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75B1 - 자재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재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75B1
KR102093475B1 KR1020200000610A KR20200000610A KR102093475B1 KR 102093475 B1 KR102093475 B1 KR 102093475B1 KR 1020200000610 A KR1020200000610 A KR 1020200000610A KR 20200000610 A KR20200000610 A KR 20200000610A KR 102093475 B1 KR102093475 B1 KR 10209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frame
warehous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항
Original Assignee
이석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항 filed Critical 이석항
Priority to KR102020000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6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lateral swin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및 상기 창고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부에 적재된 자재를 이송하기 위한 자재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재 이송 시스템{MATERIAL TRANSFERING SYSTEM}
본 발명은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hoist)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장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체인, 스프로켓, 로우프 등을 이용하여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를 구분하자면 크게 체인 블록, 공기 호이스트,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하면 각종 자재를 운반 또는 하적하는 작업을 훨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이스트가 설치된 장치물은 운반 자재의 중량과 규모에 따라 그 형태와 구성이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인 형태에 따라 대용량의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호이스트 장치와, 1톤 이하의 소형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소형 호이스트 장치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대형 호이스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철재 프레임을 축조하여 견고한 구조물을 완성하고, 상기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호이스트가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승강시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형 호이스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임의적으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지면상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는 호이스트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해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한 소형 호이스트 장치를 개량하여 지면상에서 구름운동하며 이동되도록 구성된 호이스트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80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1993-000202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창고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창고 내부의 공기압이 설정한 공기압을 초과할 경우 창고 내부의 공기를 일부 외부로 배출하여 창고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창고의 피압구에 설치하는 연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자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화재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자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은, 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및 상기 창고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부에 적재된 자재를 이송하기 위한 자재 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은, 상기 창고부의 일측에 안착되며, 상기 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를 다단으로서 적재하여 두기 위한 선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재 이송부는, 상기 창고부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창고부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창구보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며, 일단 또는 다른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서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자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후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은, 상기 창고부의 일측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부의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창고부의 실내에 찬 연기를 실외로 방출시켜 주는 연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기 배출부는, 상기 창고부의 일측 벽체에 형성한 피압구에 매립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덮개;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후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어 피압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프레임; 및 상기 개방 프레임의 후단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앞뒤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 프레임의 후단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레일; 및 후단이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에서 후단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는 체결돌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 테두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기 단차면은, 상기 지지바아의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상기 지지바아가 회동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아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체결돌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아 본체; 상기 바아 본체의 후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넥; 및 상기 넥의 일측에 상기 넥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에 체결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레일은, "
Figure 112020000471075-pat00001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면의 전단이 하측 방향으로 곡선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상부레일; 및 "
Figure 112020000471075-pat00002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상기 상부레일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헤드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평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넥은,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아는, 상기 프레임 본체가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후단에 설치되는 상기 헤드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레일의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헤드가 상기 상부레일의 전단의 절곡면까지 이동되면 상기 바아 본체의 전단이 회동되어 하측으로 낙하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단 상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킴으로써, 창고로 이송되어 오는 강관 등의 자재를 선반 등의 장소에 적재하여 창고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고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창고 내부의 공기압이 설정한 공기압을 초과할 경우 창고 내부의 공기를 일부 외부로 배출하여 창고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창고 내에 있는 작업자가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흡입함에 따라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연기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4의 개방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본체의 단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지지레일과 지지바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4의 고정 프레임과 개방 프레임의 분리는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하부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10)은, 창고부(100) 및 자재 이송부(200)를 포함한다.
창고부(100)는, 자재(M)를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에 자재 이송부(200)가 설치된다.
자재 이송부(200)는, 창고부(100)에 설치되어 창고부(100)에 적재된 자재(M)를 이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재 이송부(200)는, 이동 레일(210), 가이드 레일(220), 구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와이어 로프(240)를 포함한다.
이동 레일(210)은, 창고부(100)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22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220)은, 이동 레일(210)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이동 레일(210)을 따라 창고부(100)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구동부가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구동부는, 가이드 레일(220)에 연결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창구보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24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와이어 로프(240)의 하측에 설치된 후크(25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와이어 로프(240)는, 일단 및 다른 일단이 구동부에 설치되며, 일단 또는 다른 일단이 구동부에서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자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후크(2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10)은, 선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반부(400)는, 창고부(100)의 일측에 안착되며, 자재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를 다단으로서 적재하여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10)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킴으로써, 창고로 이송되어 오는 강관 등의 자재를 선반 등의 장소에 적재하여 창고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20)은, 창고부(100), 자재 이송부(200) 및 연기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창고부(100) 및 자재 이송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연기 배출부(300)는, 창고부(100)의 일측 벽체(110)에 설치되어 창고부(100)의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예를 들어, 평소 압력의 두 배 또는 세 배 등)의 고압으로 상승할 경우 창고부(100)의 실내에 찬 연기를 실외로 방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20)은, 화재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창고 내에 있는 작업자가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독가스를 흡입함에 따라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연기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기 배출부(300)는, 고정 프레임(310), 덮개(320), 개방 프레임(330) 및 개폐판(340)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310)은, 창고부(100)의 일측 벽체(110)에 형성한 피압구에 매립 고정되며, 실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단에 덮개(320)가 설치되고, 실외 방향으로 설치되는 후단에 개방 프레임(33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덮개(320)는, 루바 또는 고정 날개판으로서 옥내로 노출되는 고정 프레임(310)의 전단에 설치된다.
개방 프레임(330)은, 실외로 노출되는 고정 프레임(3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즉, 개폐판(340)의 개폐만으로 압력을 충분히 감쇄시키지 못하는 고압으로 상승되는 경우)으로 상승할 경우 고정 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된 후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어 피압구를 개방시킨다.
개폐판(340)은, 개방 프레임(330) 및 개방 프레임(330)의 후단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앞뒤로 이동하면서 개방 프레임(330)의 후단을 개폐한다.
이때, 개폐판(340)에는 다수개(2 내지 4개)의 연결볼트(351)가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볼트(351)는 상기 각각의 지지구(355)의 결합구멍(356)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340)에 결합되며 지지구(355)의 결합구멍(356)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볼트(351)에는 코일스프링(352)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볼트(351)에 결합된 코일스프링(352)을 지지하는 와셔(353)와 너트(354)를 상기 연결볼트(351) 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개폐판(340)에 고정되는 연결볼트(351)는 후레임(330)에 고정되는 지지구(355)의 결합구멍(356)에 이동 가능 하게 삽입되며 연결볼트(351)에는 코일스프링(352)이 삽입되며, 코일스프링(352)은 연결볼트(351) 단부에 고정되는 너트(354)의 조임과 풀림으로 코일스프링(352) 압력을 조절하여 개폐판(340)의 개방압력을 간단히 설정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개방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방 프레임(330)은, 프레임 본체(331), 두 개의 지지레일(332) 및 두 개의 지지바아(333)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331)는,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단차면(3311)이 고정 프레임(310)의 후단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프레임(3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양측면의 상부를 따라 지지레일(33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331)는, 전단이 고정 프레임(310)의 후단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 프레임(310)의 후단 테두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331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본체(331)의 단차면(33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아(333)의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지지바아(333)(좀 더 구체적으로 바아 본체(3331))가 회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개홈(33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레일(332)은, 프레임 본체(331)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어 지지바아(333)의 후단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지지바아(333)는, 후단이 지지레일(33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이 고정 프레임(310)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에서 후단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는 체결돌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프레임(310)의 후단에서 프레임 본체(331)를 지지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지지레일과 지지바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바아(333)는, 바아 본체(3331), 넥(3332) 및 헤드(3333)를 포함한다.
바아 본체(33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이 고정 프레임(310)의 체결돌기(3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도 10 참조), 후단이 지지레일(33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넥(3332)은, 바아 본체(3331)의 후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레일(3321)과 하부레일(3322) 사이의 이격 공간(33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헤드(3333)는, 넥(3332)의 일측에 넥(3332)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지지레일(332)에 체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레일(332)은, 상부레일(3321) 및 하부레일(3322)을 포함한다.
상부레일(3321)은, "
Figure 112020000471075-pat00003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가 프레임 본체(331)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지지바아(333)의 헤드(333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면의 전단이 하측 방향으로 곡선 형태로 절곡 형성(R)된다.
하부레일(3322)은, "
Figure 112020000471075-pat00004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가 프레임 본체(331)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상부레일(3321)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아(333)의 헤드(3333)는, 상부레일(3321)과 하부레일(3322)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평면 사이의 공간(332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아(333)의 넥(3332)은, 상부레일(3321)과 하부레일(3322)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직면 사이의 이격 공간(33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바아(333)는, 프레임 본체(331)가 고정 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도 10의 (a))됨에 따라 후단에 설치되는 헤드(3333)가 지지레일(332)을 따라 지지레일(332)의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헤드(3333)가 상부레일(3321)의 전단의 절곡면까지 이동되면 바아 본체(3331)의 전단이 회동되어 하측으로 낙하(도 10의 (b))한 프레임 본체(331)의 전단 상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하부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레일(3322)은, 전, 후단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 형성되며, 지지바아(333)의 헤드(3333)가 전단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수평면의 상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전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높이가 높게 형성되며, 탄성체(3224)에 의하여 수평면에서 지지되는 다수 개의 탄성 걸림턱(3323)을 구비한다.
일 실싱예에서, 헤드(3333)는, 전단에 위치하는 탄성 걸림턱(3323)을 넘어가기 위해서는 후단에 위치하는 탄성 걸림턱(3323)을 넘어가는 경우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할 것이다.
즉, 탄성 걸림턱(3323)은, 개방 프레임(330)으로 전달되는 공기압의 정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고정 프레임(310)으로부터 개방 프레임(330)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장 후단에 위치한 제1 탄성 걸림턱(3323a)을 지나기 위해는 작은 공기압만으로도 헤드(3333)가 이동될 것이나, 다음에 위치한 제2 탄성 걸림턱(3323b)을 지나기 위해는 제1 탄성 걸림턱(3323a)을 지날 때보다 큰 공기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헤드(3333)가 이동될 것이며, 가장 전단에 위치한 제3 탄성 걸림턱(3323c)을 지나기 위해는 제2 탄성 걸림턱(3323b)을 지날 때보다 큰 공기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헤드(3333)가 이동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자재 이송 시스템
100: 창고부
200: 자재 이송부
300: 연기 배출부
400: 선반부

Claims (2)

  1. 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부; 및
    상기 창고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부에 적재된 자재를 이송하기 위한 자재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고부의 일측에 안착되며, 상기 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를 다단으로서 적재하여 두기 위한 선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재 이송부는, 상기 창고부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에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창고부의 상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창고부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며, 일단 또는 다른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서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자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후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부의 일측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부의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창고부의 실내에 찬 연기를 실외로 방출시켜 주는 연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기 배출부는, 상기 창고부의 일측 벽체에 형성한 피압구에 매립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실내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덮개;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후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어 피압구를 개방시키는 개방 프레임; 및 상기 개방 프레임의 후단에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앞뒤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 프레임의 후단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레일; 및 후단이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의 상부에서 후단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되는 체결돌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를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는,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 테두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기 단차면은, 상기 지지바아의 전단이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상기 지지바아가 회동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아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체결돌기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아 본체; 상기 바아 본체의 후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넥; 및 상기 넥의 일측에 상기 넥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일에 체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레일은, "
    Figure 112020018186066-pat00005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헤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면의 전단이 하측 방향으로 곡선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상부레일; 및 "
    Figure 112020018186066-pat00006
    "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부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 상기 상부레일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헤드는,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평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지지바아의 상기 넥은, 상기 상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각 수직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지지바아는, 상기 프레임 본체가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후단에 설치되는 상기 헤드가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레일의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헤드가 상기 상부레일의 전단의 절곡면까지 이동되면 상기 바아 본체의 전단이 회동되어 하측으로 낙하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전단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자재 이송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00610A 2020-01-03 2020-01-03 자재 이송 시스템 KR10209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10A KR102093475B1 (ko) 2020-01-03 2020-01-03 자재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10A KR102093475B1 (ko) 2020-01-03 2020-01-03 자재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75B1 true KR102093475B1 (ko) 2020-03-25

Family

ID=7000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10A KR102093475B1 (ko) 2020-01-03 2020-01-03 자재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24Y1 (ko) 1990-08-30 1993-04-23 금성기전 주식회사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KR20150078044A (ko) 2013-12-30 2015-07-08 우주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호이스트장치 및 견인장치
KR20160086573A (ko) * 2015-01-12 2016-07-20 예붕희 크레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24Y1 (ko) 1990-08-30 1993-04-23 금성기전 주식회사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KR20150078044A (ko) 2013-12-30 2015-07-08 우주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호이스트장치 및 견인장치
KR20160086573A (ko) * 2015-01-12 2016-07-20 예붕희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5900B (zh) 带安全屏障的垂直活动门
AU2010100935B4 (en) Crowd control barrier post assembly
US5702223A (en) Vehicle restraint
US20100108627A1 (en) Retractable garage storage container
EP0546674A1 (en) Safety net arrangement for building elevator shafts
JP2020537621A (ja) 容器保持装置
KR102093475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US8814119B2 (en) Arbor apparatus for counterweight rigging system
EP3613680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MX2008011794A (es) Aparato para evacuar un area de accidente.
WO1993002601A1 (fr) Dispositif a grande ouverture verticale de transmission a distance du courrier vers une boite receptrice
KR101742996B1 (ko) 소방기술 설비의 재난구조용 완강기 지지대
MX2014005629A (es) Equipo para mover personas en altura en superficies no horizontales con translacion vertical y horizontal.
US9623783B1 (en) Remotely operated storage system for deployable robots
CN114141166A (zh) 一种led显示屏安装箱
JP5596233B2 (ja) 風力発電装置の作業壇、及び風力発電装置
KR102106438B1 (ko)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CN108906652A (zh) 一种水果自动分拣装置
US1138322A (en) Hoisting apparatus for silos.
RU2668886C2 (ru) Наружный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US9782690B2 (en) Arbor trap apparatus for counterweight rigging system
JP4993099B2 (ja) 苗運搬用のコンテナ
JP4252557B2 (ja) フック装置
CN213629813U (zh) 一种通信插框防倒装置
CN219840531U (zh) 一种可移动的内嵌防火门门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