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61B1 -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61B1
KR102089361B1 KR1020180040798A KR20180040798A KR102089361B1 KR 102089361 B1 KR102089361 B1 KR 102089361B1 KR 1020180040798 A KR1020180040798 A KR 1020180040798A KR 20180040798 A KR20180040798 A KR 20180040798A KR 102089361 B1 KR102089361 B1 KR 10208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clutch
rotor
shaft
output shaf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888A (ko
Inventor
윤석수
강영선
소진환
신종필
신익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3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의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의 상승에 따라서 로터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장치는, 미션에서 출력되는 리어구동축과 연동하도록 로터케이싱에 지지되고, 외측에 기어부(32a)가 형성된 커플러(32)와; 상기 기어부(32a)와 맞물려 회전하고, 로터케이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달기어(34); 상기 전달기어(34)와 연동하고, 로터출력축에 대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는 제1도그클러치(42);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도그클러치(42)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로터출력축과 연동하도록 결합된 제2도그클러치(44); 편심돌출단부(22a)가 상기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44a)에 접촉하고, 이앙식의 승강링크가 일정 구간 상승하면 회전하는 조작축(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축의 회전에 의하여 편심돌출단부가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제1도그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것에 의하여, 로터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A device for cutting off power to rotor in 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 또는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부부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링크의 상승에 연동하여 로터로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터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에서 식부부의 상승에 따라서 로터(정지장치)에 동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구성이 한국 특허 공개 10-2015-0138734로 제안된 바 있다. 이앙기에서 식부부의 상승에 따라서 로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동력의 단속을 위한 클러치가 세 개의 축을 가지도록 설계되고, 그 중에서 하나의 축을 이용하여 동력이 단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는 로터 동력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로터 동력 차단장치는, 미션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리어 구동축에서 로터출력축으로 동력을 단속하는 로터 클러치를 오프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동력 차단장치는, 이앙기의 식부부가 승강링크에 의하여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면 수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하단부에 로터를 구비하는 식부부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로터 클러치의 동력이 오프된다.
본 발명이앙기의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의 상승에 따라서 로터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미션에서 출력되는 리어구동축과 연동하도록 로터케이싱에 지지되고, 외측에 기어부가 형성된 커플러와;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고, 로터케이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와 연동하고, 로터출력축에 대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는 제1도그클러치;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도그클러치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로터출력축과 연동하도록 결합된 제2도그클러치; 편심돌출단부가 상기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에 접촉하고, 이앙식의 승강링크가 일정 구간 상승하면 회전하는 조작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축의 회전에 의하여 편심돌출단부가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제1도그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것에 의하여, 로터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조작축의 외측 단부에 조립된 회동레버의 단부에 결합된 작동로드가 승강링크의 상승에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축이 제2도그클러치를 이격시킨다.
그리고 작동로드의 주변 구성을 보면, 승강링크에 설치된 구동조작부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가 이앙기의 프레임에 설치된 캠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승강링크의 상승에 연동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식부부의 하단부에 장착된 로터로의 동력의 공급은, 식부부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로터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는 리어구동축과 연동하는 커플러와, 로터 클러치가 설치되는 로터출력축을 포함하여 두 개의 축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 차단장치가 구현되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 차단장치의 구동을 보인 것으로, (a)는 동력 차단전의 승강링크와의 연동관계를, 그리고 (b)는 동력 차단후의 승강링크와의 연동 관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로터 클러치의 동력 전달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터 클러치의 동력 차단상태를 보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의 출력이라고 할 수 있는 리어구동축(2)이 리어입력축(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이앙기의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륜으로의 동력 전달은 리어액슬케이싱(8)의 내부를 경유하게 된다. 그리고 리어구동축(2)에서의 동력의 일부는, 로터출력축(6)으로 전달되어, 로터(정지장치)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운전 조건에서 로터출력축(6)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즉, 로터가 지면에서 일정 이상 들려지면, 실제로 동력 전달이 필요없기 때문에, 로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최대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동력을 차단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부의 승강링크(14)가 (a)에 도시한 하강 상태에서, (b)에 도시한 상승 상태로 되면 로터출력축(6)으로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승강링크(14)가 유압실린더(12)의 동작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작동로드(16)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끌어 당겨지고, 이러한 작동 로드(16)의 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터클러치를 오프상태로 제어하게 될 것이다.
먼저 승강링크(14)가 상승함에 따라서 작동로드(16)가 위로 당겨지기 위한 구성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확대도 부분을 같이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조작부(17)는 승강링크(14)에 지지되고 있어서 승강링크(14)의 상승에 따라서, 이앙기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캠부재(18)의 일측을 가압하게 된다. 즉, 구동조작부(17)의 단부에 설치된 접촉롤러(17a)가 캠부재(18)을 일측을 밀어올림으로써, 캠부재(18)는 중심축(18a)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부재(18)의 시계 방향 회전은 작동로드(16)를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될 것임은 도 2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로터를 포함하는 식부부가 승강링크(14)의 상승으로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로드(16)가 상방으로 잡아 당겨지게 됨을 알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로드(16)의 상승 동작은 로터클러치(40)(도 1 참조)가 오픈됨으로써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a)는 측면도, (b)는 단면도, 그리고 (c)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작동로드(16)가 상승하기 전의 클러치 온(클로즈드)상태를, 그리고 도 4는 작동로드(16)가 상승하여 클러치가 오프(오픈)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미션에서 동력이 전달된 리어구동축(2)(도 1 참조)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커플러(3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플러(32)의 내측면에는 세레이션치형이 성형되어 있어서, 리어구동축(2)의 외측면에 성형된 대응하는 세레이션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32)의 외측에는 기어부(32a)가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기어부(32a)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달기어(34)와 맞물려 있다. 상기 전달기어(34)는 제1도그클러치(42)와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플러(32)는 예를 들면 다수의 베어링에 의하여 로터케이싱(12)에 지지되고 있고, 전달기어(34)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어(34) 및 제1도그클러치(42)는 로터출력축(6)을 중심으로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제1도그클러치(42)는 로터출력축(6)에 대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는 반면, 제2도그클러치(44)는 로터출력축(6)에 대하여 세레이션 치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제2도그클러치(44)와 로터출력축(6)은 같이 회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도그클러치(42)는 로터출력축(6)의 축방향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2도그클러치(44)는 로터출력축(6)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그클러치(44)가 제1도그클러치(42)와 결합되면, 도그클러치(40)의 온상태로 되고, 제2도그클러치(44)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도그클러치(42)에서 이격되면 도그클러치(40)의 오프상태로 되면서 로터출력축(6)으로의 동력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2에서 승강링크(14)의 상승은, 작동로드(16)도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나타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작동로드(16)는 회동레버(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로드(16)의 시계 방향 회전은 회동레버(2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회동레버(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편심돌출단부(22a)를 구비한 조작축(22)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축(22)의 편심돌출단부(22a)는 조작축(22)의 편심된 위치에서 더욱 축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예를 들면 반원형 돌기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편심돌출단부(22a)는, 제2도그클러치(44)의 외측 플랜지부(44a)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회동레버(20)와 연결되는 조작축(22)의 축방향은 실질적으로 도그클러치(40)의 축방향(이동방향)과 직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동레버(20)에 따라서 조작축(2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돌출단부(22a)가 제2도그클러치(44)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도그클러치(42)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축(22)은, 그 내측단부에 형성된 편심돌출단부(22a)가, 그 외측단부에 결합된 회동레버(2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제2도그클러치(44)를 제1도그클러치에서 이격시키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레버(20)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제1도그클러치(42)와 제2도그클러치(44)가 이격되면서, 실질적으로 리어구동축(5)의 동력은 제1도그클러치(42)까지만 전달되면서 로터출력축(6)으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14)가 정해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로터출력축(6)으로의 동력이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링크(14)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작동로드(16), 회동레버(20) 및 조작축(22)을 통하여 제2도그클러치(44)가 제1도그클러치(42)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승강링크(14)가 하강하게 되면, 회동레버(20)가 제2도그클러치(44)를 이격시키고 있던 힘이 제거됨과 같이, 스프링(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2도그클러치(44)는 제1도그클러치(42)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46)은 고정된 상태의 제1도그클러치(42)에 대하여, 제2도그클러치(44)를 밀착시키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도그클러치(44)를 제1도그클러치(42)로 미는 힘은, 승강링크(14)의 상승에 의한 작동로드(16) 및 회동레버(20)의 움직임에 의한 제2도그클러치(44)를 미는 힘보다 작은 경우에는 잠재적인 복원력으로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그클러치(44)를 이격시키고 있던 힘이 없어지면(승강링크가 하강하면), 스프링(46)의 탄성 복원력은 다시 도그클러치(40)를 클로즈 상태로 하여, 로터출력축(6)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정지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로터클러치(40)의 구성이, 종래 기술의 구성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진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 ..... 리어구동축
4 ..... 리어입력축
6 ..... 로터출력축
12 ..... 유압실린더
14 .... 승강링크
16 ..... 작동로드
20 ..... 회동레버
22 ..... 조작축
22a ..... 편심돌출단부
32 ..... 커플러
32a ..... 기어부
34 ..... 전달기어
40 ..... 도그클러치
42 ..... 제1도그클러치
44 ..... 제2도그클러치
46 ..... 스프링

Claims (3)

  1. 이앙기의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링크의 상승에 따라서 로터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미션에서 출력되는 리어구동축과 연동하도록 로터케이싱에 지지되고, 외측에 기어부(32a)가 형성된 커플러(32)와;
    상기 기어부(32a)와 맞물려 회전하고, 로터케이싱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달기어(34);
    상기 전달기어(34)와 연동하고, 로터출력축에 대하여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는 제1도그클러치(42);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도그클러치(42)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로터출력축과 연동하도록 결합된 제2도그클러치(44);
    상기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44a)에 접촉하는 편심돌출단부(22a)를 구비하는 조작축(22); 그리고
    상기 조작축(22)의 외측 단부에 조립된 회동레버(20)의 단부에 결합된 작동로드(16)를 포함하고;
    이식기의 승강링크의 상승에 의하여, 승강링크에 설치된 구동조작부(17)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가 이앙기의 프레임에 설치된 캠부재(18)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동로드(16)가 연동하여 상승하고;
    작동로드(16)의 동작에 의한 회동레버(20)의 회전은 조작축(22)을 회전시키고, 조작축의 회전에 의하여 조작축의 편심돌출단부가 제2도그클러치의 외측 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제1도그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것에 의하여, 로터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0798A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KR10208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98A KR102089361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98A KR102089361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888A KR20190117888A (ko) 2019-10-17
KR102089361B1 true KR102089361B1 (ko) 2020-03-17

Family

ID=6842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798A KR102089361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532A (ja) 2006-02-06 2007-08-16 Yanmar Co Ltd 田植機
JP2009278940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629B2 (ja) * 1995-01-12 2000-09-18 三菱農機株式会社 植付機における代掻き用ローターの駆動機構
JP4991171B2 (ja) * 2006-03-20 2012-08-01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532A (ja) 2006-02-06 2007-08-16 Yanmar Co Ltd 田植機
JP2009278940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888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331A1 (de) Kran
KR20080102130A (ko) 이앙기
EP3099952B1 (en) Composite friction and dog clutch
US9175449B2 (en) Transmission system for transmitting power from engine to milling rotor in cold planer
KR102089361B1 (ko)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US20080148883A1 (en) Power Take-Off for Industrial Vehicles
CN104908584B (zh) 变速器制动和扭矩限制系统
US20150027256A1 (en) Device for driving an aircraft wheel in rotation
CN102628494B (zh) 双离合结构的微耕机传动箱
KR101210058B1 (ko) 전동식 에어컴프레서와 유압펌프 모듈
JP2005140331A (ja) こて用ギヤボックスブレーキ
DE3719540A1 (de) Ueberlast-zentrifugalkupplung
JP5960416B2 (ja) 田植機
KR101418984B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자동전원차단장치
CN107035784B (zh) 高安全性且低噪音的农业机械
CN203192720U (zh) 重合闸断路器的双离合机构
US2485362A (en) Rock crusher
US11172610B2 (en) Transmission for lawn mower
AT515954B1 (de) Doppelantrieb mit Schnellabschaltung
KR102014571B1 (ko) 마찰 클러치의 레버형 작동기 및 상기 레버형 작동기의 설계 방법
JP7343147B2 (ja) 動力伝達を係脱するための操作装置及び同操作装置を用いた作業機
KR101943609B1 (ko) 동력 전달 장치
DE966938C (de) UEberlastungssicherung fuer Antriebe, insbesondere fuer Kettenfoerderer u. dgl. in Untertagebetrieben
US1449328A (en) Power-transmission device
US1691062A (en) Steering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