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68B1 -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 Google Patents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68B1
KR102088168B1 KR1020180054673A KR20180054673A KR102088168B1 KR 102088168 B1 KR102088168 B1 KR 102088168B1 KR 1020180054673 A KR1020180054673 A KR 1020180054673A KR 20180054673 A KR20180054673 A KR 20180054673A KR 102088168 B1 KR102088168 B1 KR 10208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e
rotation
informat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253A (ko
Inventor
정용윤
권승택
Original Assignee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대승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대승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1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가 개시된다.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는, 모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회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인식하고,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전 날개부를 상기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터 커플링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AN AGITATOR COUPLED WITH A LID OF A POT}
본 개시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재료를 조리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팬, 냄비 등과 같은 용기가 사용되며, 부수적으로 주걱이나 젓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 용기는 렌지나 직화로 조리되거나, 혹은 전기를 이용한 가열판(히터)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죽, 카레, 수프 등의 음식물을 냄비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을 계속 저어주지 않을 경우 냄비 내의 가열되는 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어 타기 쉽고 맛도 잘 우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리사는 주걱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계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하므로, 죽, 카레, 수프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힘들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죽, 카레, 수프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한가지 음식을 조리하는데만 집중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죽, 카레, 수프 등의 음식물의 조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리하는 사람이 직접 조리가 이루어질 때까지 연속으로 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따르며, 음식조리에 대한 냄새 특히 탄화되어 발생하는 냄새 제거도 간단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공개특허 10-2017-0127623 공개특허 10-2016-0025837 공개특허 10-2011-0126246 공개특허 10-2017-0028280 공개특허 10-2007-0072750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 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반기에 결합되는 날개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가 개시된다.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는, 모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회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인식하고,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전 날개부를 상기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터 커플링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냄비에서 조리 중인 음식물의 눌러 붙음을 방지하고, 냄비에서 조리 중인 음식물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냄비와 교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모터 커플링에 대한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터 커플링의 하면에 존재하는 체결 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다른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및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 포함된 유동방지부가 냄비에 포함된 손잡이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100)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교반기(100)는 냄비 이외의 조리 기구, 예를 들어, 죽, 수프, 카레 등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조리 기구의 뚜껑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반기(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메모리(130), 전원 공급부(140), 구동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교반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교반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별개의 칩이나 모듈이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입력부(11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교반기(100)의 프레임 상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10)는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일반 죽의 조리와 관련된 제 1 입력부, 전통 죽의 조리와 관련된 제 2 입력부 및 잣 죽의 조리와 관련된 제 3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에 포함된 제 1 입력부, 제 2 입력부 및 제 3 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의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21), 광 출력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1)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메모리(130)에 저장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121)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때,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121)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된 때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1)는 일반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된 때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일반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음향 출력부(121)는 전통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2분)이 경과된 때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전통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음향 출력부(121)는 잣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잣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5분)이 경과된 때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잣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부(122)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메모리(130)에 저장된 광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광 패턴은 빛이 출력되는 위치, 빛이 출력되는 시간 및 빛의 색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조리 시작 신호 수신, 조리 완료 신호 수신, 조리 예약 신호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60)는 특정 시간(예를 들어, 죽 조리 시간) 동안 빛이 출력되도록 광 출력부(122)를 제어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빛이 출력되도록 광 출력부(12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 출력부(122)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때,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 출력부(122)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된 때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출력부(122)는 일반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된 때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노란색 빛 점멸)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 출력부(122)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동안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노란색 빛 점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광 출력부(122)는 전통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2분)이 경과된 때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녹색 빛 점멸)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 출력부(122)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2분) 동안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녹색 빛 점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광 출력부(122)는 잣 죽 모드가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잣 죽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예를 들어, 15분)이 경과된 때 잣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적색 빛 점멸)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 출력부(122)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분) 동안 잣 죽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예를 들어, 적색 빛 점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광 출력부(122)가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광 패턴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력되는 광 패턴만 확인하면 현재 선택된 모드가 어느 모드인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 출력부(122)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는 교반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3)는 교반기(100)에서 조리되는 죽 모드의 실행 상태 정보, 또는 남은 조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3)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죽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3)는, 일반 죽 모드, 전통 죽 모드 및 잣 죽 모드 중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죽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교반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교반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program), 교반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교반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죽 조리 모드에 따른 모터의 회전 정보, 죽 조리 모드에 따른 광 패턴 정보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교반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교반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60)에 의하여 상기 교반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정보는, 회전 시간에 대한 정보,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 및 회전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죽 모드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 전통 죽 모드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 및 잣 중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가 전부 다르게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모드의 회전 정보가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날개부를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한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 및 회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4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교반기(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모터 및 모터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부(150)에는 상술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모터 커플링에 연결된 날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는, BLDC(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모터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죽 모드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날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제어부(160)는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교반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상기 죽 조리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교반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냄비와 교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 커플링에 대한 B-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모터 커플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체결 홈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냄비(200)는 뚜껑(210), 본체(220) 및 손잡이(23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냄비(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냄비(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냄비(200)의 뚜껑(210)은 냄비(200)의 본체(220)에 구비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냄비(200)의 본체(220)의 상면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냄비(200)의 뚜껑(210)은 본체(22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냄비(200)의 손잡이(230)는 본체(220)의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손잡이(230)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2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210)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11)가 구비된 경우, 죽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때 적당한 양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냄비(200) 내부에서 조리되는 재료(예를 들어, 해산물 등)의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켜 냄비(200)에서 조리되는 음식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기(100)는 교반기의 프레임(101), 입력부(110), 광 출력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교반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교반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1)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소재의 플라스틱이 프레임(101)을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101)은 내부에 교반기(100)의 구성 요소들이 실장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01)의 내부에 전원 공급부(140), 모터(151), 모터 샤프트(152), 모터 커플링(153)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서 상술한 입력부(110), 출력부(120), 메모리(130), 구동부(150) 및 제어부(160)의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1)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01)은 일단 및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굴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1)은 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일단 및 타단이 하방을 향하는 'ㄷ'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1)이 'ㄷ' 형상을 가질 경우, 사용자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냄비(200)의 뚜껑(210)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프레임(101)의 상면에는 입력부(110), 광 출력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일반 죽 모드와 관련된 제 1 입력부(111), 전통 죽 모드와 관련된 제 2 입력부(112) 및 잣 죽 모드와 관련된 제 3 입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력부(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제 1 입력부(111), 제 2 입력부(112) 및 제 3 입력부(1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제 1 입력부(111)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일반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 2 입력부(112)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전통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 3 입력부(113)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잣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광 출력부(122)는 일반 죽 모드와 관련된 제 1 광 출력부(122a), 전통 죽 모드와 관련된 제 2 광 출력부(122b) 및 잣 죽 모드와 관련된 제 3 광 출력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 출력부(122)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광 출력부(122)를 가질 수도 있고, 하나의 광 출력부만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광 출력부에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광 패턴이 출력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일반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일반 죽 모드와 관련된 광 패턴이 출력되도록 제 1 광 출력부(122a)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전통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전통 죽 모드와 관련된 광 패턴이 출력되도록 제 2 광 출력부(122b)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잣 죽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잣 죽 모드와 관련된 광 패턴이 출력되도록 제 3 광 출력부(122c)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10), 광 출력부(122) 및 디스플레이부(123)는 프레임(10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쉽게 선택할 수 있고, 현재 선택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프레임(101)의 일단에 냄비의 뚜껑(210)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102)는 나사 산(102a)을 구비할 수 있다.
냄비의 뚜껑(210)은 제 1 결합부(102)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212)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 홀(212)은 뚜껑(2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통 홀(212)은 뚜껑(210)의 중앙 이외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나사 산(102a)이 구비된 제 1 결합부(102)가 냄비 뚜껑(210)의 관통 홀(212)을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 캡(103)이 제 1 결합부(102)에 구비된 나사 산(102a)과 나사 결합하는 경우 교반기(100)의 프레임(101)이 뚜껑(21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결합부(102)와 결합 캡(103)은 날개부(300)가 회전할 때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1)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결합부(102)와 결합 캡(103)이 나사 결합으로 결합된 경우, 제 1 결합부(102) 및 결합 캡(103) 사이에 냄비(200)의 뚜껑(210)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냄비(200)의 뚜껑(210)이 교반기(1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프레임(101)의 타단에는 날개부(300)가 회전할 때 뚜껑(210) 및 교반기(10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104)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104)는 냄비의 손잡이(230)와 끼움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는 프레임(101)의 일 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의 덮개(101a)는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101a) 내부에 전원 공급부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덮개(101a)를 개방하여 전원 공급부(140)를 교반기(100)에서 착탈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가 교반기(100) 내부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원 공급부(140)의 전원이 전부 소진되었을 때 사용자는 전원 공급부(140)를 교체함으로써 교반기(100)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모터 커플링(153)은 모터 샤프트(도 5의 152)가 삽입되는 제 1 체결 홈(153a) 및 회전 축의 일단에 구비된 제 2 결합부(도 5의 311)가 삽입되는 제 2 체결 홈(153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 샤프트(152)는 모터 커플링(153)에 구비된 제 1 체결 홈(도 7의 153a)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커플링(153)의 제 1 체결 홈(도 7의 153a)과 모터 샤프트(152)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모터 샤프트(152)가 제 1 체결 홈(도 7의 15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에 볼트를 결합시킨 경우 모터 샤프트(152)와 모터 커플링(153)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샤프트(152)와 모터 커플링(153)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커플링(153) 및 모터 샤프트(152)는 날개부(300)가 회전할 때 날개부(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터 커플링(153)의 제 2 체결 홈(153b)은 아래에서 바라봤을 때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체결 홈(153b)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는 제 2 체결 홈(153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는 도 13과 같이 위에서 바라봤을 때 도 8과 같은 제 2 체결 홈(153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가 제 2 체결 홈(153b)에 삽입되면, 날개부(300)가 모터 커플링(15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300)는 모터 커플링(153)이 회전할 때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가 제 2 체결 홈(153b)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냄비(200)의 뚜껑(210)을 냄비의 본체(220)로부터 분리하면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도 제 2 체결 홈(153b)과 분리될 수 있다. 즉,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는 제 2 체결 홈(153b)에 고정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날개부(300)가 교반기(100)와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어 날개부(300)의 세척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존재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부(300)가 교반기(1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날개부(300)의 세척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날개부(300)가 교반기(100)와 분리된 경우, 낼개부(300)는 냄비(200)의 본체(220) 내에 직립될 수 있다.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가 모터 커플링(153)의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에 결합되는 과정은 도 16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모터 커플링(153)은 프레임(101)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결합부(102) 및 제 1 결합부(102)에 나사 결합된 결합 캡(103)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모터 커플링(153)이 제 1 결합부(102) 및 결합 캡(103) 내부에 안착되는 경우 음식이 조리할 때 발생되는 습기가 프레임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커플링(153)은 내부가 뚫려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커플링(153)을 죽 조리용 냄비에 결합된 교반기에 사용할 경우 죽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습기가 모터 커플링(153)을 통해 교반기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커플링(153)은 제 1 체결 홈(153a) 및 제 2 체결 홈(153b)이 구비하고 도 7과 같이 제 1 체결 홈(153a) 및 제 2 체결 홈(153b) 사이가 막혀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죽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습기가 모터 커플링(153)을 통해 교반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결합 캡(103)은 모터 커플링(153)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 홀을 통해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날개부(300)의 제 2 결합부(311)가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커플링의 반경은 결합 캡(103)에 구비된 관통 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커플링은 제 1 결합부(102)와 결합 캡(103) 내부에 안착되어 냄비(200)의 본체(220)에서 조리 중인 음식에 의해 발생하는 습기가 교반기(1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커플링(153)과 프레임(101) 및 제 1 결합부(102) 사이에는 모터 커플링(153)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모터 커플링(153)과 프레임(101) 및 제 1 결합부(102) 사이에는 부싱(bushing) 및 베어링(bearing)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 샤프트(152)는 모터(151)와 연결되어 모터(151)의 회전력을 모터 커플링(153)에 전달할 수 있다. 모터 커플링(153)은 모터 샤프트(15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서 모터 커플링(153)에 결합된 날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날개부(320)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320)는 제 1 날개(321) 및 제 2 날개(32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날개부(320)는 3개 이상의 날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날개부(320)의 회전 반경은 냄비(200)의 본체(220) 내부에 형성된 개구의 지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320)는 냄비(200)의 본체(2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20)의 형상은 냄비(200) 본체(220) 내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비(200)의 본체(220)의 내부에 상방으로 굴곡된 굴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날개부(320)의 양쪽 끝단은 굴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기 위해 상방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320)는 냄비(200) 본체(22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날개부(320)의 제 1 날개(321) 및 제 2 날개(322)의 하면은 냄비(200)의 본체(220)의 내부 하면의 표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날개(321) 및 제 2 날개(322)의 하면이 냄비(200)의 본체(220)의 내부 하면의 표면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냄비(200)의 본체(220) 내부 표면에 음식물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다른 일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날개부(300)는 회전 축(310), 복수의 날개(321, 322), 지지부(330) 및 엉킴 방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날개부(3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날개부(3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날개부(3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날개부(300)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 PFA(Poly Fluoro Ethylene) 재질, TFM-PFA(Trifluoromethyl-Poly Fluoro Ethylene) 재질,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날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날개부(300)를 형성하는 재질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날개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부(300)를 테프론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매생이 죽과 같은 죽을 교반할 때 매생이가 날개부(300)의 회전 축(310)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300)의 회전 축(310)은 모터 커플링(도 6의 153)과 결합될 수 있는 제 2 결합부(311)가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300)의 타단에는 날개부(300)가 냄비(200) 내부의 본체(220)에 직립할 수 있도록 날개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1)의 형상은 도 7 및 도 8의 모터 커플링(153)의 제 2 체결 홈(153b)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311)가 모터 커플링(153)의 제 2 체결 홈(153b)에 삽입되면 날개부(300)가 모터 커플링(15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부(330)는 회전 축(310)의 직경(b2)보다 긴 회전 반경(b1)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330)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330)의 장 반경(b1)의 길이는 복수의 날개의 하면에 구비된 지지면(321c, 322c)의 폭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30)는 날개부(300)가 냄비(200) 내부의 본체(220)에 직립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날개부(300)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00)에 포함된 날개의 개수는 2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날개부(300)에 포함된 날개는 2개라고 가정하고 이하 설명한다.
날개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날개(321, 322)는 회전 축(310)의 수직 방향 양측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날개(321, 322) 각각은 삼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321, 322) 각각은 회전 축(310)에 평행한 일면(321a, 322a), 회전 축(310)에 대해 경사진 타면(321b, 322b) 및 일면과 타면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 축에 수직한 지지면(321c, 322c)을 포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제 1 날개(321)에는 시계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축(310)에 평행한 일면(321a) 및 반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축(310)에 경사진 타면(321b)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축(310)에 평행한 일면(321a)이 반시계 방향을 향하고, 회전 축(310)에 경사진 타면(321b)이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날개(321)의 저면에 회전 축(310)과 수직한 지지면(321c)이 일면(321a)과 타면(321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 날개(322)에는 시계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시계 방향을 향하여 구비되는 회전 축(310)에 평행한 일면(322a) 및 반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축(310)에 경사진 타면(322b)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 축(310)에 평행한 일면(322a)이 반시계 방향을 향하고, 회전 축(310)에 경사진 타면(322b)이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날개(322)의 저면에 회전 축(310)과 수직한 지지면(321c)이 일면(322a)과 타면(322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321, 322) 각각에 구비된 지지면(321c, 322c)이 구비되어 날개부(300)의 지지부(330)와 함께 날개부(300)가 냄비(200) 내부의 본체(220)에 직립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죽과 같은 음식물을 교반할 때, 제 1 날개(321) 및 제 2 날개(322)에 구비된 경사진 면을 타고 음식물이 넘어가는 경우 음식물이 골고루 혼합될 수 있어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교반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300)를 교반기에 결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의 맛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엉킴 방지부(340)는 회전 축(3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날개(321,322) 를 통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엉킴 방지부(340)의 회전 반경(c1)은 복수의 날개(321, 322)의 회전 반경(c2)보다 짧을 수 있다. 엉킴 방지부(340)의 회전 반경(c1)은 회전 축(310)의 직경(b2)보다 길 수 있다. 그리고, 엉킴 방지부(340)의 길이(a1)는 회전 축(310)의 길이(a2)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엉킴 방지부(340)는 지지부(300)에 평행한 일 단면이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반기를 이용하여 매생이 죽과 같은 음식물을 교반하는 경우, 매생이가 회전 축(310)에 엉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축(310)의 외주면에 엉킴 방지부(340)가 구비되어 매생이 죽과 같은 음식물을 교반할 때 매생이가 회전 축(310)에 엉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엉킴 방지부(340)는 날개부(300)의 회전 축(310) 주변의 질량을 증가시켜 날개부(300)가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 포함된 유동방지부가 냄비에 포함된 손잡이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교반기(100)는 일단이 냄비의 뚜껑과 결합되고 굴곡된 형상을 갖는 프레임(1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1)은 타단에 유동방지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01)의 일단 및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굴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유동방지부(104)는 하부가 개구된 'ㄷ' 형상을 포함하고 냄비(200)의 손잡이(230) 좌우를 감싸 안착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104)의 'ㄷ' 형상은 손잡이(23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방지부(104)의 'ㄷ'형상의 개구 폭의 길이는 냄비(200)의 손잡이(230) 좌우 폭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교반기(100)가 결합된 냄비(200)의 뚜껑(210)을 본체(220)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유동방지부(104)가 냄비(200)의 손잡이(230)에 끼움 결합시켜 뚜껑(210)을 본체(220)상에 안착 시킬 수 있다. 유동방지부(104)는 냄비(200)의 손잡이(230)에 끼움 결합되어 냄비(200)의 손잡이(230) 좌우를 감싸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230)에 유동방지부(104)가 고정 결합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는 교반기(100)를 들어올려 언제든지 유동방지부(104)를 손잡이(230)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유동방지부(104)를 손잡이(230)에 안착시키는 경우 날개부(300)가 회전할 때 교반기(100) 및 냄비(200)의 뚜껑(210)이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교반기(100)를 통해 조리 중인 음식을 교반시킬 때 교반기(100)를 계속 잡고 있을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10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여러 음식들을 같이 조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냄비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는 모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150),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는 각각의 모드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 각각의 모드의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각각의 모드의 회전 시간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모드의 회전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는 날개부가 회전하는 중간에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회전 대기 시간을 날개부의 회전 중간에 배치시키는 경우, 죽과 같은 음식물을 교반할 때 죽의 엉김 상태가 과도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회전 정보는 복수의 모드 각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모드는 일반 죽 모드, 전통 죽 모드 및 잣 죽 모드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죽과 전통 죽은 조리하는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교반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잣 죽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응고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응고 현상이 발생하는 시점에 회전 속도가 높아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 죽, 전통 죽 및 잣 죽 각각에 따른 회전 정보는 메모리(130)에 서로 다르게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10).
제어부(160)는 단계(S110)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이 제 1 회전 속도(예를 들어, 30rpm)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제 1 회전 속도는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이 회전하면서 날개부에 구비된 제 2 결합부(도 9의 311)에 결합할 수 있을 만큼 느린 속도일 수 있다.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하던 중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의 형상이 날개부의 일단에 구비된 제 2 결합부(도 9의 311)의 형상에 대응하게 된 때,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에 제 2 결합부(도 9의 311)가 삽입되면서 모터 커플링(도 7의 153)과 날개부(도 6의 3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 중에 제 2 결합부(도 도 9의 311)가 제 2 체결 홈(도 7의 153b)에 삽입됨으로써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이 제 2 결합부(도 9의 311)와 결합하게 된다.
사용자는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의 뚜껑을 날개부가 놓여진 냄비의 본체에 올려 놓고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날개부가 교반기에 결합되어 조리가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계(S120)에서 제 1 회전 속도로 모터 커플링(도 7의 153)을 회전시키면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30).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인식한 경우(S130, No). 계속해서 모터 커플링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인식한 경우(S130, Yes), 메모리(130)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140). 그리고, 제어부(160)는 단계(S140)에서 인식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날개부가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150).
즉,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회전 속도로 모터 커플링이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 커플링에 결합된 날개부가 회전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일반 죽 모드인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회전 속도로 모터 커플링을 회전시켜 날개부를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 중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회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날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전통 죽 모드인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회전 속도로 모터 커플링을 회전시켜 날개부를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 중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회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 2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날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회전 정보는 제 1 회전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잣 죽 모드인 제 3 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회전 속도로 모터 커플링을 회전시켜 날개부를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 중 제 3 모드에 대응하는 제 3 회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 3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날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회전 정보는 제 1 회전 정보 및 제 2 회전 정보와 상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을 수신한 후 입력된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된 때 입력된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제 1 입력을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제 1 입력을 수신한 후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된 때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일반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출력부(121)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 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제 2 입력을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제 2 입력을 수신한 후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 시간(예를 들어, 12분)이 경과된 때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전통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부(160)는 제 3 모드를 선택하는 제 3 입력을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제 3 입력을 수신한 후 제 3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 시간(예를 들어, 15분)이 경과된 때 제 3 모드에 대응하는 알람(예를 들어, "잣 죽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는 특정 음 등)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람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리 중인 음식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에 있어서,
    모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구동부;
    복수의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회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광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회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인식하고,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전 날개부를 상기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터 커플링이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입력을 통해 선택된 상기 제 1 모드와 대응하는 제 1 광 패턴이 출력되도록 상기 광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날개부는,
    회전 축;
    복수의 날개;
    상기 날개부가 상기 냄비 내부의 본체에 직립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축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통해 교반되는 음식물이 상기 회전 축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에 평행한 일 단면이 다이아몬드 형상인 엉킴 방지부;
    를 포함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플링은,
    일단에 제 1 형상의 체결 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축은,
    상기 제 1 형상에 대응하는 제 2 형상을 갖는 결합부를 일 단에 구비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플링이 상기 제 1 회전 속도로 회전 중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모터 커플링이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 1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정보는,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회전 시간에 대한 정보 및 회전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알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시간이 경과된 때 상기 제 1 모드에 대응하는 제 1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제 1 모드와 상이한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제 2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회전 정보 중 상기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회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인식하고,
    상기 제 2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전 날개부를 상기 모터 커플링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터 커플링이 제 2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커플링이 상기 날개부와 결합된 후 상기 제 2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정보는,
    상기 제 1 회전 정보와 상이한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 회전 속도에 대한, 정보 회전 시간에 대한 정보 및 회전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알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시간이 경과된 때 상기 제 2 모드에 대응하는 제 2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KR1020180054673A 2018-05-14 2018-05-14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KR10208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673A KR102088168B1 (ko) 2018-05-14 2018-05-14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673A KR102088168B1 (ko) 2018-05-14 2018-05-14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53A KR20190130253A (ko) 2019-11-22
KR102088168B1 true KR102088168B1 (ko) 2020-03-13

Family

ID=6873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673A KR102088168B1 (ko) 2018-05-14 2018-05-14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551281U (zh) * 2020-06-09 2021-06-29 即时品牌公司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333A (zh) * 2014-05-13 2014-07-30 林锦坚 一种多功能食物料理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124A (ko) * 1996-12-13 1998-09-15 배순훈 믹서기의 동작완료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742606B1 (ko) 2006-01-02 2007-07-25 김홍배 분리형 거름망을 가진 복합 조리 장치
KR20110126246A (ko) 2010-05-17 2011-11-23 장미 열전발전소자를 이용한 스스로 젓는 냄비
KR20150052545A (ko) * 2013-11-06 2015-05-14 이준성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US9943190B2 (en) * 2014-08-08 2018-04-17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25837A (ko) 2014-08-28 2016-03-09 홍선용 배출 증기를 이용한 음식물 교반장치
KR20170028280A (ko) 2015-09-03 2017-03-13 김재원 자동조리장치의 자동조리방법 및 그 과열방지방법
KR20170127623A (ko) 2016-05-12 2017-11-22 유우홍 태엽을 이용한 교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8333A (zh) * 2014-05-13 2014-07-30 林锦坚 一种多功能食物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53A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5768B1 (en) Automated stir frying machine
JP5857157B2 (ja) 液体食料品を攪拌するための装置
US9700172B2 (en) Heating cooker
JP2011056269A (ja) 加工装置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17501833A (ja) スタンドミキサー装置における改善またはスタンドミキサー装置に関する改善
JP5079120B1 (ja) 炊飯器
KR102088168B1 (ko) 냄비의 뚜껑에 결합되는 교반기
KR102088176B1 (ko) 냄비의 뚜껑에 결합된 교반기
CN105125053A (zh) 厨房用具和使用该厨房用具的方法
JP5693342B2 (ja) 炊飯器
KR102088172B1 (ko) 교반기에 결합되는 날개부
KR102088174B1 (ko) 교반기 및 교반기가 결합된 냄비
JP6405813B2 (ja) 電動調理器
US7337712B1 (en) Vessel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excess oil from deep fried foods disposed therein before the sauteing thereof
JP2012223245A (ja) 炊飯器
JP2012223494A (ja) 炊飯器
JP5690897B1 (ja) 加熱調理器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JP2012125467A (ja) 炊飯器
JP6054082B2 (ja) 加熱調理器
CN208551200U (zh) 电压力锅
JP6007038B2 (ja) 加熱調理器
JP5894034B2 (ja) 加熱調理機
KR200495983Y1 (ko) 팝콘 제조 장치
CN212089223U (zh) 容器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