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349B1 -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49B1
KR100938349B1 KR1020080025178A KR20080025178A KR100938349B1 KR 100938349 B1 KR100938349 B1 KR 100938349B1 KR 1020080025178 A KR1020080025178 A KR 1020080025178A KR 20080025178 A KR20080025178 A KR 20080025178A KR 100938349 B1 KR100938349 B1 KR 10093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gate
door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902A (ko
Inventor
오재욱
Original Assignee
오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욱 filed Critical 오재욱
Priority to KR102008002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38Rolling gates or gates moving horizontally in their own plane, e.g. by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수위를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필요시에는 선박이 드나들 수 있도록 상하 회전 개방이 가능한 유압식 회전수문 권양기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Full Openning Flood Gate System}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에 설치되어 수위를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필요시에는 선박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회전식 수문에 관련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강력한 유압의 힘을 활용하여 수문을 제어하며, 수문의 중앙을 분할함으로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면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의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문과 수문이 접하는 중앙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방법과 강력한 유압실린더의 힘을 활용하여 수문을 수월하게 제어하기 위한 최적의 작동 구조를 강구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문과 수문이 만나는 중앙부에 암수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수문이 닫혔을 경우에 중앙 부분이 수압 하중에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하며 각 문비의 상단부 일단에 유압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의 고정구를 설치하여 유압실린더의 힘이 안정적으로 문비에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문비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어 수로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문비를 장기간 개방하여도 유압실린더나 구조물에 문비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며, 선박이 지나갈 경우에 수문의 추락에 의한 재해의 위험성에 대해 매우 안전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조립구조를 도 1 내지 도 3에서 살펴보면,
문틀은 문비의 작동을 안내하고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형태이며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문비를 지탱해주는 바닥문틀(11)과 바닥문틀의 좌우측단에 설치된 수직문틀(18)로 구성되고 전술 한 수직문틀(18)의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7)를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빔(12)을 고정하며,
바닥문틀(11)의 일부분에는 문비a(1)와 문비b(2)를 안내하기 위하여 수직보강빔(13)을 중심으로부터 대칭의 위치에 고정하고 문비a(1)와 문비b(2)는 각각 수직보강빔(13)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조립공b(22)와 문비에 형성된 힌지조립공a(21)를 관통하여 힌지(14)를 고정함으로 문비a(1)와 문비b(2)는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수직보강빔(13)과 수직문틀(18)의 사이에는 문비a(1)와 문비b(2)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28)을 형성하며,
문비a(1)와 문비b(2)의 상단 일부에는 고정구a(3)를 고정하고 상부고정빔(12)의 일측단에는 고정구b(4)를 고정하며, 고정구b(4)에 유압실린더(7)의 일단부에 형성된 실린더엔드(10)를 조립하고 고정구b(4)에 형성된 핀조립공b(26)와 실린더엔드(10)에 형성된 관통홀b(24)를 관통하여 고정핀b(6)를 고정하며, 유압실린더(7)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실린더로드(9)의 일단부에 형성된 로드엔드(10)를 고정구a(3)에 조립하고 고정구a(3)에 형성된 핀조립공a(25)와 로드엔드(10)에 형성된 관통홀a(23)을 관통하여 고정핀a(5)를 고정함으로 유압실린더(7)은 고정핀a(5)와 고정핀b(6)에 안내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두개의 문비를 폐쇄하면 각각의 문비가 수압하중에 밀려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문비가 서로 만나는 중앙부분은 상응하는 암수의 구조로 문비a(1)에는 요철부a(16)를 형성하고 문비b(2)에는 요철부b(17)를 형성하며,
문비a(1)와 문비b(2)가 만나는 중앙부분과 문비a(1)와 문비b(2)가 바닥문 틀(11)과 접하는 부분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문비a(1)와 문비b(2)의 외곽형상에 맞도록 지수고무(15)를 배치하고 고정판(19)을 덮어 누르며 다수의 고정볼트(20)를 문비a(1)와 문비b(2)에 고정함으로 지수고무를 고정하며,
각 수문의 힌지조립공a(21) 인근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27)를 형성하여 문비a(1)와 문비b(2)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에 바닥문틀(1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수로(30)가 형성된 토목구조물(29)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과 도 4에서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수로(30)를 통해 선박이 지나기 위하여 수문을 개방하려면 유압실린더(7)에 유입하는 유압유의 방향을 제어하여 실린더로드(9)가 짧아지도록 하면 문비a(1)는 힌지(1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되고, 문비b(2)는 힌지(1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며 수문을 폐쇄하려면 유압실린더(7)에 유입하는 유압유의 방향을 제어하여 실린더로드(9)가 길어지도록 하면 문비a(1)는 힌지(1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폐쇄되고, 문비b(2)는 힌지(1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폐쇄된다.
제 1도. 본 발명의 입체 사시도(닫힘 상태).
제 2도. 본 발명의 입체 사시도(열림 상태).
제 3도. 본 발명의 분해도.
제 4도.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문비a 2. 문비b
3. 고정구a 4. 고정구b
5. 고정핀a 6. 고정핀b
7. 유압실린더 9. 실린더로드
10. 실린더엔드 11. 바닥문틀
12. 상부고정빔 13. 수직보강빔
14. 힌지 15. 지수고무
16. 요철부a 17. 요청부b
18. 수직문틀 19. 고정판
20. 고정볼트 21. 힌지조립공a
22. 힌지조립공b 23. 관통홀a
24. 관통홀b 25. 핀조립공a
26. 핀조립공b 27. 라운드부
28. 여유공간 29. 토목구조물
30. 수로

Claims (2)

  1. 선박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회전하여 개폐할 수 있는 수문에 있어서,
    문틀은 문비의 작동을 안내하고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형태이며,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문비를 지탱해주는 바닥문틀(11)과 바닥문틀의 좌우측단에 설치된 수직문틀(18)로 구성되고 전술한 수직문틀(18)의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7)를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빔(12)을 고정하며,
    바닥문틀(11)의 일부분에는 문비a(1)와 문비b(2)를 안내하기 위하여 수직보강빔(13)을 중심으로부터 대칭의 위치에 고정하고 문비a(1)와 문비b(2)는 각각 수직보강빔(13)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조립공b(22)와 문비에 형성된 힌지조립공a(21)를 관통하여 힌지(14)를 고정함으로 문비a(1)와 문비b(2)는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수직보강빔(13)과 수직문틀(18)의 사이에는 문비a(1)와 문비b(2)가 회전할 수 있는 여유공간(28)을 형성하며,
    문비a(1)와 문비b(2)의 상단 일부에는 고정구a(3)를 고정하고 상부고정빔(12)의 일측단에는 고정구b(4)를 고정하며, 고정구b(4)에 유압실린더(7)의 일단부에 형성된 실린더엔드(10)를 조립하고 고정구b(4)에 형성된 핀조립공b(26)와 실린더엔드(10)에 형성된 관통홀b(24)를 관통하여 고정핀b(6)를 고정하며, 유압실린더(7)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실린더로드(9)의 일단부에 형성된 로드엔드(10)를 고정 구a(3)에 조립하고 고정구a(3)에 형성된 핀조립공a(25)와 로드엔드(10)에 형성된 관통홀a(23)을 관통하여 고정핀a(5)를 고정함으로 유압실린더(7)은 고정핀a(5)와 고정핀b(6)에 안내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각 수문의 힌지조립공a(21) 인근의 모서리에는 라운드부(27)를 형성하여 문비a(1)와 문비b(2)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에 바닥문틀(1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두개의 문비를 폐쇄하면 각각의 문비가 수압하중에 밀려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문비가 서로 만나는 중앙부분은 상응하는 암수의 구조로 문비a(1)에는 요철부a(16)를 형성하고 문비b(2)에는 요철부b(17)를 형성하며,
    문비a(1)와 문비b(2)가 만나는 중앙부분과 문비a(1)와 문비b(2)가 바닥문틀(11)과 접하는 부분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문비a(1)와 문비b(2)의 외곽형상에 맞도록 지수고무(15)를 배치하고 고정판(19)을 덮어 누르며 다수의 고정볼트(20)를 문비a(1)와 문비b(2)에 고정함으로 지수고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KR1020080025178A 2008-03-19 2008-03-19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KR10093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78A KR100938349B1 (ko) 2008-03-19 2008-03-19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178A KR100938349B1 (ko) 2008-03-19 2008-03-19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02A KR20090099902A (ko) 2009-09-23
KR100938349B1 true KR100938349B1 (ko) 2010-01-22

Family

ID=413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178A KR100938349B1 (ko) 2008-03-19 2008-03-19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6317A (zh) * 2020-06-11 2020-09-08 惠安双婉装修设计中心 一种桥梁工程涵洞结构
CN112523173A (zh) * 2020-11-25 2021-03-19 石静 一种水利水渠用可加速水流流速的水闸
KR102266845B1 (ko) 2021-01-13 2021-06-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문 하부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승,하강 기능을 갖는 전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78B1 (ko) 1998-03-03 2001-01-15 한상관 이물질 제거용 보조수문 개폐장치
KR200359185Y1 (ko) 2004-05-11 2004-08-21 오상문 공도수문 장치
KR20060064192A (ko) * 2004-12-08 2006-06-13 김수태 링크 개폐식 수문장치
KR20090095129A (ko) * 2008-03-04 2009-09-09 오재욱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78B1 (ko) 1998-03-03 2001-01-15 한상관 이물질 제거용 보조수문 개폐장치
KR200359185Y1 (ko) 2004-05-11 2004-08-21 오상문 공도수문 장치
KR20060064192A (ko) * 2004-12-08 2006-06-13 김수태 링크 개폐식 수문장치
KR20090095129A (ko) * 2008-03-04 2009-09-09 오재욱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902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863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KR100938349B1 (ko) 유압식 회전 수문 권양기
KR101370040B1 (ko) 복식 문비
KR200401338Y1 (ko) 받침틀식 가동보
KR20100080871A (ko) 다단식 코팅인양수문의 조립 및 설치구조와 수문인출장치
KR101355949B1 (ko) 플랩게이트
KR100958261B1 (ko) 회전형 유압식 수문 권양기
KR101117389B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수문
KR100934335B1 (ko) 대운하용 회전식수문
KR101974072B1 (ko) 플립업 타입 차수문
KR20140078241A (ko) 슬라이드 락킹장치가 구비된 차수문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1453010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시스템
KR102093512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한 수문 시스템
KR101285341B1 (ko)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KR101707530B1 (ko) 차수문
CN110016898B (zh) 一种双扉大跨度拱形景观闸门
CN113944509A (zh) 一种全自动防淹防护密闭门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160013363A (ko) 인양식 수문장치의 문틀 플레이트
JP6773541B2 (ja) 建具
KR101244324B1 (ko) 마찰감소장치를 갖는 수문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JP3206941U (ja) 防水扉
JP2001241261A (ja) 可動防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