44) 또는 제3감속기(48)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문(30)을 상승시킬 때에는, 제2감속기(44)와 제3감속기(48)가 주로 하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는 슬라이더(64)와 지지면부재(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문(30)을 하강시킬 때에는, 제2감속기(44)와 제3감속기(48)가 주로 상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는 슬라이더(64)와 커버부재(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41)는 개도계(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가령 유압모터와 수문에 와이어 방식의 개도계를 설치하고, 수문의 개도 정보를 조작실의 조작패널에 전달하여 수문을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수문 구조물
10: 수문 프레임
11: 바닥부재
12: 기둥부재
125: 지지돌기
13: 중간빔
20: 프레임 레일
21: 하인방부재
22: 가이드레일
221: 레일웨지
23: 상인방부재
24: 베이스부재
241: 지지리브
30: 수문
31: 가이드베어링(롤러)
32: 실링부재
33: 도어웨지
34: 중공부
35: 암스크류부재
40: 개폐구동부
41: 유압모터
411: 유입라인
412: 유출라인
413: 회전축(제1회전속도)
414: 지지부재
42: 제1감속기
421: 제1하우징
422: 제1입력축(제1회전속도)
423: 제1출력축(제2회전속도)
424: 레그부
43: 제1커플러
44: 제2감속기
441: 제2하우징
442: 제2입력축(제2회전속도)
443: 제1승강출력축(제3회전속도)
444: 제2출력축(제2회전속도)
45: 제2커플러
46: 동력전달샤프트
47: 제3커플러
48: 제3감속기
481: 제3하우징
482: 제3입력축(제2회전속도)
483: 제2승강출력축(제3회전속도)
49: 스핀들
491: 제1스핀들
492: 제2스핀들
493: 신축관
4931: 신축부
4932: 고정부
50: 연결빔
51: 축수부재
511: 샤프트수용부재
512: 지지부
60: 슬라이더 조립체
61: 지지면부재
611: 제1개구
612: 윤활부재
63: 측벽부재
64: 슬라이더
641: 제2개구
642: 체결홀
65: 커버부재
7: 수로구조물
71: 수로
72: 수로 출구
81: 제1베벨기어(m개)
82: 제2베벨기어(n개)

Claims (8)

  1. 수로구조물(7)의 수로 출구(72)에 설치되어 수로 출구(72)를 개폐하는 수문 구조물(1)로서, 상기 수문 구조물(1)은:
    적어도 상기 수로 출구(72)를 덮는 크기의 수문(30);
    상기 수문(3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기둥부재(12)를 포함하는 수문 프레임(10); 및
    상기 수문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3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구동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부(40)는:
    구동장치;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중 제1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제2입력축(442)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제2출력축(444)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며, 제1승강출력축(443)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2감속기(44);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 중 제2측 기둥부재 상단에 설치되고, 제3입력축(482)을 통해 상기 제2출력축(444)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제2승강출력축(483)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3감속기(48);
    상기 제2출력축(444)의 회전력을 상기 제3입력축(48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샤프트(46);
    상기 제1측 기둥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에 연결되어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함께 회전하고, 하단부가 상기 수문(30)의 제1측에 고정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1스핀들(491); 및
    상기 제2측 기둥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에 연결되어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과 함께 회전하고, 하단부가 상기 수문(30)의 제2측에 고정된 암스크류부재(35)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스핀들(492);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회전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지 않고 회전하고,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에 나사 맞물림된 암스크류부재(35)가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수문(30)이 개폐되는,
    수문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3)을 구비하는 유압모터(41)를 포함하는,
    수문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에는 'ㄷ'자 단면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22)이 설치되고,
    상기 수문(30)의 양측 단부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22)에 각각 수용되어 안내되며,
    상기 제1스핀들(491)과 상기 제2스핀들(492)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레일(22)의 'ㄷ'자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문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핀들(491)과 상기 제2스핀들(49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는 한 쌍의 신축관(493)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한 쌍의 신축관(493)의 상단부는,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신축관(493)의 하단부는, 상기 수문(3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암스크류부재(35)에 각각 연결되는,
    수문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문(3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34)가 마련되고, 상기 암스크류부재(35)는 상기 중공부(34)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스핀들(491)과 제2스핀들(492)은 상기 암스크류부재(35)를 통해 상기 암스크류부재(35)의 하부에서 상기 중공부(34)에 수용되거나 상기 중공부(34)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문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서, 상기 제2입력축(442)과 상기 제2출력축(444)과 상기 제3입력축(482)은 m개의 치를 가지는 제1베벨기어(81)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에서,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과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은 m개보다 많은 n개의 치를 가지는 제2베벨기어(82)에 연결되며,
    상기 제2입력축(442)의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2출력축(444)의 제1베벨기어(81)는 상기 제1승강출력축(443)의 제2베벨기어(82)와 맞물리고,
    상기 제3입력축(482)의 제1베벨기어(81)는 상기 제2승강출력축(483)의 제2베벨기어(82)와 맞물리는,
    수문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감속기(44)와 상기 제3감속기(48)는, 상기 기둥부재(12)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조립체(60)를 통해 상기 기둥부재(12)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6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부재(61);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제1측과 제2측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재(63);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 사이에서 상기 지지면부재(61)의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지지면부재(6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후방 슬라이드가 가능한 슬라이더(64); 및
    상기 슬라이더(64)가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63)를 연결하는 커버부재(6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부재(61)는 상기 기둥부재(12)에 고정되고,
    상기 제2감속기(44)와 제3감속기(48)는 상기 슬라이더(64)에 고정되는,
    수문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둥부재(12)의 상부는 연결빔(5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부근에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를 지지하여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의 처짐을 방지하는 축수부재(51)가 설치되며,
    상기 축수부재(51)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4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수용부재(511); 및
    상기 샤프트수용부재(511)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빔(5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512);를 포함하는,
    수문 구조물.
KR1020190067861A 2019-06-10 2019-06-10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KR10209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61A KR102093512B1 (ko) 2019-06-10 2019-06-10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61A KR102093512B1 (ko) 2019-06-10 2019-06-10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12B1 true KR102093512B1 (ko) 2020-03-25

Family

ID=7000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861A KR102093512B1 (ko) 2019-06-10 2019-06-10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3852A (zh) * 2023-05-23 2023-08-04 蒙阴县鹏程万里车辆有限公司 一种自卸半挂车后门升降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625U (ko) * 1988-08-08 1990-02-21
KR200180807Y1 (ko) * 1999-12-17 2000-05-15 한창희 유압을 이용한 수문개폐장치
KR100523818B1 (ko) 2005-04-01 2005-10-2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인양 수문
KR100891552B1 (ko) 2008-07-15 2009-04-03 주식회사 우진산업 수문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
KR101278531B1 (ko) 2011-12-19 2013-06-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유압식 인양수문용 수문개도측정장치
KR101630800B1 (ko) * 2015-10-15 2016-06-15 (주)현대워터텍 이물질 끼임 방지 구조의 수문
KR101687551B1 (ko) * 2015-07-24 2016-12-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수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625U (ko) * 1988-08-08 1990-02-21
KR200180807Y1 (ko) * 1999-12-17 2000-05-15 한창희 유압을 이용한 수문개폐장치
KR100523818B1 (ko) 2005-04-01 2005-10-2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유압식 인양 수문
KR100891552B1 (ko) 2008-07-15 2009-04-03 주식회사 우진산업 수문전용 유압식 액추에이터
KR101278531B1 (ko) 2011-12-19 2013-06-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유압식 인양수문용 수문개도측정장치
KR101687551B1 (ko) * 2015-07-24 2016-12-1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수문개폐장치
KR101630800B1 (ko) * 2015-10-15 2016-06-15 (주)현대워터텍 이물질 끼임 방지 구조의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3852A (zh) * 2023-05-23 2023-08-04 蒙阴县鹏程万里车辆有限公司 一种自卸半挂车后门升降装置
CN116533852B (zh) * 2023-05-23 2023-11-07 蒙阴县鹏程万里车辆有限公司 一种自卸半挂车后门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935B1 (ko) 셔터식 차수문
US20180002971A1 (en) Vertical Door System With Ball Screw Drive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KR102093512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BR112013001001B1 (pt) válvula para uso subterrâneo
CN211922529U (zh) 双向泵闸装置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040831B1 (ko) 모터 구동에 의한 랙 방식의 수문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20150128272A (ko) 유압 매립형 인양 수문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JP3082903B2 (ja) 水門自昇降式門扉
CA2144554A1 (en) Vertical travel door
CN111809576B (zh) 一种复合传动稳定自锁智能测控一体化闸门
KR101453010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시스템
KR100938349B1 (ko)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JP2002088748A (ja) オーバーリンクゲート
CN113944509A (zh) 一种全自动防淹防护密闭门
KR101339154B1 (ko)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CH648885A5 (it) Diga ad elementi di sbarramento idrico mobili e/o parzialmente mobili.
KR10164622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전도수문
JP4884437B2 (ja) 水門設備
EP0294385A1 (en) Lift device
KR102620953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