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178B1 -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178B1
KR102093178B1 KR1020130105070A KR20130105070A KR102093178B1 KR 102093178 B1 KR102093178 B1 KR 102093178B1 KR 1020130105070 A KR1020130105070 A KR 1020130105070A KR 20130105070 A KR20130105070 A KR 20130105070A KR 102093178 B1 KR102093178 B1 KR 102093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erminal
inactivity time
base station
in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350A (ko
Inventor
김태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1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ACTIVITY TIME OF MOBILE TERMINAL CONNECTING WITH BASE STATION}
본 발명은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셀 내에서 동시 접속하는 단말기 수의 증가로 인하여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 전체 영역을 여러 개의 작은 서비스 영역인 셀(cell) 단위로 나누고, 각 셀을 하나의 기지국이 관할하면서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단말기가 초기에 호 연결을 요청하면,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맺어 기지국과의 채널을 연결하는데, 하나의 셀을 관할하는 기지국은 여러 단말기와 동시에 RRC를 맺어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LTE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기에서 기지국과의 RRC는 하나만 맺으며, 복수의 호가 설정되지는 않는다.
종래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는 음성과 데이터 각각에 대해 RRC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LTE 시스템의 경우, HDV도 하나의 데이터 호로 설정을 하기 때문에 하나의 호만을 설정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과 단말기 상호 간에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리소스가 한정되어 있는 바, 하나의 셀 내에서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는 단말기의 수, 즉 동시 접속자는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예컨대, 현재의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상에서 하나의 셀에 동시 접속자가 600명으로 한정될 수 있고, 여기서 LTE-A(LTE-Advanced) 시스템과 같이 Carrier Aggregation을 사용하여 다수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800MHz, 1.8GHz)이 셀 내에서 동시에 수용되는 경우 하나의 셀 내에서 동시 접속자 수는 200명으로 한정될 수 있다.
현재 음성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호 연결 중인 단말기가 동시 접속자 수의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이 후 접속하는 단말기는 RRC 채널 할당에 실패하고, 반복적으로(예를 들어, 4회) 연결을 시도한 후, 최종적으로 호 연결에 실패하게 된다.
한편, 단말기가 기지국과 호 연결을 종료한 이후에도 소정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 동안에는 기지국과 RRC를 유지하게 된다.
비활성 시간 동안 RRC를 유지하는 것은, 동기화 데이터 및 저용량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과 같은 background호가 접속되어 극히 적은 양의 데이터만 통신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호 연결을 종료한 후 단시간 내에 재접속을 시도하는 단말기에 대해, 반복해서 RRC를 할당하는 것이 시스템 측면에서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비활성 시간은 LTE네트워크 상의 EMS(Element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데, EMS에서는 기지국의 셀 단위로 비활성 시간을 설정하고, 기지국은 설정된 시간을 단말에 전송하면, 단말에서 해당 비활성 시간을 관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현재 셀 내의 동시 접속자 수가 동시에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수인 200에 도달하더라도,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은 10초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즉, 동시 접속자의 수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비활성 시간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경우 셀 내의 동시 접속자가 200명에 도달하게 되면,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200)는 동시 접속자 수의 한계로 인해 RRC 연결에 실패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비활성 시간을 일괄적으로 7초 내지 5초로 하향 조정하는 경우, 단말기(200)가 호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RRC를 할당하는 빈도가 급증할 수 밖에 없는 바, 시스템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어 개선이 요구된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3/0165133호(2013.06.27.)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셀 내의 동시 접속자의 수에 따라,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동시 접속자가 많은 상황에서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시스템 측면에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에 따라, 상기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소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정 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에 따라, 상기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소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셀 내의 동시 접속자의 수에 따라,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동시 접속자가 많은 상황에서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시스템 측면에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활성 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동시 접속자 수에 따른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한 것이다.
도 2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단말기(200), 기지국(10), MME(Mobile Mobility Entity, 30)로 간략히 도시 하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하나의 셀(15a 또는 15b)을 관할하는 기지국(10)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기지국(10)과 기지국(10)이 관할하는 셀(15a 또는 15b) 내에서 기지국(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단말기(200)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10), 교환기 및 다른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Wi-Fi(Wireless LA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에 기반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단말기(2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미도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예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10)은 단말기(200)와 상향링크(uplink) 또는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단말기(200)가 최초 호 연결을 시도하면, RRC를 설정함으로써 기지국(10)과 단말기(200) 사이의 접속이 유지된다.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포로토콜은 수평적으로는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네트워크 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과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 라고 함)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된 전송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 등과 같이,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에서 무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전달 및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200)와 기지국(10) 사이의 RRC의 설정은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e Mobility Entity, 이하 'MME' 라고 함)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MME(30)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제어 노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상에서 기지국(10)과 S-GW(Serving Gateway) 간의 신호 제어를 담당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라우팅할 지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의 소프트 핸드오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리소스의 한계로 인하여, 하나의 기지국(10)이 관할 하는 셀(15a 또는 15b) 내에서, RRC를 맺음으로써 기지국(1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200)의 수, 즉 동시 접속자는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셀 내의 동시 접속자의 수에 따라, 기지국(10)에 접속하는 단말기(200)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동시 접속자가 많은 상황에서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200)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산출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이동통신 기지국 내 서버에 구축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행되는 기능 중 일부는 제어 노드에 해당하는 MME(Mobile Mobility Entity)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형성하여 셀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0)와 호 연결 시간 및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동안 접속을 유지한다.
단말기(200)와 기지국 간에 RRC가 설정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단말기(200)가 최초 전원이 켜졌을 때, 단말기(200)는 연결 가능한 셀을 탐색한 후 셀에서 RRC 휴지상태(RRC idle state)로 대기한다.
이 후, 단말기(200)가 호 연결을 시도 하면, RRC 연결을 맺기 위해 기지국으로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이에 응답하여 단말기(200)로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하며, 다시 단말기(200)가 RRC 연결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단말기(200)와 기지국 사이에 RRC 연결이 완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호 연결 시간은 단말기(200)가 기지국과 RRC를 맺어 최초 호가 연결된 시간부터, 단말기(200)의 요청 또는 호 단절(call drop) 등의 이유로 호 연결이 종료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은 호 종료 후부터 기지국과 단말기(200) 사이의 RRC를 종료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때, 동기화 및 저용량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과 같은 background호가 접속되어 극히 적은 양의 데이터만 통신하더라도 상기 비활성 시간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에서 비활성 시간을 설정하여 호 연결 종료 후에도 단말기(20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은, 호 연결을 종료한 이후에 단 시간 내에 재접속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다수의 단말기(200)가 반복해서 RRC를 시도하면 기지국 측에서는 반복해서 리소스 할당을 위한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바,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활성 시간의 설정은 LTE 네트워크 상의 EMS(Element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EMS(Element Management System)는 LTE 네트워크 상의 망 요소인 NE(Network Element)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LTE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EMS는 기지국의 셀 단위로 비활성 시간을 설정하고,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EMS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단말기(200)는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에서 내려 받은 비활성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200)의 수, 즉 동시 접속자 수를 산출한다.
동시 접속자 수의 산출은 기지국에서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는데, TTI(Transmit Time Interval) 단위(예를 들어, 1ms)로 동시 접속자의 파악이 가능하다. 여기서, 동시 접속자 수는 현재 접속부(110)와 RRC 연결이 되어 있는 단말기(200)의 수로써, 현재 호가 연결되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200) 및 호 연결이 종료된 후 비활성 시간동안 RRC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단말기(2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높게 설정하는 경우 동시 접속자 수는 감소하고, 낮게 설정하는 경우 동시 접속자 수는 증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산출부(110)의 산출 결과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200)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치는 비활성 시간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 RRC 시도로 인한 시스템의 부담 측면과, 비활성 시간의 감소에 따라 동시 접속자 수가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비교 형량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대 동시 접속자 수가 200명인 경우, 임계치는 150명, 100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200)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비활성 시간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접속부(110)에 현재 동시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200)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20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에 의해 설정되는 임계치는 여러 값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임계치를 초과 함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을 소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정 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다시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 할 수 있다.
이는, 동시 접속자 수가 증가하는 것이 일정한 시간대에 걸쳐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해당 시간대에서 비활성 시간을 줄여 많은 단말기(200)와 RRC를 유지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하여 시스템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제어부(120)의 비활성 시간 제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부(120)의 동작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셀 내의 동시 접속자 수가 임계치인 100명에 도달하면,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7초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비활성 시간을 10초에서 7초로 하향 조정하게 되면, 호 연결이 종료한 후 보다 짧은 시간 내에 해당 단말기(200)와의 RRC 연결을 종료하게 되는 바, 동시 접속자의 수가 증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동시 접속자 수가 계속 증가하여 150명에 도달하면, 비활성 시간을 3초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임계치를 100명 및 150명으로 설정하고, 동시 접속자 수가 설정된 각각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비활성 시간을 조정함에 있어, 단계적으로 하향 조정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 하였으나, 산출된 동시 접속자 수에 따라 상향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활성 시간이 10초에서 7초로 조정된 상태에서 동시 접속자의 수가 다시 100명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을 7초에서 10초로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비활성 시간의 조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셀 내의 동시 접속자 수가 100명 이하에서 점차 증가하고, 최초 비활성 시간이 10초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후, 시간 t1에서 동시 접속자 수가 100명에 도달하면,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을 10초에서 7초로 하향 조정한다.
이 후, 동시 접속자 수가 계속 증가하여, 시간 t2에서 150명에 도달하면,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을 7초에서 3초로 더욱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비활성 시간이 3초로 하향 조정되는 t2에서 일정 시간, 예컨대 1시간, 이 지나 t3가 되면, 제어부(120)는 비활성 시간을 3초에서 다시 10초로 원상 회복 할 수 있다.
이 때, 시간 t3에서 산출부(110)의 동시 접속자 수 산출 결과를 다시 확인하여, 임계치인 100명에서 150명 사이인 경우, 비활성 시간을 3초에서 7초로 조정할 수 있으며, 산출 결과가 150명 이상에서 유지되는 경우, 비활성 시간을 3초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비활성 시간을 유지하는 것은, 1초 단위로 동시 접속자수를 확인하더라도 그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임계치 주변에서 변동이 크게 일어나는 경우, 비활성 시간을 지나치게 자주 조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루 중 특정한 시간대에 많은 단말기 접속자가 몰리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비활성 시간을 하향 조정한 후 1시간 정도를 유지하여 많은 단말기(200)가 동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 후 접속자 수가 다시 감소하는 시간대에는 다시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하여 시스템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셀 내의 동시 접속자의 수에 따라,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말기(200)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동시 접속자가 많은 상황에서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200)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RRC 연결의 과다로 인한 시스템 측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호 연결을 시도하면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와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형성하여 호 연결 시간 및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 동안 접속을 유지한다.
여기서, 호 연결 시간은 단말기가 기지국과 RRC를 맺어 최초 호가 연결된 시간부터, 단말기의 요청 또는 호 단절(call drop) 등의 이유로 호 연결이 종료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은 호 종료 후부터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RRC를 종료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하나의 셀 내에서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한다(S110).
다음으로, 산출된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한다(S120).
여기서, 임계치는 비활성 시간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는 RRC 시도로 인한 시스템의 부담 측면과, 비활성 시간의 감소에 따라 동시 접속자 수가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비교 형량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판단 결과,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비활성 시간을 조정한다(S130).
앞서, 도 4를 통해 예시한 것과 같이, 최초 비활성 시간이 10초로 설정되고, 임계치가 100명으로 설정되는 경우,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100명에 도달하면, 비활성 시간을 10초에서 7초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시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계치는 여러 값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임계치를 초과 함에 따라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앞서, 도 4를 통해 예시한 것과 같이, 비활성 시간을 7초로 하향 조정한 이후,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증가하여 150명에 도달하면, 비활성 시간을 7초에서 3초로 다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시간이 10초에서 7초로 조정된 상태에서 동시 접속자의 수가 다시 100명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비활성 시간을 7초에서 10초로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비활성 시간을 조정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S140), 비활성 시간을 다시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 할 수 있다(S150).
앞서, 도 5를 통해 예시한 것과 같이, 비활성 시간이 3초로 하향 조정되는 t2에서 일정 시간, 예컨대 1시간, 이 지나 t3가 되면,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100)는 비활성 시간을 3초에서 다시 10초로 원상 회복할 수 있다.
이 때, 시간 t3에서 동시 접속자 수 산출 결과를 다시 확인하여, 임계치인 100명에서 150명 사이인 경우, 비활성 시간을 3초에서 7초로 조정할 수 있으며, 산출 결과가 150명 이상에서 유지되는 경우, 비활성 시간을 3초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비활성 시간을 유지하는 것은, 1초 단위로 동시 접속자수를 확인하더라도 그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임계치 주변에서 변동이 크게 일어나는 경우, 비활성 시간을 지나치게 자주 조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루 중 특정한 시간대에 많은 단말기 접속자가 몰리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비활성 시간을 하향 조정한 후 1시간 정도를 유지하여 많은 단말기가 동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이 후 접속자 수가 다시 감소하는 시간대에는 다시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하여 시스템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은, 셀 내의 동시 접속자의 수에 따라,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동시 접속자가 많은 상황에서 새롭게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말기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RRC 연결의 과다로 인한 시스템 측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110: 산출부
120: 제어부 200: 단말기

Claims (6)

  1.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에 따라, 상기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소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정 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하는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장치.
  4.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을 조정한 이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에 따라, 상기 비활성 시간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소정 시간동안 미리 정해진 값으로 조정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비활성 시간을 원상 회복 또는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접속 시간 조정 방법.
KR1020130105070A 2013-09-02 2013-09-02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93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70A KR102093178B1 (ko) 2013-09-02 2013-09-02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070A KR102093178B1 (ko) 2013-09-02 2013-09-02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50A KR20150026350A (ko) 2015-03-11
KR102093178B1 true KR102093178B1 (ko) 2020-03-25

Family

ID=5302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070A KR102093178B1 (ko) 2013-09-02 2013-09-02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1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4959A1 (en) 2004-12-03 2008-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Publ) Radio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Load And Channel Inactivity
KR100924953B1 (ko) * 2004-11-22 2009-11-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에서 원하지 않는 패킷들의 수신에 대한 영향을완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13050648A1 (en) 2011-10-07 2013-04-1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rminals
US20130165133A1 (en) * 2011-12-21 2013-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controller nod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leasing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7118A (en) * 2010-01-22 2011-07-27 Reckitt Benckiser Corporate Services Ltd Dynamically adjustable state transition timer
KR20120094369A (ko)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팬택 Mtc에 있어서 rrc 연결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953B1 (ko) * 2004-11-22 2009-11-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장치에서 원하지 않는 패킷들의 수신에 대한 영향을완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080014959A1 (en) 2004-12-03 2008-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Publ) Radio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Load And Channel Inactivity
WO2013050648A1 (en) 2011-10-07 2013-04-1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rminals
US20130165133A1 (en) * 2011-12-21 2013-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controller nod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leasing re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50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262B2 (en)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6017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395234B2 (en)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network node and system
US10728882B2 (en) Method for allocating aggregate maximum bit rate of UE, method for allocating aggregate bit rates of non-GBR services and base stations
TWI664864B (zh) 處理系統間行動中的新無線連結的裝置及方法
KR101975195B1 (ko) 기지국 및 기지국의 단말 연결 방법
KR102437732B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EP3826217B1 (en)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US10925012B2 (en) Cellular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US11533266B2 (en) Rate adjustment techniques
US202202251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ity control
US11582744B2 (en) Admission control in IAB system
KR20220143877A (ko) Nr v2x에서 타이머 기반 전력 절약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TWI661739B (zh) 處理網路端切片資訊的裝置及方法
KR20220146525A (ko) Nr v2x에서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93178B1 (ko) 기지국과 접속하는 단말기의 비활성 시간(inactivity time)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7506153B2 (ja) 方法及びユーザ装置
WO2023048183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202400491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13750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9184550A1 (zh) 实现速率保证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50133052A (ko)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23005667A (ja) ユーザ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23023247A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15036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equipment (ue) conne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