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1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12B1
KR102601712B1 KR1020197027954A KR20197027954A KR102601712B1 KR 102601712 B1 KR102601712 B1 KR 102601712B1 KR 1020197027954 A KR1020197027954 A KR 1020197027954A KR 20197027954 A KR20197027954 A KR 20197027954A KR 102601712 B1 KR102601712 B1 KR 10260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processing unit
phr
power head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720A (ko
Inventor
김상범
장재혁
김성훈
진승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파워 헤드룸 리포트 (power headroom report, PHR) 를 송신하는 방법은, 듀얼 연결(dual connectivity) 동작을 위한 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PHR 보고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R 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은, 상기 단말을 서빙(serving)하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 또는 상기 단말을 서빙하는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를 고려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과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헤드룸 보고를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네트워크 기술은 4G LTE 이동 통신 기술의 후속 기술로서, 유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모든 대상들 (기술, 도메인, 계층, 장비/기기, 사용자 인터랙션 등)이 고도로 융합된 단대단 (End-toEnd; E2E)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ITU-R, ITU-T, NGMN, 3GPP 등의 표준화 그룹을 중심으로 고성능, 저지연, 고가용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 기술의 구현을 위해 전혀 새로운 Clean slate 형태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 중이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 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사물 통신, MTC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 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는 단말이 셀을 재선택함에 있어서, 단말이 등록된 또는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고려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도록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고성능 전송과 관련된 설정으로 인해 단말의 통신 모뎀 칩셋이 과열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단말의 능력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 개의 전송 시간 단위를 갖는 셀들을 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셀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복수 종류의 상향링크 전송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 종류의 파워 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셀을 선택하는 방법은,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하여 지원 가능한 제1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이 등록된 슬라이스 정보 또는 단말이 지원하는 제2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슬라이스 정보 및 제2 슬라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단말의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과열 문제(overheating problem) 해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바탕으로 재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동작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을 추가하는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세컨더리 셀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세컨더리 셀을 활성화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슬롯(slot) 길이 및 상기 세컨더리 셀의 슬롯 길이를 바탕으로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점에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파워 헤드룸(power headroom)을 송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파워 헤드룸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파워 헤드룸 트리거링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상기 파워 헤드룸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게, 상기 파워 헤드룸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말이 등록된 또는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고려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도록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고성능 전송과 관련된 설정으로 인해 단말의 통신 모뎀 칩셋이 과열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송 시간 단위를 갖는 셀들을 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셀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상향링크 전송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 종류의 파워 헤드룸을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는 다른 측면들,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별 우선 순위 정보가 단말에게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로부터 특정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과 관련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로부터 전송된 UE category 정보를 처리하는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Dual Connectivity (DC) 기술에서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Cell이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PHR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BS, NodeB(NB), eNodeB(eNB), gNodeB(g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device),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가장 최신의 표준인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 (New Radio: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제1 기지국(gNB1, 110), 제2 기지국(gNB2, 130), 코어네트워크의 제1 AMF(AMF1, 105), 제2 AMF(AMF2, 125) 및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115)(이하 NR UE 또는 단말)을 포함한다. 이때, gNB1(110) 및 gNB2(130)는 5세대 이동 통신 표준의 기지국일 수 있고, 코어네트워크의 제1 AMF(105) 또는 제2 AMF(125)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15)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gNB1(110) 및 gNB2(13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gNB1(110) 및 gNB2(130)는 NR UE(1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eNB보다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 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gNB가 담당한다. 하나의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gNB는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AMF1(105) 및 AMF2(12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AMF1(105) 및 AMF2(1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AMF1(105) 및 AMF2(125)는 특정 슬라이스(slice)에 최적화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는 특정 서비스 혹은 특정 단말군에 최적화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을 칭한다. 예를 들어, 5G 이동통신 요구사항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대규모 기계형 통신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고신뢰성/저지연 데이터 전송 (URLLC,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로 구분된다. 이때, 각각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슬라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5)이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 1 슬라이스를 통해 서비스 받고자 한다면, 단말(115)은 gNB1(110)을 통해, 적합한 특정 AMF1(105)에 연결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gNB1(110)가 상기 단말(115)이 요청한 서비스를 고려하여, AMF1(105)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별 우선 순위 정보가 단말에게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별 우선 순위(priority) 정보가 SIB를 통해 broadcast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정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이란, 이동하는 단말기가 채널 상태가 가장 양호한 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빙 셀(serving cell)을 재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는 주파수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들의 셀 재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두 주파수 f1과 f2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고, f1이 f2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면, 단말이 f1에 머무를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단말이 f2에 있더라도, f2의 채널 상태가 좋이 않다면 f1으로 변경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단말은 SIB를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SIB를 통해 이미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단말이 UE-specific 우선 순위 정보를 RRC signalling으로 제공받으면, SIB의 우선 순위 정보는 무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는 하기 표 1의 CellReselectionPriority IE을 통해 전달되며, 총 8 단계의 우선 순위 중 하나를 부여받게 된다. 낮은 값일수록, 우선 순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0'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Figure 112019097612492-pct00001
RAT 간의 주파수들은동일한 우선 순위를 부여받을 수 없다. 단말의 IDLE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이라면, SIB을 통해 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하며, RRC signalling으로 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저장한다. CellReselectionPriority IE은 optional IE로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는 부여되지 않은 것이다. 이 때, 단말은 해당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한다. 도 2를 참고하면, 200 단계에서, 단말은 SIB를 통해 EUTRA 뿐만 아니라 다른 RAT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나, 반드시 모든 주파수에 대해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현재 camp한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역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205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된 우선 순위 정보를 확인한다. 210 단계에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면, 상기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한다.
215 단계에서, 단말은 각 주파수들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기지국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받으면, 단말은 연결 모드 (Connected mode)에서 대기 모드 (IDLE mode)로 전환한다. 상기 RRC 메시지에는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RRC 메시지에 포함된 우선 순위 정보는 UE-specific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된 RRC 메시지에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25 단계에서, 우선 순위 정보가 존재하면, 단말은 함께 포함되어 있는 T320 값을 적용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23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의 대기 모드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 인지 또는 'camped normally state'인지 판단한다. 이때, 'camped normally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Suitable cell이란 단말에게 일반적인 서비스 (normal service)을 제공해줄 수 있는 셀로서,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셀이 selected PLMN, registered PLMN 또는 equivalent PLMN list 내의 한 PLMN에 해당
-Barring되지 않은 셀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라면, 단말의 whitelist 내에 해당 CSG ID가 있는 셀
또한, 'camped on any cell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지 못해, accep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Acceptable cell에서는 일반적인 서비스는 불가능하며, 단말은 응급 콜 (emergency call)만을 시도할 수 있다. Acceptable cell은 아래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Barring되지 않은 셀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단말이 'camped on any cell state' 대기 상태라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 대신에 215 단계로 되돌아가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단말이 'camped normally' 대기 상태라면, 235 단계에서, 단말은 아래의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세 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됨
-T320 타이머가 만료됨
-NAS 요청에 따라, PLMN 선택 과정이 수행됨
상기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240 단계에서, 단말은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폐기하고, 215 단계로 되돌아가 SIB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상기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도 만족되지 않으면, 245 단계에서, 단말은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한다.
한편, 단말은 특정 주파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현재의 서빙 셀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주파수에 대해서 항상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 단말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 (intra-frequency) 또는 이보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다른 주파수에 대하여 해당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항상 수행하지는 않는다. 단말은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 (intra-frequency) 또는 이보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다른 주파수에 대하여 서빙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주파수 측정을 수행한다. 셀 재선택은 채널 상태가 양호한 셀로 이동하기 위해 수행되는데, 현재 서빙 셀의 채널 QoS가 양호하다면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주파수로 이동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채널 측정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은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측정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주파수 (intra-frequency)의 경우에, 단말은 특정 임계값 Sintrasearch 보다 서빙 셀의 QoS가 동일하거나 낮을 경우 동일 주파수의 다른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한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다른 주파수에 대해서는, 단말은 특정 임계값 Snonintrasearch 보다 서빙 셀의 QoS가 동일하거나 낮은 경우, 해당 다른 주파수의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QoS는 RSRP와 RSRQ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을 수행하다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high보다 높아지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low보다 높고 서빙 셀의 QoS가 ThreshServing-low보다 낮아지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한다.
5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슬라이스 개념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셀 재선택 시 슬라이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한 단말은 자신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고려하여, 셀을 재선택할 필요가 있다. 셀 재선택 시 슬라이스가 고려되지 않는 경우, 특정 셀에 연결 설정 후, 다시 적합한 특정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셀로 re-direct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말은, 미리 자신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셀에 camp-on하고 있다면, 상기와 같이 re-direction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될 때, 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등록된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고려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도록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모든 슬라이스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단말로부터 혹은 코어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313 단계에서, 기지국(310)은 기지국(310)과 연결된 코어네트워크(예를 들어, AMF)로부터 각 주파수별 또는 셀별 지원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 정보는 특정 단말이 대기 모드 혹은 연결 모드로 전환될 때, 셀 재선택시 적용할 주파수별 혹은 셀별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315 단계에서, UE(305)는 UE(305)가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기지국(31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 정보는 dedicated RRC 시그널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establishment 과정에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가 dedicated RRC 시그널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310)은 UE(305)가 한 서비스를 고려하여, UE(305)가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implicit하게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E(305)가 URLLC 속성의 서비스를 요청하였다면, 기지국(310)은 UE(305)가 URLLC에 대응하는 슬라이스에 등록 혹은 지원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310)이 상기 UE(305)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AMF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re-direction을 트리거할 수 있다.
325 단계에서, 기지국(310)은 UE(305)를 대기 모드 혹은 INACTIVE 모드로 전환시킬 때, UE(305)가 셀 재선택 시 필요한 주파수 혹은 셀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 정보는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 정보는 특정 시간 동안만 유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정보를 지시하는 타이머 값은 상기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UE(305)는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325 단계에서, 표 2와 같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는 신규 IE IdleModeMobilityContolInfo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IE에는 셀 재선택시 주파수별 우선 순위 정보인 freqPriorityListN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entry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entry별로, 캐리어 주파수 정보 (carrierFreq), 해당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 (cellReselectionPriority), 해당 주파수에서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 (supportedSliceList)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ellReselectionPrioriry 정보는 0 부터 7 사이 값을 가지며, 0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supportedSliceList는 상기 주파수에서 지원하는 슬라이스들을 지시하는 리스트로 슬라이스를 지시하는 S-NSSAI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NSSAI는 SST와 S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SST는 slice type이며, SD는 slice differentiator이다. S-NSSAI는 표준적인 값 혹은 network specific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표준적인 값은 eMBB, URLCC, MIoT (mMTC)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최대 8 개의 S-NSSAI로 구성된 NSSAI 정보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7612492-pct00002
도 3 에서는 주파수별 정보를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셀 별 정보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로부터 특정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우선, 413 단계에서, gNB(410)는 gNB(410)와 연결된 코어네트워크(예를 들어, AMF)로부터 각 주파수별 혹은 셀별 지원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 정보는 특정 UE가 대기 모드 혹은 연결 모드로 전환될 때, 셀 재선택시 적용할 주파수별 혹은 셀별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15 단계에서, 연결 모드에 있는 UE(405)는 gNB(410)에 연결될 수 있다.
430 단계에서, gNB(410)는 UE(405)가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코어네트워크(예를 들어, AMF)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435 단계에서, UE(405)가 연결 모드로 전환되어 AMF에 인증 과정을 수행하면, AMF는 자동적으로 UE(405)가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gNB(410)에 제공할 수 있다.
440 단계에서, gNB(410)는 UE(405)를 대기모드 혹은 INACTIVE 모드로 전환시킬 때, 상기 UE(405)가 셀 재선택 시 필요한 주파수 혹은 셀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 정보는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 포함된다. 상기 우선 순위 정보는 특정 시간 동안만 유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정보를 지시하는 타이머 값은 상기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에 함께 포함된다. 상기 단말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우선 순위 정보를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5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로부터 각 주파수별 혹은 셀별 지원 가능한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받는다.
510 단계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단말로부터 혹은 코어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는다
51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공 받은 슬라이스 정보로부터, 상기 특정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 정보를 식별한다.520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혹은 지원하는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혹은 셀 정보에 우선 순위 정보를 맵핑시킨다. 그리고, 기지국은 우선 순위 정보가 맵핑된 정보를 특정 RRC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52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6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620), 저장부(630),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6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610)는 기저대역처리부(6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6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RF처리부(6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6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6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610)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6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6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620)는 RF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6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620)는 RF처리부(6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620) 및 RF처리부(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620) 및 RF처리부(6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 또는 통칭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620) 및 RF처리부(6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620) 및 RF처리부(6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6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630)는 상기 제어부(6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6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40)는 기저대역처리부(620) 및 RF처리부(6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저장부(6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F처리부(710), 기저대역처리부(720), 백홀통신부(730), 저장부(740), 제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7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7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7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RF처리부(7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7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7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7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7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7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720)은 RF처리부(7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7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720)는 RF처리부(7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RF처리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 또는 통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7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7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7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7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7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740)는 제어부(7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50)는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RF처리부(7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73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50)는 저장부(7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20)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NR NB)(810), NR CN (New Radio Core Network, 805),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UE 또는 단말)(815), MME(825), eNB(Evolved Node B)(830)을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NR NB(810)와 NR CN(805)으로 구성된다. NR UE(815)는 NR NB(810) 및 NR CN (8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8에서 NR NB(8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에 대응된다. NR NB(810)는 NR UE(8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eN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8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NB(8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815)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NR CN (8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805)는 단말(81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5세대 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805)이 MME(8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825)는 기존 기지국인 eNB (830)과 연결된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의 통신모뎀 칩셋이 과열될 경우, 이를 완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과열 문제(overheating problem)는 기지국이 고성능 전송과 관련 설정을 단말에게 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레벨의 modulation 혹은 MIMO, 복수 개의 서빙 셀 설정 등이 이러한 과열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과 관련된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915 단계에서, UE(905)는 gNB(E-UTRAN)(910)의 요청에 따라, UE(905)의 능력 정보를 gNB(91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고에는 UE(905)가 과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보고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를 temporary UE capability indication으로 칭한다.
920 단계에서, 보고를 수신하면, gNB(910)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UE(905)에게 상기 과열 문제가 발생하여 완화가 필요하면, 과열 문제 발생을 보고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과열 문제 발생 보고가 빈번히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gNB(910)는 타이머를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보고 이후 타이머가 시작되고, UE(905)는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gNB(910)에게 보고를 재전송할 수 없다.
925 단계에서, 과열 문제를 인지하면, UE(905)는 과열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설정을 도출할 수 있다.
930 단계에서, UE(905)는 UE(905)가 도출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며, 이 경우,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설정 정보로는
1) 과열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하는 1비트 지시자
2) 단말이 임시로 적용하기를 선호하는 UE category
3) 단말이 임시로 적용하기를 선호하는 Carrier Aggregation (CA)/MIMO 관련 RF-Parameter등이 될 수 있다.
935 단계에서, gNB(910)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UE(905)에게 재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940 단계에서, UE(905)는 재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과열 문제를 제고 또는 완화한다. UE(905)는 과열 문제가 제고 혹은 완화되면, E-UTRAN(910)에게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에는 임시로 적용된 재설정이 더 이상 필요없음이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설정 정보 중, UE category는 max TB size, soft channel bit, L2 buffer size, UL 64 QAM 지원여부 등의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 중, 실제 과열 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max TB size, soft channel bit, UL 64 QAM 지원 여부이며, L2 buffer size는 과열 문제를 해소하는데 효과가 없다. 반면, L2 buffer size을 변경하는 것은 시스템적으로 큰 부담(burden)일 수 있다. 따라서, gNB(910)가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로부터 선호하는 UE category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과열을 해소 혹은 완화시킬 수 있는 L2 buffer size을 제외한 정보만을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로부터 전송된 UE category 정보를 처리하는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10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temporary UE category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temporary UE category는 ue-CategoryDL, ue-CategoryUL 혹은 둘 다 해당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기지국은 UE category 정보를 UECapabilityInformation 혹은 UEAssistanceInformation 중 어느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부터 제공받았는지 판단한다.
1015 단계에서,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로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UE category에 대응하는 모든 정보를 적용한다.
1020 단계에서,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L2 buffer size을 제외한 모든 정보를 적용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NR Dual Connectivity (DC) 기술에서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LTE-NR Dual Connectivity은 단말이 LTE와 NR 시스템에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이때, 마스터 역할은 LTE 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다. LTE, NR 모두 RRC 제어 시그널링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LTE과 송수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SRB1 혹은 SRB2로 전송되며, NR과 송수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SRB3로 전송될 수 있다.
과열 문제가 발생할 때, 단말은 과열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상기 설정 정보를 UEAssistanceInformation을 LTE, NR 혹은 두 시스템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스템에 따라 구성 정보를 달리할 수 있다.
우선, 1105 단계에서, 단말은 과열 문제로 인해 트리거된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가 SRB1 혹은 SRB3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SRB1로 전송되는 경우는 상기 메시지가 LTE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1110 단계에서, LTE로 전송되는 UEAssistanceInformation는 하기 설정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Reduced UE category
-Maximum number of DL carrier
-Maximum number of UL carrier
또한, 1115 단계에서, LTE-NR DC 상황을 고려하여, 각 DC band combination에 대응하는 최대 단말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시킬 수 있다.
SRB3로 전송되는 경우는 상기 메시지가 NR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1120 단계에서, NR로 전송되는 UEAssistanceInformation는 하기 설정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Reduced UE max data rate (혹은 reduced UE category)
-Maximum aggregated DL BW
-Maximum aggregated UL BW
또한, 1125 단계에서, LTE-NR DC 상황을 고려하여, 각 DC band combination에 대응하는 최대 단말 데이터 전송률을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2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220), 저장부(1230), 제어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12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1210)는 기저대역처리부(12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12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2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2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1210)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RF처리부(12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220)는 RF처리부(12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230)는 제2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30)는 제어부(1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0)는 기저대역처리부(1220) 및 RF처리부(12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저장부(12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RF처리부(1310), 기저대역처리부(1320), 백홀통신부(1330), 저장부(1340), 제어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13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1310)는 기저대역처리부(13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13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3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1310)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320)은 상기 RF처리부(13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상기 RF처리부(13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13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13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13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40)는 상기 제어부(13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20) 및 RF처리부(13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3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50)는 저장부(13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30)은 복수의 기지국들 (1405)(1410)(1415)(14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420) 및 S-GW (Serving-Gateway)(14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435)은 복수의 기지국(1405)(1410)(1415)(1420) 및 S-GW(14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복수의 기지국들(1405)(1410)(1415)(14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기지국(1405)(1410)(1415)(14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MME(14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14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MME(1425) 및 S-GW(14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지국(1405)(1410)(1415)(14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복수의 기지국(1405)(1410)(1415)(14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1501)과 ENB(1503)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505)(1540), RLC(Radio Link Control)(1510)(1535), MAC (Medium Access Control)(1515)(1530)을 포함할 수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505)(15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1510)(15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1515)(15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1520)(15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UE(1501)와 ENB(1503)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 계층이 존재하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PHY 계층(1520)(1525)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이라 한다. 이때, CA 기술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6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1615)와 중심 주파수가 f3(16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 즉 캐리어 집적 능력이 없는 단말은,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단말, 즉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6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16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16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는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주파수분할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을 위한 Frame Structure Type 1 구조와, 시분할 (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을 위한 Frame Structure Type 2의 프레임 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Frame Structure Type 1와 Frame Structure Type 2 공히 LTE 에서의 한 프레임의 길이는 10 ms로, 이는 다시 1 ms의 길이를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뉜다(#0, #1, #2, …, #9). 상기 서브프레임 개념은 NR에서도 동일하며, NR에서도 1 서브프레임은 1ms 의 절대 길이를 갖는다. 다만, NR에서는 상기 서브프레임 내에 슬롯 (Slot)이 부차반송파의 간격에 따라 하나 혹은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LTE의 Frame Structure Type 1의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각각 존재하여, 서브프레임 모두가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로 사용된다. Frame Structure Type 2의 경우, 서브프레임 #0, #2, #3, #4, #5, #7, #8, #9는, 도 17에 도시된 테이블을 참조하면, configuration에 따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Downlink Subframe, 표에 'D'로 표기)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Uplink Subframe, 표에 'U'로 표기)로, TDD configuration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즉, TDD configuration 0번의 경우, 서브프레임 #0, #5는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2, #3, #4, #7, #8, #9는 상향링크로 사용되며, TDD configuration 1번의 경우, 서브프레임 #0, #4, #5, #9는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2, #3, #7, #8은 상향링크로 사용된다.
도 17에서 #1, #6은 스페셜 서브프레임 (Special Subframe)으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기에 있는 서브프레임이다. 즉, 이는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GP (Guard Period), UpPTS (Uplink Pilot Time Slot)의 세 구간으로 나뉘며, DwPTS 구간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UpPTS 구간에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며, 사운딩 기준신호 (Sounding Reference Symbol, SRS) 등의 전송은 가능한 슬롯이다. GP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전환 사이의 휴지구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1811 단계에서, 휴면 모드 (RRC_IDLE)에 있는 단말(1801)은 보낼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등의 이유로 기지국으로 접속을 수행한다. 휴면 모드에서는 단말(1801)의 전력 절약 등을 위해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이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연결 모드 (RRC_CONNECTED)로 천이가 필요하다. 단말(1801)이 기지국 (1803)에 접속 절차를 성공하면, 단말(1801)은 연결 모드 (RRC_CONNECTED)로 상태가 변경이 된다.
1813 단계에서, 기지국(1803)은 해당 단말의 능력에 따라 보다 더 높은 데이터전송속도를 위해 추가적으로 SCell을 설정해줄 수 있다. 이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RRC 계층의 메시지에는 활성화되는 SCell의 식별자 및 관련 채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815 단계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801)은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확인 메시지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1817 단계에서, 기지국(1803)은 단말(1801)에게 설정된 SCell들 가운데 어떠한 SCell 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할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는 Activation/Deactivation MAC Control Element(CE) 를 통하여 알려줄 수 있다.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는 8 비트로 이루어진 고정된 크기의 MAC CE로써, 7개의 C 필드들과 하나의 R 필드로 이루어 지거나 혹은, 31개의 C 필드와 하나의 R 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R은 예비 (reserved) 필드이며, 7개 혹은 31개의 C 필드 각각은 서빙셀 (Serving Cell: PCell 혹은 SCell)의 식별자 i로 쓸 수 있으며 (즉, Ci), SCell i에 대해 1일 경우 활성화, 0일 경우 비활성화로 표시하여 각각의 부차반송파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단말(1801)은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는 PCell 혹은 이미 활성화 된 SCell에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PCell과 SCell 혹은 SCell 간에 numerology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10 ms 내에 슬롯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차반송파 간의 간격이 15 kHz인 경우, 10 ms 내에 10개의 슬롯이 존재하나, 60 kHz인 경우, 10 ms 내에 40개의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AC CE를 받더라도 단말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시간 및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는데 구동하는 시간이 필요하여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모든 동작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없으며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1821 단계에서, 단말(1801)은 활성화/비활성화 시 수행할 동작을 어떤 시점에서 활성화 할 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방법1: 단말이 해당 SCell에 대한 채널상태보고 (CQI/PMI/RI/PTI/CRI) (제 1동작)는 PCell (혹은 서브프레임)의 numerology/슬롯 길이를 기준으로 시작하여 수행; 해당 SCell로의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 해당 SCell에서/해당 SCell에 대한 PDCCH 모니터링, 해당 SCell에 동작이 없을 경우 비활성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타이머인 sCellDeactivationTimer의 시작동작 (제 2동작)은 활성화하는 SCell의 numerology/슬롯 길이를 기준으로 시작 (제2시점).
-방법2: 방법1에 기술한 제 1동작과 제 2동작 은 각각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ll을 수신을 완료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PCell의 슬롯을 기준으로, 소정의 PCell 슬롯 개수를 기준으로 시작.
-방법3: 방법1에 기술한 제 1동작과 제 2동작은 각각 상기 Activation/ Deactivation MAC Cell을 수신을 완료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소정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기준으로 시작.
1831 단계와 1833 단계에서, 단말(1801)은 상기 각 방법에 따라, 제1시점에서 수행해야 할 제1동작들과, 제2시점에서 수행해야 할 제2동작들을 판단하여 각 상기 방법에 대해 각 시점에서 해당 동작들을 시작한다. 상기 각 방법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Cell이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9(a)는 도 18에서 전술한 방법 1에 대한 예시 도면이고, 도 19(b)는 도 18에서 전술한 방법 2에 대한 예시 도면이고, 도 19(c)는 도 18 에서 전술한 방법 3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19(a), 도 19(b), 도 19(c) 각각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1과 SCell2를 추가로 설정받은 상황이고, SCell1은 이미 활성화 되어 있으며, SCell2를 활성화 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의 상수를 정의한다.
-C1: 상기 동작1 (즉, CSI 보고(예를 들어 CQI/PMI/RI/PTI/CRI 보고))을 시작하기 위한 지연 상수
-C2: 상기 동작2 (즉, SRS transmission/PDCCH monitoring)를 조건 1 (조건1: 활성화하는 SCell이 이미 측정된 경우)에서 시작하기 위한 지연 상수
-C3: 상기 동작2 (즉, SRS transmission/PDCCH monitoring)를 조건 1 (조건1: 활성화하는 SCell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서 시작하기 위한 지연 상수
한편, 상기 C1, C2, C3는 RRC 계층의 메시지로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각 방법에 따라 고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1은 PCell의 8개 슬롯, C2는 활성화되는 SCell의 8개의 슬롯, C1은 8 서브프레임, C2는 8 서브프레임 등).
도 19(a)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1으로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에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한다(1907).  SCell1의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은 PCell의 서브프레임 n에서 2번째 슬롯(1901)에 대응된다. 도 19(a)에서는, SCell1의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1907)을 기준1슬롯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에 대해, 단말은 수신에 성공한 경우 HARQ ACK을 PCell에서 전송한다. 도 19(a)에서는 이를 기준2슬롯이라 칭한다. 기준2슬롯은 도면부호 1903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동작 1, 즉, 채널상태보고는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P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1 슬롯 시간 이후에 전송을 시작한다(1905). 도 19(a)에서는 기준1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1=4 혹은 기준2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1=2 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한편, 활성화시킨 SCell2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보내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을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CellDeactivationTimer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해당 타이머는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활성화하는 S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슬롯 시간 이후에 전송을 시작한다 (1909). 도 19(a)에서는 기준1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2=7 혹은 기준2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2=3 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단말이 활성화시킨 SCell2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SCell에 대한, 혹은 해당 SCell로부터 PDCCH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이 때, 상기 모니터링 시작시점은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활성화하는 S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슬롯 시간(1909)과 활성화하는 S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3 슬롯 시간 (1911)사이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도 19(b)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1으로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에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한다 (1917).  상기 SCell1의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은 PCell의 서브프레임 n에서 2번째 슬롯 (1911)에 대응된다. 도 19(b)에서는 이를 기준1슬롯 이라 칭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에 대해, 단말은 수신에 성공한 경우 HARQ ACK을 PCell에서 전송하며, 이를 도 19(b)에서는 기준2슬롯 이라 칭한다. 기준2슬롯은 도면에서 (1913)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동작 1, 즉, 채널상태보고는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P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1 슬롯 시간 이후에 전송을 시작한다 (1915). 도 19(b)에서는 기준1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1=4 혹은 기준2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1=2 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한편, 활성화시킨 SCell2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보내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을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CellDeactivationTimer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해당 타이머는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P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슬롯 시간 이후에 구동을 시작한다 (1919). 도 19(b)에서는 기준1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2=4 혹은 기준2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C2=2 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단말은 활성화시킨 SCell2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SCell에 대한, 혹은 해당 SCell로부터 PDCCH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야한다.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시작시점은 상기 기준1슬롯 혹은 상기 기준2슬롯을 기준으로 하여, P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슬롯 시간 (1919)과 PCell을 단위로 하는 상기 C3 슬롯 시간 (1921) 사이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도 19(c)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1으로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에서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를 수신한다(1927). 상기 SCell1의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은 서브프레임 n(1921)에 대응된다. 도 19(c)에서는 SCell1의 서브프레임 n에서 7번째 슬롯을 기준서브프레임이라 칭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동작 1, 즉, 채널상태보고는 상기 기준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상기 C1 서브프레임 시간 이후에 전송을 시작한다(1923). 이에 따라, 해당 SCell의 동작 1은 n+2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PCell의 슬롯 (1925)에서 전송을 시작한다.
한편, 활성화시킨 SCell2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보내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을 비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sCellDeactivationTimer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해당 타이머는 상기 기준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서브프레임 이후 시간에 대응되는 해당 SCell의 슬롯 (1929) 에서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활성화시킨 SCell2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SCell에 대한, 혹은 해당 SCell로부터 PDCCH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야한다.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시작시점은 상기 기준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상기 C2 서브프레임 시간 (1923)에 대응되는 해당 SCell의 첫번째 슬롯 (1929)과 상기 C2 서브프레임 시간 (1933)에 대응되는 해당 SCell의 첫번째 슬롯 (1931) 사이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단말은 이미 기지국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또한, PCell과 SCell의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 간의 반송파 병합을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위해 추가적으로 SCell을 설정받을 수 있다.
우선, 20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추가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메시지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RRC 계층의 메시지에는 활성화되는 SCell의 식별자 및 관련 채널 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20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추가 설정받은 SCell을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Activation/Deactivation MAC Control Element (CE)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는 PCell 혹은 이미 활성화 된 SCell에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PCell과 SCell 혹은 SCell 간에 numerology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10 ms 내에 슬롯 개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차반송파 간의 간격이 15 kHz인 경우, 10 ms 내에 10개의 슬롯이 존재하나, 60 kHz인 경우, 10 ms 내에 40개의 슬롯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AC CE를 받더라도 단말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시간 및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하는데 구동하는 시간이 필요하여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모든 동작을 활성화 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없으며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방법1: 단말이 해당 SCell에 대한 채널상태보고 (CQI/PMI/RI/PTI/CRI) (제 1동작)는 PCell (혹은 서브프레임)의 numerology/슬롯 길이를 기준으로 시작하여 수행; 해당 SCell로의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 해당 SCell에서/해당 SCell에 대한 PDCCH 모니터링, 해당 SCell에 동작이 없을 경우 비활성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타이머인 sCellDeactivationTimer의 시작동작 (제 2동작)은 활성화하는 SCell의 numerology/슬롯 길이를 기준으로 시작 (제2시점).
-방법2: 상기 방법1에 기술한 제 1동작과 제 2동작 은 각각 상기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ll을 수신을 완료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PCell의 슬롯을 기준으로, 소정의 PCell 슬롯 개수를 기준으로 시작.
-방법3: 상기 방법1에 기술한 제 1동작과 제 2동작 은 각각 상기 Activation/ Deactivation MAC Cell을 수신을 완료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소정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기준으로 시작.
2007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각각의 세 가지 방법에 따라, 제1 시점에서 수행해야 할 제1 동작들 및 제2 시점에서 수행해야 할 제2 동작들을 판단한다. 그리고, 단말은 판단된 시점에서 해당 동작들을 시작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처리부 (2110), 기저대역 (baseband) 처리부 (2120), 저장부 (2130), 제어부 (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처리부 (21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 (21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1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1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 (21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 (21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 (21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 (21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 (21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 (2120)은 RF처리부 (21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1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120)은 RF처리부(21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 (2120) 및 RF처리부 (2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120) 및 RF처리부 (21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2120) 및 RF처리부 (21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 (2120) 및 RF처리부(21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21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 (21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130)는 상기 제어부 (21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21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40)는 기저대역처리부 (2120) 및 RF처리부 (21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40)는 저장부(21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2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21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2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40)는 단말이 도 21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40)는 기지국으로부터 서브프레임 길이가 다른 셀을 추가하라는 지시를 받은 후, 해당 셀에 대한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받으면 현재 PCell과 추가하는 SCell의 서브프레임 길이 차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 하는 시점을 결정하여 주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2205)(2210)(2215)(22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225) 및 S-GW(Serving-Gateway)(2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2235)은 기지국(2205)(2210)(2215)(2220) 및 S-GW(22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기지국들(2205)(2210)(2215)(22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기지국(2205)(2210)(2215)(22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MME(2225)는 단말(22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22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MME(2225) 및 S-GW(22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2235)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2205)(2210)(2215)(22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 (2205)(2210)(2215)(22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2301)과 ENB(2303)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305)(2340), RLC(Radio Link Control)(2310)(2335), MAC (Medium Access Control)(2315)(2330)을 포함할 수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305)(23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 (2310)(23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315)(23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320)(23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2320)(2325)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UCCH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PCell의 상향링크에서 전송이 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후술할 SCell에 추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PUCCH SCell이라 칭한다.
도 23에 도시하지 않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420)(425)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이때, CA 기술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소정의 조건에 따라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란,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과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과의 차이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은, 단말이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계산 (이때 계산된 값을 Real 값이라 함)되지만, 단말이 실제 전송하지 않는 경우 표준 규격에 정의된 소정의 수식을 기반으로 계산(이때 계산된 값을 Virtual 값이라 함)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력 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A 상황에서 파워헤드룸 정보는 각 부차반송파 별로 전송이 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2405)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24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2415)와 중심 주파수가 f3(24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캐리어 집적 능령이 없는 단말은, 하나의 단말이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4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24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24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개시는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을 하거나 혹은 하지 않은 경우에도, 역방향 (즉,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전송은 다른 셀의 역방향에 간섭을 초래하기 때문에 역방향 전송 출력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역방향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정의 함수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은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의 양과 적용할 MCS (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등의 스케줄링 정보와 경로 손실 값 등의 채널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입력 값들을 상기 소정의 함수에 입력해서 요구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산된 요구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이 적용할 수 있는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은 단말의 최대 전송 값에 의해서 제한되며 계산된 요구 전송 출력 값이 단말의 최대 전송 값을 초과하면 단말은 최대 전송 값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 충분한 역방향 전송 출력을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역방향 전송 품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요구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로 손실 등의 몇 몇 파라미터는 기지국이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은 필요시 파워헤드룸 보고 메시지 (PHR, Power Headroom Report)라는 것을 전송해서 자신의 가용 전송 출력(PH, Power Headroom) 상태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가용 전송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1)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의 양, 2) 역방향 전송에 적용할 MCS, 3) 연관된 순방향 캐리어의 경로 손실, 4) 출력 조정 명령의 누적값 등이 있다. 이 중 경로 손실(Path Loss, 이하 PL)이나 누적 출력 조정 명령값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한 단말에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가 집적되면 역방향 캐리어 별로 PHR 전송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 올바르다. 그렇지만, 효율적인 PHR 전송을 위해,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에서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에 대한 PH들을 모두 보고할 수도 있다. 운용 전략에 따라, 실제 PUSCH 전송이 일어나지 않은 캐리어에 대한 PH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에서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에 대한 PH들을 모두 보고하는 방법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PHR을 확장시켜야 한다. 하나의 PHR에 포함될 다수의 PH들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구성될 것이다.
PHR은 통상 연결된 순방향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되거나, prohibit PHR 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PHR을 생성한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된다. 단말은 PHR이 트리거 (trigger)되더라도 PHR을 즉시 전송하지 않고, 역방향 전송이 가능한 시점, 예를 들어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는 시점까지 대기한다. 이는 PHR이 아주 신속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정보는 아니기 때문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Dual connectivity(DC) 기술을 사용하면 단말은 두개의 기지국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5에서는, 단말 (2505)이 LTE 기술을 사용하는 매크로 기지국(2500)과 NR 기술을 사용하는 스몰셀 기지국(2510)를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를 EN-DC 라 칭한다(E-UTRAN-NR Dual Connectivity). 매크로 기지국은 MeNB(Master E-UTRAN NodeB)로 칭하며, 스몰셀 기지국은 SgNB(Secondary 5G NodeB)로 칭한다. MeNB(25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여러 개의 스몰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MeNB(2500)은 상기 SgNB(2510)들과 유선 backhaul 망(2515)로 연결되어 있다. MeNB(2500)로부터 제공받는 서빙 셀의 집합을 MCG (Master Cell Group) (2520)라고 하며, MCG(2520)에서 반드시 하나의 서빙 셀은 connection establishment, connection re-establishment, handover 등 기존 셀이 수행해왔던 기능들을 모두 가지는 PCell (primary Cell) (2525) 이다. 또한, 상기 PCell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PUCCH을 가진다. PCell 이외의 서빙 셀을 SCell (Secondary Cell) (2530)이라고 한다. 도 25 에서는 MeNB(2500)가 하나의 SCell을, SgNB(2510)가 3 개의 SCell들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SgNB(2510)가 제공하는 서빙 셀의 집합을 SCG (Secondary Cell Group) (2540)이라고 칭한다. MeNB(2500)은 상기 단말이 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SgNB(2510)에서 제공하는 서빙 셀들을 추가, 변경, 제거하는 명령을 SgNB(2510)에 내린다. 이러한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 MeNB(2500)는 단말에게 서빙 셀 및 주변 셀들을 측정하도록 설정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MeNB(2500)에 보고해야 한다. SgNB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MCG(2520)의 PCell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서빙 셀이 필요하며, 본 개시에서는 이를 PSCell(Primary SCell)이라고 칭한다. PSCell은 SCG(2540)의 서빙 셀 중 하나로 정해지며, 상향링크 제어채널인 PUCCH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UCCH는 단말이 HARQ ACK/NACK 정보,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정보, SR (Scheduling Request) 등을 기지국에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예시 1은 단말이 두 개의 서빙 셀, 즉 PCell(2601)과 SCell 한 개 (2603)을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전송방법 제약 및 RF 구조의 제약으로 인해 한 서빙셀에서 전술한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단말은 PUSCH 전송 시 PUCCH 정보를 내장하여 (embedded) 전송한다(2605). 이때, 상기 PUCCH 정보는 PCell에서 전송하거나, PCell로 전송하는 PUSCH가 없는 경우, SCell가운데 인덱스가 낮은 SCell로 전송한다. 전술한 PHR 메시지는 PUSCH의 일부로 전송이 되며, 이에 따라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각 서빙셀별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2605)(2607)에 소모되는 전송파워를 뺀 파워헤드룸 값만을 보고하면 된다. 이를 Type 1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도 26에 도시된 예시 2도 마찬가지로 단말이 두개의 서빙셀, 즉 PCell (2611)과 SCell 한 개 (2613)을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한 서빙셀에서 동시에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거나, 혹은 상기와 같이 동시전송이 가능한 상향링크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PUCCH와 PUSCH를 별도로 전송하는 상황이다. 이 때, PCell의 경우 (혹은 SCell에 PUCCH가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SCell도 동일), 단말은 PCell의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2617) 뿐만 아니라, PUCCH 전송 (2615)에 소모되는 전송파까지 고려하여, 해당 PUSCH 전송과 PUCCH 전송값을 모두 뺀 파워헤드룸 값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Type 2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메시지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2711 단계에서, 휴면 모드 (RRC_IDLE)에 있는 단말(2701)은 보낼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등의 이유로 기지국으로 접속을 수행한다. 휴면 모드에서는 단말(2701)의 전력 절약 등을 위해 네트워크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상태이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연결 모드 (RRC_CONNECTED)로 천이가 필요하다. 단말(2701)이 기지국 (2703)에 접속 절차를 성공하면, 단말(2701)은 연결 모드 (RRC_CONNECTED)로 상태가 변경이 된다.
2713 단계에서, 기지국(2703)은 해당 단말(2701)의 능력에 따라 보다 더 높은 데이터전송속도를 위해 추가적으로 SCell을 추가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지국(2703)은 단말(2701)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추가하는 SCell에 PUCCH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2703)은 PHR을 보고하는데 쓰이는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PHR 관련 파라미터에는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등이 있다. periodicPHR-Timer는 주기적으로 기지국(2703)에게 PHR 값을 보고하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 이고, prohibitPHR-Timer는 빈번한 PHR보고를 막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이고, dl-PathlossChange 값은 하향링크 채널의 수신변화가 상기 값 이상이 될 경우, 이에 따라 PHR을 보고하도록 하는 임계치 이다. 또한, 기지국(2703)은 상기 PHR 보고 관련 파라미터로 PCell의 Type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1와 PUCCH SCell을 추가로 설정한 경우에는 PUCCH SCell의 Type 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2와 만약 DC를 사용하는 경우 DC의 PSCell의 Type 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포함 여부에 따라 단말(2701)은 해당 셀 (PCell, PUCCH SCell, PSCell)의 Type 2 PH 보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703)은 단말(2701)에게 일반 CA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시자 1을 포함하여 PCell에 대한 Type 2 PH를 보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2703)이 단말(2701)에게 CA와 더불어 특정 SCell에 PUCCH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경우, 해당 PUCCH SCell에 대한 Type 2 PH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2를 포함하여 단말(2701)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NR 과 NR 간의 DC를 설정하는 경우, 기지국(2703)은 M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2701)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703)은 S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TE와 NR 간의 DC를 설정하는 경우 (즉 EN-DC의 경우), 기지국(2703)은 LTE MCG 에 대해 PH 보고는 별도로 지시를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NR S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기지국(2703)은 L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2715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2701)은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며, 확인 메시지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HR을 언제 기지국에게 전송할지 (즉, 보고를 트리거링할지)에 대한 조건으로는 하기의 조건들이 있다.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하향링크 수신세기 변화가 dl-PathlossChange dB 이상이 경우
-periodicPHR-Timer가 만료된 경우
-PHR 보고가 최초 설정된 경우
-상향링크가 포함된 SCell을 추가한 경우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기술을 사용 시, 부기지국의 주셀 (PSCell)이 추가된 경우
만약 상기의 PHR 트리거링 조건이 발생한 경우, 2721 단계에서, 단말(2701)은 기지국(2703)으로 PHR 을 생성하여 보고한다. 이때, 단말(2701)은 전술한 지시자 1, 지시자 2, 지시자 3의 포함여부에 따라 해당 셀의 Type 2 PH를 보고할 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시지에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전송한다. 또한, 상기의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단말(2701)에 EN-DC가 설정되고, 설정된 두 CG 모두로 상향링크 전송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2701)은 두 CG 모두에 Type 1 PH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또는, Type 1 포함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기지국이 전송할 수도 있어 이에 따라 단말이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단말(2701)에 EN-DC가 설정되고, 하나의 CG (예를 들어 MCG)로 상향링크 전송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2701)은 전송이 설정된 CG로만 Type 1 PH를 포함하여 기지국(2703)으로 전송할 수 있다(또는, Type 1 포함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기지국이 직접 전송할 수도 있어 이에 따라 단말이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PHR을 기지국(2703)으로 보고하여, 기지국(2703)은 단말(2701)이 현재 갖고 있는 여유 전력을 판단하여 이에 맞게 단말(2701)에게 스케쥴링해줄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PHR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단말은 이미 기지국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상황임을 가정한다. 또한, 단말은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SCell을 추가로 설정받을 수 있으며,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추가하는 SCell에 PUCCH를 전송하도록 설정받을 수 있다.
우선, 28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HR을 보고하는데 쓰이는 파라미터를 설정받을 수 있다. 상기 PHR 관련 파라미터에는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등이 있다. periodicPHR-Timer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PHR 값을 보고하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 이고, prohibitPHR-Timer는 빈번한 PHR보고를 막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이며, dl-PathlossChange 값은 하향링크 채널의 수신변화가 상기 값 이상이 될 경우, 이에 따라 PHR을 보고하게끔하는 임계치 이다. 또한, 상기 PHR 보고 관련 파라미터로 PCell의 Type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1와 PUCCH SCell을 추가로 설정한 경우에는 PUCCH SCell의 Type 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2와 만약 DC를 사용하는 경우 DC의 PSCell의 Type 2 PH 보고를 지시하는 지시자 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 포함 여부에 따라 단말은 해당 셀 (PCell, PUCCH SCell, PSCell)의 Type 2 PH 보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에게 일반 CA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시자 1을 포함하여 PCell에 대한 Type 2 PH를 보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CA와 더불어 특정 SCell에 PUCCH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경우, 해당 PUCCH SCell에 대한 Type 2 PH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2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NR 과 NR 간의 DC를 설정하는 경우, M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기지국은 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S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기지국은 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TE와 NR 간의 DC를 설정하는 경우 (즉 EN-DC의 경우), LTE MCG 에 대해 PH 보고는 별도로 지시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지국이 NR SCG 에 대해 PH 보고를 설정할 때, PCell과 PSCell에 대한 Type 2를 보고하도록 상기 지시자 1과 상기 지시자 3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정보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2803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확인 메시지는 RRC 계층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PHR을 언제 기지국에게 전송할지 (즉, 보고를 트리거링할지)에 대한 조건으로는 하기의 조건들이 있다.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하향링크 수신세기 변화가 dl-PathlossChange dB 이상이 경우
-periodicPHR-Timer가 만료된 경우
-PHR 보고가 최초 설정된 경우
-상향링크가 포함된 SCell을 추가한 경우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기술을 사용 시, 부기지국의 주셀 (PSCell)이 추가된 경우
2805 단계에서, 상기의 PHR 트리거링 조건이 발생하면, 2807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PHR 을 생성한다. 그리고, 2809 단계에서, 단말은 생성된 PHR을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상기 생성 시 단말은 전술한 지시자 1, 지시자 2, 지시자 3의 포함여부에 따라 해당 셀의 Type 2 PH를 보고할 지 여부를 판단하여 메시지에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전송한다. 또한, 상기의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단말에 EN-DC가 설정되고, 설정된 두 CG 모두로 상향링크 전송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은 두 CG 모두에 Type 1 PH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또는 Type 1 포함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기지국이 전송할 수도 있어 이에 따라 단말이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지시자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단말에 EN-DC가 설정되고, 하나의 CG (예를 들어 MCG)로 상향링크 전송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전송이 설정된 CG로만 Type 1 PH를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또는 Type 1 포함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기지국이 직접 전송할 수도 있어 이에 따라 단말이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PHR을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기지국으로 하여금 단말이 현재 갖고 있는 여유 전력을 판단하여 이에 맞게 단말에게 스케쥴링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처리부(2910), 기저대역 (baseband) 처리부(2920), 저장부(2930), 제어부(294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29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2910)는 기저대역처리부(29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9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 (29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9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9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92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9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920)는 RF처리부(29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9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920)은 RF처리부(29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920) 및 RF처리부(29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 (2920) 및 RF처리부 (29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2920) 및 RF처리부 (29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920) 및 RF처리부(29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 (29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 (29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930)는 제어부 (29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29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40)는 기저대역처리부(2920) 및 RF처리부(29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40)는 저장부(29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9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9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9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29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940)는 단말이 도 4e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9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서빙셀 별 보고할 파워헤드룸 종류를 파악하여, 이를 물리계층으로부터 획득하여 해당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는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동작하는 단말이 파워 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가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에 대한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가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한 상기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포함하는 파워 헤드룸 리포트(power headroom report, PHR)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reconfiguration)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R은 설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1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제2 RAT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T은 LTE (long-term evolu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은 NR (new rad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동작하며 파워 헤드룸을 보고하는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설정 정보가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에 대한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설정 정보가 상기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한 상기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포함하는 파워 헤드룸 리포투(power headroom report, PHR),을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reconfiguration)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HR은 설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1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제2 RAT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T은 LTE (long-term evolu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은 NR (new rad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동작하는 단말로부터 파워 헤드룸 리포트(power headroom report, PHR)를 수신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에 대한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한 상기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포함하는 상기 PHR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reconfiguration)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HR은 설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1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제2 RAT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T은 LTE (long-term evolu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은 NR (new rad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동작하는 단말로부터 파워 헤드룸 리포트(power headroom report, PHR)를 수신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관된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에 대한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보고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과 연관된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한 상기 제2 타입 파워 헤드룸을 포함하는 상기 PHR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설정(reconfiguration)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HR은 설정된 기준에 기반하여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1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제2 RAT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AT은 LTE (long-term evolu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은 NR (new rad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기지국.
KR1020197027954A 2017-09-20 2018-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01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425 2017-09-20
KR20170121425 2017-09-20
PCT/KR2018/011134 WO2019059673A1 (ko) 2017-09-20 2018-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720A KR20200044720A (ko) 2020-04-29
KR102601712B1 true KR102601712B1 (ko) 2023-11-15

Family

ID=6580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954A KR102601712B1 (ko) 2017-09-20 2018-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82049B2 (ko)
EP (2) EP3589016B1 (ko)
KR (1) KR102601712B1 (ko)
CN (2) CN111418225B (ko)
WO (1) WO201905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712B1 (ko) * 2017-09-20 2023-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9068818A1 (en) * 2017-10-05 2019-04-11 Sony Corporation USER EQUIPMENT OVERHEATING MANAGEMENT DUR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LTE-NEW UPLINK RADIO
US10701608B2 (en) * 2018-03-29 2020-06-3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Use of dynamic connection priority information to control network connectivity
WO2020030707A1 (en) * 2018-08-09 2020-02-13 Sony Corporation Efficiently handling communication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GB2578688A (en) 2018-09-28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dressing overheating in user equip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1425555B2 (en) * 2018-12-05 2022-08-23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ance information for power saving configuration
CN113490168B (zh) * 2019-04-23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0557779B (zh) * 2019-05-16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08119A (zh) * 2019-06-17 2022-03-18 苹果公司 用于快速辅小区激活和去激活的方法
CN110691372B (zh) * 2019-09-16 2021-10-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速率控制方法及终端、存储介质
KR20210073298A (ko) 2019-12-10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146852A1 (zh) * 2020-01-20 2021-07-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小区重选、信息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300822B (zh) * 2020-02-21 2023-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1200239A1 (ja) * 2020-04-02 2021-10-07 日本電気株式会社 Amf装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これらのための方法
EP4185004A4 (en) * 2020-07-16 2023-08-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ELL RESELE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2027166A1 (en) * 2020-08-03 2022-02-10 Zte Corporation Cell configuration sche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230091859A (ko) * 2020-10-21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네트워크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390559A (zh) * 2020-10-22 2022-04-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信息配置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740713B (zh) * 2020-11-11 2021-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網路切片的資源管理方法、資源管理系統及工作負載調度裝置
CN116325910A (zh) * 2021-01-08 2023-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US20230055788A1 (en) * 2021-08-05 2023-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057980A1 (en) * 2021-10-08 2023-04-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controlled slice prioritization in ue
US11917475B2 (en) * 2021-12-01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cell reselection priority configurations
WO2023112901A1 (en) * 2021-12-14 2023-06-22 Sharp Kabushiki Kaisha Frequency priority overriding by dedicated network slice-related information
WO2024014857A1 (en) * 2022-07-12 2024-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slice aware cell re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9235A1 (en) 2014-07-23 2016-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592539A (zh) 2014-10-22 2016-05-18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功率余量的获取方法和宏基站
US20160270094A1 (en) 2015-03-09 2016-09-15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Headroom in a Wireless Network
US20170215156A1 (en) 2014-07-22 2017-07-27 Zte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wer for reporting headroom report in dual 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5759A2 (en) * 2008-12-03 2010-06-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carrier aggregation
US9357509B2 (en) * 2010-02-25 2016-05-3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12024338A1 (en) * 2010-08-17 2012-02-2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during multi-carrier operation
CN102118786B (zh) * 2010-09-29 2015-07-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载波聚合系统下phr的处理方法和设备
US9392556B2 (en) * 2012-07-19 2016-07-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38070B2 (en) * 2012-11-02 2016-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2M devices
US9826488B2 (en) * 2013-01-11 2017-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 power headroom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WO2014110813A1 (en) * 2013-01-18 2014-07-24 Mediatek Inc. Mechanism of rlf handling in small cell networks
WO2014127511A1 (zh) * 2013-02-20 2014-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配资源的方法及装置
WO2014163289A1 (en) * 2013-04-02 2014-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time alignment timer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2037388B1 (ko) * 2013-04-05 2019-10-28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잉여전력보고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817484B1 (ko) * 2013-04-11 2018-01-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처리 방법, ue 및 통신 시스템
WO2014175634A1 (ko)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78690A1 (en) * 2013-05-02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81152A1 (en) * 2013-05-09 2014-11-13 Nokia Siemens Networks Oy Bearer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communication
CN104349441B (zh) * 2013-08-07 2020-03-17 夏普株式会社 主基站、用户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50020018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U2627300C1 (ru) * 2013-09-04 2017-08-0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532253B2 (en) * 2013-09-26 2016-12-2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onnectivity operation
CN105794255B (zh) * 2013-09-30 2019-04-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移动性管理测量方法的配置方法和装置
US9826489B2 (en) * 2013-11-0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 power headroom and communication
EP3085170A4 (en) * 2013-12-20 2017-07-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and device therefor
WO2015093768A1 (en) * 2013-12-22 2015-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and device therefor
US9480029B2 (en) * 2014-01-06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dual connectivity
CN104796940B (zh) * 2014-01-20 2019-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余量报告上报方法和装置
CN105940755B (zh) * 2014-01-29 2019-07-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执行的d2d操作方法及使用该方法的终端
KR102391770B1 (ko) * 2014-01-29 2022-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105301B (zh) * 2014-03-06 2019-11-08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控制方法
TWI628968B (zh) * 2014-03-14 2018-07-01 Lg電子股份有限公司 在雙連結系統中觸發功率餘裕回報的方法及其裝置
CN104936222B (zh) * 2014-03-21 2019-04-1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双连接场景中增强phr的方法和装置
US10448374B2 (en) * 2014-03-21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of dual-connectivity U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128791B1 (en) * 2014-04-03 2019-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in dual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EP3157301A4 (en) * 2014-06-12 2018-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switching to dual connectivity in carrier aggregation
KR20170057227A (ko) * 2014-09-23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한 우선순위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890879B1 (ja) * 2014-09-25 2016-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上り送信電力報告方法、及びパラメータ通知方法
JP5866420B1 (ja) * 2014-09-25 2016-02-1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上り送信電力報告方法
US10728944B2 (en) * 2014-09-29 2020-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dication to the master e-node B of successful primary secondary cell activation in dual connectivity
EP3245757B1 (en) * 2015-01-13 2021-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figuring a cell from pucch resourc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182406B2 (en) * 2015-03-09 2019-0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headroom report for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US9820298B2 (en) 2015-03-09 2017-11-14 Ofinno Technologies, Llc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9609605B2 (en) * 2015-04-15 2017-03-28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elements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WO2016183714A1 (zh) * 2015-05-15 2016-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WO2017007171A1 (en) * 2015-07-06 2017-0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and a device therefor
EP3334220B1 (en) * 2015-08-05 2023-06-21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140342A1 (en) * 2016-02-15 2017-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JP2017204741A (ja) * 2016-05-11 2017-11-16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2004090B2 (en) * 2016-05-26 2024-06-04 Ofinno, Llc Type 2 power headroom of a primary cell in a wireless device
US10420040B2 (en) * 2016-05-26 2019-09-17 Ofinno, Llc Power headroom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20180035470A1 (en) * 2016-07-28 2018-02-0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sg3 transmission of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91016B2 (en) * 2016-08-11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based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control method
CN107872878A (zh) * 2016-09-22 2018-04-03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基站和相关方法
US10727991B2 (en) * 2016-09-22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ing LTE and new radio
SG11201903123XA (en) * 2016-10-11 2019-05-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reflective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535864A1 (en) * 2016-11-02 2019-09-11 IDAC Holdings, Inc. Group-based beam management
KR102108871B1 (ko) * 2016-11-03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9474967B (zh) * 2017-01-25 2019-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0716094B2 (en) * 2017-03-23 2020-07-14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08632891B (zh) * 2017-03-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EP3632156A4 (en) * 2017-06-02 2021-03-03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PROCEDURES, DEVICES AND SYSTEMS FOR SERVICE-DRIVEN MOBILITY MANAGEMENT
CN109041136B (zh) * 2017-06-12 2020-07-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插入smf的方法及amf实体
WO2018230849A1 (en) * 2017-06-14 2018-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deactivation for a cell in which packet duplication is perform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363569B2 (en) * 2017-06-15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al channel mapping with packet duplication
CA3061830A1 (en) * 2017-06-16 2018-1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port
CN113766588B (zh) * 2017-06-16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方法及相关设备
CN116347668A (zh) * 2017-06-16 2023-06-27 苹果公司 用于承载类型更改的l2处理
CN109286973B (zh) * 2017-07-21 2021-10-19 夏普株式会社 用户功率余量报告相关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0959276B2 (en) * 2017-08-10 2021-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esponding to SCG failure in DC communication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US10912041B2 (en) * 2017-08-11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a power headroo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601712B1 (ko) * 2017-09-20 2023-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457499B2 (en) * 2019-01-10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15156A1 (en) 2014-07-22 2017-07-27 Zte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wer for reporting headroom report in dual connectivity
US20160029235A1 (en) 2014-07-23 2016-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ower headroom repor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5592539A (zh) 2014-10-22 2016-05-18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功率余量的获取方法和宏基站
US20160270094A1 (en) 2015-03-09 2016-09-15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Headroom in a Wirel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89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9016A1 (en) 2020-01-01
US20220338135A1 (en) 2022-10-20
US20200022095A1 (en) 2020-01-16
EP3589016A4 (en) 2020-05-06
US11382049B2 (en) 2022-07-05
WO2019059673A1 (ko) 2019-03-28
KR20200044720A (ko) 2020-04-29
CN114679751A (zh) 2022-06-28
EP4061062A1 (en) 2022-09-21
EP3589016B1 (en) 2022-05-11
CN111418225A (zh) 2020-07-14
CN111418225B (zh) 2022-04-15
EP4061062B1 (en) 202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7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357357B (zh) 无线电终端、无线电接入网络节点及其方法
KR10232720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6784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5805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非周期的チャネル状態情報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50978B1 (ko)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수신모드가 적용시 채널상태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592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A3034026A1 (en) Supplemental uplink selection us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US109730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upplementary uplink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08235A (ko)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345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123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시간단위를 갖는 셀 병합 시 셀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102362403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EP40145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backoff report while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5972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534992A (ja) 拡張メークビフォアブレークハンドオーバ中の拡張ユーザ機器能力交換
KR1024337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3574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10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supporting dynamic power sharing
KR20230154862A (ko) 금지를 통한 경합 프리 ris 핸드오버
US202300631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timers according to bwp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099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