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500B1 -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500B1
KR101544500B1 KR1020140000273A KR20140000273A KR101544500B1 KR 101544500 B1 KR101544500 B1 KR 101544500B1 KR 1020140000273 A KR1020140000273 A KR 1020140000273A KR 20140000273 A KR20140000273 A KR 20140000273A KR 101544500 B1 KR101544500 B1 KR 10154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rror
objects
unit
draw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789A (ko
Inventor
변영수
강경진
문정화
장대권
허재민
문종모
서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00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00B1/ko
Priority to PCT/KR2014/000123 priority patent/WO2015102141A1/ko
Publication of KR2015008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정보 등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도면 정보로부터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각 부재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의 도면 표기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각 부재들의 규격 정보와, 상기 도면 객체들 각각의 도면 표기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들의 도면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DETECTING OF DRAW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정보 등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도면 정보로부터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D라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CAD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사람이 직접 손으로 하던 작업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도면이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를 하는 경우에도, 얼마든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도면이 비록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것이라고 할지라도, 실제로 상기 컴퓨터를 조작하는 사람의 실수나 컴퓨터 상의 에러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실수 또는 에러는, 차후에 상기 도면에 근거하여 구조물등이 건축될 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미리 발견 및 수정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미 컴퓨터로 이미 작성이 완료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완성된 도면 정보를 직접 검사하기 위한 과정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구조물등을 건축하는 경우, 지켜야할 무수히 많은 법률 상의 규제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물등의 규제는 구조물의 안전 및 공익을 위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으로, 미리 상기 구조물등의 설계시에 이러한 규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컴퓨터를 조작하여 도면을 작성하는 사람의 실수등으로 이러한 규제가 고려되지 않은 부분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자주 변경되는 규제의 특성상 사용자가 변경된 건축 규제를 미처 적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면을 작성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이 완성된 경우에도, 상기 도면이 법률 상의 규제에 어긋난 부분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더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도면 정보에 대해, 보다 쉽고 간단하게 표기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성된 도면 정보에, 법률 상의 규제에 어긋난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도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각 부재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의 도면 표기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각 부재들의 규격 정보와, 상기 도면 객체들 각각의 도면 표기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들의 도면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과, 상기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규격, 위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각 도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외력 및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도면 객체들의 개수와 위치, 그리고 상기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된 외력 및 하중에 대한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구조계산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류가 검출된 객체를 포함하는 도면 및, 상기 오류가 검출된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방법은, 입력된 도면 정보로부터 각 부재들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하고. 각 부재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 및 각 부재에 대응되는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각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각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도면 객체 별로,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상기 규격 정보와,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표기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들의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 단계는,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법률상 규제에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규격, 위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도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 단계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에 근거하여,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외력 및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의 위치와 개수 및 규격에 근거하여 상기 외력 및 하중에 대한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구조 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한 도면 및, 상기 오류가 발생한 도면 객체가,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도면 및 다른 도면 객체와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컴퓨터 설계 수단과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부재에 대응되는 규격과 다르게 표기된 도면상의 객체를 검출함으로써, 사람이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 직접 하나하나 검사하지 않더라도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의 표기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각 도면객체들의 규격 및 위치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도면이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보다 쉽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도면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오류가 검출된 부분 및 해당 도면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기 설정된 법률상 규제에 근거하여 도면 정보의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입력된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구조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CAD등의 방식을 통해 도면 정보가 완성되면, 완성된 도면 정보로부터, 부재들에 대한 규격 및 각 부재들에 대한 고유부호(이하 부재 부호라고 칭한다)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도면으로부터,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객체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각 도면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에 근거하여 상기 도면객체들의 부재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부재목록정보로부터 상기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규격을 확인하고, 상기 도면객체들이 상기 부재목록정보에 기재된 규격에 부합되게 표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표기 정보가 잘못된 도면객체가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입력부(102), 부재목록정보 추출부(104), 도면 객체 분석부(106), 메모리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02)는 도면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도면 정보라고 하는 것은, 컴퓨터 설계 방식을 이용하여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컴퓨터 설계 방식,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도면 파일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02)에서 도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부재목록정보 추출부(104)를 통하여, 입력된 도면 정보로부터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부재목록정보'라는 것은,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부재들에 대한 상세 정보, 즉 각 부재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 및 각 부재들의 규격, 즉 길이나 두께, 크기 및 재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목록정보'는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부재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람도, 또는 배근도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부재'라는 것은,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나 단위재, 상기 예상 구조물의 골조를 구성하는 기둥이나 보, 지붕틀 구조 등에 대한 재료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재목록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 분석부(106)를 통해,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들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 객체 분석부(106)는 각 도면에 포함된 도면 객체들로부터, 상기 도면 객체들의 표기 상태, 예를 들어 현재 축척에 대응되는 상기 도면 객체의 가로나 세로의 치수 또는 점 또는 선이나 면의 두께, 넓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객체라는 것은 도면을 구성하는 점, 선 또는 면으로 구성되는 도면상의 객체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 상에 기재된 기둥이나 벽, 또는 문 등이 이러한 도면 객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 객체들은 각각 고유의 부재 부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 객체 분석부(106)는 각각의 도면으로부터 도면 객체들을 확인하고, 상기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도면으로부터 분석된 각각의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와,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제어부(100)에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연결된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객체 분석부(106)로부터 상기 분석된 각각의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 및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도면 객체 분석부(106)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부재목록정보 추출부(104)로부터,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추출된 부재목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재목록정보는 각 부재들에 대한 규격 및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포함하는 정보임을 상술한 바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부재목록정보로부터, 상기 분석된 각각의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규격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검출된 규격과 상기 도면의 표기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동일한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따른 부재의 가로 세로 치수와, 상기 분석된 도면 객체로부터 확인된 도면 객체의 가로 세로 치수를 서로 비교하여,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가 부재목록정보에 기재된 규격과 다른지, 즉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객체가 기 설정된 법률상 규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소음 규제를 위해 기둥식 아파트의 경우 바닥 기준을 150mm, 벽식 구조의 경우 210mm로 제한하는 규제가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도면에 포함된 "바닥재"도면 객체의 부재 부호에 따라 상기 "바닥재"의 규격을 상기 부재목록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바닥재"의 두께가 150mm(기둥식 아파트의 경우) 또는 210mm(벽식 아파트의 경우)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바닥재"가 규제에 적합한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00)는,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 객체들이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법률상 규제에 부적합한 도면 객체가 있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표기 상태 오류 또는 법률상 규제에 적합하지 않은 도면 객체를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각의 도면 객체가 가지는 해당 도면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 중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거나 건축 규제에 적합하지 않은 도면 객체를 별도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비록 표기에 오류가 없는 경우라도, 법률 규제상 반드시 있어야할 구조물(예를 들어 고층 건물에서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이 대응되는 도면에 없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법률상 규제상 필요한 부분을 별도로 표시하여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컴퓨터 설계 도구와 연동하여, 상기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 부분 또는 상기 법률상 규제에 부합되지 않는 부분을 사용자가 바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108)는 제어부(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부재목록정보, 분석된 도면 객체에 관련된 정보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08)는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대한 정보들을 메모리부(108)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 표기 상태의 오류 여부 및 도면을 구성하는 각 도면 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출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컴퓨터 설계 도구와 연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정된 도면 객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도면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오류가 검출된 부분 및 해당 도면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하는 도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부재목록정보 추출부(104)를 제어하여 입력된 도면 정보로부터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한다(S200). 여기서 상기 도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 정보는 완성된 하나의 구조물 전체, 즉 구조물의 각 층 및 각 부분에 대한 모든 도면을 포함하는 도면 파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재목록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들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분석한다(S202). 여기서 도면 객체라는 것은, 도면 요소라고도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 설계 수단, 예를 들어 Auto CAD등에서, 작성, 조작 및 수정을 위하여 고유의 좌표 정보를 가지는 단일 요소로 취급되는 문자, 치수, 선, 원, 도형 또는 폴리선(Polyline)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를 말하는 것이다.
제어부(100)는 상기 S202 단계에서, 각각의 도면에 포함된 도면 객체에 대해 분석한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S202 단계에서, 각 도면에 포함된 도면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각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확인할 수 있다(S204).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도면 객체들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텍스트를 검출하고 이를 부재 부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에 기 설정된 지시선에 의해 지정된 텍스트를 상기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로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각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가 인식되면, 제어부(100)는 각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도면 객체들의 표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206).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도면 객체들이 도면에 표기된 가로, 세로 치수 또는 두께나 길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들의 표기 상태가 확인되면, 도면 객체의 도면 표기 상태가,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8).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도면 객체들의 부재 부호를 확인하고, 상기 S200 단계에서 추출된 부재목록정보로부터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각 부재의 규격과, 상기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가 부재목록정보에 포함된 규격에 맞게 표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도면 정보로부터, 도 3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은 도면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도면에 포함된 각 도면 객체들을 분석하고,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 및 도면 표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300)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로 'C2'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도면 객체(300)에 대응되는 도면 표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도면 객체(300)에 대한 표기 상태를 확인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도 3a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도면 객체들에 대한 치수가 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현재 도면에 설정된 축적 정보에 근거하여, 각 도면 객체에 대한 표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300)가 표기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비록 치수가 기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도면 객체(300)의 표기 상태를 확인하여, 가로 200mm, 세로 300mm로 표기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부재 부호(C2 : 302)를 상기 도면 객체(300)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로 인식하고, 부재목록정보로부터 상기 부재 부호 'C2'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된 부재 부호 'C2'의 규격과 상기 도면 객체(300)가 표기된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300)가 올바르게 표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목록정보에 포함된 상기 'C2'의 규격이 단면이 가로 200mm, 세로 300mm를 가지는 부재인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규격과 상기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도면 객체(300)의 표기 상태가 일치하므로, 상기 도면 객체(300)가 올바르게 표기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 부재목록정보에 포함된 상기 'C2'의 규격이, 단면이 가로 200mm 세로 200mm를 가지는 부재인 경우, 즉,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과, 상기 도면 객체(300)의 표기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객체(300)의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S208 단계의 판단 결과, 이처럼 표기 상태가 부적합한 도면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표기 상태가 부적합한 도면 객체가 검출된 경우, 부적합한 도면 객체가 포함된 도면 및 상기 표기가 부적합한 도면 객체를 표시하여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12). 그러나 상기 S210 단계에서 표기 상태가 부적합한 도면 객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표기 상태가 적합함을 상기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14).
도 3c는 이처럼 표기가 부적합한 도면 객체가 검출된 경우, 이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표기에 오류가 있는 도면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도면 표기에 오류가 있는 도면 객체를 해당 도면에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도 3c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별도의 그래픽 객체(350)를 이용하여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기 설정된 컴퓨터 설계 수단과 연동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상기 도 3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표기상 오류가 있는 도면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컴퓨터 설계 수단과 바로 연동하여 상기 오류가 발생한 도면 객체를 사용자가 바로 수정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표기상 오류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법률 규제 상의 오류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 객체가, 기 설정된 법률상 규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오류로 검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기 설정된 건축 규제에 근거하여 도면 정보의 적합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S208 단계에서, 확인된 각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표기 상태가,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08)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규제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S400).
이러한 규제 정보는 다양한 법률상의 규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법률상의 규제들은, 예를 들어 주택단지 안 또는 옥외에 설치하는 계단의 치수에 대한 규제를 포함하는 "주택 건설 기준등에 관한 규정(계단, 복도, 난간)"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장애인용 승강기의 크기 등에 대한 규제를 포함하고 있는 "편의 시설의 구조, 재질 등에 관한 세부 기준"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건축 규제 정보는 주차장의 필요 너비 및 필요 길이에 대해 제한을 포함하는 "주차장법 시행 규칙"이 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다양한 법률상의 규제들을 "건축 규제"라고 칭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08)에는 이러한 다양한 건축 규제에 대한 정보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메모리부(108)에 이러한 건축 규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S400 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건축 규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 규제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선택된 규제 정보에 부합되는 도면 및 해당 도면에서 상기 선택된 건축 규제 정보에 부합되는 도면 객체를 도면 정보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S402).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선택된 건축 규제 정보가, "주택 건설 기준등에 관한 규정(계단, 복도, 난간)"인 경우, 도면 정보로부터 "계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도면으로부터 "계단"에 대응되는 도면 객체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및 부재목록정보에 포함된 부재 또는 상기 부재로 구성되는 도면 객체(예를 들어 부분 구조물)의 도면 표기 상태가, 상기 선택된 건축 규제 정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4). 즉, 제어부(100)는 상기 건축 규제가 "계단"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S404 단계에서, 도면 정보에 포함된 "계단"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 및 상기 도면 객체(예를 들어 부재)의 규격이, 상기 건축 규제 정보, 예를 들어 주택 건설 기준등에 관한 규정(계단, 복도, 난간)"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효 폭과 단 높이, 그리고 단 너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S40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도면 객체가 상기 건축 규제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도면 정보가 적합함을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08). 그러나 만약 상기 S40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도면 객체가 상기 건축 규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건축 규제에 관련된 도면 객체들 중 상기 건축 규제에 적합하지 않은 규격으로 표기된 것이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도면 정보가 현재 설정된 건축 규제에 적합하지 않음을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건축 규제에 부합되지 않는 도면 객체를 포함하는 도면에, 상기 건축 규제 정보 및, 상기 부합되지 않는 도면 객체가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이를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S406).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c)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건축 규제에 부적합한 도면 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00)는 부적합한 도면 객체 주변에, 별도의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다른 도면 객체와 구분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부적합한 도면 객체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해당 도면 객체가 현재 선택된 건축 규제에 부적합함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 객체가 건축 규제에 부적합한 것뿐만 아니라, 건축 규제상 반드시 있어야 하는 구조물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도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경우에, 전용면적의 비율에 따라 반드시 필요한 주차장 면적이 미리 법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층의 평면도로부터 각 층의 전용면적의 총 합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정보로부터,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주차장 면적이, 건축 규제에 지정되어 있는 상기 전용면적의 총합에 대응되는 주차장 면적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이를 오류로서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으로 건축 규제상으로 지정된 구조물, 예를 들어 장애인용 승강기 또는 고층 건물의 경우에 비상 탈출용 안전 장치 등에 대응되는 도면 객체가 도면 정보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이를 오류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입력된 도면 정보에 대해, 보다 쉽고 빠르게 도면 표기상 오류뿐만 아니라, 기 저장된 건축 규제에 부적합한 도면 객체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이러한표기상 오류나 건축 규제의 적합 여부 뿐만 아니라, 구조 설계상 오류를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는, 입력된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구조 계산을 통해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 입력된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구조 계산을 더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의 제어부(100)는, 상기 S208 단계에서, 확인된 각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표기 상태가,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도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외력을 측정할 수 있다(S5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로부터, 각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재들의 하중과,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예측될 수 있는 예상 구조물의 높이와 면적 등, 예상 구조물의 크기로부터 상기 예상 구조물의 외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이, 6개의 층과 2개의 지하로 구성된 평면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되는 예상 구조물이 지상 6층, 지하 2층에 달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각 층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의 총 지상 높이 및 총 지하 깊이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물의 크기 및 높이에 따른 통상적인 외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각 층별 도면에 포함된 도면 객체들의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총 하중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도면 객체들, 예를 들어 기둥이나 벽의 두께, 기둥의 개수, 및 상기 기둥이나 벽의 위치등에 근거하여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할 수 있다(S502).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객체들의 개수나 위치, 그리고 재질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500 단계에서 측정된 하중 및 외력에 대한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도면 객체들의 개수나 위치, 그리고 재질등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예측되는 구조물의 응력(외력에 저항하는 힘)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및, 반력(하중에 저항하여 평형을 유지하는 힘)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를 상기 S502 단계에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S502 단계에서 측정된 안전성 측정 결과, 즉 구조 계산 결과를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S504).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에서는, 도면 표기 오류와 건축 규제 상 적합하지 않은 경우 뿐만 아니라, 입력된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에 대한 구조 계산 결과, 외력에 대한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 역시 도면 정보 오류로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어부 102 : 입력부
104 : 부재목록정보 추출부 106 : 도면 객체 분석부
108 : 메모리부 110 : 표시부

Claims (10)

  1. 삭제
  2. 컴퓨터 설계방식을 이용하여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과 부재목록정보를 포함하는 도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각 부재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도면 객체들을 분석하여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 및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부호를 분석하는 도면객체 분석부;
    도면 표기상태의 오류 여부 및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출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및
    상기 도면 객체 분석부에서 분석한 도면 객체의 표기상태 및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부호와, 상기 추출부에서 검출된 각 부재들에 대한 규격 및 대응되는 부재부호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된 규격과 상기 도면객체의 표기상태를 비교하여, 도면 객체들의 도면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가 있는 객체의 도면상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오류가 검출된 객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면 정보에 대응되는 예상 구조물의 외력 및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도면 객체들의 개수와 위치, 그리고 상기 도면 객체들에 대응되는 부재의 규격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된 외력 및 하중에 대한 상기 예상 구조물의 안전성을 측정하는 구조계산을 수행하는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과, 상기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입력된 컴퓨터 설계방식을 이용하여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포함하는 도면 정보로부터 각 부재들의 규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재목록정보를 추출하고. 각 부재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 및 각 부재에 대응되는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도면 정보에 포함된 각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각 도면 객체에 대응되는 부재 부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각 도면 객체의 표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도면 객체 별로,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상기 규격 정보와, 상기 부재 부호에 대응되는 표기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도면 객체들의 표기 상태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출하고, 기 설정된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오류가 발생한 도면 및, 상기 오류가 발생한 도면 객체가,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도면 및 다른 도면 객체와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오류검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검출 단계는,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도면 정보로부터, 상기 선택된 법률상 규제에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고, 선택된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을 구성하는 도면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규격, 위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도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법률상 규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 정보 오류 검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00273A 2014-01-02 2014-01-02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54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73A KR101544500B1 (ko) 2014-01-02 2014-01-02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0123 WO2015102141A1 (ko) 2014-01-02 2014-01-07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73A KR101544500B1 (ko) 2014-01-02 2014-01-02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89A KR20150080789A (ko) 2015-07-10
KR101544500B1 true KR101544500B1 (ko) 2015-08-13

Family

ID=534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273A KR101544500B1 (ko) 2014-01-02 2014-01-02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4500B1 (ko)
WO (1) WO2015102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854B1 (ko) * 2019-02-20 2021-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학습 데이터 생성 방법 및 학습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416503B1 (ko) * 2020-02-17 2022-07-06 (주)나라기술단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조명기구 설치를 위한 설계 도면 모듈화 시스템
KR102521467B1 (ko) * 2022-03-31 2023-04-14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선박설계 도면 간 차이 검출 장치
CN117172042B (zh) * 2023-06-05 2024-01-23 北京求解科技有限公司 基于计算机辅助设计的构件校验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670A (ja) * 2001-06-18 2002-12-26 Data Planet Kk 屋根施工支援システム
KR100443289B1 (ko) * 2003-09-09 2004-08-09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27968A1 (en) 2006-07-27 2008-01-31 Autodesk, Inc. Analysis Error Detection for a CAD Mod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107B2 (ja) * 1993-07-02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図面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5275596A (ja) * 2004-03-23 2005-10-06 Calsonic Kansei Corp Cadモデル異常箇所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670A (ja) * 2001-06-18 2002-12-26 Data Planet Kk 屋根施工支援システム
KR100443289B1 (ko) * 2003-09-09 2004-08-09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류검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27968A1 (en) 2006-07-27 2008-01-31 Autodesk, Inc. Analysis Error Detection for a CAD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89A (ko) 2015-07-10
WO2015102141A1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00B1 (ko) 도면 정보 오류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9992901B (zh) 建筑物的楼梯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Zhang et al. BIM-based fall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construction safety planning
KR101335109B1 (ko)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US7591073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door gaps
US201302045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of building floor area
JP5798632B2 (ja) 現場管理方法および現場管理装置
KR101568958B1 (ko)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법규 사전검토 방법
Gaião et al. Inspection and diagnosis of gypsum plasterboard walls
Kim et al. Semiautomated scaffolding planning: Development of the feature lexicon for computer application
WO20131161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of building floor area
KR20140052060A (ko) 전자 맵 상의 피처들의 자동화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77322A (ko) 인공지능 기반의 시설물 외관 분석 방법
KR20180021961A (ko) Bim을 이용한 건축 설계 단계의 적법성 자동 검토 방법
JP6075099B2 (ja) 建物の地震による応答値計算システム及び建物の地震による被害調査表作成方法
US9157248B2 (en) Danger zone detection in building models
JPWO2021199241A5 (ja) 分析装置、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96202B1 (ko) 보수 작업 관리 장치
KR20150067983A (ko) 건축 설계 도면 중 일람표의 오류 검색을 위한 분석 방법
JP4875418B2 (ja) 耐震性能評価システム
Li et al. Identifying Falling-from-Height Hazard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s: A Voxelization-Based Method
KR20210054389A (ko)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KR102089158B1 (ko) 건설 현장의 안전 지침을 점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EP3430214B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n industrial plant
CN113844992A (zh) 用于安装电梯门构件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