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209B1 -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209B1
KR102091209B1 KR1020180144095A KR20180144095A KR102091209B1 KR 102091209 B1 KR102091209 B1 KR 102091209B1 KR 1020180144095 A KR1020180144095 A KR 1020180144095A KR 20180144095 A KR20180144095 A KR 20180144095A KR 102091209 B1 KR102091209 B1 KR 10209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ift
output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연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209B1/ko
Priority to CN201910544779.6A priority patent/CN11120720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2Ratio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a final actu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엑츄에이터는 모터, 변속레버 조작에 의해 선택된 PRND단 중 어느 한 단의 변속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변속신호의 해당 변속위치까지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센싱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부, 일측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속기의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에 의해 상기 변속위치만큼 회전하여 상기 변속기를 변속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SHIFTING ACTUATOR FOR SHIFT BY WIRE SYSTEM}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웜기어 구조를 활용하여 변속기어를 직접 조정할 수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용 변속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인 SBW(Shift By Wire)는 액추에이터와 전자식 변속레버 및 컨트롤러(또는 ECU)를 이용해 변속기와 변속레버 간의 기계적인 연결구조를 없앤 변속시스템을 말한다.
자동 변속기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서 유압회로, 유성기어장치 및 마찰요소들을 사용하여 기어비를 만들어내며, 이러한 구성부품들의 제어는 변속기 제어부(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서 담당한다.
이러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시스템에 적용되는 자동 변속기는, 기존의 기계식 변속레버와는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유압펌프에서 발생된 압력을 사람의 힘으로 직접 전달하거나 끊어주던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변속기 제어부(TCU)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 혹은 전기모터를 작동하고, 이에 따라서 유압회로에 압력을 전달하고 끊어주는 역할을 하는, 전자적인 변속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의 간단한 버튼조작 및 레버의 조작을 통해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변속기 제어부에 간편하게 전달하여 차량을 전진, 후진 혹은 주차 레인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전석 옆의 공간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평기어 또는 slide방식에 의해 각 단을 변속하는 변속 액추에이터의 경우, 제품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타사나 타차종에 적용 시 레이아웃의 제약을 받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기어를 구동하고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belt, pulley, lever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각 단 변속 및 위치를 인지하기 때문에 작동범위가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변속 액추에이터의 작동 조건은 부품의 사이즈를 크게 할 뿐 아니라, 조립상태의 제품의 체적도 확대되어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62560호(공개일자 2012년06월14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19985호(공개일자 2014년02월18일)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기에 체결되어 변속기어를 직접 변속시킬 수 있는 변속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변속기어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변속기어의 조작을 위한 부품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웜기어 구조를 적용하여 종래와 비교하여 체적이 작지만 소음 및 진동이 적고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는 모터, 변속레버 조작에 의해 선택된 PRND단 중 어느 한 단의 변속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변속신호의 해당 변속위치까지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센싱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부 및 일측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속기의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에 의해 상기 변속위치만큼 회전하여 상기 변속기를 변속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변속신호를 전달받는 PCB, 상기 PCB에 배치되는 HALL IC 및 상기 HALL IC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출력부의 출력기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신호는 상기 변속레버와 상기 센싱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CAN 데이터 버스 타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인 제1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 상기 출력부와 맞물리는 제3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제3기어부를 축 결합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기어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와 상기 출력기어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과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출력기어부와, 상기 출력기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기어가 기 설정된 회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출력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도록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3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보다 소정각도 벌어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는 상기 모터, 상기 센싱부, 상기 동력 전달부 및 출력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형과 하형으로 분리되고,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하형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에 웜기어 구조를 적용하고 웜기어와 변속기어가 회전부재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종래의 변속 액추에이터와 비교하여 체적이 작지만 소음 및 진동이 적고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를 제외한 웜기어와 변속기어 간 별도의 연결 부품 없기 때문에 부품수의 감소에 의한 작업 시간이 줄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적어진 부품수에 의해 차량의 중량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연비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체적이 줄어 설치공간에 제약이 많은 국내외 타 차종 변속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상형 하우징 미도시)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를 변속기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엑추에이터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웜기어 구조를 적용하여 웜기어와 변속기어가 회전부재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변속기를 변속시킬 수 있는, 종래 대비 체적이 작지만 소음과 진동이 적고 동일한 출력을 낼 수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엑추에이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를 변속기(7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5에서는 하우징(600) 내부에 배치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의 구성 및 형상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형(610) 하우징(600)을 미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센싱부(200)의 PCB(210)와 마그넷(230)을 간략화하여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구동과 직접 관련 있는 관련 장치만을 부분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는 동력원인 모터(100), 변속레버(800) 조작에 의해 선택된 PRND단 중 어느 한 단의 변속신호를 공급받고 변속신호의 해당 변속위치까지 모터(100)를 회전시키는 센싱부(200), 모터(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300), 동력 전달부(3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부(400) 및 일측이 출력부(4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속기(700)의 조작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출력부(400)에 의해 변속위치만큼 회전하여 변속기(700)를 변속시키는 회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300)는 모터(100)의 회전축과 축 결합되어 제1방향(D1)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310)와, 제1기어(310)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기어(310)와 맞물려 제2방향(D2)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0)의 구조 및 작동 원리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터(100)의 회전 중심축이자 제1기어(310)의 회전 중심축을 제1방향(D1), 제1방향(D1)과 직교하는 제2기어(320)의 회전 중심축을 제2방향(D2), 제2방향(D2)과 직교하는 후술할 출력부(400)의 출력기어(410)의 회전 중심축을 제3방향(D3)으로 정의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동력 전달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기어(310)는 모터(10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샤프트(311)와, 제1샤프트(3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제2기어(320)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제1기어부(312)가 모터(100)와 연결된 일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제1기어부(312)의 위치 및 길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2기어(320)와 맞물려 회전하여 모터(100)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을 가감 없이 제2기어(320)에 전달 가능하다면 제1기어부(312)는 제1샤프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기어(320)는 제1기어(310) 즉, 제1기어부(312)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321), 출력부(400) 즉, 출력기어(410)와 맞물리는 제3기어부(322) 및 제2기어부(321)와 제3기어부(322)를 축 결합하는 제2샤프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제2기어부(321)와 제3기어부(322)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2샤프트(323)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에서는 제2기어부(321)와 제3기어부(322) 간 거리 및 길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2기어부(321)가 제1기어(310) 즉, 제1기어부(312)와 맞물려 회전하고, 제3기어부(322)가 출력부(400) 즉, 출력기어(410)와 맞물려 회전하여 출력부(400)까지 동력전달이 가능하다면 제2기어부(321)와 제3기어부(322)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이격되지 않고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어(320)는 후술할 하우징(6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는 제2기어부(321)와 제3기어부(322)의 사이에 1개소와 제3기어부(322)의 외측에 1개소, 총 2개소의 고정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제2기어(320)의 고정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하우징(600)의 형태 또는 출력부(400)의 최대출력에 따라 고정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기어(310)의 고정 방법 역시,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출력부(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출력부(400)는 제2기어(320)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기어(320) 즉, 제3기어부(322)와 맞물려 제3방향(D3)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410)와 출력기어(410)의 회전 각도가 기 설정된 회전범위를 벗어나면 회전을 정지시켜 출력기어(410)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고정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출력기어(410)는 회전부재(500)의 일측과 축 결합되어 동력 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회전부재(500)에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출력기어(410)는 제2기어(320) 즉, 제3기어부(322)와 맞물리는 출력기어부(411)와, 출력기어(4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출력기어(410)가 기 설정된 회전범위를 벗어나면 고정플레이트(420)와 접촉하여 출력기어(4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돌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2)는 제3방향(D3)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원형부와, 원형부의 일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출력기어부(411)가 출력기어(410)의 일부에 배치되고, 출력기어부(411)와 변형부가 제3방향(D3)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출력기어부(411)와 변형부의 위치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출력기어(410)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는 자유롭게 회전하고, 기 설정된 각도를 벗어나면 고정플레이트(420)에 의해 정지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만족하면, 출력기어부(411)는 출력기어(410)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출력기어부(411)가 출력기어(410)의 일부에 배치될 경우 출력기어부(411)와 변형부는 제3방향(D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출력기어(410)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고 기 설정된 각도를 벗어나면 고정플레이트(4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정지 가능한 형상이라면 변형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고정플레이트(420)는 돌출부(412)가 통과하도록 관통된 관통홀(421)과, 볼트 등의 기계요소가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420)를 하우징(6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기타 관통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421)은 원형부가 통과하도록 원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와, 변형부가 통과하고 출력기어(410)가 기 설정된 회전범위를 벗어나면 변형부와 접촉하여 출력기어(41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의 양 단부는 변형부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3방향(D3)을 중심으로 변형부보다 소정각도 벌어진 형태일 수 있다.
변형부의 벌어짐 각도는 변속기(700) 즉, 조작부(미도시)의 P단과 D단의 변속위치 차로 정해질 수 있다.
일 예로 변형부의 벌어짐 각도는 48도일 수 있고, 이때 조작부(미도시)의 각 단 간 변속위치 차는 16도일 수 있다.
변형부의 위치 즉, 출력기어(410)의 회전각도에 따른 회전부재(500)의 회전각도 즉, 조작부(미도시)의 회전각도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2의 A-A 단면(센싱부(200))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센싱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부(200)는 운전자의 변속레버(800) 조작에 의해 발생한 변속신호를 전달받는 PCB(210), PCB(210)에 실장되는 HALL IC(220), HALL IC(22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그넷(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그넷(230)은 출력기어(4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출력기어(410)와 축 결합될 수 있다.
HALL IC(220)는 변속신호가 감지되면 모터(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HALL IC(220)는 마그넷(230)의 회전각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변속신호에 해당하는 변속위치가 센싱되면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마그넷(230)은 출력기어(410)와 축 결합되므로, 출력기어(410)와 동량 회전한다.
즉, 마그넷(230)의 회전각 센싱을 통해 출력기어(410)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
통상의 변속위치는 변속기(700)의 단 변속이 진행되는 조작부(미도시)의 위치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조작부(미도시)와 회전부재(500)가 직접 연결되어 동량 회전하므로 변속위치 즉, 조작부(미도시)의 위치는 회전부재(500)의 회전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500)의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해 회전부재(500)가 축 결합되는 출력기어(410)에 축 결합된 마그넷(230)의 회전각을 센싱할 수 있다.
변속신호는 변속레버(800)와 센싱부(200)를 연결하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CAN 데이터 버스 타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재(500)는 일측이 출력부(4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이 변속기(700)의 조작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재(500)는 출력기어(410)와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500)는 조작부(미도시)와 완전히 맞물려 동량 회전할 수 있도록 함몰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510)는 조작부(미도시)의 돌출형상(미도시)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함몰부(510)의 위치를 통해 회전부재(500)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출력부(400)의 일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C부분(회전부재(500)의 일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출력기어(410)와 회전부재(500)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굵은 실선이 출력기어(410)의 위치일 때, 도 7의 굵은 실선은 이때의 회전부재(500)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도 7의 굵은 실선이 변속신호 P단의 변속위치일 때, 도 6의 굵은 실선은 이때의 출력기어(410)의 위치일 수 있다.
즉, 출력기어(410)와 회전부재(500)는 동량 회전하고, 출력기어(41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500)와 축 결합된 조작부(미도시)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변속기(700)를 변속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는 모터(100), 센싱부(200), 동력 전달부(300) 및 출력부(4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제3방향(D3)과 직교방향으로 상형(610)과 하형(620)으로 분리될 수 있고, 모터(100)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621)와 동력 전달부(300)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621)와 제2수용부(622)는 하형(6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은 하우징(600)의 구조 및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1000)를 변속기(700)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800)에는 선택된 변속값(레인지)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10) 즉,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속레버(800)의 조작과 동시에 인디케이터의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100: 모터
200: 센싱부
300: 동력 전달부
400: 출력부
500: 회전부재
600: 하우징
700: 변속기
800: 변속레버
210: PCB
220: HALL IC
230: 마그넷
310: 제1기어
320: 제2기어
410: 출력기어
420: 고정플레이트
510: 함몰부
610: 상형
620: 하형
810: 디스플레이부
311: 제1샤프트
312: 제1기어부
321: 제2기어부
322: 제3기어부
323: 제2샤프트
411: 출력기어부
412: 돌출부
421: 관통홀
621: 제1수용부
622: 제2수용부
D1: 제1방향
D2: 제2방향
D3:제3방향

Claims (10)

  1. 모터;
    변속레버 조작에 의해 선택된 PRND단 중 어느 한 단의 변속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변속신호의 해당 변속위치까지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센싱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출력부; 및
    일측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변속기의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에 의해 상기 변속위치만큼 회전하여 상기 변속기를 변속시키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축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인 제1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기어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출력기어; 및
    상기 출력기어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과 축 결합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변속신호를 전달받는 PCB;
    상기 PCB에 배치되는 HALL IC; 및
    상기 HALL IC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출력부의 출력기어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기어와 축 결합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신호는
    상기 변속레버와 상기 센싱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CAN 데이터 버스 타입으로 전달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
    상기 출력부와 맞물리는 제3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와 상기 제3기어부를 축 결합하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어는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출력기어부; 및
    상기 출력기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력기어가 기 설정된 회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출력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가 통과하도록 관통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3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부보다 소정각도 벌어진 형태인,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상기 센싱부, 상기 동력 전달부 및 출력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형과 하형으로 분리되고,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동력 전달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하형에 배치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KR1020180144095A 2018-11-21 2018-11-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KR10209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95A KR102091209B1 (ko) 2018-11-21 2018-11-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CN201910544779.6A CN111207205A (zh) 2018-11-21 2019-06-21 线控换挡系统用换挡执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95A KR102091209B1 (ko) 2018-11-21 2018-11-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209B1 true KR102091209B1 (ko) 2020-03-19

Family

ID=6995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95A KR102091209B1 (ko) 2018-11-21 2018-11-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1209B1 (ko)
CN (1) CN1112072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5996A1 (fr) * 2021-08-06 2023-02-10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Actionneur pour l’actionnement d’au moins un organe mobile d'une transmission de véhicule
FR3125998B1 (fr) * 2021-08-06 2024-03-08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Actionneur pour l’actionnement d’au moins un organe mobile d'une transmission de véhicule
FR3125997A1 (fr) * 2021-08-06 2023-02-10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Actionneur pour l’actionnement d’au moins un organe mobile d'une transmission de véhic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824A (ja) * 2004-03-30 2005-10-13 Nippon Cable Syst Inc 電動式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操作装置
KR20120062560A (ko)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릴리이즈 액추에이터
KR20130057860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모아텍 수동 조작이 가능한 엑츄에이터
KR20140019985A (ko)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모아텍 자동차용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4272B2 (ja) * 2012-11-30 2016-10-25 コングスベルグ オートモーティヴ アクチボラゲット シフトバイワイヤ型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回転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JP6455059B2 (ja) * 2014-10-08 2019-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フト装置
JP6580375B2 (ja) * 2015-05-29 2019-09-25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レンジ切り替え装置
US9970543B2 (en) * 2015-12-17 2018-05-15 Dura Operating, Llc Shift by wire transmission shift control system with park release
JP6300858B2 (ja) * 2016-04-08 2018-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US10591055B2 (en) * 2017-01-09 2020-03-17 Robert Bosch Llc Actuator with auxiliary motor
CN108374885A (zh) * 2018-04-25 2018-08-07 南京奥联汽车电子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换挡的执行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824A (ja) * 2004-03-30 2005-10-13 Nippon Cable Syst Inc 電動式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操作装置
KR20120062560A (ko)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릴리이즈 액추에이터
KR20130057860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모아텍 수동 조작이 가능한 엑츄에이터
KR20140019985A (ko)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모아텍 자동차용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07205A (zh)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209B1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변속 액추에이터
US10309525B2 (en) Vehicle transmission having dial type gear shift
US4271728A (e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US6695748B2 (en)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6918314B2 (en) Shift-by-wire transmission actuator assembly
US20190353241A1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US20120137800A1 (en) Parking release actuator
KR102402603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CN106560636B (zh) 电子换档系统
US8176807B2 (en) Control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8776979B2 (en) Parking lock apparatus
US5941137A (en) Controller for a motor vehicle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0495217B2 (en) Control component package unit attaching structure
CN107869578B (zh) 用于电子换档系统的杆设备
CN104100712B (zh) 用于线控换档型自动变速器的驻车模式手动释放装置
US20090100954A1 (en) Control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767823B1 (ko) 분기케이블
KR101846714B1 (ko) 전자식 변속시스템용 변속레버장치
CN215928345U (zh) 一种电动amt选换挡装置及汽车
CN113513584A (zh) 线控换挡系统
KR101664699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US7476173B2 (en) Park inhibit solenoid assembly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101704268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AU764722B2 (en) Fail-safe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one-way clutch
KR200423113Y1 (ko) 분기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