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56B1 -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56B1
KR102091656B1 KR1020180085913A KR20180085913A KR102091656B1 KR 102091656 B1 KR102091656 B1 KR 102091656B1 KR 1020180085913 A KR1020180085913 A KR 1020180085913A KR 20180085913 A KR20180085913 A KR 20180085913A KR 102091656 B1 KR102091656 B1 KR 10209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egion
cover
cover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151A (ko
Inventor
김진관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론
Priority to KR102018008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쇄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기록지의 안정적인 배출을 구현토록 하는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는 비충격식 프린터의 일종으로, 열에 반응하는 특수한 기록지를 사용하며, 프린터헤드로 기록지에 열을 가하여 발색시켜 문자나 그림을 나타내는 프린터이다.
즉, 서멀 프린터는 토너나 잉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매끄러운 문자의 인쇄나 다채로운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각종 라벨, 영수증이나 티켓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서멀 프린터는 기록지를 말아놓은 형태의 롤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롤지로부터 기록지가 권출됨으로써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 롤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는 커버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며, 롤지의 교체 시, 상기 커버부는 수납부를 제공하는 본체부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수납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수납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서멀 프린터에 장착되는 락킹 해제 버튼를 누르거나 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의 락킹이 해제되게 되며, 이후에는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커버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시키기 된다.
여기서, 종래의 서멀 프린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의 락킹이 해제되고 상기 커버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 인가되는 외력을 제어하지 못하고 상당히 큰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거나 회전을 지지하는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서멀 프린터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순간적인 큰 외력에 의해 커버부가 상기 서멀 프린터를 지지하고 있는 바닥을 충격하여 상기 커버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서멀 프린터는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가 인쇄되고, 이후에는 커팅수단에 의해 커팅이 되게 되는데, 커팅수단에 의한 커팅이 정확히 구현되기 위해서는 기록지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서멀 프린터는 기록지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커팅수단과 다른 구성요소 사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서, 정확한 커팅이 구현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커팅의 정확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커버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지의 안정적인 배출을 구현하여 커팅의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구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구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대응부 - 상기 삽입대응부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됨 - 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구현부와의 관계에서 상호 작용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 변화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커버부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커버부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회전 한계 영역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과 상기 회전 한계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돌출부가 지나갈 수 있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구현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보다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보다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는 일면 모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는 일면 모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구현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구현부의 일면으로부터의 함입 또는 관통에 의해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함입 또는 상기 관통되지 않은 영역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자유 회전 영역, 상기 간격 변화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보다 작은 둔각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의 접촉에 의해 최대 회전 각도가 설정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각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가 최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설정부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와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회전각도설정부와 접촉하되,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외면을 구비하여 상기 외면을 따라 상기 회전각도설정부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의 자체 중량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영역, 상기 커버부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커버부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제3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에 의하면,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커버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록지의 안정적인 배출을 구현하여 커팅의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본체부로부터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의 락킹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의 회전 시 충격이 흡수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케이스 및 커터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커버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케이스가 본체부 상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커버부의 횡방향 이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다른 방법에 의한 제동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부의 일부 및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분해사시도.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다른 방법에 의한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의 BB선에 따른 개략확대단면도.
도 27은 도 20 및 도 21에 따른 인쇄 장치의 추가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각종 라벨, 영수증이나 티켓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10)는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일 수 있다.
서멀 프린터는 열에 반응하는 특수한 기록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멀헤드로 기록지에 열을 가하여 발색시켜 문자나 그림을 나타낼 수 있는 프린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멀 프린터에 사용되는 기록지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기록지일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10)는 탁상용 또는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탁상용으로사용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의 상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장치(10)는 본체부(110), 커버부(120), 인쇄부(130) 및 커팅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롤지(R)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 장치(1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롤지수납부(112) 등 복수의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결합 및 장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S)이 폐쇄되도록 할수 있으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S)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쇄부(130)는 상기 내부공간(S)에 위치한 상기 롤지(R)로부터 권출된 기록지의 제1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10)가 서멀 프린터인 경우, 서멀헤드일 수 있다.
서멀헤드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팅부(140)는 상기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상기 제1 기록지가 상류측 - 상기 상류측은 롤지(R)로부터 권출되어 이송되는 기록지가 먼저 통과되는 곳이 상류측이고, 상류측을 통과한 기록지가 추후에 통과하는 곳이 하류측임 - 에 위치하는 제2 기록지로부터 커팅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커팅부(140)는 고정 커터(142) 및 상기 고정 커터(142)를 향한 접근방향 또는 이격방향으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커팅이 구현되도록 하는 가동 커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커터(144)는 커터 케이스(146)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10)에 안착되는 상기 커터 케이스(146)를 매개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본체부로부터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의 락킹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버부(120)는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20)의 락킹은 후크(H)가 본체부(110)의 일 구성요소인 롤지수납부(112)의 걸림턱(114)에 걸리게 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의 해제는 상기 후크(H)가 상기 걸림턱(114)으로부터 해제되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H)는 플래튼 롤러(P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케이스(RC)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케이스(RC)는 상기 커버부(120)의 내면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H)는 상기 플래튼 롤러(PR)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롤러케이스(RC)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축(X1)에 연결되어 서로 연동되어 상기 연결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H)는 상기 롤러케이스(RC)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E)에 의해 소정 크기의 외력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은 상기 스프링(E)의 압축에 따른 탄성력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E)은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후크(H)는 상기 스프링(E)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14)에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후크(H)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버튼(B)에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버튼(B)이 회전되고, 상기 버튼(B)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H)는 가압력을 제공받아 연결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후크(H)는 상기 걸림턱(11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스프링(E)은 탄성 변형되게 된다.
상기 버튼(B)에 인가되던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후크(H)는 상기 스프링(E)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며, 상기 스프링(E)은 상기 후크(H)와 상기 롤러케이스(RC)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 인자에 의한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E)은 상기 후크(H)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는 방식을 취하게 됨에 따라 종래의 인장되는 방식을 취하는 것보다 탄성력의 제공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후크(H)가 상기 걸림턱(114)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의 락킹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20)는 회전축(X2, 도 9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은 일시적으로 제동되면서 구현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커버부(12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회전지지부(122)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22)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현부(116)는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120)가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122)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현부(116)와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의 변화는 회전돌출부(118)와 상기 회전구현부(116)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회전구현부(116)의 어떤 영역을 지나가는지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지지부(122) 및 상기 회전구현부(11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에 대한 회전축(X2)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23)를 구비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123)가 삽입되기 위해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삽입대응부(117)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3)는 회전구현부(116)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대응부(117)는 홀의 형상으로 회전지지부(122) 상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부(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구현부(116)와의 관계에서 상호 작용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출부(11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구현부(116)는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118)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 변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현부(116)는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위치하는 자유 회전 영역(R2) 및 회전 한계 영역(R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은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118)를 수용하여 상기 커버부(120)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은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과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은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구현부(116)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되는 홈 또는 홀로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1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지나갈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회전지지부(122)와 상기 회전구현부(116) 사이의 간격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1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부(122)와 상기 회전구현부(116)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회전구현부(116)의 일면으로부터의 함입 또는 관통에 의해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함입 또는 상기 관통되지 않은 영역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및/또는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이 관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116)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및/또는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및/또는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이 함입되는 정도보다 더 작게 함입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상기 회전축(X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은 상기 회전돌출부(118)보다 상기 회전축(X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에 수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로 자유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은 상기 회전축(X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보다 상기 회전축(X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은 상기 회전돌출부(118)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은 상기 회전축(X2)을 기준으로 180°보다 작은 둔각의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회전돌출부(118)가 커버부(1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회전구현부(116) 상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인쇄 장치(10)가 테이블 상에서 도 2와 같은 상태로 배치된 상황을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커버부(120)의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 시점에서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자유 회전 영역(R2)의 일측에 치우치게 수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의 타측에 치우치게 수용되는 상태까지 자체 중량에 의해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소정 각도 회전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120)가 자체 중량에 의해 자유 회전되어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의 타측에 치우치게 수용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커버부(120)는 일시적으로 제동이 될 수 있다.
이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20)에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커버부(12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 때 상기 회전구현부(116)는 상기 회전지지부(122)로부터 이격되게 되어, 상기 회전구현부(116)와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은 변화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회전구현부(116)와 상기 회전지지부(122) 사이의 간격은 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는 일면 모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자유 회전 영역(R2)으로부터 부드럽게 간격 변화 영역(R1)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도브 테일의 일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로 진입한 이후, 상기 커버부(120)에 계속적인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커버부(120)가 계속적으로 회전되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는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회전 한계 영역(R3)에 진입하여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이 완료되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출부(118)는 간격 변화 영역(R1)으로부터 부드럽게 회전 한계 영역(R3)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120)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도브 테일의 일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에 수용되면, 상기 커버부(120)는 더 이상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며, 롤지(R)를 수용하는 내부공간(S)은 완전히 개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부(120)가 본체부(110)로부터 회전되는 과정은 회전돌출부(118)가 순차적으로 자유 회전 영역(R2) 및 간격 변화 영역(R1)을 지나 회전 한계 영역(R3)에 수용되는 과정이 동반되며, 이 과정에서, 특히, 상기 자유 회전 영역(R2)에서 상기 간격 변화 영역(R1)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120)의 회전은 일시적으로 제동되는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이는 상기 커버부(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갑작스러운 테이블 등에의 충격을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커버부(120)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동시에 롤지(R)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S)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회전지지부(122)가 본체부(110)에 형성되고, 회전구현부(116)가 커버부(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회전지지부(122)가 커버부(120)에 형성되고, 회전구현부(116)가 본체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돌출부(118)가 회전지지부(122)에 형성되고, 자유 회전 영역(R2), 간격 변화 영역(R1) 및 회전 한계 영역(R3)이 회전구현부(116)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회전돌출부(118)가 회전구현부(116)에 형성되고, 자유 회전 영역(R2), 간격 변화 영역(R1) 및 회전 한계 영역(R3)이 회전구현부(116)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버부의 회전 시 충격이 흡수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커버부(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회전돌출부(118)가 회전 한계 영역(R3)을 지나갈 정도의 외력이 상기 커버부(120)에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커버부(120)가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이는 회전각도설정부(121) 및 충격흡수부(1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는 커버부(120)의 일 구성요소로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120)가 상기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10)와의 접촉에 의해 최대 회전 각도가 설정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커버부(120)의 후방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20)의 후방측단 대략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충격흡수부(111)는 본체부(110)의 일 구성요소로,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가 최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120)와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본체부(110)의 후방측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111)는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111)는 상기 커버부(120)가 최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와 접촉하되,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외면을 구비하여 상기 외면을 따라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부(1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돌출부(118)가 상기 회전 한계 영역(R3)을 지나갈 정도의 외력이 상기 커버부(120)에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회전각도설정부(121)가 상기 충격흡수부(111)의 외면을 따라 약간 슬라이딩되어 충격이 흡수되므로, 커버부(120)의 본체부(110)로부터의 분리는 방지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케이스 및 커터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3의 X에 대한 개략확대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커버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케이스가 본체부 상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에 제공되는 커터 커버부의 횡방향 이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커터 케이스(146)를 커버하여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노출을 차단하며, 롤지(R)로부터 권출되어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제1 기록지가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기록지로부터 수동으로 커팅되도록 하는 수동 커터(132)가 구비되는 커터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 케이스(146)는 가동 커터(144)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케이스(146a) 및 제2 케이스(146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케이스(146b)가 장착되어 상기 제1 케이스(146a) 및 제2 케이스(146b)를 본체부(110)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스받침부(14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46a)는 상기 제2 케이스(146b)에 대한 일종의 커버부재일 수 있으며, 체결 방식은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146b) 상에는 상기 가동 커터(144)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기록지 및 제2 기록지는 가동 커터(144)가 커터 케이스(146)의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고정 커터(142)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인쇄부(130)에 의해 소정의 정보가 인쇄되는 제1 기록지가 상기 수동 커터(132)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상면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동 커터(132)와 상기 커터 케이스(146)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기록지 유입방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록지 유입방지부(134)는 상기 제1 기록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제1 면(135) 및 제2 면(1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면(135) 및 상기 제2 면(136)은 상기 제1 기록지가 상기 수동 커터(132)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록지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면(135)은 상기 제1 기록지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기록지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록지가 상기 제2 면(136)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면(135)은 상기 제1 기록지가 상기 수동 커터(132)를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록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기록지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커터 케이스(146)의 케이스받침부(146c)가 상기 본체부(110) 상에 배치된 후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부(110)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복수의 체결돌출부(13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터 커버부(130)를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부(110)를 향해 가압하면, 상기 체결돌출부(137)가 본체부(110)의 체결수용부(113)에 걸리게 되어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터 커버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상기 커터 케이스(146)를 가압하여 상기 커터 케이스(146)가 상기 본체부(110)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고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경우, 상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상측 외면을 가압하는 종방향 이동제한부(13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종방향 이동제한부(138)가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제1 케이스(146a)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종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터 케이스(146), 즉, 상기 케이스받침부(146c)는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11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나사 등의 체결부재(N)를 이용하여 상기 커터 케이스(146)를 상기 본체부(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터 케이스(146)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본체부(110) 상에서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Y)로 상기 본체부(110) 상에 안착되는 경우라도, 상기 커터 커버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면,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은 차단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터 케이스(146)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측 내면으로부터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일측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돌출되는 횡방향 이동제한부(13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터 커버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횡방향 이동제한부(139)는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터 케이스(146)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 상에 위치 고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체결부재는 외부적인 요인 등에 의해 풀리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횡방향 이동제한부(139)에 의해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위치 이동은 차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터 커버부(130)는, 전술한 종방향 이동제한부(138) 및 횡방향 이동제한부(139) 이외에 상기 커터 케이스(146)가 상기 횡방향과 수직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전방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후방향 이동제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 이동제한부(131)는 상기 커터 커버부(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일측면인 전방측 외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전방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커터 케이스(146)의 전후방향 이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커버부(120)의 회전 시 회전지지부(122)의 회전돌출부(118)가 회전구현부(116)의 자유 회전 영역(R2) 및 간격 변화 영역(R1)을 지나 회전 한계 영역(R3)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제동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커버부(120)가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갑작스러운 테이블 등에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상기 커버부(120)의 제동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하려고 하는 회전제동부(300) 및 접촉부(200) 등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본체부(110) 및 커버부(120)의 일부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상기 인쇄 장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미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되었던 구성요소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다른 방법에 의한 제동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부의 일부 및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및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다른 방법에 의한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0의 BB선에 따른 개략확대단면도이다.
또한, 도 27은 도 20 및 도 21에 따른 인쇄 장치의 추가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우선,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커버부(500)의 회전 시, 회전제동부(300)와 접촉부(2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락킹이 해제되어 커버부(500)가 본체부(4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본체부(40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회전제동부(30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00)는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입되어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함입면(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함입면(21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부(500)의 제동 횟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인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함입면(210)은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함입면(212) 및 제2 함입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면(210), 즉,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은 상기 회전축(X3) 상에서 바라볼 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함입면(2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되기 이전에 상기 제1 함입면(212)으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400) 상에서 최대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다가 상기 제2 함입면(214)에 대응되는 곳으로 위치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전제동부(300)와 상기 본체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접촉부(200)에 접촉되도록 하는 탄성부(6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600)는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함입면(2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본체부(400)와 분리되어 제조되는 구성요소로, 상기 본체부(400)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부(40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600)에 의해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의한 상기 본체부(400)로부터의 분리가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다가 상기 제2 함입면(214)으로 수용되는 경우,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이동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함입면(2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상기 제2 함입면(214)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이동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본체부(400)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 장착되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600)에 의해 분리가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본체부(400) 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슬라이딩되는 방향이 본체부(400)의 가이드부(410)에 의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410)는 상기 본체부(4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412)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부(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부(412) 및 상기 제2 가이드부(414)는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일 구성요소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방향(D3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가이드부(412) 및 상기 제2 가이드부(414)는 반드시 한 쌍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입면(210)에 수용되고 상기 함입면(210)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수용부(310), 상기 수용부(310)로부터 상기 회전축(X3)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부(320)와 제2 날개부(330) 및 상기 제1 날개부(3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동차단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320)는 상기 제1 가이드부(412)와 본체부(400)의 일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이동차단부(34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412)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수직한 방향(D3,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부(412)는 상기 제1 날개부(3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2 방향(D2) 이외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날개부(320)는 상기 제1 가이드부(412)와 본체부(400)의 일면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400)의 일면과 상기 제2 가이드부(414) 사이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2 날개부(330)는 상기 제2 가이드부(414)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커버부(500)의 회전 시 회전제동부(300)와 접촉부(2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 발생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22를 참조하면, 커버부(500)가 락킹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제동부(300)의 수용부(310)는 접촉부(200)의 제1 함입면(212)에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커버부(500)의 락킹이 해제되면,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본체부(400)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500)에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커버부(50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500)는 회전되게 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5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제1 함입면(212) 및 제2 합입면(214)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고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부(600)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탄성부(60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회전에 제동력이 걸리게 된다.
이후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수용부(310)는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회전제동부(300)가 상기 제2 함입면(214)에 수용된 이후에도 외력이 인가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동부(300)는 상기 제2 함입면(214) 및 제3 합입면(216)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고 다시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때에도 상기 탄성부(600)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탄성부(60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회전에 제동력이 걸리게 된다.
이후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기 회전제동부(300)의 수용부(310)는 제3 함입면(216)에 수용되게 되면서,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은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부(500)가 본체부(400)로부터 회전되는 과정은 탄성부(600)의 탄성 변형을 동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되어 상기 커버부(500)가 갑작스러운 테이블 등에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커버부(5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롤지(R)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S)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본체부(400)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27에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제동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는 커버부(500)가 상기 본체부(400)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400)의 추가제동부(480)와 접촉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제동부(480)는 상기 커버부(500)가 회전되어 롤지(R)가 수용되는 내부공간(S)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50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부(4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500)의 회전에 대한 추가 제동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커버부(5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큰 외력인 인가되는 경우라도, 커버부(500)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되어 안정적인 회전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인쇄 장치
110: 본체부
120: 커버부
130: 인쇄부
140: 커팅부

Claims (17)

  1.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구현부와의 관계에서 상호 작용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 변화 영역, 상기 회전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커버부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커버부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회전 한계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과 상기 회전 한계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영역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구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구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대응부 - 상기 삽입대응부는,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됨 -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돌출부가 지나갈 수 있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에 수용된 후, 상기 커버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구현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보다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증가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보다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을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는 일면 모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는 일면 모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한 일면보다 경사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을 규정하는 일면 중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기 위한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4. 롤지로부터 권출되는 기록지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지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락킹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락킹의 해제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동반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구현부와의 관계에서 상호 작용하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현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커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돌출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간격 변화 영역, 상기 회전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커버부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커버부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회전 한계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자유 회전 영역과 상기 회전 한계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구현부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간격 변화 영역은,
    상기 회전구현부의 일면으로부터의 함입 또는 관통에 의해 상기 자유 회전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함입 또는 상기 관통되지 않은 영역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영역, 상기 간격 변화 영역 및 상기 회전 한계 영역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보다 작은 둔각의 범위 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락킹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의 접촉에 의해 최대 회전 각도가 설정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각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가 최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도설정부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와의 충격이 흡수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회전각도설정부와 접촉하되, 경사지거나 라운드진 외면을 구비하여 상기 외면을 따라 상기 회전각도설정부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기 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7. 삭제
KR1020180085913A 2018-07-24 2018-07-24 인쇄 장치 KR10209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13A KR102091656B1 (ko) 2018-07-24 2018-07-24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913A KR102091656B1 (ko) 2018-07-24 2018-07-24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51A KR20200011151A (ko) 2020-02-03
KR102091656B1 true KR102091656B1 (ko) 2020-03-20

Family

ID=6962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913A KR102091656B1 (ko) 2018-07-24 2018-07-24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144B1 (ko) 2021-10-13 2024-04-16 주식회사 라온헬스랩 멸균 용기에 의한 반려동물 및 가축의 질병검사 진단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6363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와이엘컴퍼니 반려동물용 소변검사 스트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158A1 (en) * 2009-12-21 2011-06-23 Seiko Epson Corporation Cover unit and printer
JP2016066722A (ja) * 2014-09-25 2016-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開閉カバーの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158A1 (en) * 2009-12-21 2011-06-23 Seiko Epson Corporation Cover unit and printer
JP2016066722A (ja) * 2014-09-25 2016-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開閉カバーの開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51A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553B2 (en) Cassettte locking and ejecting arrangement
RU2664375C2 (ru) Ленточный картридж
RU23525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рания и выталкивания кассеты
US6414704B1 (en) Printer installable in small space
JP6891610B2 (ja) 印刷装置
KR102091656B1 (ko) 인쇄 장치
JP6852613B2 (ja) 印刷装置
TWI642555B (zh) 印字單元及熱列印機
WO2005094653A1 (en) Look mechanism for a dispenser, roll of material and end plug therefor, and method for inserting a roll of material into such lock mechanism
JP7250780B2 (ja) ディスペンサ
KR102037941B1 (ko) 인쇄 장치
JPH021357A (ja) プリンタの筐体構造
KR102087394B1 (ko) 인쇄 장치
JP7256176B2 (ja) ディスペンサ
US6978102B2 (en)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26240A (ko) 인쇄 장치
JP200527143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ペーパーマガジン、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ペーパーマガジン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との係合構造
JP4518690B2 (ja) 小型携帯プリンタ
JPH065966U (ja) プリンター
CN107310285B (zh) 一种热转印打印机
JP3478598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22080712A (ja) プリンタ
KR0138471Y1 (ko) 팩시밀리의 감열기록지 말림방지장치
JP2010280102A (ja) カートリッジ利用装置
JPH09246745A (ja) カバー開閉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バー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