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788B1 -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788B1
KR102089788B1 KR1020190092990A KR20190092990A KR102089788B1 KR 102089788 B1 KR102089788 B1 KR 102089788B1 KR 1020190092990 A KR1020190092990 A KR 1020190092990A KR 20190092990 A KR20190092990 A KR 20190092990A KR 102089788 B1 KR102089788 B1 KR 10208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udience
admission
seat control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문재범
Original Assignee
혜성산업(주)
스마트시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산업(주), 스마트시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9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60Use of locks or ledges for limiting the seat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영장의 좌석을 예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예매서버(120); 상기 예매서버(120)와 연동되며 예매서버(120)에서 티켓 예매 정보를 수신하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140);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와 통신하는 서브 컨트롤러(150); 상기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제어보드(155); 상기 상영장의 각 좌석에 구비된 관객 입장 수신부;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 정보를 입력하는 관객 입장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Audience entrance transmission reservation interconnection smart sea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매상태에 따라 예매된 좌석은 잠금장치를 풀어주고, 예매가 안된 좌석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극장이나 공연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연결식 의자는 복수개의 개별 의자가 옆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한편, 극장, 공연장, 영화관 등의 좌석에 설치하여 시트를 잠금 또는 풀림을 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가동시켜서 예매가 되어 있는 좌석은 잠금장치를 풀어주고 예매가 되어 있지 않은 좌석은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예매가 된 좌석은 잠금장치에 의한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관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좌석에 관람자가 앉는 것을 방지하는 좌석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영화관의 경우 하루에 정해진 시간대에 영화를 상영하는데, 해당 시간대에 영화를 보고 난 다음에도 영화관에서 관객이 나가지 않고 다음 시간대의 영화를 또 보는 경우가 있다. 관람객이 자리를 옮겨서 다음 시간대의 영화를 다시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것이 문제가 된다.
또한, 영화관이나 공연장 등에서는 좌석이 등급별로 구분되어 등급이 높은 좌석은 등급이 낮은 좌석에 비하여 가격이 더 비싸게 책정되는데, 관람객이 등급이 낮은 좌석을 예매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앉아서 관람을 하는 문제가 생긴다. 관람객이 등급이 낮은 좌석을 예매해놓고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앉아버리면 상대적으로 등급이 높은 좌석의 티켓은 판매가 되지 않으면서도 관람객이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앉아서 관람을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2304호(2018년09월19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36226호(2016년06월28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3634호(2016년05월13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극장, 공연장, 영화관과 같은 상영장의 관람용 좌석의 예매상태에 따라 예매된 좌석은 잠금장치를 풀어주고, 예매가 안된 좌석을 잠금상태로 유지하여 좌석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구성의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영장의 좌석을 예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예매서버; 상기 예매서버와 연동되며 예매서버에서 티켓 예매 정보를 수신하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서브 컨트롤러; 상기 관람석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 제어보드; 상기 상영장의 좌석에 입장하는 관람객의 입장 정보를 수신하는 관객 입장 수신부;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 정보를 입력하는 관객 입장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의 상기 스캐닝앱에 의해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스캐닝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에 관객 확인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에 구비된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에는 좌석 제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좌석 제어장치는 캠과 래치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의 시트에는 상기 래치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록킹윙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보드에는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캠의 위치를 상기 잠금센서와 상기 풀림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좌석의 상기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람 좌석의 시트에 구비된 상기 좌석 제어장치의 록킹 상태를 제어보드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병렬연결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 제어보드는 병렬통신방식으로 상기 서브 컨트롤러에 통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 제어보드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각각의 좌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좌석 제어보드에는 서브 컨트롤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 제어보드는 상기 서브 컨트롤러에서 받은 명령을 통하여 각 좌석에 설치한 모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 센서와 상기 풀림 센서는 근접식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캠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은 극장, 공연장, 영화관 등의 좌석에 설치하여 시트를 잠금 또는 풀림을 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가동시켜서 예매가 되어 있는 좌석은 좌석제어장치에 의해 시트의 잠금상태를 풀어주고 예매가 되어 있지 않은 좌석은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매가 된 좌석은 좌석제어장치에 의한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관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좌석에 관람자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효과 중의 하나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압력센서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에서 좌석 제어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의자 시트를 잠금상태로 전환시 래치와 캠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좌석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의자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시 래치와 캠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좌석 제어장치에 의해 의자의 시트를 잠금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좌석 제어장치에 의해 의자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서 좌석제어장치를 바이패스 방식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를 통해서 좌석제어장치를 바이패스 방식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은 상영장의 관람석의 각 좌석을 예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예매서버(120)와, 상기 예매서버(120)와 연동되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14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와 통신하는 서브 컨트롤러(150)와,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제어보드(155)와, 좌석에 구비된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보드(160)와, 상기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제어보드(155)와, 상기 상영장의 좌석에 입장하는 관람객의 입장 정보를 수신하는 관객 입장 수신부와,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의 입장 상태를 송신하는 관객 입장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극장, 공연장, 영화관 등의 좌석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시트를 잠김/풀림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있어서, 상영관 예매정보를 받아오는 인터넷 기반의 PC와 상위측과 TCP/IP통신을 할수 있고 하위측과 병렬통신을 할 수 있는 메인콘트롤러와 열별로 배치된 좌석을 병렬제어 할 수 있는 서브 컨트롤러(150)와, 각각의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제어보드(155) 및 좌석의 시트의 잠김/풀림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보드(160)와, 관객 입장 수신부 및 관객 입장 송신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상영장이라 함은 오페라 극장, 영화관, 공연장과 같은 콘텐츠의 상영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객 입장 송신부에 의해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 정보가 입력될 때에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 의자에 구비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의자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티켓 예약 관객이 상영장에 들어온 것이 확인되고 해당 예약 좌석(의자)의 시트를 풀림 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는 관객이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등) 또는 키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상영관에 구비된 스캐닝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캐닝 코드는 큐알코드나 바코드와 같이 관객 입장 상태를 수신할 수 있는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영관의 입구에 관객 입장 수신부의 구성인 입력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 디스플레이에 스캐닝 코드가 표시되어,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스캐닝 코드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매서버(120)는 관람자측에서 관람 티켓을 예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통신을 기반으로 관람자의 모바일폰이나 PC에 연결되어, 관람자측에서 예매서버(120)에서 관람 티켓을 예매할 수 있다. 예매서버(120)에서는 관람자측의 모바일기기나 PC에 화면으로 상영장(예를 들어, 영화관이나 연극 공연 등을 위한 극장 등)의 좌석과 관람일자와 관람 시간과 같은 예약시 필요 정보를 화면상으로 표시하여 관람자측에서 원하는 좌석과 관람일 및 시간 등을 선택하여 티켓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예약서버는 극장이나 영화관과 같은 상영장의 외부 장소에 구축될 수 있다. 예약 제어 센터와 같은 상영장의 외부 장소에 예약서버가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예매서버(120)와 인터넷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TCP/IP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예매서버(120)와 양방향 통신을 한다.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예매서버(120)에서 상영관 예매 정보를 받아온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상영관 예매정보를 받아오는 인터넷 기반의 PC로 구성될 수 있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화면에 좌석의 예매 상태 및 좌석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극장이나 영화관과 같은 상영장 내에 구축될 수 있다. 상영장 내에 구비된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 센터나 부스 등의 장소에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가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TCP/IP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극장이나 영화관과 같은 상영장 내에 구축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는 상위측과 TCP/IP 통신을 할수 있고 하위측과 병렬통신을 할 수 있는데, 상기 상위측이라 함은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를 의미하고 하위측은 후술하는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를 통하여 상영장의 좌석 예매 정보를 수신하여 하위측의 서브 컨트롤러(150)와 병렬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는 병렬연결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40)는 병렬연결로 32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140)에 각 상영관 제어부가 구비되고, 메인 컨트롤러(140)의 각각의 상영관 제어부에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병렬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병렬 연결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40)의 각각의 상영관 제어부에 32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140)는 병렬연결로 32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병렬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병렬 연결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컨트롤러(150)는 통신망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140)에 연결된다. 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에 의해 서브 컨트롤러(150)가 메인 컨트롤러(14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TCP/IP 통신 방식으로 메인 컨트롤러(140)에 병렬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메인 컨트롤러(140)와 양방향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32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메인 컨트롤러(140)와 양방향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컨트롤러(150)는 상영관에 열별로 배치된 좌석을 병렬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서브 컨트롤러(150)는 선택스위치로 고유의 ID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서브 컨트롤러(150)는 상영장 열별로 배치된 좌석을 제어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영관에 병렬로 배치된 좌석에는 좌석제어장치가 구비된다. 좌석이 병렬로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좌석이 행과 열로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영관의 좌석에 각각 좌석제어장치가 구비된다. 각 좌석의 의자 다리에는 샤프트에 의해 시트의 양쪽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석제어장치는 시트의 옆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커플러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모터축(51)이 연결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의 회전에 의해 좌석의 시트과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제어장치는 의자의 시트(2)의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의 수용부에 시트(2)의 측면으로 돌출된 록킹 윙편(6)이 배치되는 픽싱 바디(20)와, 상기 픽싱 바디(20)에 축을 매개로 결합된 래치와, 상기 픽싱 바디(20)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에 결합되어 픽싱 바디(2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밀어올리는 위치와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캠과,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구비되어 모터와 캠 사이에 배치된 센서보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서브 컨트롤러(150)와 통신하여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람 좌석의 시트에 구비된 좌석제어장치의 록킹 상태를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선택스위치로 고유의 ID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좌석제어보드(155)는 상영장 열별로 배치된 복수개의 좌석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인터넷 기반 통신방식으로 서브 컨트롤러(15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좌석제어보드(155)는 RS485 통신 방식으로 서브 컨트롤러(15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석제어보드(155)는 좌석제어장치에 연결되어 각 좌석의 시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좌석제어보드(155)는 좌석제어장치에서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모터축(51)의 회전을 제어하여 각 좌석의 시트를 잠금상태 또는 풀림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의자의 시트나 다리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각각의 좌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좌석제어보드(155)에는 서브 컨트롤러(1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 구비된 좌석 컨트롤부에 서브 컨트롤러(1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석에는 좌석 제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좌석 제어장치는 캠과 래치를 구비하고, 상기 좌석의 시트에는 래치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록킹윙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보드(160)에는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캠의 위치를 센서보드(160)에 구비된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좌석의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보드(160)는 픽싱 바디에 내장됨과 동시에 모터와 캠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보드(160)는 상영장의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센서보드(160)에는 풀림센서와 잠금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캠의 회동 위치에 따라 의자의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티켓 예매와 연동하여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예매서버(120)에서는 상영장의 콘텐츠(예를 들어, 영화관의 영화) 티켓을 관람자가 예약을 하면, 예매정보를 저장한다. 관람자측에서 PC나 관객 입장 송신부와 같은 예약 입력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상영장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콘텐츠 티켓을 예매하거나 상영장에 비치된 예매 수신장치에서 직접 관람자측에서 콘텐츠 티켓을 예약하면, 상기 예매서버(120)에서 상영장의 콘텐츠 티켓 예매정보를 저장한다. 예매정보는 콘텐츠와 상영시간과 같이 콘텐츠 상영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는 예매서버(120)로부터 상영관 예매정보를 받아온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상영장 예매서버(120)와 TCP/IP 통신방식으로 연동되므로 예매서버(120)로부터 상영관 예매정보를 받아오게 된다. 이때,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는 좌석의 예매상태 및 좌석의 잠금상태와 풀림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가지고 있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면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좌석세저 시스템 서버의 디스플레이에 좌석의 예매상태 및 좌석의 잠금상태와 풀림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에서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로부터 송신되는 예매정보를 받아서 하위측의 서브 컨트롤러(150)와 병렬통신하게 된다. 메인 컨트롤러(140)에서는 예매정보를 바탕으로 하위측의 서브 컨트롤러(150)들에 좌석의 시트의 잠금상태 전환 신호 명령 또는 풀림 상태 전환 신호 명령을 내리게 된다.
상기 서브 컨트롤러(15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서 상영장의 시트를 병렬제어하게 된다.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가 상영장의 시트를 열별로 병렬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영장의 시트의 열들이 32개이면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받은 예매정보를 바탕으로 상영관에 32개의 열로 배치된 좌석을 병렬제어한다. 서브 컨트롤러(150)는 제어보드(좌석제어보드(155))와 연동하여 각 열별로 좌석을 제어한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상영장에 있는 복수개의 좌석들을 개별로 제어한다. 각각의 좌석들에는 좌석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좌석의 시트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거나 풀림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영장의 각 좌석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좌석 비예약 정보를 서브 컨트롤러(150)에서 받은 다음, 서브 컨트롤러(150)에서 좌석제어보드(155)에 좌석 비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좌석의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펼쳐지지 않는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예매서버(120)에서 좌석의 예매정보가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메인 컨트롤러(140)와 서브 컨트롤러(150)를 통해서 좌석제어보드(155)로 전달되어, 상기 좌석제어보드(155)가 좌석제어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가동시켜서 예매되지 않은 좌석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지 않는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좌석제어장치가 상기 픽싱 바디(20)와 래치와 모터와 캠 및 센서보드(160)로 구성된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캠과 래치를 가동시켜서 좌석(의자)의 시트 측면으로 돌출된 록킹윙편을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예매가 되지 않은 좌석의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지지 않는 잠금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캠(40)의 장축이 수평 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모터의 모터축(51)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40)도 함께 위쪽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캠(40)이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준다. 그러면, 상기 의자의 시트(2)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 윙편(6)이 래치(30)에 걸리게 되어서 의자의 시트(2)가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시트(2)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예매가 되지않은 좌석은 예매서버(1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캠(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정지시키며 캠에 의해 래치(30)를 들어 올린다. 래치(30)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록킹 윙편(6)이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시트(2)가 펼쳐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가 잠금 상태이다. 상기 캠(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캠(40)을 정지시키면 래치(30)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더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되어서 의자의 시트(2)를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치려고 하여도 시트(2)에 장착된 록킹 윙편(6)이 래치(30)에 걸려지게 되면서 시트(2)를 아래로 펼칠 수 없는 잠금 상태로 된다.
상영장의 각 열별로 배치된 좌석 중에서 예약이 이루어진 해당 좌석이 있는 경우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좌석 예약 정보를 서브 컨트롤러(150)에서 받은 다음, 서브 컨트롤러(150)에서 좌석제어보드(155)에 좌석 예약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서 좌석의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잠금상태에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좌석의 시트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풀림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예매서버(120)에서 좌석의 예매정보가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메인 컨트롤러(140)와 서브 컨트롤러(150)를 통해서 좌석제어보드(155)로 전달되어, 상기 좌석제어보드(155)가 좌석제어장치에 구비된 모터를 가동시켜서 예매가 이루어진 좌석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는 풀림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좌석제어장치가 상기 픽싱 바디(20)와 래치와 모터와 캠 및 센서보드(160)로 구성된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캠과 래치를 가동시켜서 좌석(의자)의 시트 측면으로 돌출된 록킹윙편을 걸려지지 않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예매가 이루어진 좌석의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지는 풀림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캠(40)의 장축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상기와 같이 캠(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80~90˚ 사이에 캠(4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모터의 모터축(51)을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40)도 함께 아래쪽으로 다시 회동되면서 래치(30)가 축을 기준으로 아래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의 기단부측과 픽싱 바디 사이에는 스프링(34)이 개재(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서, 스프링의 힘에 의해 래치(30)가 아래로 회동될 수 있다. 래치가 기단부의 축을 기준으로 자중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캠(40)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상기 래치(30)가 의자의 시트(2)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 윙편(6)에 걸리지 않는 위치로 내려가면, 상기 래치(30)에 시트(2)의 록킹 윙편(6)이 래치(30)에 걸리지 않게 되어서 의자의 시트(2)가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질 수 있는 풀림 상태가 된다. 예매된 좌석은 예매서버(1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캠(40)을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으로 캠(40)을 유지하며 이때 래치(30)는 스프링(34)의 힘으로 기단부의 축을 기준으로 내려오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기단부의 축을 기준으로 아래로 내려온다. 래치(30)가 수평으로 내려온 상태에서는 시트(2)의 록킹 윙편(6)이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시트(2)가 펼쳐지는 풀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에는 캠(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캠(40)은 2군데 위치에 있는 잠김센서(56), 풀림센서(58)에 감지되며, 잠김센서(56)에 감지되면 잠김 상태, 풀림센서(58)에 감지되면 풀림 상태로 예매서버(120)로 전송한다. 상기 캠(40)이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잠김센서(56)에 의해 감지되어 잠김 상태로 예매서버(120)에 전송한다. 센서보드(160)에서부터 좌석제어보드(155)와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거쳐서 예매서버(120)에 좌석 시트의 잠김 상태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캠(40)이 하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풀림센서(58)에 의해 감지되어 풀림 상태로 예매서버(120)에 전송한다. 센서보드(160)에서부터 좌석제어보드(155)와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거쳐서 예매서버(120)에 좌석 시트의 풀림 상태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황별로 운영한다.
구동모터 고장시, 모터 축에는 캠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캠은 2군데 위치에 있는 잠김센서와 풀림센서에 의해 감지되는데, 잠김센서에 감지되면 잠김 상태, 풀림센서에 감지되면 풀림 상태로 서버로 전송하고, 양쪽 센서에 모두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중으로 판별하여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서버라 함은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를 의미한다. 잠김 상태로 감지되면 센서보드(160)에 있는 잠금센서에서부터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거쳐서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로 좌석 시트의 잠금상태로 전송되거나 센서보드(160)에 있는 풀림센서로부터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거쳐서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로 좌석 시트의 풀림 상태로 전송된다. 센서보드(160)의 잠금센서와 풀림센서는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 및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므로, 상기 센서보드(160)의 잠금센서와 풀림센서에서부터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거쳐서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로 잠금상태와 풀림 상태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좌석(의자)의 시트(방석)의 잠김 상태 또는 풀림 상태의 판단은 2군데 위치의 센서, 다시 말해,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캠을 감지하여 판단하는데, 잠김센서가 캠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반대위치의 풀림센서가 캠을 감지한 신호를 근거로 잠김센서가 고장이 난 것으로 판단하여 좌석의 시트가 풀릴 수 있도록 래치가 풀림위치로 전환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서 모터축(51)을 회전시킨다. 좌석의 시트가 세워진 상태에서 풀릴 수 있도록 래치가 풀림 위치로 내려가도록 모터를 구동시켜서 모터축(5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좌석의 시트가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질 수 있는 풀림 상태로 전환한다. 래치가 풀림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은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제어보드에서 수행한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제어신호를 제어보드에 보내서 래치가 풀림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대로 풀림센서가 고장이 나고 잠김센서가 감지될 경우 풀림위치로 모터가 구동되도록 제어신호를 보내준다. 반대위치의 잠김센서가 캠을 감지한 신호를 근거로 풀림센서가 고장이 난 것으로 판단하여 좌석의 시트가 잠길 수 있도록 래치가 잠김위치로 회동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서 모터축(5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좌석의 시트가 세워진 상태에서 래치에 좌석 시트의 측면으로 돌출된 록킹윙편이 걸릴 수 있는 잠김 상태로 전환한다. 래치가 잠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은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제어보드에서 수행한다.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제어신호를 제어보드에 보내서 래치가 잠김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동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좌석의 시트에 장착된 압력센서(170)를 더 포함한다. 압력센서(170)는 서브 컨트롤러(1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170)는 중량감지 센서 또는 중량 감지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중량 감지패드는 핸드폰 버튼과 같이 사람이 시트에 앉으면 착석 상태로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좌석의 시트에 압력센서(170)를 장착하여 사람이 앉는 정도의 무게가 측정될 경우 착석으로 판단하여 컨트롤러를 통하여 서버측으로 착석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를 의미하고, 상기 서버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를 의미한다.
상기 서버에서는 티켓 판매 표시창, 방석잠김 표시창, 풀림 표시창에 착석상태를 표시하여 판매와 착석 등의 데이터를 수집토록 한다. 서버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티켓 판매 표시창, 방석잠김 표시창, 풀림 표시창에 착석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이다.
의자의 시트에서 사람이 일어나면 시트(방석)가 자동으로 반전되어 세워져서 모터가 회전하고 래치가 잠김동작을 하여야 하는데, 기구적 결함 등으로 시트의 반전이 제대로 되지 못할 경우 래치가 잠김 상태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에는 3회 연속 시도 후 풀림 상태로 래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동작 기능이 있다. 좌석제어보드(155)에서 래치를 풀림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시간대 별로 콘텐츠 상영 시간을 분류해 놓은 상태에서 콘텐츠 상영 시간이 끝나면 모든 티켓 예매 상태를 리셋함으로써 다음 시간대의 티켓 예매 상태로 전환시킨다. 시간대 별로 좌석 제어 모드로 들어갔다가 해당 시간대의 콘텐트 상영 시간이 종료하면 그 다음 시간대의 콘텐츠 상영 모드로 들어가도록 리셋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관객 입장 송신부에 의해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 정보가 입력될 때에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 의자에 구비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의자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 연결된 서브 컨트롤러(150)와 메인 컨트롤러(140) 및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를 통해서 예매서버(120)에 관객 입장이 확인될 때에 상기 예매서버(120)에서 예약 관객의 입장이 확인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의 스캐닝앱에 의해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스캐닝하여 메인 컨트롤러(140)와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 관객 확인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의 스캐닝앱에 의해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스캐닝하여 예매서버(120)에 관객 확인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이외에 NFC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모두 채용이 가능하다. NFC는 약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방식을 취한다. NFC를 활용하여 좌석에 구비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좌석 시트의 잠금상태로 전환하거나 풀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스캐닝앱은 관객의 모바일 기기에 깔려있는 관객 입장 확인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극장, 공연장, 영화관 등의 좌석에 설치하여 시트를 잠금 또는 풀림을 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가동시켜서 예매가 되어 있는 좌석은 좌석제어장치에 의해 시트의 잠금상태를 풀어주고 예매가 되어 있지 않은 좌석은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매가 된 좌석은 좌석제어장치에 의한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관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좌석에 관람자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의 경우 하루에 정해진 시간대에 영화를 상영하는데, 해당 시간대에 영화를 보고 난 다음에도 영화관에서 관객이 나가지 않고 자리를 옮겨서 다음 시간대의 영화를 또 보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예매연동 좌석 제어 시스템으로서 관람객이 자리를 옮겨서 다음 시간대의 영화를 다시 보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매연동 좌석 제어를 하면서 상영 콘텐츠에 대하여 얼마나 예매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티켓을 예매해놓고 오지 않는 사람의 비율도 파악할 수 있다. 상영 콘텐츠를 얼마나 예약했는지를 파악하여 상영 시간이 임박한 시간에 예매자에게 콘텐츠 상영 시간을 리마인드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한편, 좌석제어장치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일일이 컨트롤(관리)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좌석제어장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될 경우에 바로바로 대처가 가능하므로 컨트롤하기기 쉽다. 이때, 좌석제어장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되는 경우에 단위 기간별로 날짜를 정해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주일 단위로 날짜를 정해서 좌석제어장치 등의 제대로 작동이 안되는 좌석을 관리하게 해줌으로써 관리 작업에 있어서 보다 융통성이 있고 수월하다.
또한, 좌석제어장치 등이 고장나서 제대로 작동이 안될 때에 관리를 해줌으로써 경영상의 문제점도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도 예매 관련 컨트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예매서버(120)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 자치에서도 예매를 받거나 기타 좌석 제어 기능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티켓 예매 관련 컨트롤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극장과 같이 상영관 자체에서 예매 관련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인 컨트롤러(140)를 상영관에 구축함으로써 예매서버(120)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메인 컨트롤러(140)에서 하위층인 서브 컨트롤러(150)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영관 자체에서 예매 관련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는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1관, 2관, 3관과 같이 각각의 관별로 구축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150)를 통해서 각각의 관별로 좌석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영화관이나 공연장 등에서는 좌석이 등급별로 구분되어 등급이 높은 좌석은 등급이 낮은 좌석에 비하여 가격이 더 비싸게 책정되는데, 관람객이 등급이 낮은 좌석을 예매해놓은 상태에서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앉아서 관람을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관람객이 등급이 낮은 좌석을 예매해놓고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앉아버리는 경우를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등급이 높은 좌석의 티켓은 판매가 되지 않고 관람객이 등급이 더 높은 좌석에 마음데로 앉아서 관람을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140) 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 직접 리모트 방식으로 좌석제어장치를 제어하여 좌석의 시트의 풀림상태나 잠금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모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제어부는 바이패스 제어부라 할 수 있으며, 리모트 제어부를 매개로 좌석제어장치에 메인 컨트롤러(140)나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가 리모트 제어가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보드(160)나 좌석제어보드(155)가 고장난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140) 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부에서 직접 리모트로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예약 좌석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객이 상영장에 들어와서 관객 입장 송신부에서 관객 입장 수신부에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관객 입장이 확인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센서보드(160)나 좌석제어보드(155) 측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좌석제어장치가 제대로 작동이 안되어 예약 좌석의 시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를 매개로 메인 컨트롤러(140) 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 리모트로 직접 좌석제어장치를 컨트롤하여 예약 좌석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핼 줄 수 있다. 예약 해당 좌석에서 시트의 잠금상태가 제대로 해제되지 않아서 풀림상태로 전환이 되지 않을 때애 상영장 관계자가 해당 좌석까지 일일이 찾아가서 해당 예약 좌석의 시트를 풀림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없이 즉시적으로 바이패스하는 방식으로 메인 컨트롤러(140) 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 해?? 예약 좌석 시트의 잠금상태를 풀어서 풀림상태로 전환하게 되므로 예약 관객에게도 편하고 상영장 측에서도 빠르고 신속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데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 또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서 직접 리모트 컨트롤 방식으로 좌석제어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것에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예매서버 130.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
140. 메인 컨트롤러 150. 서브 컨트롤러
155. 좌석제어보드 160. 센서보드
170. 압력센서

Claims (10)

  1. 상영장의 좌석을 예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예매서버(120);
    상기 예매서버(120)와 연동되며 예매서버(120)에서 티켓 예매 정보를 수신하는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와 통신하는 메인 컨트롤러(140);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와 통신하는 서브 컨트롤러(150);
    상기 상영장의 각 좌석을 제어하는 좌석제어보드(155);
    상기 상영장의 좌석에 입장하는 관람객의 입장 정보를 수신하는 관객 입장 수신부;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의 입장 상태를 송신하는 관객 입장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영장의 각각의 좌석들에는 좌석제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에 의해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에 예약된 관객 정보가 입력될 때에 상기 좌석제어보드(155)에 의해 각각의 좌석에 구비된 상기 좌석제어장치를 가동시켜서 상기 좌석의 시트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거나 풀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석제어장치는 의자의 시트(2)의 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의 수용부에 시트(2)의 측면으로 돌출된 록킹 윙편(6)이 배치되는 픽싱 바디(20)와, 상기 픽싱 바디(20)에 축을 매개로 결합된 래치(30)와, 상기 픽싱 바디(20)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에 결합되어 상기 픽싱 바디(2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밀어올리는 위치와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캠(40)과, 잠금센서와 풀림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와 상기 캠(40) 사이에 배치되어 좌석에 구비된 시트의 잠금 상태와 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보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캠(40)의 장축이 수평 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40)도 함께 위쪽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캠(40)이 상기 래치(30)를 축을 기준으로 위로 들어올려서 상기 의자의 시트(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록킹 윙편(6)이 상기 래치(30)에 걸리게 되어서 상기 시트(2)가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시트(2)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캠(40)의 장축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51)을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40)이 아래쪽으로 다시 회동되면서 상기 래치(30)가 축을 기준으로 아래로 회동되어, 상기 래치(30)가 의자의 시트(2)에 연결되어 있는 록킹 윙편(6)에 걸리지 않는 위치로 내려가면서 상기 래치(30)에 상기 시트(2)의 상기 록킹 윙편(6)이 상기 래치(30)에 걸리지 않게 되어서 상기 시트(2)가 세워진 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질 수 있는 풀림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NFC로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에는 스캐닝앱이 구비되어,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의 상기 스캐닝앱에 의해 상기 NFC 방식으로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를 스캐닝하여 상기 예매서버(120)에 관객 확인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객 입장 수신부는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관객 입장 송신부의 상기 스캐닝앱에 의해 NFC 태그와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스캐닝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140)와 상기 좌석제어 시스템 서버(130)에 관객 확인 정보가 송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병렬통신방식으로 복수개의 상기 서브 컨트롤러(150)에 통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제어보드(155)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각각의 좌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좌석제어보드(155)에는 서브 컨트롤러(15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92990A 2019-07-31 2019-07-31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KR10208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90A KR102089788B1 (ko) 2019-07-31 2019-07-31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990A KR102089788B1 (ko) 2019-07-31 2019-07-31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788B1 true KR102089788B1 (ko) 2020-03-16

Family

ID=6994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990A KR102089788B1 (ko) 2019-07-31 2019-07-31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2004A (zh) * 2022-05-25 2022-10-21 广东爱尚游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游乐设备的低功耗无线坐垫的人数计算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61A (ko) * 2009-04-29 2010-11-08 (주)텍텀 센서를 이용한 극장의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3410A (ko) * 2012-02-14 2013-08-22 석민 강 관람객 의자 제어 시스템
KR20160024072A (ko) * 2014-08-22 2016-03-04 (주)엠아이케이21 복수의 신호 발생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20160053634A (ko)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호수산업 관람석용 의자
KR20160057550A (ko) * 2014-11-13 2016-05-24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스마트 시트 시스템
KR101636226B1 (ko)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KR101902304B1 (ko) 2016-11-18 2018-09-28 혜성산업(주) 의자 설치 간격 호환성을 구비한 의자 시트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61A (ko) * 2009-04-29 2010-11-08 (주)텍텀 센서를 이용한 극장의 좌석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3410A (ko) * 2012-02-14 2013-08-22 석민 강 관람객 의자 제어 시스템
KR20160024072A (ko) * 2014-08-22 2016-03-04 (주)엠아이케이21 복수의 신호 발생 장치를 위한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20160053634A (ko) 2014-11-05 2016-05-13 주식회사 호수산업 관람석용 의자
KR20160057550A (ko) * 2014-11-13 2016-05-24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스마트 시트 시스템
KR101636226B1 (ko)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KR101902304B1 (ko) 2016-11-18 2018-09-28 혜성산업(주) 의자 설치 간격 호환성을 구비한 의자 시트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2004A (zh) * 2022-05-25 2022-10-21 广东爱尚游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游乐设备的低功耗无线坐垫的人数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664B2 (en) Flexible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587446B2 (en) Dynamic occupancy monitoring
KR102089788B1 (ko) 관객 입장 송신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US7953402B2 (en) Remote activation system
JP5480423B1 (ja) 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および機械式駐車場設備の制御方法
WO20190282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PACKAGES DELIVERED BY VEHICLES WITHOUT PILOT
US20060244564A1 (en) Secured entertainment seating
KR101747834B1 (ko) 동시 출입 기록이 가능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533512B (zh) 座部锁
JP2007141210A (ja) データ交換方法
KR102098167B1 (ko) 예매연동 스마트 좌석 제어 시스템
KR20180076169A (ko)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992231A (zh) 一种自助式酒店预定管理系统及方法
CN112093604A (zh) 用于智能系统交互的移动应用
JP5011054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KR20230066904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좌석 연동제어 시스템
JP7289741B2 (ja) 開閉制御システム、開閉制御方法、リモコン装置用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携帯通信端末装置
KR102454642B1 (ko) 무인텔 관리시스템
KR102007888B1 (ko) 스마트 극장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5431693B2 (ja) 建物遠隔監視システム
EP3669335A1 (en) Automatic system for identifying and controlling persons and regulating access to restricted areas
EP3915923A1 (en) Stairlift remote control unit
JP7179675B2 (ja) 建物の施解錠制御システム
KR200416178Y1 (ko) 주차장 승강기 호출기 및 주차장 승강기 호출시스템
JP2020122364A (ja) 駐車予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