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158B1 -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158B1
KR102089158B1 KR1020180075069A KR20180075069A KR102089158B1 KR 102089158 B1 KR102089158 B1 KR 102089158B1 KR 1020180075069 A KR1020180075069 A KR 1020180075069A KR 20180075069 A KR20180075069 A KR 20180075069A KR 102089158 B1 KR102089158 B1 KR 10208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information
objects
load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937A (ko
Inventor
박찬식
이도엽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서버는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치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for checking safety guideline of construction site and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은 가장 위험한 산업 중 하나이다. 한국 산업 안전 보건 공단(KOSHA)에 따르면, 2016년 건설 업계 사망자는 544명으로 전체 산업의 31.2%를 차지했다.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의 안전 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학계는 안전 관련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KOSHA는 개별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안전 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 관련 콘텐츠(예: 규칙 및 규정, 안전 지침, 멀티미디어 교육 콘텐츠 및 사고 사례 등)를 웹 사이트에서 제공한다.
한편, 건설 현장에서는 산업 재해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지침과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특히, 안전 시설물의 설치 간격, 허용 각도, 허용 중량 등 기술적 사항에 대한 점검은 관리자가 직접 측량기나 줄자 등을 사용하여 관련 규정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소수의 현장 관리자가 현장의 모든 안전 규정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수행하는 것은 물리적 및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여 판단 및 조치를 행해야 하는 사항들을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치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시설물과 관련된 치수 정보인 상기 안전 시설물 간의 설치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미리 규정된 상기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간격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시설물의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미리 규정된 상기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각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객체 A 및 상기 객체 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B의 상부에 상기 객체 A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객체 A의 치수인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객체 A의 밀도 정보와 상기 객체 A의 길이, 폭,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측정하고, 미리 규정된 상기 객체 B에 대한 최대 적재 하중과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 B의 최대 적재 하중이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생성되는 알림 메시지를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며,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치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실시간 이미지를 분석하여 건설 현장의 관련 지침의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규정 위반 사항을 시스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중앙 센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신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부(110) 및 전송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수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건설 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건설 현장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140)는 하기에서 설명할 알림 메시지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저장부(120)는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는 2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허용 치수 정보(일례로, 간격, 길이, 폭, 높이 등), 허용 각도 정보, 밀도 정보, 최대 적재 하중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는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 정보(즉, 공종 정보) 내지 공간 정보와, 상기한 작업의 유형 내지 작업 공간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서버(100)에 포함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30)는 외부 장치에서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한다. 이 때, 객체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자재 또는 도구(장비)일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배경을 삭제하고 전경을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객체 추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세부적으로, 저장부(120)에는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가 CCTV인 경우 CCTV의 위치 정보는 서버(100)에 미리 등록되어 있고, 외부 장치가 단말 장치인 경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는 수신부(110)를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작업 유형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작업 유형이 확인되면, 어떠한 자재 또는 도구가 사용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제어부(130)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한다. 일례로, 확인된 작업 유형이 "방수 공사"인 경우, 일반적으로 방수 공사에는 다수의 도구가 사용되며, 제어부(130)는 상기한 다수의 도구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산출된 치수 및 각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객체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는 비계, 비계 기둥, 사다리, 동바리 등과 같은 안전 시설물일 수 있고, 비계 또는 작업 발판 위에 적재되는 적재물과 같은 자재일 수 있다. 그리고, 치수는 객체의 길이, 폭, 높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안전 시설물과 관련된 치수인 안전 시설물 간의 설치 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간격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 설치된 안전 시설물인 비계 기둥은 규정된 안전 지침이 존재한다. 즉, 비계 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5m 이상 1.8m 이하이고, 장선 방향은 1.5m 이하이며, 띠장 간격은 1.5m 이하이어야 하는 안전 지침 규정이 있으며, 이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비계 기둥들의 간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계 기둥 간의 간격이 미리 규정된 비계 기둥들 간의 허용 간격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계 기둥들의 설치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미리 규정된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각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 설치된 안전 시설물인 사다리는 규정된 안전 지침이 존재한다. 즉,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각도)는 75 ° 이하로 설치하고,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90 ° 이하로 설치하여야 하는 안전 지침 규정이 있으며, 이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사다리의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다리의 각도가 미리 규정된 사다리의 허용 각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다리의 설치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되며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인 객체 A 및 객체 B를 검출하되, 객체 B의 상부에 객체 A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객체 A의 치수인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객체 A의 밀도 정보와 객체 A의 길이, 폭, 높이를 이용하여 객체 A의 하중을 측정하고, 미리 규정된 객체 B에 대한 최대 적재 하중과 객체 A의 하중을 비교하여 객체 B의 최대 적재 하중이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 현장에 설치된 안전 시설물인 작업 발판에는 규정된 안전 지침이 존재한다. 즉, 작업 발판의 최대 적재 하중은 250kg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 안전 지침 규정이 있으며, 이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작업 발판 및 벽돌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작업 발판 및 벽돌들이 인접해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 만약, 작업 발판의 상부에 벽돌들이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적재된 벽돌들의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벽돌의 밀도 정보를 이용하여 적재된 벽돌들의 중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작업 발판의 상부에 적재된 벽돌들의 중량과, 저장부(120)에 미지 저장된 작업 발판의 최대 적재 하중을 비교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작업 발판의 상부에 적재된 벽돌들의 중량이 작업 발판의 최대 적재 하중 보다 작은 경우 안전 지침 규정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작업 발판의 상부에 적재된 벽돌들의 중량이 작업 발판의 최대 적재 하중 보다 큰 경우 안전 지침 규정을 위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되며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알림 메시지는 전송부(140)를 통해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된다. 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확인된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관리자가 건설 현장에 직접 가지 않더라도, 건설 현장에서 획득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자재 또는 도구(장비)의 안전 지침 규정의 준수 여부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이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시로 변하는 현장의 위험 요인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도구와 장비, 자재, 현장의 안전 지침은 형태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해외 건설 현장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상기 방법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 일례로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단계(510)에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 때, 외부 장치는 건설 현장에 설치된 CCTV 또는 현장 작업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는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한다. 여기서, 객체는 건설 현장에 위치한 자재 또는 도구(장비)일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630)에서는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640)에서는 산출된 치수 및 각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객체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안전 시설물과 관련된 치수인 안전 시설물 간의 설치 간격을 산출하고, 단계(640)에서는 산출된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간격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를 산출하고, 단계(640)에서는 산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미리 규정된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각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30)에서는 제어부(130)는 이미지에서 검출되며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인 객체 A 및 객체 B를 검출하되, 객체 B의 상부에 객체 A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객체 A의 치수인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단계(640)에서는 미리 저장된 객체 A의 밀도 정보와 객체 A의 길이, 폭, 높이를 이용하여 객체 A의 하중을 측정하고, 미리 규정된 객체 B에 대한 최대 적재 하중과 객체 A의 하중을 비교하여 객체 B의 최대 적재 하중이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단계(650)에서는 상기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특히, 이미지에서 검출되며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가 안전 지침 규정에 부합하는지 않는 경우, 단계(650)에서는 상기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통해 확인된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 점검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에는 앞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서버(100)에 관한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 점검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2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허용 치수 정보, 허용 각도 정보, 밀도 정보, 최대 적재 하중 정보,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 정보, 공간 정보, 상기 작업의 유형 및 작업 공간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작업 유형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치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객체 A 및 객체 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B의 상부에 상기 객체 A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객체 A의 치수인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객체 A의 밀도 정보와 상기 객체 A의 길이, 폭,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측정하고, 미리 규정된 상기 객체 B에 대한 최대 적재 하중과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 B의 최대 적재 하중이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시설물과 관련된 치수 정보인 상기 안전 시설물 간의 설치 간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미리 규정된 상기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간격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안전 시설물 간의 간격이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 시설물의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미리 규정된 상기 안전 시설물의 허용 각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안전 시설물의 각도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생성되는 알림 메시지를 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에서 수행되며,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에 있어서,
    2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허용 치수 정보, 허용 각도 정보, 밀도 정보, 최대 적재 하중 정보, 건설 현장 내의 복수의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유형 정보, 공간 정보, 상기 작업의 유형 및 작업 공간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수행되는 작업 유형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작업 유형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복수의 객체 중 미리 규정된 안전 지침이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과 관련된 치수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치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가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는 객체 A 및 객체 B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B의 상부에 상기 객체 A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객체 A의 치수인 길이, 폭, 높이를 산출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객체 A의 밀도 정보와 상기 객체 A의 길이, 폭, 높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측정하고, 미리 규정된 상기 객체 B에 대한 최대 적재 하중과 상기 객체 A의 하중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 B의 최대 적재 하중이 상기 규정된 안전 지침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75069A 2018-06-28 2018-06-28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089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69A KR102089158B1 (ko) 2018-06-28 2018-06-28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069A KR102089158B1 (ko) 2018-06-28 2018-06-28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37A KR20200001937A (ko) 2020-01-07
KR102089158B1 true KR102089158B1 (ko) 2020-03-13

Family

ID=6915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069A KR102089158B1 (ko) 2018-06-28 2018-06-28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907A (ja) * 2007-05-21 2009-01-08 Sekisui Chem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解析モデル、構造解析システム、構造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耐震性能評価システム
KR101175769B1 (ko) * 2012-04-02 2012-08-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구조물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736B1 (ko) * 2014-10-10 2016-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3907A (ja) * 2007-05-21 2009-01-08 Sekisui Chem Co Ltd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解析モデル、構造解析システム、構造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耐震性能評価システム
KR101175769B1 (ko) * 2012-04-02 2012-08-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구조물 안전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37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13B1 (ko)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1630171B1 (ko)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한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20180122246A (ko) 물류 창고 내 이상 상황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089158B1 (ko)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hoi et al. A risk estimation approach based on deep learning in shipbuilding industry
KR20170081880A (ko) 선박 건조 현장의 안전 관리 정보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WO202223520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hazard and for determining construction site progress
Lim et al. Computer vision process development regarding worker’s safety harness and hook to prevent fall accidents: focused on system scaffolds in South Korea
KR101544500B1 (ko)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US9157248B2 (en) Danger zone detection in building models
CN115344920B (zh) 一种施工卸料平台模型的计算方法
CN116644962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建筑施工监理用风险评估方法及装置
CN111062595A (zh) 代加工产品的验收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hoi et al. Developing safety checklists for predicting accidents
Khan et al. Towards the adoption of vision intelligence for construction safety: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safety regulations analysis
KR102360573B1 (ko)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KR101734875B1 (ko) 방사선 환경에서의 비관리 작업자에 대한 관리 방법
CN114580877A (zh) 一种工程监理安全监控方法和系统
CN114819878A (zh) 燃气工程的作业示险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介质
KR102332516B1 (ko) 터널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방법
KR101501904B1 (ko)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한 굴진면 변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5879900B (zh) 基于实名制信息的施工场地人员管理方法、装置和介质
KR102626516B1 (ko) 휴대용 가스 검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이용한 작업 현장 가스 검출 및 관리 방법
CN117780446B (zh) 针对煤矿支护的安全性能监测方法及系统
Søvde Algorithms for estimating the suitability of potential landing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