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77B1 - 차폐패턴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차폐패턴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77B1
KR102090577B1 KR1020160134681A KR20160134681A KR102090577B1 KR 102090577 B1 KR102090577 B1 KR 102090577B1 KR 1020160134681 A KR1020160134681 A KR 1020160134681A KR 20160134681 A KR20160134681 A KR 20160134681A KR 102090577 B1 KR102090577 B1 KR 10209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image
printing
shielding pattern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67A (ko
Inventor
이달원
김종명
이일규
김응훈
이길재
한승훈
윤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41J3/5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with multiple inkjet print he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피인쇄물의 일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기와; 인쇄기에서 피인쇄물로 분사된 잉크의 이미지 또는 인쇄기에서 분사되는 잉크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기와; 이미지 획득기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의해 불량발생부를 검출하고, 불량발생부의 보정을 위한 보정패턴을 형성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피인쇄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폐패턴 인쇄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폐패턴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에 금속 회로의 노출을 막는 차폐패턴을 형성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에는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금속 회로가 노출되지 않게 차폐하는 차폐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패턴은 진공증착이나 스탠실 응용의 액 도포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진공증착을 이용하는 방법은 차폐패턴의 미세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정밀도가 높은 반면에, 쉐도우 마스크가 요구되거나 포토마스크와 노광공정이 수반되므로 공정 비용이 증가되고, 불량 발생시 그 보정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스탠실 응용의 액 도포를 이용하는 방법은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스탠실 기판이 별도로 요구되고 차폐패턴의 미세 두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
KR 10-1074263 B1(2011년10월17일 공고) KR 10-1468814 B1(2014년12월08일 공고)
본 발명은 차폐패턴의 크기 제어나 두께 제어가 용이한 차폐패턴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피인쇄물의 일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기와; 상기 인쇄기에서 피인쇄물로 분사된 잉크의 이미지 또는 상기 인쇄기에서 낙하되는 잉크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기와; 상기 이미지 획득기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의해 불량발생부를 검출하고, 상기 불량발생부의 보정을 위한 보정패턴을 형성하여 인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피인쇄물에 차폐패턴을 형성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물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기와; 상기 세정기에서 세정된 피인쇄물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표면처리기와; 상기 표면처리기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피인쇄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쇄기는 상기 위치정렬기구에 의해 위치가 정렬된 피인쇄물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렬기구는 피인쇄물의 기준표식을 비젼으로 인식하여 다축의 스테이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쇄기의 일 예는 피인쇄물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피인쇄물을 회전시키는 피인쇄물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기의 다른 예는 피인쇄물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향으로 이격된 복수열의 프린드 헤드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프린트 헤드군은 피인쇄물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린트 헤드가 이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프린트 헤드군의 복수개 프린트 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타 프린트 헤드군의 복수개 프린트 헤드 사이의 틈을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기는 상기 피인쇄물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와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기는 상기 인쇄기의 주변에서 잉크의 드랍 형상을 획득하는 드랍와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기에 의한 인쇄완료 후, 상기 피인쇄물에 분사된 잉크를 경화하는 경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기에 의해 경화된 인쇄패턴을 확인하는 리뷰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정이 간단하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피인쇄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인쇄기 일 예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이미지 획득기 일예가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이미지 획득기 다른예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쇄패턴이 모니터링되는 예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인쇄기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가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인쇄기 일 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이미지 획득기 일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이미지 획득기 다른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쇄패턴이 모니터링되는 예가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덮는 커버 글래스에 잉크를 분사하여 차폐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금속회로가 구비될 수 있고, 차폐패턴 인쇄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패턴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커버 글래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베젤부로 기능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금속 회로를 차폐할 수 있다.
이하, 차폐패턴이 인쇄되는 인쇄대상물인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커버 글래스를 피인쇄물(1)로 칭하여 설명한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피인쇄물(1)의 일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기(5)와; 인쇄기(5)에서 피인쇄물(1)로 분사된 잉크의 이미지 또는 인쇄기(5)에서 낙하되는 잉크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기(6)와; 이미지 획득기(6)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의해 불량발생부를 검출하고, 불량발생부의 보정을 위한 보정패턴을 형성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피인쇄물(1)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기(2)와; 세정기(2)에서 세정된 피인쇄물(1)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표면처리기(3)와, 표면처리기(3)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피인쇄물(1)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기구(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기(5)는 위치정렬기구(4)에 의해 위치가 정렬된 피인쇄물(1)의 일면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인쇄기(5)에 의한 인쇄완료 후, 피인쇄물(1)에 분사된 잉크를 경화하는 경화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경화기(8)에 의해 경화된 인쇄패턴을 확인하는 리뷰 카메라(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각 공정은 하나의 제조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1의 (a)에는 세정기(2)에 의한 피인쇄물 표면의 세정공정이 도시되고, 도 1의 (b)에는 표면처리기(3)에한 표면처리공정이 도시되며, 도 1의 (c)에는 위치정렬기구(4)에 의한 위치정렬공정이 도시되고, 도 1의 (d)에는 인쇄기(5)에 의한 인쇄공정이 도시되며, 도 1의 (e)에는 경화기(8)에 의한 경화공정이 도시되고, 도 1의 (f)에는 리뷰 카메라(9)에 의해 인쇄패턴이 확인되는 공정이 도시된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인쇄기(5)가 비접촉식 공법으로 피인쇄물(1)의 표면에 잉크를 분사하고, 피인쇄물(1)에 분사된 잉크의 거동은 피인쇄물(1) 표면의 특성과 잉크의 물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피인쇄물(1) 표면의 유기물과 이물질 제거를 위해 세정과정이 필요하고, 세정기(2)에 의한 세정공정은 용매를 이용한 화학적 세정공정과, 표면 연마를 통한 물리적 세정공정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기(2)는 피인쇄물(1)의 표면 연마를 위한 연마부재(21)를 포함할 수 있고, 연마부재는 피인쇄물(1)의 표면에 접촉되어 피인쇄물(1)의 표면의 유기물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연마부재는 피인쇄물(1)의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유기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러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기(2)는 연마부재(21)가 고리 형상으로 감기는 한쌍의 풀리(22)(23)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24)의 구동시, 한 쌍의 풀리(22)(23)은 회전될 수 있고, 연마부재(21)는 피인쇄물(1)의 상면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피인쇄물(1) 표면의 유기물이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세정기(2)는 상기와 같은 피인쇄물(1)의 표면에 접촉되는 물리적 세정기에 한하지 않고, 세정용 용매를 이용하여 피인쇄물(1)의 표면을 세정하는 화학적 세정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세정기(2)가 화학적 세정기로 구성될 경우, 세정기(2)는 피인쇄물(1)이 세정되기 위한 세정용 용매(예를 들면, 탈이온수(De-ionized water))가 담겨지는 세정용기와, 피인쇄물(1)을 세정용기 내의 세정용 용매에 담궜다가 꺼내는 이송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기(2)가 세정용기와 이송로봇을 포함할 경우, 세정기(2)는 세정용 용매에 의해 피인쇄물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세정기(2)가 화학적 세정기로 구성될 경우, 세정기(2)는 피인쇄물(1)로 세정용 용매를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분사기에서 피인쇄물(1)로 분사된 세정용 용매는 피인쇄물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정기(2)에 의해 세정 완료된 피인쇄물(1)은 표면처리를 위해 표면처리기(3)로 이동될 수 있다.
표면처리기(3)는 세정기(2)에 의한 세정과정과 별도로 피인쇄물(1)의 표면을 처리하는 기기로서, 화학처리, 식각, 플라즈마, 코로나 방전 등의 방법으로 피인쇄물(1)의 표면을 조절할 수 있다.
표면처리기(3)는 잉크의 퍼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피인쇄물(1)의 표면을 화학처리, 식각, 플라즈마, 코로나 방전 등의 방법으로 소수성 처리하거나 친수성 처리할 수 있다.
표면처리기(3)는 피인쇄물(1)의 상측에서 피인쇄물(1)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화학처리, 식각, 플라즈마, 코로나 방전 등의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처리기(3)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피인쇄물(1)은 위치 정렬기구(4)에 올려질 수 있고, 위치 정렬기구(4)에 의해 그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위치 정렬기구(4)는 표면 처리된 피인쇄물(1)이 올려지는 스테이지(41)를 포함할 수 있고, 스테이지(41)를 다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위치 정렬기구(4)는 스테이지(41)를 회전시키는 스테이지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렬기구(4)는 스테이지(41)를 X축 및 Y축의 2축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41)는 스테이지 회전기구와 스테이지 이동기구에 의해 다축으로 조절되는 다축 스테이지 일 수 있다.
위치 정렬기구(4)는 피인쇄물(1)의 기준표식(11)을 센서(42)로 인식할 수 있고, 센서(42)의 인식 결과에 따라 다축의 스테이지(41)를 위치 조절할 수 있다.
피인쇄물(1)에는 적어도 1개의 기준표식(11)이 미리 표식되어 있고, 위치 정렬기구(4)는 피인쇄물(1)의 표식을 인식하면서 피인쇄물(1)을 인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42)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로 감지결과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센서(42)의 감지값에 따라 스테이지 회전기구와 스테이이지 이동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기준표식(11)은 피인쇄물(1) 자체에 형성되거나 표면처리기(3)에 의한 표면 처리 전,후에 마킹기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기준표식(11)은 센서(42)에 의해 그 위치가 센싱될 수 있다.
기준표식(11)은 피인쇄물(1)의 복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4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센서(42)는 이격된 상태에서 기준표식(11)을 센싱할 수 있다.
인쇄기(5)는 복수개의 노즐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젯 인쇄기로서, 차폐패턴의 크기 제어나 두께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인쇄기(5)는 피인쇄물(1)의 폭 방향(X)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프린트 헤드(51)(52)와, 피인쇄물(1)을 회전시키는 피인쇄물 회전기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헤더(51)(52)는 피인쇄물(1)로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51B)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노즐(51B)는 프린트 헤더(51)(5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린트 헤더(51)(52)의 복수개 노즐(51B)은 프린트 헤더(51)(52)의 몸체(51A)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필요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교체될 수 있다.
프린트 헤더(51)(52)에는 차폐 패턴(10)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노즐 보다 더 많은 개수의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폐 패턴(10)의 폭을 고려하여, 하나의 프린트 헤더에 5개의 노즐이 필요한 경우, 프린트 헤더에는 5개의 노즐 보다 많은 개수의 노즐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여분의 노즐은 차폐 패턴(10)의 보정시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는 적어도 하나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인쇄기(5)는 한 쌍의 프린터 헤더(51)(5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헤더 이동기구(54)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이동기구(54)는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 각각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헤더 이동기구(54)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과 프린트 헤더에 연결되어 구동원의 구동시 프린트 헤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이동기구(54)는 하나의 구동원과 복수개의 동력전달부재가 한 쌍의 프린터 헤더(51)(52)를 함께 이동시키면서 한 쌍의 프린터 헤더(51)(52)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헤더 이동기구(54)는 프린트 헤더(51)(52) 별로 각각의 구동원과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피인쇄물(1)은 스테이지(55)에 올려진 상태에서 인쇄될 수 있고, 피인쇄물 회전기구(53)는 스테이지(55)에 연결되어 스테이지(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피인쇄물(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는 둘 사이의 이격 거리 짧은 제1인쇄모드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긴 제2인쇄모드로 이동될 수 있다.
인쇄기(5)는 도 2의 (a)와 같이,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 사이의 거리가 짧은 상태에서, 피인쇄물(1) 중 2개의 장변(1A)(1B)과 근접한 영역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인쇄기(5)는 도 2의 (a)와 같이, 피인쇄물(1)에 2개의 차폐 패턴(10)를 형성하고, 이후 피인쇄물 회전기구(53)에 의해 피인쇄물(1)를 90°회전시킬 수 있다. 인쇄기(5)는 도 2의 (b)와 같이,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길게 한 쌍의 프린트 헤더(51)(52)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후, 피인쇄물(1) 중 2개의 단변(1C)(1D)과 근접한 영역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인쇄기(5)는 2회의 분할식 인쇄과정을 통해 피인쇄물(1)의 테두리를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차폐 패턴(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인쇄기(5)에 의한 인쇄가 행해지는 도중에 또는 인쇄기(5)에 의한 인쇄가 완료된 이후에, 잉크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비전 시스템(Vis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고, 피인쇄물(1) 표면 위에 드랍된 액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물(1)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획득기(6)는 양산 중인 차폐 패턴(10)의 인쇄품질을 획득할 수 있고, 일부분에 차폐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줄빠짐 등의 불량 발생시 불량 발생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비전 시스템(Vis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고, 피인쇄물(1) 표면을 향해 드랍 중인 액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5)의 주변에서 잉크의 드랍 형상을 획득하는 드랍 와쳐(drop watch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획득기(6)는 프린트 헤더(51)의 전,후방에서 잉크의 드랍 형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렇게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의 액적 형태, 분사 방향 및 분사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는 광원과 동조하여 정지영상을 얻거나 초고속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기(6)가 드랍 와쳐로 구성될 경우, 이미지 획득기(6)는 초당 드랍수나 실제 드랍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경화기(8)은 자외선, 적외선, 열풍, 핫 플레이트 등에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쇄물(1) 위에서 피인쇄물(1)에 드랍된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기(7)의 종류는 피인쇄물(1) 위의 잉크를 경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기(8)에 의해 경화가 완료된 피인쇄물은 도 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뷰 카메라(9)의 아래로 이동될 수 있고, 피인쇄물에 형성된 차폐 패턴(10)는 리뷰 카메라(9)에 의해 그 이미지가 검출될 수 있다.
리뷰 카메라(9)에 의해 검출된 차폐 패턴(10)의 이미지는 제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D)는 리뷰 카메라(9)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고, 도 5의 (a)와 같이, 불량 발생부(F)를 갖는 차폐 패턴(10)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불량 발생부를 갖지 않는 양품의 차폐패턴(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D)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차폐 패턴(10)의 이미지를 보고 불량 발생부를 검출할 수 있다. 작업자는 불량 발생부가 검출되면, 불량이 발생된 피인쇄물을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쇄기(5)로 재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디스틀레이(D)를 통해 확인된 불량 발생부(F)의 위치로부터, 프린트 헤더(51)(52)의 노즐을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제어부는 리뷰 카메라(9)에 의해 검출된 차폐 패턴(10)의 이미지를 기저장된 기준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불량 발생부(F)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디스플레이 등의 알림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불량 발생부(F)의 검출 및 그 위치를 알릴 수 있고, 작업자는 프린트 헤더(51)(52)의 노즐을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차폐패턴 인쇄장치는 불량 발생부(F)의 검출시, 이미지 획득기(6)에 의해 노즐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불량 발생부(F)의 보정을 위한 보정패턴을 형성하여 인쇄기(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실시하지 않거나 보수작업에 실패할 수 있고, 이 경우, 인쇄기(5)는 프린트 헤더(51)(52)에 구비된 여분의 노즐을 이용해 인쇄가 행해질 수 있도록 프린트 헤더(51)(52)의 위치를 이동시켜 여분의 노즐을 통해 인쇄가 행해지도록 프린트 헤더(51)(5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프린트 헤더(51)(52)의 제어패턴을 보정패턴으로 보정하여 인쇄기(5)를 제어할 수 있고, 인쇄기(5)는 보정패턴으로 제어되어 피인쇄물(1)에 잉크를 분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폐패턴 인쇄장치의 인쇄기가 도시된 도이다.
인쇄기(5)는 피인쇄물(1)의 이동방향(X)으로 이격된 복수열의 프린트 헤드군(5A)(5B)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프린트 헤드군(5B)(5B)은 피인쇄물의 이동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복수개의 프린트 헤드(51(52)가 이격될 수 있다.
인쇄기(5')는 어느 하나의 프린트 헤드군의 복수개 프린트 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타 프린트 헤드군(5B)의 복수개 프린트 헤드 사이의 틈을 마주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기(5')는 피인쇄물(1)의 1회 이동으로 하나의 차폐 패턴(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세정기 3: 표면처리기
4: 위치 정렬기구 5: 인쇄기
6: 이미지 획득기 51,52: 프린트 헤더

Claims (10)

  1. 직사각형 형상의 피인쇄물의 일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인쇄기와;
    상기 인쇄기에서 피인쇄물로 분사된 잉크의 이미지 또는 상기 인쇄기에서 낙하되는 잉크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기와;
    상기 이미지 획득기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의해 불량발생부를 검출하고, 상기 불량발생부의 보정을 위한 보정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인쇄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인쇄물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을 덮는 커버 글래스이고,
    상기 인쇄기는 피인쇄물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피인쇄물을 회전시키는 피인쇄물 회전기구 및
    상기 한 쌍의 프린터 헤더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헤더 이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린트 헤더는 상기 한 쌍의 프린트 헤더 사이의 이격 거리 짧은 제1인쇄모드와 상기 한 쌍의 프린트 헤더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긴 제2인쇄모드로 이동되고,
    상기 인쇄기는 상기 피인쇄물의 테두리를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차폐 패턴를 형성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물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기와;
    상기 세정기에서 세정된 피인쇄물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표면처리기와;
    상기 표면처리기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피인쇄물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기구와;
    상기 인쇄기는 상기 위치정렬기구에 의해 위치가 정렬된 피인쇄물에 잉크를 분사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기구는 피인쇄물의 기준표식을 비젼으로 인식하여 다축의 스테이지를 조절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기는 상기 피인쇄물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기는 상기 인쇄기의 주변에서 잉크의 드랍 형상을 획득하는 드랍 와쳐를 포함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에 의한 인쇄완료 후, 상기 피인쇄물에 분사된 잉크를 경화하는 경화기를 더 포함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기에 의해 경화된 인쇄패턴을 확인하는 리뷰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차폐패턴 인쇄장치.
KR1020160134681A 2016-10-17 2016-10-17 차폐패턴 인쇄장치 KR10209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81A KR102090577B1 (ko) 2016-10-17 2016-10-17 차폐패턴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81A KR102090577B1 (ko) 2016-10-17 2016-10-17 차폐패턴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67A KR20180042067A (ko) 2018-04-25
KR102090577B1 true KR102090577B1 (ko) 2020-03-18

Family

ID=6208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681A KR102090577B1 (ko) 2016-10-17 2016-10-17 차폐패턴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62B1 (ko) * 2020-08-31 2022-02-07 (주)에스티아이 경화형 접착제 도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981A (ja) * 2002-09-20 2004-06-10 Tohoku Ricoh Co Ltd 標印印刷・検証装置およびその印刷標印検証方法と標印印刷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726A1 (ja) * 2006-05-12 2007-11-22 Toray Engineer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75556B1 (ko) * 2010-06-21 2012-08-21 한국과학기술원 패턴화된 금속필름의 제조방법
KR101074263B1 (ko) 2011-05-06 2011-10-17 (주)에스아이티 터치패널글라스 베젤부의 블랙칼라 진공증착방법
US9381534B2 (en) 2012-07-11 2016-07-05 Lg Chem, Ltd. Method for forming bezel pattern of display substrate
KR101666553B1 (ko) * 2015-01-19 2016-10-18 주식회사 엠에스텍 기판 인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981A (ja) * 2002-09-20 2004-06-10 Tohoku Ricoh Co Ltd 標印印刷・検証装置およびその印刷標印検証方法と標印印刷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67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350B1 (ko) 잉크젯 헤드의 검사 방법 및 장치
JP2012045936A (ja) 処理液吐出装置、洗浄ユニット及び洗浄方法
JP2007256449A (ja) 液滴噴射検査装置、液滴噴射装置及び塗布体の製造方法
JP2007296522A (ja) 噴霧機構を備えた待機構造体を用いてインクジェット印刷ヘッドを保守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090577B1 (ko) 차폐패턴 인쇄장치
US20110193913A1 (en) Inkjet head cleaning apparatus
JP4259107B2 (ja) 液滴吐出ヘッド清掃装置、液滴吐出ヘッド清掃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
KR20110007866A (ko) 처리액 도포 장치 및 방법
TWI404573B (zh) Coating device
JP2004337709A (ja) 液滴吐出装置、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装置、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US20160214386A1 (en) Cleaning adapter and method for cleaning print heads
JP7194659B2 (ja) 溶液の塗布装置および錠剤印刷装置
JP2013169681A (ja) 液滴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160171B1 (ko)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처리액 도포 장치
JP2008180872A (ja) スペーサインク散布方法、プログラム、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スペーサインク散布装置及び液晶パネル
JP2011101953A (ja) マルチノズルを有する連続吐出型インクジェット装置
CN115195298B (zh) 喷嘴清洗装置、喷墨头清洗装置及其方法及喷墨打印设备
JP2006142621A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JP2007190766A (ja) 液滴吐出装置
JP2020172084A (ja) 記録装置
JP2020023111A (ja) 記録装置及びその補正方法
JP2011131483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吐出検査方法、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吐出検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
KR102541207B1 (ko) 잉크젯 프린트 시스템과 메인터넌스 공정 수행 방법
US20230096012A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discharge apparatus
CN115780171A (zh) 涂布装置、液滴喷出检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