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92B1 -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92B1
KR102093492B1 KR1020180088698A KR20180088698A KR102093492B1 KR 102093492 B1 KR102093492 B1 KR 102093492B1 KR 1020180088698 A KR1020180088698 A KR 1020180088698A KR 20180088698 A KR20180088698 A KR 20180088698A KR 102093492 B1 KR102093492 B1 KR 10209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lamp
cable
display panel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470A (ko
Inventor
벤자민 샹파뉴
Original Assignee
비트리네미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리네미디아 filed Critical 비트리네미디아
Priority to KR1020180088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92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17 priority patent/WO2020027464A1/ko
Publication of KR2020001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09F7/20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for adjustably raising or lowering suspend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39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c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spended, e.g. secured to the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도체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각각 발광 엘리먼트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발광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전력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당해 전력 소스에 대해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규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소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은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전기적 트랙을 구비한 ㄷ자형 지지체에 대해 90도로 절곡가능한 관절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ILLUMINATED DISPLAY UNIT HAVING SUSPENSION CLAIMPS}
본 발명은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다른 문서를 하나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윈도우용으로 조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문서를 표시하여, 통행인이 궁금해 하거나 흥미가 있는 문서를 디지털 문서와 같이 보기 좋게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광학 엘리먼트가 점등하도록 각 패널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하여 패널의 상류측에 배치된 전력 소스에서 패널로 전력을 공급하는 몇 개의 기술이 고안되어 왔다.
그런데, 유닛의 패널들을 위에서 아래로 매달고 이들 사이에서 이들을 모두평행하게 두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로 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모든 패널을 2개의 평행한 케이블로 연결하려면 유닛 내에 폭이 다른 패널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은 각각의 패널에 대해서 전력을 분배하고, 유닛을 지지체에 대해 아래로 매달 뿐만 아니라 케이블끼리 닿아서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패널들에 대해서 하나의 전원 소스에서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서로 다른 크기의 패널들을 천정 또는 일측벽에 대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케이블과 패널 및 상기 전원 소스 사이에는 폐회로가 구성되어야 하는데, 지진과 같은 경우가 아니더라도 음극단자와 양극단자의 잘못된 설치나 물리적 충돌 등에 의해서 폐회로가 단선되어, 유닛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패널들을 위에서 아래로 매달고 이들 사이에서 이들을 모두 평행하게 두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두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을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로 명확히 구분하면서 상기 패널에 대해 동일한 길이가 되게 전원 소스에 대하여 결합 및 상부 지지체에 대한 결합이 용이하며, 케이블끼리 합선되거나 케이블이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도체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각각 발광 엘리먼트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발광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전력 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당해 전력 소스에 대해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규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소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은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전기적 트랙을 구비한 ㄷ자형 지지체에 대해 90도로 절곡가능한 관절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ㄷ자형 지지체는 ㄷ자형으로 기다랗고 양단부가 열려 있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트랙은 상기 케이블의 음극성 단자와 양극성 단자를 길이의 차이로 구분하되, 설치시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도록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단 수용부와 제2단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관절형 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해머가 수용결합되는 제1관절과 상기 제1관절에 대해서 90도 선회가능한 제2관절부 및 상기 제2관절부에 달려 상기 제1단수용부 또는 제2단수용부에 결합되는 판상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부는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관절해머와 상기 관절해머를 수용하는 관절슬롯를 구비하여 90도 절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패널들을 위에서 아래로 매달고 이들 사이에서 이들을 모두 평행하게 두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전원 소스에 대하여 결합 및 상부 지지체에 대한 결합이 용이하며, 케이블끼리 합선되거나 케이블이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문서에 대하여 디지털 문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는 조명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표시 장치의 패널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잠금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잠금 디바이스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체예에 따르는 잠금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조명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명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패널 클램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클램프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체예에 따르는 클램프의 도 8에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 대체예에 따르는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도 7과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 대체예에 따르는 표시 장치의 패널 클램프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조명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조명 표시 장치의 패널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조명 표시 장치의 패널 클램프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조명 표시 장치의 패널 클램프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대체예에 따르는 표시 장치의 풀리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기재된 풀리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대체예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표시 장치의 전원 소스 및 상부 지지체를 나타낸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표시 장치의 상부 지지체와, 관절 연결부와, 바닥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 1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2개의 패널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소스에 대해서 상류 측 패널 및 하류 측 패널을 구획하며, 상류 측 패널은 하류 측 패널보다 당해 전력 소스에 가깝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표시 장치(10)(이하, 유닛(10)이라고 부른다)은 문서의 조명 디스플레이를 부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것은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이하, 패널(12)라고 부른다), 전기적 도체 케이블(14) 및 패널(1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된 전력 소스(16)을 포함한다.
도 1에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소스(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2개의 병렬 케이블(14)에 의해 지원(도시하지 않음)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류 측 패널(12)와 같이 병렬의 케이블(14)에 의해 상류 측 패널(12)와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하류 측 패널(12)를 가진다.
각 패널(12)는 하나 이상의 얇은 문서의 조명 표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각 패널(12)는 상류 측 패널(12)를 통해서 전력 소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패널(12)은 선택적으로 상류 측 패널(12) 및 하류 측 패널(12)과 직접 결합된다. 하나의 패널(12)에서 다른 패널(12)로의 접속은 이들 2개의 패널 이외에는 결합하고 있지 않는 2개의 케이블(14)을 통해 실행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 패널(12)은 복수의 발광 엘리먼트(18), 중앙 플레이트(20) 및 각각의 측면에서 중앙 플레이트(20)와 체결되도록 설계된 2개의 2 차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또한 각 패널(12)은 각각이 단일 케이블(14)과 협동하고 케이블(14)에 관해 패널(12)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4개의 클램프(26)과 패널(12)를 통해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28)을 포함한다.
각 패널(12)은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에지(30)을 가지며, 상기 2개의 가장자리는 소스(16)에 관해 상류 에지(30) 및 하류 에지(30)를 구획한다.
발광 엘리먼트(18)는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어 사각형으로 배치된 직선 스트립(29)상에 중앙 플레이트(20)의 중심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중앙 플레이트(20)의 주변에 형성된, 슬롯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립(29)은 예를 들면 폴리클로로 비페닐, 또는 PCB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1 및 2의 예에 있어서 발광 엘리먼트(18)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중앙 플레이트(20) 및 2 차 플레이트(22)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PMMA로 형성되고 서로 대해 동시에 체결되어 있다.
중앙 플레이트(20)는 당해 엘리먼트(18) 내지 2 차 플레이트(22)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설계된 표면 처리를 가진다.
패널(12)에 의한 문서의 조명 디스플레이를 위해 문서가 중앙 플레이트(20)와 2 차 플레이트(22)의 한쪽 사이에 문서가 삽입되어 2 차 플레이트(22)의 중앙 플레이트(20)로의 체결에 의해 문서(11)가 패널(12) 내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플레이트(20, 2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패널(12)의 클램프(26)는 에지 당 2개의 클램프(26)의 비율로 패널(12)의 상류 및 하류 에지(30)에 배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가장자리에서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대향하고 있다.
적합하게는 모든 패널(12)의 클램프(26)는 2개의 패널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 케이블이 노출되는 비틀림 및 굽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닛(10)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늘릴 수 있음과 동시에, 유닛(10)의 외관을 개량할 수 있다.
클램프(26)는 패널(12)의 일방 측에 걸어 맞추도록 설계된 2개의 부분(31)을 가지며, 또한 중앙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패널(12)에 클램프(26)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전기적 전도성 나각 튜브(27)을 삽입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접수구를 가진다. 체결 부재는 한쪽의 부분(31)을 다른 한쪽에 체결하는 것과 동시에, 클램프(26)를 패널(12)에 체결한다.
각 클램프(26)는 케이블(14)를 잠그기 위한 잠금 디바이스(32),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13)의 각각 종단부에 의해 지지된 해머를 포함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잠금 디바이스(32)는 클램프(26)상에 형성된 슬롯(34) 및 닫힌 하우징(36)에 의해 형성된다. 슬롯(34)은 하우징(36) 내에 형성되고 해머의 하우징(36) 내로의 삽입을 허용한다.
슬롯(34)은 케이블(14) 및 그 종단부에 의해 지지된 해머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슬롯(34)은 케이블(14)의 치수와 상보적인 치수의 수직 부분(41) 및 실질적으로 원형 부분(42)를 가진다.
수직 부분 (41)은 하우징(36) 내에 형성되고 하우징(36)의 종단부에서 오리피스(43)를 규제한다. 그것에 따라 케이블(14)은 하우징(36)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그것이 수용하는 해머가 하우징(36) 내에서 움직일 때 케이블(14)은 이동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부분(42)는 케이블(14)의 각 종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해머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이 결과, 그 종단부에서 해머를 지지하는 케이블(14)이 슬롯(34) 내에 삽입 가능해져, 슬롯(34)이 통과하면, 케이블(14) 및 해머는 하우징(36) 내에 나타나 클램프(26)의 축선 X-X'를 따라 그 안을 이동 가능해진다.
하우징(36)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해머와 같거나 그 이상의 치수를 가지는 근위부(61)(에지(30)에 대해서) 및 해머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 및 치수를 가지는 원위부(62)를 가진다. 그 결과, 해머가 하우징(36)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해머는 그 안을 이동할 수 있고 하우징(36)의 원위부(62)와 맞닿아 협력한다.
도 3 및 도 4의 예에 있어서 해머는 실질적으로 구면이며 하우징(36)의 원위부(362)는 반구면이 움푹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그 자체의 무게 및 케이블(14)의 무게 때문에 또는 그것이 결합되는 패널(12)의 무게 때문에 그것이 하우징(36)의 원위부에 맞닿을 때까지, 해머는 하우징(36) 내를 이동하고 거기에 유지된다.
적합하게는 클램프(26)에 의해 지지된 슬롯(34)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해져 그 결과, 각 패널(12)은 패널(12)이 정면을 향할 때 슬롯(34)이 안보이게 된다.
각 패널(12)의 전달 디바이스(28)는 패널(12)를 통해서 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정의 패널(12)은 상류 측 패널(12)를 통해서 전력 소스(16)에 접속된다. 또한 디바이스(28)는 패널(12)의 발광 엘리먼트(18)에 전력을 가할 수 있다.
각 패널(12)는 패널(12)과 소스(16)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14) 및 패널(12)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서 소스(16)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를 위해 전달 디바이스(28)는 중앙 플레이트(20)가 움푹 들어간 슬롯 내에 배치된 2개의 도체 트랙(38)을 가지며, 각각은 패널(12)의 소정 에지(30)에 배치된 클램프(26)를 대향하는 에지(30)에 교차해서 배치되는 클램프(26)로 결합한다. 또한 전달 디바이스(28)는 2개의 결합 트랙(트랙) (39)을 가지며, 각각은 발광 엘리먼트(1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스트립(29)에 의해 동일 에지(30)의 클램프(26) 중 하나를 결합한다. 실제로는 트랙(트랙)(38)은 클램프(26)에 배치된 나각 튜브(27)에 각각 접속되고 결합 트랙(트랙)(39)은 대응하는 튜브(27)를 대응하는 스트립(29)에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트랙(38)은 각각, 그 길이 방향를 따라 스트립(29) 중 하나와 각각 일체화되어도 좋다.
패널(12) 간의 전력 전달이고, 소스(16)와 패널(12) 사이의 전력 전달이기 때문에 유닛(10)의 패널(12)를 정지시키기 위해, 케이블(14)은 하나의 패널(12)를 다른 한쪽에 결합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패널(12)를 소스(16)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각 케이블(1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구리와 같은 전기적 도체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한 몇 개의 패널(12)의 무게에 견디어 파괴되거나 또는 변형하지 않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상술한 것처럼, 각 케이블(14)은 2개의 전기적 도체 해머(40)를 가진다. 각각은 케이블(14)의 양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케이블(14)을 패널(12)에 체결하기 위해, 상술한 것처럼, 케이블(14)의 해머(40) 중 하나를 슬롯(34) 내에 삽입하고, 패널(12)의 클램프(26)의 하우징(36) 내에 삽입한다. 그 결과, 슬롯(34) 및 하우징(36)은 클램프(26), 즉 패널(12)에 대한 해머(40) 및 케이블(14)의 상대적 이동을 잠근다.
상류 측 패널(12)을 하류 측 패널(12)에 결합하기 위해, 케이블(14)의 해머 중 하나는 상류 측 패널(12)의 하류 측 에지(30)의 클램프(26) 내에 삽입되어 나머지는 하류 측 패널(12)의 상류 측 에지(30)의 클램프(26) 내에 삽입된다.
각 패널이 4개의 클램프(26)를 가질 경우, 2개의 케이블(14)은 하류 측 패널(12)의 상류 측 에지(30) 및 상류 측 패널(12)의 하류 측 에지(30)의 2개의 클램프(26) 내에 삽입되어 이들의 패널(12) 간에서 전기적 및 기계적 결합이 달성된다. 특히 그것은 서로 대해 2개의 패널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예에 있어서 각 해머(40)은 실질적으로 구면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각 해머(40)은 회전 대칭축선 T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1
T'를 가지는 난형 형상을 가진다. 각 클램프(26)는 회전 대칭축선 T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2
T'을 따라 해머(40)의 최대 단면 S의 치수와 상보적인 치수를 가지는 슬롯(34)을 가진다. 그 결과, 슬롯(34)에 관한 해머(40)의 삽입 또는 제거는 해머(40)가 회전 대칭축선(T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3
T')을 따르는 슬롯에 존재하는 것을 요구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우징(36)의 원위부(62)는 해머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서, 이 예에서는 패널(12)의 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신장하는 반난형 형상을 가진다. 해머(40)은 슬롯(34)를 통해서 걸어맞출 때, 그것을 수용하는 하우징(36)의 원위부와 협동하기 위해 90°만 추동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대체예는 클램프(36)에서 해머(40)의 최종적인 탈락을 방지한다. 따라서, 패널(12)를 부가 또는 제거하기 위해, 유닛(10)의 조작 중에 발생하는 패널(12)의 임의 후킹 이탈이 방지된다.
전력 소스(16)는 매우 저전압의 전력을 패널(12)에 부여한다, 예를 들면 그것은 12 V 또는 24 V의 전압이다.
전력 소스(16)는 패널(12)의 상류 측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유닛(10)이 체결되도록 설계된 지지체에 체결되어 또는 일체화된다.
소스(16)에 가장 접근하고 있는 패널(12)은 2개의 케이블(14)을 통해 소스(16)에 접속되고 그 지원에 대해서 유닛(10)을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패널(12)이 결합되는 공유 케이블을 통해 소스(16)에 접속하는 것과는 달리 패널(12)상의 전달 디바이스(28)의 존재에 의해 하나의 패널(12)이 상류 측 패널(12)을 통해 소스(16)에 접속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패널(12)은 당해 패널(12)과 소스(16) 사이에 배치된 모든 패널(12)에 의해 한편으로는 소스(16)에 접속되고 케이블(14)를 통해 다른 한 편으로는 이들의 패널(12)를 서로 쌍을 이루어 접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인가하여 유닛(10)을 작동시키기 위해, 모든 패널(12)에 접속하는 케이블(14)를 가지는 것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소스(16)로의 패널의 접속이 각각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패널(12)의 사용을 금지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패널(12)는 각각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2개의 패널은 또한 각각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
유닛(10)의 동작 중, 전력 소스(16)는 당해 패널(12)에 대해서 소스에 접속하는 2개의 케이블(24)를 통해 전력을 가장 근접한 패널(12)로 전달한다.
전력은 그 후, 케이블(14), 해머(40)를 통과하고 해머(40)에 접촉하고 패널(12)의 전달 디바이스(28)에 접속되는 클램프(26)로 전달된다.
트랙(38, 39)을 통해 전력은 패널(12)상에 표시된 문서(11)를 발광시키기 위해 패널(12)의 발광 엘리먼트(18)에 및 패널(12)의 하류 측 에지(30)의 클램프(26) 양쪽 모두에 전달된다.
전력 소스(16)는 당해 전력 소스(16)에 가장 가까운 패널(12)에서 상기 패널(12)을 접속하는 케이블의 해머(40)를 통해서 하류 측 패널(12)를 향해 패널(12)의 클램프(26)까지의 케이블을 통해 당해 하류 측 패널(12)의 발광 엘리먼트(18)에 전력을 인가하고, 클램프(26)를 통과하여 그 후, 그 패널에 대해 하류 측 패널(12)에 전력을 인가한다.
패널(12)의 트랙(트랙) 38 및 연속하는 케이블(14)는 전력용 2개의 경로를 확정한다. 그 결과, 전력은 전력 소스(16)에서 모든 패널(12)로 옮겨져 모든 패널(12)에서 전력 소스(16)에 방전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케이블(14)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케이블(14)를 통해서 하나의 패널에서 다른 한쪽의 패널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패널(12)는 그 상류 및 하류 에지(30)상의 단일 클램프(26)만을 포함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예에서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10)은 3개의 레벨에 분포한, 5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63, 64, 65, 66, 67)을 포함한다.
2개의 상부 패널(63, 64)는 상부 레벨에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은 2개의 케이블(14)에 의해 전력 소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소스(16)는 양극 단자(70) 및 음극 단자(72)를 가진다. 각 상부 패널(12)의 2개의 트랙(38)의 한쪽은 단자(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은 케이블(14)의 한쪽을 통해 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패널(65)은 2개의 상부 패널(63, 64)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그것은 상부 패널(63, 64)보다 폭이 넓다.
전력 소스(16)에 관해 상부 패널(63, 64)는 2개의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한다. 중간 패널은 상기의 정의에 따라 하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디스플레이 패널(65)는 케이블(14)에 의해 2개의 상부 디스플레이 패널(63, 64)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 디스플레이 패널(65)는 2개의 상부 디스플레이 패널(53, 64)의 전달 디바이스(28)을 통해서 전력 소스(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중간 디스플레이 패널(65)는 상부 디스플레이 패널(63)의 전달 디바이스(28)을 통해서 전력 소스(16)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부 디스플레이(64)의 전달 디바이스(28)을 통해서 전력 소스의 음극 단자(72)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부 디스플레이 패널(66, 67)은 중간 패널(65)의 하측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패널(66, 67)은 중간 패널(65)보다 작다. 전력 소스(16)에 관해 2개의 상부 패널(63, 64) 및 중간 패널(65)는 상류 측 패널을 구성하고. 2개의 하부 패널(66, 67)은 상기한 의미로 하류 측 패널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디스플레이 패널(66, 67)은 케이블(14)에 의해 2개의 상부 패널(63, 64)의 한쪽에 직접 결합되고 다른 한쪽의 케이블(14)에 의해 중간 패널(65)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디스플레이 패널(67)은 그 상방에 배치된 상부 패널(64)의 전달 디바이스(28)을 통해서 전력 소스(16)의 양극 단자(70)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것은 상부 패널(64)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 및 중간 패널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 전력 소스(16)의 음극 단자(7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하부 패(66)은 그 상방에 배치된 상부 패널(63)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 전력 소스(16)의 음극 단자(72)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것은 상부 패널(63)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 및 중간 패널(65)의 전달 디바이스(28)를 통해 전력 소스(16)의 양극 단자(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패널(66, 67)은 중간 패널(65)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 6 내지 도1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표시 장치(110)(이하, 유닛(110)이라고 부른다)은 전력 소스(E)에 마련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서포트(112)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매달려 문서(113)를 발광 표시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 (116)(이하, 패널(116)이라고 부른다)과 함께 전기적 도체 케이블(114)를 포함한다.
케이블(114)은 패널(116)을 서로에 대해 또는 서포트(112)에 대해 패널(116)을 아래로 매달기하여 전력 소스(E)(이하, 소스(E)라고 부른다)와 디스플레이 패널(116)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시킨다. 2개의 주어진 패널(116)은 2개의 케이블(114)에 의해 서로에서 아래로 매달기될 수 있다.
케이블(114)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서포트(112)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6)을 아래로 매달기되고 있는 2개의 케이블(114)'를 제외해, 각각의 케이블(114)는 케이블(114)의 종단부 각각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해머(118)을 포함한다.
"해머"란 그것이 마련된 케이블(114)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물체를 가리킨다.
케이블(114)'는 하나의 해머(118)만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프랑스 국가 특허 제 2,945,385호에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제1 패널(116)을 서포트(112)와 결합한다.
각 해머(118)은 하나의 회전 대칭축선( T)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난형 형상을 가진다.
패널(116)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문서(113)의 발광 표시를 하고, 모두 직사각형 형상이다.
각 패널(116)은 문서(113)가 배치되어 있는 중앙부(1160)와 2개의 길이 방향 에지(1161) 및 2개의 가로 방향 에지(1162)(도 6) 및 단면(1163)(도 7)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 패널(116)은 또한 중앙 플레이트 (120), 프론트 플레이트(122) 및 리어플레이트(124)를 포함한다. 또한 각 패널(116)은 서로 대해 플레이트(120, 122, 124)를 고정하기 위한 비가역 고정 수단 (126) 및 가역 고정 수단(128)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각 패널(116)은 디스플레이 패널(116) 내에 결합되는 8개의 클램프(130), 클램프(130)을 수용하기 위한 동수의 하우징(131) 및 발광 엘리먼트(132)를 가진다.
플레이트(120, 122, 124)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PMMA로 이루어진다. 이들 모두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중앙 플레이트(120)는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124)보다 두께가 두껍다.
도 6 및 도 7의 예에 있어서 중앙 플레이트는 약 6 mm의 두께를 가지며,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 124)는 약 1 mm의 두께를 가진다.
중앙 플레이트(120)은 광을 배후의 발광 엘리먼트(132)에서 다른 플레이트 (122, 124)로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처리된 표면을 가진다.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 124)는 그 주변에 불투명 밴드를 가진다. 그 결과, 대응하는 패널(116)의 중앙 부분(1160)이외의 부재는 문서(113)가 표시될 때 숨겨진다. 이들의 불투명 밴드는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122) 및 리어 패널(124)는 중앙 플레이트(120)의 2개의 대향하는 큰 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120, 122, 124)는 대응하는 패널(116)에 대해서 그 외관을 부여한다, 즉 패널(116)의 치수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해서 고정되는 플레이트(120, 122,124)의 치수와 대응하고 있다.
리어플레이트(124)는 예를 들면 패널(1176)의 주위에 배치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해 접착됨으로써, 중앙 플레이트(120)에 대해서 비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2개의 연속 에지는 비가역 고정 수단(126)을 통해 중앙 플레이트(120)가 대응하는 에지에 비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나머지 2개의 가장자리는 가역 고정 수단(128)을 통해 중앙 플레이트(120)가 대응하는 에지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가역 고정 수단(126)은 대응하는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접착 밴드(1261)를 가진다. 접착 밴드(1261)은 중앙 부분(1160)의 경계상에 배치되어 있다.
적합하게는 대응하는 패널(116)의 소정 가장자리와 관련된 접착 밴드(1261)은 에지의 길이의60% 이하의 누적 거리에 걸쳐 신장한다.
결과적으로 프론트 플레이트(122)가 반개방될 때, 그것은 중앙 플레이트(120)상에 위치하지 않고, 이들의 플레이트 사이에서 문서(113)의 삽입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7을 참조하면, 가역 고정 수단(128)은 프런트 및 중앙 플레이트(122, 120)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비가역적으로 고정되지 않은 중앙 플레이트(120) 및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2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자석(1281)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플레이트(120) 및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2개의 가장자리 하나는 2개의 자석(1281)을 수용하고 나머지는 3개의 자석(1281)을 수용한다.
2개의 플레이트(120, 122)의 한쪽에 의해 지지된 자석(1281)은 나머지의 플레이트(122, 120)에 의해 지지된 자석과 대향하고 상보적인 극성을 가진다.
가역 고정 수단(128) 및 비가역 고정 수단 126이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116) 내에 문서(113)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명확화를 위해 자석은 각각의 플레이트에서 돌출되도록 도면 위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자석(1281)은 대응하는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면이라도 좋다.
각 패널(116)의 클램프(130)는 해머(118)을 수용하고 전력을 전달하고 아래로 매달기된 케이블(114)에 대해 대응하는 패널(116)을 고정하는데 적합하다.
클램프(130)는 모두 같은 치수를 가지며, 각각 하나의 하우징(131)의 내부에 강제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의 하우징(131) 내에 접합 체결된다.
또한 이들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전기적 도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 클램프(130)는 사다리꼴 하부 바닥을 가지는 대체로 절두된 각뿔형상이며 그것은 법선 벡터(수1), (수2)에 의해 각각 방향 지을 수 있는 2개의 경사면(132)를 가진다. 외측면(134)는 사다리꼴 바닥 및 측면(135)에 의해 확정되어 있다. 각 클램프(130)은 전기적 케이블의 삽입용 블라인드 구멍(144)를 가진다.
(수 1)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4
(수2)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5
각 클램프(130)는 중공이며 중앙 하우징(138)을 가진다. 중앙 하우징(138)은 외측면(134)에 형성된 슬롯(136)에 의해 외부와 연통한다.
중앙 하우징(138)은 해머(118)를 수용하고 정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오목면(140) 및 가이드면(142)를 규제하는 바닥면에 의해 외측면(134) 방향으로 규제되어 있다.
경사면(132)는 대응하는 클램프(130)의 외측면(134)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각도는 법선 벡터(수3) 및 외측면(134)의 법선 벡터(수4)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법선 벡터(수5) 및 법선 벡터(수6)는 절대값이 90°보다 엄밀하게는 작다.
(수 3)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6
(수 4)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7
(수 5)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8
(수 6)
Figure 112018075277753-pat00009
클램프(130)가 해머(118)를 수용할 때, 클램프(130)의 경사면(132)의 구성은 클램프(130)가 하우징(1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성은 후술한다.
슬롯(136)은 원형 부분(1361) 및 상기 원형 부분(1361)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직사각형 부분(1362)를 가진다.
원형 부분(1361)에 대향하는 길이 방향 부분(1362)의 단부는 오목면(140)으로 형성된다.
원형 부분(1361)은 회전 대칭축선 T를 따라 생각했을 경우, 해머(118)의 최대 단면보다 조금 큰 치수를 가진다.
길이 방향 부분(1362)는 하나의 케이블(114)만을 통과시키는데 충분한 사이즈의 폭을 가진다.
오목면(140) 은 슬롯(136)의 길이 방향 부분(1362)의 단부 위에 오버행(overhang)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8의 방향을 참조하면, 오목면(140) 은 수직 방향으로 향한 난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부분(1401)을 가지며, 반난형 부분(1402)은 수직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 위에서 중공부분(1401) 및 슬롯(136)의 길이 방향 부분(1362)이 형성된다.
클램프(130)가 케이블(114)을 수용할 때, 반난형 부분(1402)을 규제하는 표면(1403)은 케이블(114)의 단부에 배치된 해머(118)와 맞닿아 협동한다. 이 구성은 후술한다.
가이드면(142)은 슬롯(136)과 오목면(140) 사이의 원형 부분(1361) 내에 삽입되는 해머(118)를 안내하는데 적합하다.
가이드면(142)은 대체로 중앙 하우징(138)의 방향으로 볼록 형상을 가진다. 그 단부의 한쪽은 슬롯(136)의 원형 부분(1361)에 배치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오목면(140) 의 중공부분(1401)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슬롯(136)의 길이 방향 부분(1362)은 가이드면(142)에서 중앙 하우징(138)에 형성되고 가이드면(14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케이블(114)이 길이 방향 부분(1362) 내로 이동할 때, 가이드면(142)을 따르는 해머(118)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블라인드 구멍(144)은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중앙 하우징(138)에 인접하는 재료 영역(146)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주어진 패널(116)에 8개의 하우징이 존재한다. 이들은 에지 당 2개의 비율로 에지(1161, 1162)에 있어서 중앙 플레이트(120)의 면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예에 있어서 하우징(131)은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방향으로 향한 중앙 플레이트(120)의 큰 면이 중앙 플레이트(120)의 두께 방향의 일부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소정의 에지(1161, 1162)의 하우징(131)은 대향 에지(1161, 1162)의 하우징과 교차하고 있다.
소정 패널(116)에 대해서 같은 에지(1161, 1162)의 2개의 클램프(130)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하우징(131)(따라서, 클램프(130)) 및 동일 에지(1161, 1162)의 다른 한쪽 하우징 사이의 간격은 유닛(110)의 모든 패널(116)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 하우징(131)은 클램프(13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6내지 도9의 예에 있어서, 각 하우징(131)은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특히 하우징(131)은 그것을 수용하는 클램프(130)의 경사면(132)중 하나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2개의 경사면(1310)에 의해 가로 방향, 즉 대응하는 에지(1161, 1162)와 평행한 방향으로 규제되어 있다.
이들의 경사면(1310)은 단면 1163에서 패널(116)의 중앙 부분 1160의 방향으로 발산한다. 클램프(130)의 경사면(132)의 법선 벡터(수7), (수8)는 대응하는 패널(116)의 중앙 부분 1160과 반대 방향으로 대체로 패널(116)의 방향으로 향해진다.
(수 7)
Figure 112018075277753-pat00010
(수 8)
Figure 112018075277753-pat00011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 하우징(131)의 들린바닥은 개방되어 있고 단면 1162와 정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클램프(130)이 하우징(131) 내에 수용되면, 클램프(130)은 수용되고 대응하는 패널(116) 내에 결합되어 패널(116)에 관해 돌출되지 않는다. 그 외측면(134)는 패널(116)의 단면 1163과 정렬되고 패널(116)의 외측을 향하여 있고 패널(116)의 외측에서 액세스 가능하다. 그 결과, 슬롯(136)은 패널(116)의 외측을 향하여 방향 지을 수 있어 패널(116)의 외측에서 액세스 가능해진다. 또한 클램프(130)의 측면(135)의 하나는 거기에 하우징(131)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 패널(12)0의 면과 정렬되어 있다.
주어진 패널(116)의 클램프(130)은 패널(116)에서 돌출되지 않고, 그것에 따라 유닛(110)의 미관이 개선된다. 이것은 특히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 124가 불투명한 외측 둘레를 가질 경우에 해당한다. 이 점은 후술한다.
각 패널(116)의 발광 엘리먼트(132)는 중앙 부분(1160)의 주위에 형성된 사각형 스트립상에 배치되고 후자의 방향으로 향해지고 있다.
발광 엘리먼트(132)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이 스트립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은 또한 각각이 삽입되어 있는 전기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클램프(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대응하는 클램프(130)의 블라인드 구멍(144) 내에 납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 122)에서 패널(116)의 구성이 설명된다.
최초로 하우징(131)이 중앙 플레이트(120)의 에지 내에 형성된다. 그 후, 클램프(130)이 하우징(131) 내에 고정된다. 주어진 클램프(130)에 대해서 클램프(130)은 그 단부가 하우징(131)에 접근할 수 있다. 그 후, 클램프(130)을 스트립에 접속하도록 설계된 전기적 케이블이 블라인드 구멍(144) 내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클램프(130)은 그 후, 예를 들면 클램프(130)의 표면 하나 이상을 접착풀에 의해 코팅함으로써 대응하는 하우징(131) 내에 고정된다.
가역적 및 비가역적 고정 수단(128), 126은 중앙 플레이트(120) 및 프론트 플레이트(122)의 면 주위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리어플레이트 124는 중앙 플레이트(120)에 고정되어 중앙 플레이트(120)은 대응하는 에지 1161, 1162에 있어서 프론트 플레이트(122)에 각각 가역적, 비가역적으로 고정된다.
유닛(110)의 동작이 도면을 참조해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패널(116)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에지 1161, 1162상에 배치된 클램프(130)은(즉 대응하는 패널(116)이 초상화 모드이면 트래버스 에지 1162, 패널 16이 가로 방향이면 길이 방향 에지 1161)은 각각, 대응하는 패널(116)을 매달 수 있는 2개의 케이블(114)의 하나 해머(118)을 수용한다. 주어진 패널(116)의 무게는 상부 패널(116)또는 서포트(112)에 의해 작용된다.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에지 1161, 1162에 배치된 클램프(130)은 해머 18을 수용 하지 않는다.
패널(116)의 무게 영향 원으로 해머(118)의 표면은 협동하고 대응하는 클램프(130)의 오목면(140) 의 반난형 부분(1402)를 규제하는 면 1403과 맞닿는 것을 유지한다. 그것은 클램프(130)에 대해서 대응하는 케이블(114)를 고정한다.
클램프(130)은 경사면(131) 및 경사면(1310)의 방향에 의해 대응하는 경사면(1310)을 가지는 경사면(132)의 협동에 의해 각각의 하우징(131) 내에 고정된다.
전력은 소스(E)에서 패널(116)로 또한 패널(116)에서 소스(E)로 전기적 도체 케이블(114), 클램프(130) 및 발광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스트립을 통해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패널(116)을 매달고 있는 케이블(114)중 하나에 의해 주어진 패널(116)에 대해서 전력이 전달되고 면(1403)에서 대응하는 클램프(130)로 전달된다. 이것은 스트립 및 전기 케이블을 통해서 발광 엘리먼트 (132)로 전달되고 또한 기타 에지(1161, 1162)와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프(130)로 전력이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2개의 클램프(130)중 다른 한쪽은 해머(118)를 수용하고 스트립은 패널(116)에서 상부 패널(116)로 전력을 회귀시키기 위한 제2 경로를 규정한다.
해머(118)를 클램프(130) 내에 삽입하기 위해, 해머(118)는 클램프(130)의 단면(1163)에 접근할 수 있도록 회전 대칭축선(T)를 따라 클램프(130)의 슬롯(136)의 원형 부분(1361)에 주어진다. 그 후, 해머(118)는 슬롯(136)을 통해서 삽입된다. 해머(118)를 지지하는 케이블(114)은 슬롯(136)의 길이 방향 부분(1362) 내에서 이동한다. 그 결과, 해머(118)는 오목면(140)의 범위에서 가이드면(142)을 따라 안내된다. 오목면 가이드면을 따르는 상기 해머(118)의 움직임은 해머(118)의 회전 대칭축선(T)를 따라 회전을 일으킨다. 그것은 회전 대칭축선(T)이 실질적으로 수평(도 8의 방향에 대해)한 위치의 오목면(140)의 튜브 부분(1401)에 주어진다.
케이블(114)은 이어서 해머(118)가 면(1403)에 맞닿을 때까지 축선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클램프(130)에서 해머(118)을 제거하기 위해, 케이블(114)은 해머(118)가 오목면(140)으로부터 분리될때까지, 패널(16)에 대해서 수직하게 이동한다. 그 후, 케이블(114)은 수평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고 그 결과 해머(118)는 상기 오목면(140)으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면(142)에 맞닿는다. 케이블(114)은 동시에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 길이 방향 부분(1362) 내에서 측방으로 평행 이동되고 그 결과 해머(118)는 가이드면(142)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면(142)의 형상에 의해 해머(118)는 이동 중에 회전하고 회전 대칭축선(T)를 따라 중앙 부분(1361)에 배치된다.
가이드면(142)에 의해 해머를 중앙 하우징(138) 내에 머물게 하는 정확하고 단순한 움직임에 의해 해머(118)가 클램프(130)에서 부주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에 따라 패널(116)의 설치 중 또는 작업 중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실제로 예를 들면 충격에 의해 오목면(140)에서 해머(118)가 부주의로 떨어졌을 경우, 해머(118)는 오목면(140)에서 떨어지면서 가이드면(142)에 걸어 맞추는 것은 비교적 보기 드물다. 그 경우, 그것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 대칭축선(T)를 따라 슬롯(136)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 결과, 해머(118)는 난형 형상이기 때문에 클램프(130)에서 떨어질 수 없다.
패널(166) 내에 문서(113)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역 고정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에지(1161, 1162)에 서 중앙 플레이트(120)로부터 프론트 플레이트(122)를 분리한다.
도 6 및 도7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해 당김으로써 중앙 플레이트(120)에서 프론트 플레이트(122)를 충분히 분리한다. 그 결과, 중앙 부분(1160)에 액세스 가능해진다.
문서는 그것이 접착 밴드(1261)와 맞닿을 때까지 프런트 및 중앙 플레이트(122, 12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닛(110)의 패널(116)은 패널(116)의 상부 에지(1161, 1162)가 가역 고정 수단(128)이 배치되는 2개의 에지(1161, 1162)의 한쪽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프런트 및 중앙 플레이트(122, 120)가 서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경우, 중앙 부분(1160) 내에 삽입된 문서(113)는 패널(116)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클램프(130) 및 패널(116)을 결합함으로써, 특히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 124)가 불투명한 외측 둘레를 가질 경우, 패널(116)의 외관을 개선한다.
이 결과, 에지 (1161, 1162)당 2개의 비율로 8개의 클램프(130)을 패널(116)에 부여하는 것은, 패널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이 결과로서 각 패널(116)은 조립 중에 확정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만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패널과는 달리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드, 즉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모드를 가진다.
주어진 패널(116)에 대해서 클램프(130)의 동일 에지(1161, 1162)의 다른 클램프(130)에서 모두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는 특히 이웃의 패널(116)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무관하다. 실제로 후자의 특징 결과, 케이블(114)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다른 한쪽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바로 위 또는 직하의 패널 통과 후의 탄성 또는 비틀림 응력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패널(112)은 클램프(130), 하우징(131, 118)의 구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머(11)의 난형 형상 및 가이드면(142)은 해머(118)가 클램프(130)에서 부주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클램프(130)의 사다리꼴 형상 및 하우징(131)의 경사면(132) 방향이 클램프(130)가 하우징(13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패널(116)의 풀림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2개의 연속하는 에지를 따르는 가역 및 비가역 고정 수단(128, 126)의 구성은 문서(113)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특히 패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3개의 연속 에지에 비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비해 유리하다. 실제로 시나리오에 있어서 프런트 및 중앙 플레이트(122, 120)가 서로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문서(113)의 삽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클램프(130)는 외측면(134)의 각 측면에 형성된 2개의 숄더 (148)을 가진다, 대체로 평행 6면체 형상을 가진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 숄더(148)는 외측면(134)의 길이 방향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32)는 숄더(148)에 의해 규제되고 외측면(134)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변형 예에 있어서 경사면(132)는 외측면(134)에 대해서 평행이며 이들의 면에 대한 법선 벡터 끼리의 각도가 제로가 된다. 이 형상을 가지는 클램프(130)를 수용하는데 적합한 하우징(131)의 경사면(1310)은 대응하는 패널(116)의 중앙부(1160)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132)의 구성 및 대응하는 하우징(131)의 경사면과의 협동 결과, 상기 유닛(110)에서 패널을 아래로 매달기할 때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클램프(130)가 하우징(13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클램프(130)는 중앙 플레이트(1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가진다. 이 대체예에 있어서 대응하는 하우징(131)은 중앙 플레이트(120)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124)는 리어플레이트(122)와 같은 방법으로 중앙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비가역 고정 수단(126)은 2개의 연속 에지를 따라 중앙 플레이트(120)의 리어면에 고정된 접착 밴드 (1261)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들의 가장자리는 프론트 플레이트(122)가 중앙 플레이트(120)에 비가역적으로 고정되는 곳의 2개의 가장자리와 같다.
또한 가역 고정 수단(1281)은 2개의 연속 에지에 있어서 리어플레이트(124)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1281)을 가진다. 이들의 2개의 가장자리는 예를 들면 프론트 플레이트(122)가 중앙 플레이트(120)에 가역적으로 고정되는 곳의 가장자리이다.
리어플레이트(124)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1281)은 중앙 플레이트(120)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과 교차한다.
중앙 플레이트(120)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1281)은 중앙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조금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각각의 바닥면에서 리어플레이트(124)상에 형성되는 개구(1283)가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수용 오리피스(1282) 내에서 걸어 맞춘다.
개구(1283)의 존재에 의해 수용오리피스(1282)의 바닥면과 리어플레이트 (124)와의 재료의 두께에 의해 중앙 플레이트 및 리어플레이트(120, 124)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의 인력 감쇠가 발생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자석(1281)은 각각의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대응하는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 면이면 좋다.
이 대체예는 문서가 표시되는 2개의 면을 평행하게 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적합하게는 프런트 및 리어플레이트(122, 124)의 색상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130)는 2개의 러그 (150)을 가진다. 각각의 러그(150)는 경사면(132)중 하나에 고정되어 또한 대응하는 경사면(132)에서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러그 (150)는 재료 존(146)중 하나와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각 러그 (150)는 클램프(130)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며, 예를 들면 클램프(130)의 깊이의 약 절반의 깊이를 가진다.
또한 각 러그(150)는 측면(135)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프론트 플레이트(120)과 동일 면이 되도록 설계된 측면(135)과 대향하는 평탄면 (1501)이 협동하는 텅 형상을 가진다.
상보적으로 각 하우징(131)은 경사면(1310)에서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고, 러그(15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오목부를 가진다. 오목부는 대응하는 중앙 플레이트(120)의 면에서 있는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그 거리는 중앙 플레이트(120)의 면과 동일면이 되도록 설계된 클램프의 측면(135)과 평탄면(1501) 사이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주어진 하우징(131)의 오목부는 클램프(130)이 하우징(131) 내에 삽입되면, 각각 러그(150)을 수용한다.
러그(150)의 존재 및 하우징(131) 내에서의 오목부와의 협동에 의해 하우징(131) 내에서의 클램프의 배치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 동시에 중앙 플레이트(120)에 대한 클램프의 동일면 배치를 보증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대체예에 따르는 패널(116)의 구성에 있어서, 각 클램프(130)는 클램프(130)의 러그(150)가 하우징(130)의 오목부와 맞닿을 때까지, 하우징(131)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31)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 러그(150) 및 오목부는 클램프(130)의 회전 대칭축에 대해서 반대 측에 위치한다. 그것은 예를 들면 클램프(130)에 인가되는 힘이 클램프의 회전 축선에 완전하게 집중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한다.
또한 러그(150)의 오목부와의 접촉은 클램프(130)의 측면(135)이 동일면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중앙 플레이트(120)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측면(135)의 중앙 플레이트(120)의 표면과의 동일면은 클램프(130)의 러그(150)를 위에서 누름으로써 조절한다.
이 변형 예의 다른 실시 예에서 측면(135)을 제외하고, 러그(150)가 클램프(130)의 임의 면에 고정된다. 이것이 실제로 중앙 플레이트(1120)에 의한 클램프(130)의 적당한 플래시를 방지한다. 러그(150)는 클램프의 반대 방향에서 클램프(130)를 향해 신장한다. 하우징(131)의 형상은 그에 따라 적합하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클램프(130)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러그(150)를 가진다. 하우징(131)의 형상은 그에 따라 적합하게 형성된다.
하나 변형 예에 있어서 각 패널(1176)은 2개의 길이 방향 에지(1161)를 따르는 전기적 도체가 아닌 클램프(130)를 가지며, 2개의 가로 방향 에지(1162)를 따라 전기적 도체인 클램프(130)를 포함한다. 비도체 클램프는 케이블 또는 바와 같은 서포트로 패널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체 클램프는 발광 엘리먼트(132)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반대로 비도체 클램프는 가로 방향 에지를 따라 배치되고 도체 클램프가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도 좋다.
적합하게는 비도체 클램프 및 도체 클램프는 이들의 하우징(131)에서 제거되도록 주어져 각각의 패널상에서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고 따라서, 소망에 패널의 방향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해 도 13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 용어,"길이방향으로","종방향으로" 및 "수직"은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으로 사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조명 표시 장치(210)(이하, 유닛(210)이라고 부른다)는 문서(211)를 조명 표시시키도록 설계된다. 그것은 수직으로 아래로 매달기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닛(21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도체 케이블(212),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214)(이하, 패널(214)라고 부른다) 및 전력을 패널(214)에 공급하도록 설계된 전력 소스(216)를 가진다. 또한 그것은 유닛(210)을 아래로 매달기 위한 서포트(217)를 가진다.
각 케이블(212)은 각각의 단부에 체결된 2개의 해머(218)를 가지며, 패널(214)에 체결된 클램프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과 협동할 수 있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유닛(2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패널(214)은 중첩되어 있다. 주어진 패널(214)은 케이블(212)를 통해 바로 위의 패널(214)에서 아래로 매달려 주어진 패널(214)의 무게는 바로 위의 패널(214)에 의해 완전하게 영향을 받는다.
도 13 및 도14를 참조하면, 각 패널(214)은 복수의 발광 엘리먼트(220), 발광 엘리먼트(220)가 배치된 중앙 플레이트(222) 및 그 각 측면과 평행 및 각 측면상에서 중앙 플레이트(222)에 체결되도록 설계된 2개의 제2 플레이트(24)를 가진다.
또한 각 패널(214)은 4개의 전기적 도체 클램프(228)를 포함한다. 각 클램프(228)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218)과 협동할 수 있다.
발광 엘리먼트(220)은 패널이 빛나는 듯하게 설계된 문서(211)을 빛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 엘리먼트(220)은 패널(214)의 중심 방향으로 향한 스트립(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이들의 스트립은 중앙 플레이트(222)의 주변에 형성된 슬롯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 및 14의 예에 있어서 발광 엘리먼트(220)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중앙 플레이트(222) 및 2 차 플레이트(224)는 반투명이며 PPMA로서 주지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플레이트(222) 및 2 차 플레이트(224)는 실질적으로 같은 치수를 가진다. 도 13 및 도 14의 예에 있어서 이들은 모두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술한 것처럼, 중앙 플레이트(222)는 발광 엘리먼트(220)을 수용하기 위해 그 주위에 형성된 압출 슬롯을 가진다. 또한 중앙 플레이트(222)는 발광 엘리먼트(220)에 의해 조사된 광을 2 차 플레이트(224)의 방향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처리된 면을 가진다. 그것은 문서(211)의 조명을 개선한다.
문서(211)를 패널(214)에 표시하기 위해, 문서는 2 차 플레이트(224)의 하나와 중앙 플레이트(222)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가 서로 체결되고 패널(214) 내에서의 문서(211)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중앙 플레이트(222) 및 2 차 플레이트(224)는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동시에 서로 대해 체결되어 있다. 2 차 플레이트(224)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는 패널(214) 내에 형성되는 스트립과 함께 패널(214)에 의해 구성되는 전기적 디바이스를 밀봉하기 위해, 그 주변부에 불투명 도료의 층을 가진다.
각 패널(214)은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에지(230)를 가지며, 패널(214)에 의해 구성되는 4개의 클램프 2개가 각각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각 패널(214)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이 대향하는 4개의 에지(230)를 가진다.
또한 각 패널(214)은 케이블(212)을 통과하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그것을 통해서, 패널(214)이 상류 측의 패널(214)과 결합되어 또는 발광 엘리먼트(220)용 전력 소스(216)로 전력이 옮겨진다.
이 목적을 위해 전기적 디바이스는 2개의 전기적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각각은 동일 에지(230)의 클램프(228)중 하나를 스트립에 접속한다. 실제, 각 커넥터는 당해 스트립에 한쪽면이 결합되고 다른 한쪽 면이 클램프(228)와 접촉하는 전기적 전도성 나각 튜브에 결합된다. 그것을 통해서, 클램프(228)는 패널(214)에 체결된다.
클램프(228)는 각각 패널(214)에 체결되고 2개의 케이블과 협동한다. 그 안의 한 개는 패널(214)를 상류 측 패널(212)에서 아래로 매달기 위해 사용되며 나머지 한 개는 패널(212)에서 하류 측 패널(212) 아래로 매달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은 그 내부에 걸어맞춤되는 케이블(212)과 전기적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클램프(228)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구리와 같은 도체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 클램프(228)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또한 클램프(228)의 2개의 부분 (234)를 규제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232)를 가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각 클램프(228)는 그 축선 방향을 따라 높이가 25내지 30 mm 적합하게는 28 mm이며 직경은 12와 17 mm 사이이며 적합하게는 14 mm와 동일하다.
슬롯(232)는 부분(234)이 에지(230)의 각각의 측면에 걸어맞추도록, 패널(214)의 대향 에지(230)의 한쪽에 걸어 맞추도록 설계되어 있다.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는 부분 (234)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오리피스는 서로 대향하고 체결 오리피스 한쪽만이 관통 오리피스이다. 상술한 것처럼, 전기적 도체이며 중앙 플레이트(222)에 고정된 나각 튜브(도시하지 않음)는 체결 오리피스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클램프(228)를 에지(230)에 체결하기 위해, 체결 부재가 삽입되며, 서로를 가로질러 체결 오리피스 내에서 걸어맞춤된 나각 튜브 내에서 나사 고정된다. 그 결과, 부분 (234)는 패널(214)의 에지(230)상에 가압된다.
각 클램프(228)는 클램프(228)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236) 및 하우징(236)을 덮는 캡 (236)을 가진다.
하우징 (236)은 케이블(212)에 대해서 클램프(228)를 체결하기 위한 2개의 해머(218)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블(212)의 단부에서 해머(218)가 체결되고 클램프(228)의 단부 부근에 나각(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각 클램프(228)는 하우징(236)의 벽에 형성된 2개의 만곡 슬롯(238)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 해머(218)을 구비하는 케이블(218)을 수용할 수 있고 케이블(212)의 이동용 대응하는 만곡 슬롯(238) 내에서 케이블(212)의 슬라이드를 허용해, 대응하는 케이블(212)에 대한 클램프(228)의 각도 위치 수정을 허용한다.
각 클램프(228)의 2개의 만곡 슬롯(238)은 하우징(236)의 벽 내에서 서로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즉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슬롯(232)와 같은 방향을 가진다. 그 결과, 클램프가 패널(214)에 체결되면, 만곡 슬롯(238)은 패널(214)의 면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각 만곡 슬롯(238)은 하우징(236)의 단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부분(2381), 클램프(228) 및 길이 방향 부분(2381)상에서 그 중심으로 형성되는 만곡 부분(2382)를 가진다. 2개의 부분(2381, 2382)는 케이블(212)과 상보적인 치수를 가진다.
만곡 부분(2382)은 또한 30°와 60°의 사이, 예를 들면 45°에 동일한 각도 폭을 가진다.
케이블(212)을 클램프(228)에 체결하기 위해, 케이블(212)중 하나의 해머(218)는 하우징(236)의 단부에 배치되며, 케이블(212)은 만곡 슬롯(238)중 하나인 길이 방향 부분(2381)에 배치된다.
해머(218)는 하우징(236) 내에 삽입되어 케이블(212)이 슬롯(238)의 만곡 부분(2382)상에 형성될 때까지, 클램프(22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케이블(212)은 케이블(212)에 대한 패널(214)의 상대적 회전에 대해서 만곡 부분(2382) 내에서 슬라이드할 수 없다. 해머(218)는 하우징(236)의 내측면에 대해서 가압된다.
실제로 케이블(212)이 상기 타단에 의해 체결되는 케이블(212) 및/또는 패널(214)의 무게 영향에 의해 릴리스되면, 해머(218)는 하우징(236)의 내측면에 대해서 가압되고 그것에 의해 대응하는 케이블(212)를 따라 클램프(228)의 위치를 고정한다.
패널(214)의 4개의 클램프(228)는 대향 에지(230)당 2개의 클램프(228)의 비율로 패널(214)상에 배치된다.
적합하게는 패널(214)이 직사각형 경우, 클램프는 대향하는 가로 방향 에지(230)상에 배치되고 케이블은 패널(214)의 정면을 통과하지 않고, 읽는 것을 어렵게 한다. 동일 에지(230)상에 배치된 클램프는 다른 한쪽의 에지(230)상에 배치된 클램프(228)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그 결과, 2개의 클램프(228)은 다른 2개의 클램프(228)의 높이보다 높은 동일 높이(수직 방향으로)를 가진다.
이하에서 패널(214)의 소정 에지(230)상에 배치된 2개의 클램프(228) 중에서 최대의 높이를 가지는 클램프(228)를 상부 클램프라고 부르고, 다른 클램프(228)를 하부 클램프라고 부른다. 상부/하부 클램프는 각각 패널(214)의 4개의 클램프(228) 중에서 보다 높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2개의 클램프를 지정한다.
각 클램프(228)의 하우징(236) 및 만곡 슬롯(238) 및 하우징(236) 및 슬롯(238) 내에 각각 삽입된 해머(218) 및 해머를 연결하는 케이블(212)은 케이블(212)로의 패널(214)의 링크 (240)을 확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 링크(240)은 케이블(212)에 대한 클램프 218의 링크를 생성하고 클램프(228)에 관해 케이블(212)의 상대적 회전을 허용한다.
패널(214)의 면과 케이블(212) 사이의 경사는 도 16에 나타내는 각도
Figure 112018075277753-pat00012
에 의해 식별된다. 케이블(212)는 하류 측 패널(214)의 무게 영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늘려진다.
각 패널(214)는 피벗 링크(240)을 통해 상류 측 패널(214)에서 매달려 상류 측 패널(214)에서 그것을 아래로 매달기 낮추는 4개의 케이블 240에 대해서(또는 서포트(217)에서 그것을 매다는 2개의 케이블(212)에 대해서) 패널(214)의 회전이 허가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에 대한 그 회전도 또한 허용된다.
적합하게는 패널(214)에 의해 구성되는 모든 링크(240)은 피벗 링크이며 각 패널은 그것을 상류 측 패널 212에서 아래로 매달기 낮추는 4개의 케이블(212)에 대해서 추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유닛(210)의 수직 방향에 대해 추 이동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하류 측 패널(214)를 가지는 각 패널(2148)은 피벗 링크(240)를 가진다. 각 패널(214)의 각 클램프(228)는 2개의 링크(240) 내에 구성되고 상류 측 패널(214) 또는 서포트(217)에서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에 대한 클램프(228)의 링크 및 패널(214)에서 하류 측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에 대한 클램프(228)의 링크를 각각 부여한다.
각 패널(228)의 캡(237)이 하우징(236)의 단부에서 걸어맞춤되어 하우징을 덮는다.
이를 위해 캡(237)이 클램프(22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1 원통부 및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제2 나각 부분을 가진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같은 축선을 가지며, 제1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36)을 개폐하기 위해, 제2 부분은 하우징(236)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217)는 제1 패널(214)을 아래로 매달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서포트(217)는 제1 패널(214)의 상방에 배치되고 빔을 구성한다.
제1 패널(214)은 동일 길이의 2개의 케이블을 사용해 아래로 매달려 서포트(217)의 주위를 통과한다. 케이블(212)은 서포트(217)에 대해서 고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패널(215)의 수직 방향의 경사가 조정 가능해진다.
케이블(212) 각각은 제1 패널(214)과 같은 대향 에지(230)의 상부 및 하부 클램프(228)와 협동한다.
소스(216)는 패널(214)에 발광 엘리먼트(220) 및 유닛(2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216)가 서포트(217)에 의해 제1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에 접속되고 매우 낮은 전압의 전력을 전원 공급한다.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유닛(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닛(210)의 동작 중, 소스(216)는 서포트(217)로부터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를 통해서 제1 패널(214)에 전력을 전달한다.
해머(218) 및 클램프(228)는 전기적 도체이며 전력은 제1 패널(214)의 전기적 디바이스로 그리고 발광 엘리먼트(220)로 및 제1 패널(214)에서 하류 측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하류 측 패널(214)의 전기적 디바이스 및 발광 엘리먼트(220)는 전력이 공급되고 전력은 거기에서 아래로 매달리는 패널(214)에 도달할 때까지 하류 측 패널(214)의 클램프(228) 내에 삽입된 해머(218)를 통과한다. 전력은 서로 패널을 아래로 매다는 케이블(212)을 사용하여, 소스(216)로부터 유닛(210)의 패널(214)로 전달된다.
실제, 케이블(212) 및 패널(214)의 전기적 디바이스는 전력에 대한 적어도 2개의 전달 경로를 갖는다. 전력은 소스(216)에서 패널(214)로 옮겨져 패널(214)에서 소스(216)로 방출된다.
또한 수직 방향에 대한 패널(214)의 경사는 이하와 같이 수정된다.
적합하게는 상류 패널(214)을 가지는 각 패널(214)에 대해서 패널(214)의 상부 클램프(228) 내에 삽입되어 있는 2개의 케이블(212)은 같은 길이를 가진다. 그 결과, 읽기 어렵게 하는 패널의 가로 방향 기울기가 방지된다.
서포트(217)에서 제1 패널(212)을 아래로 매달기 위한 2개의 케이블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제1 패널(214)의 상부 클램프(228)의 높이는 상부 클램프(228)와 서포트(217) 사이에서 케이블(212)의 길이 l1에 의해 결정된다. 패널(214)의 면과 케이블(212)의 각 입구 사이의 각도
Figure 112018075277753-pat00013
가 결정된다.
제1 패널(214)의 상부 클램프(228)와 서포트(217) 사이에서 케이블(212)의 길이 l1를 짧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케이블(212)을 서포트(217)의 주위에 수동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부 클램프(228)의 높이는 증가하고, 하부 클램프(228)의 높이는 동시에 아래방향으로 감소한다. 그것은 패널(214)를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경향이 있다.
제1 패널(214)이 이와 같이 움직일 때, 2개의 케이블(212)의 2개의 단부는 각각의 만곡 슬롯 내에서 슬라이드한다. 그 결과, 서포트(217)에서 아래로 매달리는 2개의 케이블에 대한 제1 패널(214)의 경사가 수정된다.
유닛(210)의 모든 케이블(212)이 고정장치를 가지기 때문에, 제1 패널(212)를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는 경향은 패널(214)에서 패널(214)로 퍼진다. 길이 l1가 짧게 되었을 경우, 제1 패널(214)의 상부 클램프(228)를 실질적으로 오버행해서 배치되어 있는 다른 패널(214)의 클램프(228)는 동시에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 하부 클램프(228)는 하방으로 인하된다.
상류 측 패널(214)에 주어진 패널을 결합하는 케이블(212)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류 측 패널(214)의 오버행으로 배치된 주어진 패널(214)의 클램프(288)는 패널(214)에 대한 하부 클램프(228)에 대응한다.
이것에 의해 수직 방향에 대한 모든 패널(214)의 경사의 수정이 달성된다.
유닛(210)의 패널(214)의 경사는 제1 패널(214)를 서포트(217)에서 아래로 매달면서, 서로 걸어맞추는 상부 클램프(228)와 서포트(217)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212)의 부분의 길이 l1의 선택을 통해서 동시에 수정된다. 주어진 패널의 임의의 경사 수정은 대응하는 만곡 슬롯(238) 내에서 상류 측 패널(214)에서 그것을 아래로 매다는 4개의 케이블의 상대적 이동을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패널(214)의 경사가 수정되었을 때, 유닛(210)의 케이블(212)은 하류 측 패널(214)의 무게 영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패널(214)의 다른 패널(214)에 대한 경사는 2개의 패널(214) 중 상류 측 패널(214)에서 하류 측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4개의 케이블(212)의 길이를 선택함으로써 수정 가능하다.
상류 측 패널(214)에서 주어진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하부 또는 상부 클램프(228) 내에 삽입된 2개의 케이블(212)의 길이를 연장 또는 감소함으로써, 대응하는 클램프의 높이는 감소한다. 그것은 다른 모든 것을 동일하게 하여 상류 측 패널(214)의 경사가 수정되지 않고, 패널(214)를 수직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류 측 패널(214)에서 패널(214)를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212)의 길이가 수정되었을 때, 반대 에지(230) 내에서 가로질러 클램프(228) 내에 삽입된 케이블(212)의 길이도 수정된다. 그 결과, 패널(214)은 가로 방향으로 경사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패널(214)을 다른 한쪽에서 아래로 매다는 4개의 케이블(212)의 길이는 동일하고 그 결과, 길이 l1가 수정되었을 경우, 즉 수직 방향에 대한 모든 패널(214)의 경사가 수정되었을 경우에도 2개의 패널(214)은 서로 평행 그대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228)와 주어진 케이블(212) 사이의 링크는 피벗 링크이므로, 케이블에 대한 클램프(228)의 상대적 회전이 허용된다.
수직 방향에 대해서 클램프(228)에 접속된 패널(21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링크(240)의 단순한 구조, 특히 클램프(228)에 대한 해머(218)의 따라서, 패널(214)에 대한 케이블(212)의 상대적 이동의 잠금은 유닛(210)으로부터 제1 패널(214)을 아래로 매달기 위한 케이블 (214)의 배치만을 수정함으로써, 모든 패널(214)의 경사를 동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240)는 피벗 링크이다.
또한 2개의 패널(214) 간의 상대적 경사는 케이블(212)를 사용해 서로를 결합하는 케이블(212)을 다른 길이로 치환함으로써 적응 가능하다. 그것을 실행하는데 특정 툴은 불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닛(210)은 단일 패널(214)만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닛(210)은 2개 이상의 패널, 예를 들면 3개의 패널을 가진다. 혹은 4 개 이상의 수 다수 패널을 가지고도 좋다.
일반적으로 제1 패널(214)은 서포트(217)에 감긴 2개의 케이블 대신에 지지 결합된 4개의 독립 케이블(212)에 의해 지지되고 체결되어도 좋다. 또한 서포트(217)는 제1 패널(214)상의 각각의 클램프(228)와 서포트(217) 사이에서 4개의 케이블의 길이를 수정하기 위해, 당해 서포트(217) 주위에 4개의 케이블(214)를 감기 위한 권취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권취수단은 서포트(217) 주위에서 수동에 의해 케이블을 슬라이드시키지 않고 유닛의 패널(214)의 경사 수정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도 17 및 도18을 참조하면, 유닛(210)은 서포트(217)에서 제1 패널(214)을 아래로 매달기 위한 2개의 풀리 및 단부에 해머(218)를 구비하는 2개의 전기적 도체 케이블을 가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 풀리(240)는 베이스(242) 및 스토퍼(244)를 가진다.
베이스(242)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에 걸쳐 텅부(248)가 형성된 대체로 삼각형 리세스를 가진다.
리세스(246)는 베이스(242)의 주변 부근에 배치된 둥근 정점(252)을 가진다. 해머(218)를 수용하기 위한 반구 형상 오목부(254)가 정점(252)의 베이스 (24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256)가 정점(252)과 정렬되어 배치되고 해머(218)을 지지하는 케이블(241)의 통로로 사용된다.
텅부(248)는 둥근 정점(250)을 가지며, 리세스(248) 내에서 U자형 모양 슬롯(258)을 규제한다. 텅부(248)는 베이스(242)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된 원통 형상 노치(254)를 가진다.
스토퍼 (244)는 베이스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풀리(240)를 닫기 위해 노치 (254) 내에서 걸어맞추도록 설계된 중앙의 포스트 (260) 및 림(261)을 가진다.
베이스(242) 및 풀리(240)의 스토퍼(24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에서 머시닝 또는 주조에 의해 제조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르는 유닛(210)의 동작 중, 각 풀리(240)는 대응하는 풀리 (240)의 오리피스 (256) 내를 통과해 걸어 맞추는 케이블(241)을 사용해 서포트(217)에서 아래로 매달리며, 해머(218)는 반구 오목부(254) 내에 수용된다. 해머(218)는 오리피스(256)에 근접하는 리세스 (248)에 의해 규제된 면과 맞닿아, 케이블(241) 및 풀리(240)의 상대위치가 고정된다.
케이블(241)은 그 단부에서 해머(218) 외에 예를 들면 프랑스 국가 특허 제 2,945,385호 A1에 기재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사용해 결합된다.
제1 패널(214)의 2개의 케이블(212)는 하나의 풀리(240)의 슬롯(258) 내에 걸어맞춤되고 대응하는 텅부(248)의 정점 250과 맞닿는다.
각 풀리(240)에 대한 스토퍼 (240)의 림(261)은 대응하는 케이블(212)를 리세스 (246)의 면에 대해서 가압하고 슬롯(258) 내에서의 케이블(212)의 슬라이드를 고정한다. 그리고 스토퍼 (244)가 풀리(240)를 닫을 때, 제1 패널(214), 즉, 유닛(210)의 패널 경사는 고정된다.
패널(214)의 경사를 수정하기 위해, 스토퍼(244)는 2개의 풀리 (240)에서 제거되고 제1 패널(214)의 케이블(212)은 대응하는 슬롯(258) 내에서 슬라이드하고 예를 들면 패널(214)의 하측 또는 상측 부분을 이동함으로써, 길이 l1를 수정한다.
본 발명의 이 예에 의하면 서포트(217)의 주위로 케이블(212)과의 협동 및 슬라이드에 관련된 서포트(217)의 임의 휘감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풀리 (240)의 닫힘 위치에서 베이스(242)와 스토퍼(244)를 협동시킴으로써, 풀리(240)에서의 제1 패널(214)의 케이블(212)에 대한 슬라이드가 방지되고 따라서, 유닛(210)의 패널(214)의 경사가 고정된다.
도 20 내지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들은 일반적으로 천정이나 측벽에 대해 결합이 용이하도록 ㄷ자형 지지체(1)에 대하여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14)의 일단에 연결된 관절형 연결부(3)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ㄷ자형 지지체(1)는 ㄷ자형으로 기다랗고 양단부가 열려 있는 커버부재(1a)와 상기 커버부재(1a)내부에 설치되는 전도성 트랙(1b)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트랙(1b)은 상기 케이블(14)의 음극성 단자와 양극성 단자를 길이의 차이로 구분하되, 설치시 상기 케이블(14)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도록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단 수용부(1ba)와 제2단 수용부(1b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관절형 연결부(3)는 상기 케이블(14)의 일단에 형성된 해머(40)가 수용결합되는 제1관절(3a)과 상기 제1관절(3a)에 대해서 90도 선회가능한 제2관절부(3b) 및 상기 제2관절부(3b)에 달려 상기 제1단수용부(1ba) 또는 제2단수용부(1bb)에 결합되는 판상결합부(3c)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절부(3a)와 상기 제2관절부(3b)는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관절해머(3e)와 상기 관절해머(3e)를 수용하는 관절슬롯(3d)를 구비하여 90도 절곡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관절형 연결부(3)에 의하여 상기 판상결합부(3c)가 상기 ㄷ자형 지지체(1)에 대해 결합후 절곡되어 상기 지지체(1)에 대해서 상기 패널(12)들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더 할 수 있으며, 상부에 대해 편리하게 지지 및 전기적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ㄷ자형 지지체(1)내의 상기 전도성 트랙(1b)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측벽 사이의 모서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의 하우징(130)의 원형부분(1361)에는 나사산(1361a)이 가공되어 있고, 상기 원형부분(1361)을 통해 상기 직선부분(1362)를 지나 상기 케이블(14)이 고정된 경우에 상기 하우징(130)에 대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원형부분(1361)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정화 수단(1361b)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14)의 이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들을 평행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진이나 물리적인 충돌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들이 상기 케이블(14)에 대하여 요동하여 합선되거나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바닥 고정부(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고정부(5)는 상기 케이블(14)의 일단에 형성된 해머(40)가 수용결합되는 제1관절(5a)과 상기 제1관절(5a)에 대해서 90도 선회가능한 제2관절부(5b) 및 상기 제2관절부(5b)에 달려 바닥에 대해 결합되는 적어도 3개의 걸림부(5c)를 갖는 판상결합부(5c)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절부(5a)와 상기 제2관절부(5b)는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관절해머(5e)와 상기 관절해머(5e)를 수용하는 관절슬롯(5d)를 구비하여 90도 절곡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c)에는 장판이나 러그 등에 결합이 가능한 비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ㄷ자형 지지체(1)의 전도성 트랙(1b)은 외부 단자, 외부 교류를 발광 엘리먼트에 직류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7)가 연결될 수 있다.
12 : 패널 14 : 전도성 케이블
16 : 전력 소스 18 : 발광 엘리먼트
20 : 중앙 플레이트 26 : 클램프
28 : 전달 디바이스 30 : 에지

Claims (16)

  1.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되고 각각 발광 엘리먼트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도성 케이블중 하나의 일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하나의 일단을 접속시켜 아래로 매달기 위한 현수용 클램프와,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발광 엘리먼트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전력 소스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당해 전력 소스에 대해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 및 하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규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소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적 전도성 케이블중 하나의 타단은 벽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전도성 트랙을 구비한 ㄷ자형 지지체에 대해 90도로 절곡가능한 관절형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ㄷ자형 지지체는 ㄷ자형으로 기다랗고 양단부가 열려 있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트랙은 상기 케이블의 음극성 단자와 양극성 단자를 길이의 차이로 구분하되, 설치시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도록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단 수용부와 제2단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관절형 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해머가 수용결합되는 제1관절부와 상기 제1관절부에 대해서 90도 선회가능한 제2관절부 및 상기 제2관절부에 달려 상기 제1단수용부 또는 제2단수용부에 결합되는 판상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부는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관절해머와 상기 관절해머를 수용하는 관절슬롯를 구비하여 90도 절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용 클램프는 적어도 2개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서 상기 전도성 케이블을 잠글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2개의 대향 에지 중 하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상기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2개의 클램프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기적 전도성 트랙을 가져, 하나의 클램프에서 다른 클램프로 전기적 에너지가 통과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각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나의 상기 케이블을 사용해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래로 매달려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 무게가 상기 상류 측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각각은 양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전기적 전도성 해머를 가지며, 상기 전기적 전도성 해머는 원형 또는 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발광 엘리먼트가 장착된 중앙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전도성 클램프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 각각은 상기 해머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 하우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스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가지며, 상기 관절 연결부는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에 각각 접속을 구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양극 관절 연결부와 음극 관절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단면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케이블 중 한 개를 설치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된 외측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전도성 클램프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수용되고, 상기 클램프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단면과 나란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 방향을 향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서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된 8개의 클램프를 가지며, 에지 당 2개의 클램프 비율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가장자리의 2개의 클램프 간격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는 대응하는 클램프의 외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2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상보적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내에서 수용되고 상기 클램프의 경사면 각각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벡터(수9)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 방향을 향해 있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하우징을 규제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수 9)
    Figure 112018075277753-pat00014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각각은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해머를 가지며,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 각각은 대응하는 슬롯이 형성된 중앙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중앙 하우징은 상기 해머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오목면이 형성된 바닥부에 의해 외측면의 방향으로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중앙 하우징에 드러나는 원형 부분, 상기 중앙 하우징 및 오목면에서 상기 원형부분에 드러나는 길이 방향 직사각형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 각각은 한 개의 회전 대칭축선을 가지며, 상기 회전 대칭축선을 따라 취한 최대 단면이 원형 부분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난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램프 각각은 상기 중앙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롯의 원형 부분을 상기 오목면에 결합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중앙 하우징의 방향을 향하는 볼록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면을 따르는 해머의 이동에 의해 해머의 상기 회전 대칭축선에 대한 회동이 발생하며,
    상기 원형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가 결합된 후 상기 원형 부분에 안정화 나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같은 치수를 가지는 중앙 플레이트 및 정면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의 2개의 연속 에지를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2개의 대응하는 에지에 비가역적으로 고정하는 비가역적 고정 수단과 상기 정면 플레이트의 다른 2개의 가장자리를 상기 중앙 플레이트가 대응하는 2개의 가장자리로 가역적으로 고정하는 가역적 고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가역적 고정 수단은 상기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그 에지가 적어도 지지되는 자석을 가지며, 상기 비가역적 고정 수단은 대응하는 에지를 따라 상기 정면 플레이트 또는 중앙 플레이트에 의해 적어도 지지된 접착 스트립을 가지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와 상기 정면 플레이트 사이에 문서가 삽입되며, 상기 문서는 상기 발광 엘리먼트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확산, 분산 소재로 이루어진 페이퍼의 이면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에 고정되어 상기 클램프에서 상기 클램프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클램프에서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상기 케이블에 대하여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에 대해 고정되는 바닥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해머가 수용결합되는 제1관절과 상기 제1관절에 대해서 90도 선회가능한 제2관절부 및 상기 제2관절부에 달려 바닥에 대해 결합되는 적어도 3개의 걸림부를 갖는 판상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절부와 상기 제2관절부는 서로 대응하는 단부에 관절해머(5e)와 상기 관절해머(5e)를 수용하는 관절슬롯(5d)를 구비하여 90도 절곡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표시 장치.
KR1020180088698A 2018-07-30 2018-07-30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KR102093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98A KR102093492B1 (ko) 2018-07-30 2018-07-30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PCT/KR2019/008717 WO2020027464A1 (ko) 2018-07-30 2019-07-15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98A KR102093492B1 (ko) 2018-07-30 2018-07-30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70A KR20200013470A (ko) 2020-02-07
KR102093492B1 true KR102093492B1 (ko) 2020-03-30

Family

ID=6923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98A KR102093492B1 (ko) 2018-07-30 2018-07-30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3492B1 (ko)
WO (1) WO2020027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5848A1 (en) * 2022-01-03 2023-07-06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2040A (ja) 2006-01-06 2009-06-11 金成辰 平面映像表示装置用棚
JP2015528917A (ja) * 2012-05-30 2015-10-01 ヴェ・デ・ペVdp 吊り下げクランプを有する照明表示装置
JP2015537342A (ja) * 2012-10-31 2015-12-24 メディア グラフ デポ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094A (ko) * 2003-04-03 2003-12-06 이해룡 안내표지판 고정장치
KR100977032B1 (ko) * 2007-11-30 2010-08-19 문창모 간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2040A (ja) 2006-01-06 2009-06-11 金成辰 平面映像表示装置用棚
JP2015528917A (ja) * 2012-05-30 2015-10-01 ヴェ・デ・ペVdp 吊り下げクランプを有する照明表示装置
JP2015537342A (ja) * 2012-10-31 2015-12-24 メディア グラフ デポ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464A1 (ko) 2020-02-06
KR20200013470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617B2 (ja) 照明表示装置
EP3040599A1 (en)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US20170191643A1 (en) Interchangeable lighting fixtures for track and wall lighting system
EP2943721B1 (en) A luminaire with a connection device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CA2297822A1 (en) Strip lighting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2093492B1 (ko) 현수용 클램프를 갖는 조명 표시 장치
CN205592722U (zh) 一种线条灯及其led灯条
CN105371164A (zh) 照明器具、光源部件和安装部件
KR101412008B1 (ko) 엘이디 조명
CA3101908C (en) Lighting system
EP3080796B1 (en) Sign box lighting system
KR101496901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US20060012981A1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KR101965190B1 (ko) Led 엣지 평판등
CN205592725U (zh) 一种线条灯
KR20140134033A (ko) 조명장치
CN101420887B (zh) 家具
CN205592902U (zh) 一种组合式线条灯及其接头
KR20200103314A (ko) 고정 위치 조절 구조의 레일 조명 장치
EP1602876A1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CN211040614U (zh) 安装方便的灯具
CN213872351U (zh) 壁灯装置、壁灯挂载板以及壁灯
KR20230013521A (ko) 곡선형 마그네틱 엘이디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