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128B1 -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128B1
KR102090128B1 KR1020130094382A KR20130094382A KR102090128B1 KR 102090128 B1 KR102090128 B1 KR 102090128B1 KR 1020130094382 A KR1020130094382 A KR 1020130094382A KR 20130094382 A KR20130094382 A KR 20130094382A KR 102090128 B1 KR102090128 B1 KR 10209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eg
support
leg
hoo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011A (en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고정부에 미리 고정되는 장착브라켓(40)이 있고, 상기 장착브라켓(40)에 박스(10)에 형성된 지지걸이레그(22)와 결합걸이레그(34)가 걸어져 박스(10)가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걸이레그(22)보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가 박스(10)의 외측으로 떨어져 위치되고, 이들 지지걸이레그(22)와 결합걸이레그(34)는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턱(24)은 박스몸체(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선단에 형성되는 결합턱(36)은 상기 걸이턱(24)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걸이레그(22)와 나란히 제1받침편(20)이 형성되어 장착브라켓(40)의 일측 외면과 마주보고, 상기 결합걸이레그(34)와 나란히 제2받침편(30)이 형성되어 장착브라켓(40)의 타측 외면과 마주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의 박스(10)를 차체의 고정부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mounting bracket 40 that is fixed in advance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the support bracket leg 22 and the coupling hook leg 34 formed on the box 10 on the mounting bracket 40 are hooked to the box ( 10)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engaging hook leg 34 is positioned outside the box 10 rather than the supporting hook leg 22, and these supporting hook legs 22 and the engaging hook leg 34 extend side by side in the same direction. The hook jaw 24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hook leg 22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box body 10, and the coupling jaw 3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hook leg 34 is the hook It protrudes in the direction facing the chin (24). A first supporting piece 2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ing hook leg 22 so as to face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40, and a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engaging hook leg 34. Facing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mall box 10 can be simply and sturdyly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body.

Description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를 차량의 고정부에 전동공구없이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enables the box to be mounted and detached without a power tool on a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차량에서는 전장부품으로 전달되는 전원의 제어를 하기 위한 부품을 모아서 설치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 차량에서 사용되는 박스로서, 일반적으로 정션박스, 퓨즈박스 등 다양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서 사용되는 박스는 차량의 차체나 패널, 카울 등 차량의 고정부에 장착하게 된다.In a vehicle, parts for controlling the power deliver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collected and installed. As a box used in a vehicle having such a function, there are generally various types such as a junction box and a fuse box. In this way, the box used in the vehicle is mounted on a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such as a vehicle body, a panel, and a cowl.

차량용 박스를 차량의 고정부에 장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박스의 외관에 일체로 돌출된 장착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를 차량의 고정부 측에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나사를 체결하거나 풀기 위해서는 전동공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전동공구는 그 구동력의 조절이 쉽지 않아 작업자에 의해 나사에 지나치게 큰 구동력이 제공되면 상기 장착브라켓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Mounting the vehicle box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is generally accomplished by fastening a screw to the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through a mounting bracket protruding integrally with the exterior of the box. However, to fasten or loosen the screws, a power tool must be used. Such a power tool is not easy to adjust its driving for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unting bracket is damaged when an excessively large driving force is provided to the screw by an operator.

특히, 차량의 연비향상을 위해 부품들을 경박단소화하는 과정에서 박스의 크기도 작아지고 있다. 따라서, 크기가 작아진 박스에 형성된 장착브라켓도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고, 이 장착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를 체결하기 위해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장착브라켓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the size of the box is also getting smaller in the process of miniaturizing parts. Therefore, the mounting bracket formed in the box having a reduced size is inevitably reduced in siz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unting bracket is easily damaged when an electric tool is used to fasten a screw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그리고,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를 분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박스의 유지보수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동공구가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crew must be disassembled using a power tool, there is a inconvenience in that a power tool must be provided for maintenance work of the box.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999-41290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1999-4129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45825 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7458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의 차량용 박스를 차체의 고정부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vehicle box mounting device that can be made by simply mounting and detaching a small vehicle box to a fixed portion of the vehicle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의 고정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박스의 걸이레그 사이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bracket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hook leg of the box to be made more relia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지지걸이레그와, 상기 박스몸체에서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걸이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걸이레그와, 차체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의 결합턱이 걸어지는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편이 브라켓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걸이레그의 걸이턱이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측 단부에 걸어지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x body and a support hook leg formed with a hook jaw at the tip, and parallel to the support hook leg in the box body It is formed and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bracket body is a coupling hook leg formed with a coupling jaw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hook jaw, and a locking hole fixed to a fixing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a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hook leg is engaged. It includes a mounting bracket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and the hooking jaw of the support hook leg hangs at one end of the bracket body.

상기 결합걸이레그는 상기 지지걸이레그보다 박스몸체에서 더 떨어진 위치에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coupling hook leg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 hook leg at a position further away from the box body than the support hook leg.

상기 지지걸이레그의 걸이턱과 상기 결합걸이레그의 결합턱에는 각각 걸이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면에는 밀착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브라켓과의 결합시에 오차를 제거한다.A hook surface is formed on the hook jaw of the support hook leg and the coupling jaw of the coupling hook leg, respectively,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hook surface to remove errors when engaged with the mounting bracket.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결합걸이레그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박스몸체에는 후드가 형성된다.A hood is formed on the box body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hook leg and the coupling hook leg.

상기 박스몸체에는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나란히 연장되어 제1받침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와 나란히 연장되어 제2받침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받침편과 제2받침편의 사이에 상기 장착브라켓의 걸림편이 위치된다.In the box body, a first support pie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hook leg, and a second support pie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upling hook leg so that a hook piece of the mounting bracke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Are located.

상기 지지걸이레그는 상기 제1받침편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받침편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support hook leg is made of a cantilever shape to form a part of the first support piece, and is formed to extend more than the first support piece.

상기 제2받침편은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걸이레그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piece is formed to extend shorter than the support hook le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ok leg.

상기 제2받침편은 한 쌍이 구비되는데, 이들 제2받침편의 사이에 상기 결합걸이레그가 위치된다.The second supporting piece is provided with a pair, the coupling hook leg is positioned between these second supporting pieces.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vehicle box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차체의 고정부에 미리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작업자가 박스몸체에 있는 결합걸이레그와 지지걸이레그를 탄성변형시켜 차량용 박스를 차량의 고정부에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can elastically deform the coupling hook leg and the support hook leg in the box body to a fixed bracket fixed in advance to the fixed part of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vehicle box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fixed part and separated. The effect is that it is very simple, bu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그리고, 고정브라켓에 박스몸체 측의 결합걸이레그와 지지걸이레그가 걸어지면서 제1받침편과 제2받침편이 고정브라켓의 전면과 배면을 지지하므로 차체의 고정부 측과 박스몸체 측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suppor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ed bracket while the engaging bracket leg and the supporting hook leg of the box body side hang on the fixed bracket, the fixed par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box body side ar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Combined effects can also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걸이레그와 지지걸이레그의 걸이턱에 형성된 걸이면에 밀착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밀착경사면에 장착브라켓이 공차없이 걸어질 수 있게 되므로 걸이레그와 장착브라켓 사이가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차단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los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hook surface formed on the hook jaw of the coupling hook leg and the support hook leg, the mounting bracket can be walked without tolerance on the clos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hook leg and the mounting bracket are more reliable. There is also an effect in which vibration or noise is block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박스몸체 측 주요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걸이레그의 걸이턱의 상세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box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box body sid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ok jaw of the hook le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ehicle box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10)의 골격을 박스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2)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박스몸체(12)에는 퓨즈와 릴레이 등의 부품들이 장착되는 구조가 있다. 상기 박스몸체(12)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6)가 덮도록 된다.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6)는 상기 박스몸체(1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커버(14)와 하부커버(16)가 상기 박스몸체(12)에 장착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box body 12 forms the skeleton of the box 10. The box body 12 is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ox body 12 has a structure in which components such as a fuse and a relay are mounted. The upper cover 14 and the lower cover 16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x body 12, respectively. The upper cover 14 and the lower cover 16 are detachably mounted to the box body 12.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cover 14 and the lower cover 16 is mounted on the box body 12 is omitted.

상기 박스몸체(12)의 일측에는 박스(10)를 차체의 고정부, 보다 정확하게는 고정부에 있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4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박스몸체(12)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상기 박스몸체(12)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제1받침편(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받침편(20)은 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40)의 브라켓몸체(42) 일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one side of the box body 12 is formed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box 10 to the mounting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which is located in the fixing part of the vehicle body, and more precisely, the fixing part. This configuration is well illustrated in FIG. 3. First,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ox body 12 so as to be ex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x body 12.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is made of a plate shape and serves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42 of the mounting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받침편(20)에는 지지걸이레그(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걸이레그(22)는 상기 제1받침편(20)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제1받침편(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받침편(20)의 선단보다는 조금 더 연장되어 있다.A support hook leg 22 is formed on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The support hook leg 22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constitutes a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nd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It is a little longer than that.

상기 지지걸이레그(22)는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선단에는 걸이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24)은 상기 박스몸체(12)의 외면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24)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지지걸이레그(22)의 선단에서 걸이턱(24)의 가장 돌출된 부분까지에는 안내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40)이 안내되는 부분이다.The support hook leg 22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 hook jaw 24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upport hook leg 22. The hook jaw 24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body 12. 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jaw 24 is well illustrated in FIG. 4, and a guide slope surface 26 is formed from the tip of the support hook leg 22 to the most protruding portion of the hook jaw 24. The guide inclined surface 26 is a portion where the mounting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상기 걸이턱(24)에는 상기 안내경사면(26)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외면에 직교하는 걸이면(28)이 있다. 상기 걸이면(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브라켓(40)의 브라켓몸체(42) 일단부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면(28)에는 밀착경사면(29)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경사면(29)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에 장착브라켓(40)이 걸어질 때 제조공차나 조립공차에 의해 장착브라켓(40)이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면(28)에 밀착되게 걸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이면(28)에 상기 밀착경사면(29)을 돌출되게 그리고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밀착경사면(29)을 형성함에 의해 장착브라켓(40)과 지지걸이레그(22)는 항상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hook jaw 24 has a hook face 28 orthogon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hook leg 22 from the end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26. The hook surface 28 is a part that is hung at one end of the bracket body 42 of the mounting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hook surface 28, an inclined contact surface 29 is formed to be inclined. When the mounting bracket 40 is hung on the support hanger leg 22, the contact inclined surface 29 is attached to the support hanger leg 22 when the mounting bracket 40 is hung by manufacturing tolerances or assembly tolerances.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able to walk in close contact, the contact inclined surface 29 is protruded and inclined on the hanging surface 28. By forming the inclined surface 29 in this way, the mounting bracket 40 and the support hook leg 22 can always be in close contact and coupled.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걸이레그(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걸이레그(22)를 2개를 형성함에 의해 장착브라켓(40)과 박스몸체(12)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of the support hook legs 22 are form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us, by forming the two support hook legs 22, the coupling of the mounting bracket 40 and the box body 12 can be made more stable.

상기 제1받침편(20)과 마주보게 제2받침편(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받침편(30)은 상기 제1받침편(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1받침편(20)보다 상기 박스몸체(12)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상기 제2받침편(30)도 상기 박스몸체(12)에서 상기 제1받침편(20)과 나란히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받침편(30)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받침편(30)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보다는 덜 연장되어 상기 지지걸이레그(22)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받침편(30)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 상기 지지걸이레그(22) 사이의 제1받침편(20)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받침편(30)은 장착브라켓(40)의 브라켓몸체(42)의 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제1받침편(20)과 제2받침편(30)이 장착브라켓(40)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것은 아니고, 평상시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장착브라켓(40)에 탄성변형이 약간 생기는 경우에 지지하게 된다.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formed to face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farther away from the box body 12 than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also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in the box body 12.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ok leg 22. The second support piece 30 extends less than the support hook leg 22 so that the support hook leg 22 is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between the supporting hanging legs 22 is visible from the outsid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hanging leg 22.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serves to support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42 of the mounting bracket 40. For reference,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are not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bracket 40, but maintain a certain distance during normal use, and then the mounting bracket 40 ) Is supported when a slight elastic deformation occurs.

상기 제2받침편(30)에는 보강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32)는 상기 제2받침편(30)의 외면에 직교하게 제2받침편(3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32)는 상기 제2받침편(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보강리브(32)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받침편(30)의 선단 끝부분까지 형성되지는 않는다.A reinforcement rib 32 is formed on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The reinforcing rib 32 is formed to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iece 30 orthogon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iece 30. The reinforcing ribs 32 serv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However, the reinforcing rib 32 is not formed to the tip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as can be seen in FIG.

상기 제2받침편(30)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나란히 형성된 지지걸이레그(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받침편(30)은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받침편(30)의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박스몸체(12)에서 연장되어 결합걸이레그(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도 상기 지지걸이레그(22)와 같이 박스몸체(12)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가상의 연장선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그 것과 평행하게 연장된다.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hook legs 22, which are form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well illustrated in FIG. 3. That is, a pair of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is formed, and a coupling hook leg 34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ox body 12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 The coupling hook leg 34 is also formed to extend integrally from the box body 12 like the support hook leg 22. The virtual extension line of the coupling hook leg 34 extends parallel to that of the support hook leg 22.

상기 결합걸이레그(34)는 상기 지지걸이레그(22)에 비해 길이가 짧다. 이는 장착브라켓(40)에 상기 결합걸이레그(34)와 지지걸이레그(22)가 결합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에는 결합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36)은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선단에서 상기 제1받침편(20)을 향해 돌출된다. 즉,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이 돌출된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에도 상기 걸이턱(24)과 같은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안내경사면, 밀착경사면, 걸이평면과 같은 구조가 채용되는 것이다.The coupling hook leg 34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upport hook leg 22.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in which the coupling hook leg 34 and the support hook leg 22 are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40 is different. The engaging hook 36 is formed on the engaging hook leg 34. The engaging jaw 36 protrudes from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hook leg 34 toward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That is, the engaging jaw 36 of the engaging hook leg 34 protrudes in a direction facing the hanging jaw 24 of the supporting hook leg 22. The coupling jaw 36 of the coupling hook leg 3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hook jaw 24. That is, structures such as a guide slope, a close slope, and a hook plane are employed.

한편, 상기 결합걸이레그(34)와 지지걸이레그(22) 등의 구조를 박스몸체(12)의 상부에서 볼 때, 가려지도록 후드(38)가 형성된다. 상기 후드(38)는 상기 제1받침편(20), 지지걸이레그(22), 제2받침편(30), 결합걸이레그(34) 등이 상부에서 평면도로 볼 때 차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드(38)는 박스몸체(12)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선단 부분이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만 하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후드(38)의 상부에는 3개의 코어공(39)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코어공(39)은 사출금형에서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과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의 형성을 위한 코어가 통과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hook leg 34 and the support hook leg 22 is viewed from the top of the box body 12, a hood 38 is formed to be covered. The hood 38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the supporting leg 22,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the engaging hanging leg 34, and the like are shielded when viewed in plan view from the top.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ox body 12, the hood 38 extends only downward to the extent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ngaging hook leg 34 can be exposed. Three core holes 39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od 38, and the core holes 39 are combined with the hook jaw 24 and the engaging hook leg 34 of the support hook leg 22 in the injection mold. It is the part through which the core for the formation of the coupling jaw 36 passes.

장착브라켓(40)은 차량의 차체 등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0)은 고정부에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0)은 본 실시례에서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금속으로 장착브라켓(40)이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고정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고정부에 나사 등을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0)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크기에 따른 강도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좋다.The mounting bracket 40 is fixed to a fixed part such as a vehicle body. The mounting bracket 40 may be permanently or detachably mounted to the fixing part. The mounting bracket 40 is shown a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in this embodiment, but this is not necessary. When the mounting bracket 40 is made of metal, it can be fixed to the fixing part by welding or the like. However, when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t can be fastened using screws or the like to the fixing part. The mounting bracket 40 is best made of metal when considering strength according to size.

상기 장착브라켓(40)의 골격을 브라켓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몸체(42)의 양단에는 고정편(44)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4)은 고정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몸체(42)에는 또한 걸림편(4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6)은 상기 브라켓몸체(42)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중앙에 걸림공(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공(48)은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이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은 상기 브라켓몸체(42)에서 상기 걸림편(46)이 돌출된 반대쪽 가장자리에 걸어진다.The bracket body 42 forms the skeleton of the mounting bracket 40. On both ends of the bracket body 42, a fixed piece 44 is formed stepwise. The fixing piece 44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by welding or the like. The bracket body 42 is also formed with a locking piece 46 protruding. The locking piece 46 i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racket body 42, and a locking hole 48 is formed in the center. The engaging hole 48 is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nd is a part where the engaging jaw 36 of the engaging hook leg 34 is seated and walked. For reference, the hook jaw 24 of the support hook leg 22 is hung on the opposite edge from which the hook piece 46 protrudes from the bracket body 42.

참고로, 상기 걸림편(46)은 본 실시례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반드시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라켓몸체(42)의 높이가 충분히 높아서 차량의 고정부와 상기 걸림공(48)이 중첩되지 않는다면, 상기 걸림편(46)이 반드시 돌출될 필요는 없다.For reference, the engaging piece 46 is not necessarily formed to protrud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as in this embodiment. If the height of the bracket body 42 is sufficiently high so that the fixing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engaging hole 48 do not overlap, the engaging piece 46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protrud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박스 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at the box mount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본 발명의 박스 장착장치에서 상기 장착브라켓(40)은 차량의 고정부, 예를 들면, 카울바디(Cowl body)에 미리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장착브라켓(40)이 고정부에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나사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40)에서 걸림편(46)의 연장방향과 상기 고정편(44)의 연장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된다. 이는 상기 걸림편(46)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박스(10)를 걸림편(46)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box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bracket 40 is pre-mounted on a fixed part of a vehicle, for example, a cowl body. That is, the mounting bracket 4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by welding or mounted using screws. At this time, as can be seen in FIG. 5,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ocking piece 46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ing piece 44 in the mounting bracket 40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e a predetermined angle.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secure the box 10 to the locking piece 46 by making the locking piece 46 protrude outward.

상기 장착브라켓(40)에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착브라켓(40)의 걸림편(46) 선단이 상기 박스몸체(12)의 지지걸이레그(22)에 안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받침편(20)과 제2받침편(30)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걸림편(46)을 삽입하는 것이다.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piece 46 of the mounting bracket 40 is guided to the support hook leg 22 of the box body 12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part of the vehicle to the mounting bracket 40. That is, the locking piece 46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에 형성된 안내경사면(26)이 상기 걸림편(46)의 선단에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걸이레그(22)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편(46)에 대해 후퇴된다.In this process, the guide inclined surface 26 formed on the hook jaw 24 of the support hook leg 22 is guided to the front end of the hook piece 46. Therefore, as the support hook leg 22 is elastically deformed, it is retract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iece 46.

상기 걸림편(46)이 계속해서 전진하도록 상기 박스(10)를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편(46)의 선단은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의 선단에 안내되기 시작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34)가 걸림편(46)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상기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이 상기 걸림편(46)의 걸림공(48)을 만나면, 상기 결합걸이레그(34)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턱(36)이 상기 걸림공(48)에 걸어지게 된다.When the box 10 is moved so that the engaging piece 46 continues to advance, the tip of the engaging piece 46 starts to be guided to the tip of the engaging jaw 36 of the engaging hook leg 34, The engaging hook leg 34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ngaging piece 46. When the engaging jaw 36 of the engaging hook leg 34 meets the engaging hole 48 of the engaging piece 46, the engaging hook leg 3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engaging jaw 36 is restored. It will be hooked to the locking hole (48).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도 상기 장착브라켓(40)의 브라켓몸체(42)를 통과하여 브라켓몸체(42)의 하단부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과 결합걸이레그(34)의 결합턱(36)이 동시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박스몸체(12)가 장착브라켓(40)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the hook jaw 24 of the support hook leg 22 also passes through the bracket body 42 of the mounting bracket 40 to be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body 42.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5. As can be seen here, the mounting bracket 40, the engaging jaw 24 of the support hook leg 22 and the engaging jaw 36 of the engaging hook leg 34 are simultaneously hung. By this way, the box body 12 is firmly coupled with the mounting bracket 40.

한편, 상기 걸이턱(24)과 결합턱(36)에는 밀착경사면(29)이 형성되어 있어 장착브라켓(40)과의 결합시에 조립공차나 제조공차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밀착경사면(29)이 걸이턱(24)이나 결합턱(36)의 끝부분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점차 높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는데, 공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밀착경사면(29)의 소정 위치에 장착브라켓(40)이 안착되면서 장착브라켓(40)과 걸이턱(24)이나 결합턱(36)과의 사이에 틈새가 없어져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ook jaw 24 and the engaging jaw 36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9 to absorb assembly and manufacturing tolerances when combined with the mounting bracket 40.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29 gradually increases as it goes inward from the end of the hook jaw 24 or the engaging jaw 36, and the mounting bracke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clined surface 29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lerance. As the 40 is seate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40 and the hook jaw 24 or the engaging jaw 36, so that no vibration or noise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40)의 브라켓몸체(42)는 상기 제1받침편(20)과 제2받침편(3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들 받침편(20,30)에 의해 지지되므로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body 42 of the mounting bracket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and is supported by these supporting pieces 20 and 30, thereby being in a coupled state. Can remain robust.

다음으로, 상기 장착브라켓(40)에서 상기 박스(10)를 분리하는 것은 상기 지지걸이레그(22)의 걸이턱(24)이 상기 장착브라켓(40)에서 분리되도록 탄성변형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걸이레그(34)를 탄성변형시켜 결합턱(36)이 상기 걸림공(48)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핀과 같은 긴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걸이레그(34)를 직접 탄성변형시키거나, 상기 코어공(39)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결합턱(36)을 걸림공(48)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면 된다.Next, separating the box 10 from the mounting bracket 4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hanging jaw 24 of the support hook leg 22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bracket 40, and in this state The coupling hook leg 34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oupling jaw 36 comes out of the locking hole 48. In this process, the engaging hook leg 34 is directly elastically deformed using a long tool such as a pin, or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core hole 39 to engage the engaging jaw 36 from the locking hole 48. You can get out.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obvious that you can.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받침편(20)과 제2받침편(30)이 상기 장착브라켓(40)의 양측 표면과 마주보게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박스몸체(12)의 다른 구조들이 이들의 역할을 어느 정도 대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supporting piece 20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30 are respectively formed to face both surfaces of the mounting bracket 40,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formed. Other structures of the box body 12 may take over some of their role.

그리고, 상기 지지걸이레그(22)와 결합걸이레그(34)의 갯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지지걸이레그(22)가 하나이고 상기 결합걸이레그(34)가 2개이나, 예를 들면, 상기 지지걸이레그(22)가 2개이고 상기 결합걸이레그(34)가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support hook leg 22 and the coupling hook leg 34 can be variously se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support hook leg 22 and two coupling hook legs 34, for example, two support hook legs 22 and one coupling hook leg 34 are provided. Can be

10: 박스 12: 박스몸체
14: 상부커버 16: 하부커버
20: 제1받침편 22: 지지걸이레그
24: 걸이턱 26: 안내경사면
28: 걸이면 29: 밀착경사면
29': 걸이평면 30: 제2받침편
32: 보강리브 34: 결합걸이레그
36: 결합턱 38: 후드
40: 장착브라켓 42: 브라켓몸체
44: 고정편 46: 걸림편
48: 걸림공
10: box 12: box body
14: upper cover 16: lower cover
20: first support piece 22: support leg
24: hook chin 26: guide slope
28: When walking 29: Close slope
29 ': Hanger plane 30: 2nd support piece
32: Reinforcement rib 34: Coupling hook leg
36: engaging jaw 38: hood
40: mounting bracket 42: bracket body
44: Fixed piece 46: Hanging piece
48: Jam

Claims (8)

박스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지지걸이레그와,
상기 박스몸체에서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걸이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걸이레그와,
차체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의 결합턱이 걸어지는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편이 브라켓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걸이레그의 걸이턱이 상기 브라켓몸체의 일측 단부에 걸어지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A support hook leg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x body and having a hook jaw formed at the tip,
A coupling hook leg formed to extend parallel to the support hook leg in the box body, and having a coupling jaw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hook jaw at a tip;
Includes a mounting bracket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has a hooking hole formed with an engaging hole for engaging the engaging jaw of the engaging hook leg,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racket body, and the hanging jaw of the supporting hook leg hangs on one end of the bracket body. Vehicle box moun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걸이레그는 상기 지지걸이레그보다 박스몸체에서 더 떨어진 위치에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hook leg is mounted on the vehicle box mounting devic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 hook leg at a position further away from the box body than the support hook le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걸이레그의 걸이턱과 상기 결합걸이레그의 결합턱에는 각각 걸이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면에는 밀착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브라켓과의 결합시에 오차를 제거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oking surface is formed on a hooking jaw of the support hooking leg and a coupling jaw of the coupling hooking leg,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hooking surface to remove errors when engaging with the mounting bracket. Vehicle box moun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결합걸이레그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박스몸체에는 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x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hood formed on the box body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hook leg and the engaging hook leg.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몸체에는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나란히 연장되어 제1받침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걸이레그와 나란히 연장되어 제2받침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받침편과 제2받침편의 사이에 상기 장착브라켓의 걸림편이 위치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The first support pie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first support pie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hook leg and a second support piece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upling hook leg in the box body. A vehicle box mounting device in which a locking piece of the mounting bracket is located between the piece and the second supporting pie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걸이레그는 상기 제1받침편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받침편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hook leg is made of a cantilever shape to form a part of the first support piece, the vehicle box mounting device is formed to extend further than the first support pie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편은 상기 지지걸이레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걸이레그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7. The box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upporting piece is formed to extend shorter than the supporting hook le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hook le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편은 한 쌍이 구비되는데, 이들 제2받침편의 사이에 상기 결합걸이레그가 위치되는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support piece is provided with a pair, the box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engaging hook leg is positioned between these second support pieces.
KR1020130094382A 2013-08-08 2013-08-08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02090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382A KR102090128B1 (en) 2013-08-08 2013-08-08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382A KR102090128B1 (en) 2013-08-08 2013-08-08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11A KR20150018011A (en) 2015-02-23
KR102090128B1 true KR102090128B1 (en) 2020-03-17

Family

ID=5304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382A KR102090128B1 (en) 2013-08-08 2013-08-08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1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8529A (en) * 2016-12-29 2018-07-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The fixing device and vehicle of body electronics systems stabilisation
KR102045405B1 (en) * 2019-04-26 2019-11-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lock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290U (en) 1998-05-16 1999-12-15 유철진 Fixture of fuse box
KR100745825B1 (en) 2006-07-28 2007-08-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and bracket combining structure
KR20090008655U (en) * 2008-02-25 2009-08-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KR100976511B1 (en) * 2008-04-22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for car
KR200449875Y1 (en) * 2008-07-18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ox
KR20120039990A (en) * 2010-10-18 2012-04-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arts block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011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76B1 (en) Battery tray for vehicle
KR200449875Y1 (en) Box
CN107048778B (en) Device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a furniture pull-out part to a guide unit
JP5850338B2 (en) Misalignment absorbing member and bus bar unit
KR102090128B1 (en) Box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s
KR200436537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JP5227731B2 (en) Box fixing bracket for wiring box
JP6692063B2 (en) Mounting frame for wiring equipment
JP541299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490969B2 (en) Fuse unit
CN204434980U (en) Roller washing machine and casing thereof and upper connecting plate
KR101628520B1 (en) Assist handle mounting clip for vehicle
KR200442526Y1 (en) Connector housing
JP5850339B2 (en) Busbar unit and busbar mounting structure
KR20120039990A (en) Parts block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box
KR20090132974A (en)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KR200440514Y1 (en) 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KR200445635Y1 (en) Junction Box
CN211060345U (en) Rat guard and air conditioner
TWI579171B (en) Wiper plate and an adaptor thereof
KR200448594Y1 (en)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JP5908219B2 (en) Tension member fixture
KR101987876B1 (en) Mounting clip assembly for trim
JP6709952B2 (en) Mounting frame for wiring equipment
KR20100118440A (en) Fastening structure of bus-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