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120B1 - 카트 - Google Patents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120B1
KR102088120B1 KR1020187016519A KR20187016519A KR102088120B1 KR 102088120 B1 KR102088120 B1 KR 102088120B1 KR 1020187016519 A KR1020187016519 A KR 1020187016519A KR 20187016519 A KR20187016519 A KR 20187016519A KR 102088120 B1 KR102088120 B1 KR 10208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basket
ca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882A (ko
Inventor
쇼지 후지이
신이치 엔자와
다쿠야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Publication of KR2018008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bstract

[과제] 앞팔 지지대에 체중을 걸고 있지 않을 때에, 전륜이 단차에 닿아서, 진행 방향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한 카트.
[해결수단] 한 쌍의 전륜과 후륜을 좌우 및 전후로 소정 거리 이간하여 고정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과, 각 지지 프레임(13)에 고정되며 이들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륜측으로 각도 θ1로 경사지게 한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과, 양 지주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지고 앞팔 지지대(19)를 마련한 핸들 프레임(16)과, 전륜측으로 돌출한 바구니대(20)를 구비하며, 각 지주 프레임(15)은, 각 지지 프레임(13)에 중간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세워 마련되고, 앞팔 지지대(19)가 각 후륜(12)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전방 진행 방향으로 마련되며, 또한 전륜(11)은 바구니대(20)의 대략 중심점을 통과하여 수하하는 가상 수하선(P1)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
본 발명은, 카트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앞팔 지지대를 가지며, 이것에 앞팔이나 팔꿈치를 얹고 보행 훈련이나 쇼핑 등을 하는데 적합한 카트에 관한다.
본 출원인 중 일부는, 종전, 쇼핑 센터 등에서 쇼핑을 하면서 보행 훈련을 행할 수 있는 쇼핑 카트를 개발하고, 그 발명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였으며(아래 특허문헌 1 참조), 이미 특허 결정(특허 제5843553호)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에 관한 발명의 쇼핑 카트(1)는,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진행 방향측에 배치되는 전륜(2a) 및 이 전륜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후륜(2b)을 각각 한 쌍씩 가지는 대차(2, 臺車)와, 이 대차에 고정된 적어도 1개의 지주(3)와, 이 지주에 장착된 쇼핑 바구니를 올려 놓는 바구니 거치대(5)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부(6)를 구비하며, 핸들부(6)는, 지주(3)의 상단부로부터 후륜(2b)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핸들 프레임(7)을 가지고, 이 핸들 프레임(7)에는, 사용자의 팔꿈치 또는 앞팔을 지지하기 위한 앞팔 지지대(8)와, 전륜(2a)이 마련된 방향으로 돌출한 파지부(7a)가 마련되며, 대차(2)의 양 측면에는 적어도 후륜의 외측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 말려듦 억제기구(9)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쇼핑 카트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주(3)는, 핸들부(6) 및 바구니 거치대(5)를 가지는 상부와 대차를 가지는 하부로 분할되고, 상부의 지주가 하부의 지주에 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 수단은, 지주의 측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에 결합 부재를 삽입하는 것, 또는, 상부와 하부와의 사이에는 실린더를 마련한 것으로 되어있다.
이 쇼핑 카트에 의하면, 앞팔 지지대에 팔꿈치나 앞팔을 대고 체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질환으로 보행이 곤란하게 된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쇼핑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쇼핑할 때에 재활로서의 보행 훈련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쇼핑 센터 등의 시설에서, 이 쇼핑 카트를 이용하여 팔꿈치 또는 앞팔을 앞팔 지지대에 의지시키고, 파지부를 손으로 잡으면서 쇼핑 센터 등의 시설 내를 보행함으로써, 다리와 허리가 약하거나, 골절 등의 부상을 입거나 한 보행 곤란한 사용자라도, 스스로 쇼핑을 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쇼핑을 하면서 재활로서의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쇼핑 카트에는, 대차의 양측에 말려듦 억제기구(9)가 후륜(2b)의 외측의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직진 및 커브 주행 중에 후륜이 통로 상에 놓여져 있는 상품이나 선반 등이 걸리거나 말려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높이 조절 장치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격에 응하여 쇼핑 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인 중 일부는, 다른 출원인과 공동으로 상기 쇼핑 카트에 관련한 의장 등록 출원을 행하였으며, 이 의장 등록 출원도 의장 등록 제1474834호(특허문헌 2)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 의장 등록에 관한 의장은, 물품의 명칭을 '바구니 거치대가 부착된 보행 보조차'로 하고, 앞팔을 지지하는 앞팔 지지대와, 전륜이 마련된 방향으로 돌출한 파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보행 곤란자의 재활로서의 보행 훈련과 쇼핑 지원을 동시에 실현시킬 수 있고, 또한, 지주의 측면에 조절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에 대응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절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13-07896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의장등록 제1474834호
이들 '쇼핑 카트' 또는 '바구니 거치대가 부착된 보행 보조차'는, 그 후, 다양한 사용상황 및 양태에 적합할 수 있도록 제품화의 개발을 진행하여 온 결과, 이하의 개선점이 발견 되었다.
(a) 앞팔 지지대에 앞팔과 팔꿈치를 얹어 체중을 걸고 있을 때는, 어떤 불편함 없이, 즐겁게 보행 훈련과 쇼핑을 할 수 있지만, 앞팔 지지대에 체중을 걸고 있지 않으며, 대량의 쇼핑 등으로 바구니 거치대에 무거운 중량이 걸리고, 전륜이 고저차가 있는 단차 등에 충돌하였을 때에, 카트가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전도(顚倒)되어 버릴 염려가 있는 것, 이 전도는, 이용자가 앞팔 지지대가 부착된 것이라는 것을 알아 차리지 못하고, 또는 그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고, 지금까지의 슈퍼마켓 등에 상비되어 있는 카트와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사용하였을 때에도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것,
(b) 쇼핑 바구니를 바구니 거치대로부터 빼낼 때에, 쇼핑 바구니가 핸들 프레임의 파지부에 충돌해 버려서 원활하게 빼내지지 않고, 이 충돌을 피하려고 비스듬하게 빼내려고 하면, 바구니 내의 물건이 바구니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버릴 염 려가 있다는 것,
(c) 대량의 쇼핑을 하면 중량이 무겁게, 예를 들면 8Kg 정도가 되면, 바구니 거치대는 이 중량에 견디는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
(d) 높이 조절 수단은, 지주의 측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에 결합 부재를 삽입하는 것, 또는, 상부와 하부와의 사이에 실린더를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관통공 및 결합 부재 지주의 가공이 귀찮고 더욱이 결합 부재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실린더를 사용하면 대형이 되어 고가가 된다는 것,
(e) 보행 훈련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장치가 없는 것 등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개선점(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앞팔 지지대를 가지며, 앞팔 지지대에 체중을 걸려 있지 않을 때에, 전륜이 단차에 닿아, 진행 방향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하여, 안심, 안전하게 보행 훈련과 쇼핑 등을 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카트는,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륜과 상기 전륜을 좌우 및 전후로 각각 소정 거리 이간(離間)하여 고정한 지지 프레임과,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90˚보다 큰 각도 θ1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마련된 지주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앞팔 지지대 및 상기 앞팔 지지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파지부를 마련한 핸들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 또는 상기 핸들 프레임 중 어느 일방의 전방에 마련된 바구니대(臺)를 구비하며, 상기 바구니대는, 저면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각도 θ2 경사지고, 저면 후변이 상기 파지부보다 전방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륜의 축은, 상기 앞팔 지지대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륜의 축은, 상기 바구니대의 대략 중심점을 통과하여 수하(垂下)하는 가상 수하선보다 전방이 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각도 θ1은 100˚∼110˚, 상기 각도 θ2는 10˚∼20˚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각 전륜 및 각 후륜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후륜 사이가 상기 각 전륜 사이보다도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륜을 고정하는 대향한 한 쌍의 전륜 지지암을 가지며, 상기 전륜 지지암 사이는 물건이 재치(載置)되는 물건 재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후륜을 고정하는 대향한 한 쌍의 후륜 지지암을 가지며, 상기 후륜 지지암 사이는 네스팅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대는, 입방체 형상의 바구니가 재치되고, 이 바구니를 전후에서 위치 결정하는 재치 프레임과, 상기 바구니의 사이드 슬립을 억제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부가 오(誤)재치 방지암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각의 상방(上方)의 단부에 신축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 중 적어도 일방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의 카트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 및 상기 핸들 프레임은, 모두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카트는, 지주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90˚보다 큰 각도 θ1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세워 마련되어 있으므로, 앞팔 지지대를 후륜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진행 방향의 전방에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앞팔 지지대에 앞팔 또는 팔꿈치를 얹고, 예를 들면 전(全)체중을 걸어도 전륜이 떠올라서 카트 및 사람이 후방으로 전도될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각 지주 프레임의 각도 θ1을 소정의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바구니대의 각도 θ2를 최적의 각도로 선정할 수 있으므로, 바구니대에 물건이 올려 놓았을 때 카트의 중심(重心)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륜은 바구니대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수하하는 가상 수하선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앞팔 지지대에 체중이 걸려 있지 않을 때에, 전륜이 단차에 충돌하더라도 전도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도는, 이용자가 앞팔 지지대가 부착된 것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또는 그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고, 지금까지의 슈퍼마켓 등에 상비되어 있는 카트와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사용하였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도 회피할 수 있어, 안심, 안전하게 보행 훈련과 쇼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바구니대에 놓인 바구니를 파지부에 충돌시키지 않고, 들어 올려서 빼낼 수 있다.
제2 양태의 카트는, 각도 θ1은 100˚∼110˚의 범위에 있으므로,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고, 높게 하더라도 앞팔 지지대를 바로 위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각도 θ2는 10˚∼20˚의 범위에 있으므로 바구니대에 올려 놓은 바구니 내의 상품을 상품의 치우침을 적게 함은 물론 바구니 후방에서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카트에 의하면, 한 쌍의 전륜과 후륜은, 후륜 사이가 전륜 사이보다도 넓게 되어 있으므로, 후륜의 대략 바로 위의 전륜 지지대에, 예를 들면 전체중이 걸려도, 가장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후방으로의 전도를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카트는, 전륜이 한 쌍의 전륜 지지암에 고정되므로, 지지 프레임과 지주 프레임이 세워 마련되는 만곡부와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스페이스가 생기고, 이 넓은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물건을 놓는 물건 재치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카트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네스팅(nesting) 프레임으로서, 네스팅시의 스톱퍼 및 지지 프레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스팅시에 스톱퍼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카트를 정연하게 네스팅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의 카트의 떼어냄이 용이하게 된다.
제6 양태의 카트는,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암을 오재치 방지암으로 이용하여, 쇼핑 바구니가 잘못해서 세로 방향으로 올려 놓여지는 것을 방지, 즉 놓으려고 해도 다른 아치 암과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쇼핑 바구니가 잘못해서 세로 방향으로 올려 놓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카트는, 핸들 프레임은, 각 지지 프레임의 각각의 상방의 단부에 신축 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되므로, 높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카트는, 브레이크 장치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자유자재로 정지 내지 주행시킬 수 있다.
제9 양태의 카트는, 지지 프레임, 지주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은, 모두 중공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이 됨과 아울러,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의 1A는 측면도, 도 1의 1B는 카트의 특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의 2A는 도 1의 카트의 정면도, 도 2의 2B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복수의 카트를 네스팅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핸들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4의 4A는 측면도, 도 4의 4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앞팔 지지대를 나타내고, 도 5의 5A는 상면도, 도 5의 5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바구니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바구니대를 나타내고, 도 7의 7A는 바로 위에서 본 상면도, 도 7의 7B는 바로 위에서 각도를 바꾸어서 본 상면도, 도 7의 7C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쇼핑 카트를 나타내고, 도 8의 8A는 상면도, 도 8의 8B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카트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카트'는 영어 'cart'를 표기한 것이고, 또한, 치수는 예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의 1A는 측면도, 도 1의 1B는 도 1의 카트의 특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10)는, 한 쌍의 전륜(11) 및 후륜(12)과, 이들 전륜과 후륜을 좌우 및 전후로 각각 소정 거리 이간(離間)하여 각 전륜과 각 후륜을 고정한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 14)과, 각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들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륜측으로 각도 θ1로 경사지게 한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과, 각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양 지주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지며 앞팔 지지대(19) 및 파지부를 마련한 핸들 프레임(이하, '핸들 클립'이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16)과, 각 지주 프레임(15) 또는 핸들 프레임(16) 중 어느 일방에 고정되고 각도 θ2로 위로 향하여 전륜측으로 돌출한 바구니대(臺)(20)를 구비하고 있다.
대향하는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은, 일방의 각 지지 프레임(13)에, 그 중간 위치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세워 마련되며, 앞팔 지지대(19)가 각 후륜(12)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진행 방향의 전방(도 1의 1A의 가상 수하(垂下)선(P3) 참조)에 마련되고, 또한 전륜(11)은 바구니대(20)의 대략 중심점을 통과하여 수하하는 가상 수하선(P1)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다.
이 카트(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대향하는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에, 전륜(11) 및 후륜(12)의 각 차축(110, 120) 사이의 중간 위치(O)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후륜측으로 경사져(각도 θ1) 세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서 앞팔 지지대(19)를 후륜(12)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진행 방향의 전방에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팔 지지대(20)에 앞팔 또는 팔꿈치를 얹고, 만약 전(全)체중을 걸더라도 전륜이 떠올라 카트 및 사람이 후방으로 전도(顚倒)될 염려가 없다.
또한, 각 지주 프레임(15)의 각도 θ1을 소정의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바구니대의 각도 θ2를 최적의 각도로 선정할 수 있으므로, 바구니대(20)에 물건이 올려 놓여졌을 때 카트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하는 것을 서포트할 수 있다. 더욱이, 전륜(11)은 바구니대(20)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수하하는 가상 수하선(P1)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앞팔 지지대에 체중이 걸려 있지 않을 때에, 전륜이 단차에 충돌하더라도 전도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도는, 이용자가 앞팔 지지대가 부착된 것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또는 그 사용 방법을 알지 못하고, 지금까지의 슈퍼마켓 등에 상비되어 있는 카트와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사용하였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도 회피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이 카트에 의하면, 안심, 안전하게 보행 훈련과 쇼핑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을 설명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전륜, 후륜 및 지지 프레임, 지주 프레임의 각 부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의 1A는 측면도, 도 1의 1B는 도 1의 카트의 특징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2의 2A는 도 1의 카트의 정면도, 도 2의 2B는 배면도, 도 3은 복수의 카트를 네스팅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한 쌍의 전륜(11)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소정의 직경 및 폭을 가지며,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한 고정 지지구(11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전륜(11)은, 차축(110)을 가지는 원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주위에 장착된 고무제의 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전륜은 캐스터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이 전륜(11)은, 고정 지지구(11a)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커브를 틀거나 방향 전환시키거나 할 때에, 전륜(11)이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은, 전륜(11)을 부착한 상태에서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H3이 이후 설명하는 후륜(12)의 차축(120)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 높이에 의하여, 전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륜(11)의 치수는, 예를 들면, 직경은 18cm, 폭은 2.5cm이다. 또한, 전륜(11)을 장착한 지지 프레임(13)의 높이 H3(도 1의 1A 참조)는, 바닥면으로부터 25cm의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후륜(12)은, 각각 소정의 직경 및 폭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후륜(12)은, 차축(120)을 가지는 원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주위에 장착된 고무제의 타이어로 이루어지고, 전륜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후륜(12)는 전륜(11)과 다르게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후륜의 치수는, 예를 들면, 직경은 18cm, 폭은 2.5cm이며, 전륜(11)과 동일한 치수이다.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종류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13, 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 프레임 중, 일방의 지지 프레임(13)은 전륜(11)이 장착되어 있는 전륜 지지 프레임, 타방의 지지 프레임(14)은 후륜(12)이 장착되어 있는 후륜 지지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일방의 지지 프레임(13), 즉, 전륜 지지 프레임은, 좌우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대략 평행한 프레임부(13b)(도 1의 1A 참조)와, 이들 프레임부의 선단(진행 방향)을 연결한 만곡부(13a)(도 1의 1A, 도 2 참조)로 이루어지며, 대략 수평 U자 모양을 이루고, 소정의 굵기 및 길이의 중공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공 파이프는, 금속재 내지 수지재라도 괜찮다.
각각의 프레임부(13b)에는, 전륜(11)을 고정하는 장착부(131), (도 1의 1A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륜(11)은, 장착부(131)를 축으로 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지만, 전륜(11)의 차축(110)은, 가상 수하선(P2)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도 1의 1B 참조)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지지 프레임(13)에는, 전륜(11)이 고정되고, 이 전륜이 가상 수하선(P2)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기 때문에, 선단의 만곡부(13a)와 지주 프레임(15)이 세워 마련되는 굴곡부(ab)와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스페이스가 생긴다. 따라서, 이 넓은 스페이스는 물건을 놓는 물건 재치대(13d)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이 물건 재치대(13d)에는, 소정 형상의 물건, 예를 들면, 슈트 케이스 등을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물건이 대형이면 바구니대(20)에 닿기 때문에, 바구니대(20)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지 프레임(13)의 치수는, 예를 들면, 양 프레임부(13b) 사이의 간격L22(도 2의 2A 참조)은 28cm, 선단 만곡부(13a)로부터 지주 프레임의 원호를 그리기 시작하는 부분(15)까지의 길이 L3은 25.63cm, 선단 만곡부(13a)로부터 장착부(131)까지의 거리 L2는 13cm, 두께(직경 d)는 3cm이다.
한 쌍의 후륜 지지 프레임(14)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한 쌍의 하부 프레임(14a)과, 상부 프레임(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4a)은, 일단이 지주 프레임(15)에 고정되고, 타단에 후륜(12)을 장착하는 고정부(14a')(도 1의 1A 참조)를 가지며, 대략 궁형(弓形, 활 모양)으로 만곡된 소정 길이 및 두께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4b)도, 하부 프레임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상방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한 것으로, 일단이 지주 프레임(15)에 고정되고, 타단에 후륜(12)을 장착하는 고정부(14b')(도 1의 1A 참조)를 가지며, 대략 궁형으로 만곡한 소정 길이 및 두께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양 고정부(14a')와 고정부(14b') 사이에는 차륜 장착구(14c)가 고정된다. 이 차륜 장착구(14c)는, 도 1의 1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고정부(14a', 14b')로부터 차륜이 장착되는 폭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략 횡 U자 모양 편(片)(141, 142)(도 2의 2B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후륜 지지 프레임(14)은, 차륜 장착구(14c)를 고정한 후에, 상하부 프레임(14b, 14a)의 일단을 지주 프레임(15)에, 차륜 장착구(14c) 사이의 간격이 외측으로 개방되게, 즉, 대향하는 차륜 장착구(14c)의 간격을 넓게 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프레임(14b)의 사이에는, 이들의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지는 브릿지 프레임(14d, bridge frame)이 각 지주 프레임(15)의 고정 개소(152)(도 1의 1A 참조)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개소에 장착되어 있다(도 2의 2B 참조). 또한, 부호 14d1은 이 장착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 브릿지 프레임(14d)은, 후륜 지지 프레임(1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부 프레임(14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네스팅(nesting)할 때의 스톱퍼로도 된다. 또한, 이 브릿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14a)에 장착해도 좋다.
도 3은 복수의 카트(10A∼10C)를 네스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브릿지 프레임(14d)에 의해, 복수의 카트를 정연하게 네스팅할 수 있는 한편으로, 또한 개개의 카트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브릿지 프레임(14d)은 그 담당하는 기능으로부터 명명되어 네스팅 프레임라고도 하고, 또한, 부호 151, 152는 고정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후륜(12)은, 차륜 장착구(14c)에 차축(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각 지지 프레임에 결합한 후륜과 전륜의 각각의 간격은 전륜 사이가 좁고, 후륜 사이가 넓게 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된 전륜과 후륜은 상면에서 보아 대략 이등변 삼각형으로 되기 때문에, 이 형상이 가장 안정된 형상이 되고, 앞팔 지지대(19)에 전체중이 걸려도 강도가 유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후륜(12)는 차륜 장착구(14c)의 틈 사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매 등이 말려 들어가지 않고, 또한, 궁형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 쌍의 전륜(11)의 중심 사이의 치수는, 30.5cm, 한 쌍의 후륜(12)의 중심 사이의 치수는, 45cm이다.
후륜 지지 프레임(14)의 치수는, 예를 들면, 고정부(151)와 고정부(152)의 간격은 13cm, 고정부(14a')와 고정부(14b') 사이의 간격은 4.5cm, 지지 프레임의 길이(고정부(151)과 고정부(14a')와의 사이)는 44cm, 두께(직경)는 2.5cm, 고정부(151)와 고정부(152)를 마련한 개소에서의 각 지주 프레임(15)의 간격 L33은 28cm, 양 고정부(152)와 고정부(14b') 사이의 간격은 42cm이다.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는, 각 지지 프레임(13)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굴곡부(ab)를 거쳐 상방으로 연장되며, 지지 프레임(13)과 연속한 1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ab)는, 전륜(11)과 후륜(12)과의 사이, 즉, 전륜(11)의 차축(110)과 후륜의 차축(120) 사이의 중간점 O(도 1의 1B 참조), 즉 양 차축 사이의 거리의 2분의 1의 길이 L1의 거리에 있는 점, 보다 전륜(11)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1의 1B 참조). 또한, 길이 L1은, 전륜(11)이 진행 방향의 전후로 방향 전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하고 있을 때의 2L1은 76cm, 후방을 향하고 있을 때는 65.7cm로 된다.
이 굴곡부(ab)의 각도 θ1은 중요하다. 즉, 이 각도를 90˚로 하면 디자인성이 떨어지고, 전도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그 범위는 100˚∼110˚가 바람직하고, 최적값은 105˚이다. 이 각도 θ1의 설정에 연계하여, 핸들 프레임(16)을 가장 높게 했을 때에, 앞팔 지지대(19)의 중심축(P3, 도 1의 1B 참조)을 후륜(12)의 차축(120)보다 전방으로 되도록 지지 프레임에 배치하고, 앞팔 지지대(19)의 중심으로부터 평균적으로 가장 잡기 쉬운 위치에 파지부(16f)를 배치하며, (그것들의 길이, 각도의 결정), 또한 앞팔 지지대(19)에 쇼핑 바구니가 닿지 않도록 바구니대(20)를 장착하는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차고(車高)(지상으로부터 파지부(16f)까지의 높이)는, 핸들 프레임(16)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94cm∼116c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각 지주 프레임은, 1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프레임이 완만하게 만곡된 굴곡부(ab)를 거쳐, 측면에서 보아 대략 궁(弓)형상 내지 초승달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형상에 의해, 직선 모양인 것과 비교하여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과 지주 프레임은 분리되어, 각각의 프레임으로 제작해도 된다.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는, 각각의 상방 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및 간격으로 잘라 내어 가는 홈(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외주면으로부터 조이는 것에 의해 파이프 중공 구멍의 지름이 축소되도록 되어 있다. 이 지름의 축소는, 외주면에 조임구(17)를 장착하여 행한다. 이 조임구는 높이 조절구로 되어 있다.
각 지주 프레임(15)은, 그들 상방 단부의 중공 구멍에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를 끼워 넣어 핸들 프레임(16)을 연결한다.
핸들 프레임(16)의 높이 조절은, 이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한 후에 높이 조절구(17)로 외주면을 조여서 고정한다. 이 조절구(17)에 의한 조절 수단에 의하면, 카트의 사용시에 적당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편으로 높이 조절은 가는 홈의 형성 및 조임구만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것과 비교해서, 간단하면서 저렴하다. 또한, 이 카트는 앞팔 지지대(19)의 높이를 대략 바닥면으로부터 95cm 정도로 하여 사용된다. 이상에 의해, 상기 개선점 (d)가 해결된다.
지주 프레임(15)의 치수는, 예를 들면 지지 프레임의 굴곡부(ab)에서 단부(153)까지의 길이는 36cm, 두께는 지지 프레임의 지름과 동일하고, 각 지주 프레임(15)의 단부(153) 사이의 간격 L33은 28cm이다.
도 1의 1A,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핸들 프레임을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핸들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4의 4A는 측면도, 도 4의 4B는 정면도이다. 핸들 프레임(16)은, 도 1의 1A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지주 프레임(15)에 연결되고, 높이 조절되는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신장부(16a)와, 이들 연결·신장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륜(12)측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바구니 장착부(16b)와, 이들 바구니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륜(11)측으로 되접혀진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부(16c)와, 이들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바구니 장착부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륜(11)측으로 절곡된 대향하는 한 쌍의 대(臺) 장착부(16d)와, 이들 대 장착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6e)와, 이들 연장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파지부(16f)로 이루어지며, 소정 길이 및 두께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 프레임(16)은, 한 쌍의 연결·신장부(16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서서히, 양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부호 cd, ef, gh, ij는 각각 굴곡부를 나타내고 있다. 굴곡부(ij)의 각도는 135˚∼145˚이고, θ5는 (도 1의 1B 참조) 35˚∼45˚의 범위에 있다.
연결·신장부(16a)는, 지주 프레임(15)의 단부에 끼워 넣어져 연결되고, 신장된다. 굴곡부(cd)의 각도 θ4는 θ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바구니 장착부(16b)와 대 장착부(16d)는 대략 평행하다. 한 쌍의 바구니 장착부와 대 장착부 사이의 간격은, 손바구니가 삽입되는 크기로 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바구니 장착부(16b) 사이에는, 손바구니가 재치, 고정된다. 또한, 손바구니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작은 물건 예를 들면, 지갑, 열쇠 등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상자체이다. 그리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 장착부의 사이에는, 앞팔 지지대(19)가 재치, 고정된다.
파지부(16f)는, 앞팔 지지대(19)의 양단부로부터 진행 방향 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장착되며 반(半)타원 형상으로 굴곡된 봉 모양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16f)는 사람이 손으로 잡아 카트를 조작하는 부분이며, 이 파지부를 사람이 잡음으로써, 힘을 줄 수 있어 카트를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핸들 프레임 치수는, 예를 들면, 연결·신장부(16a)의 길이는 37cm, 대 장착부(16d)의 길이는 21cm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앞팔 지지대를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앞팔 지지대를 나타내고, 도 5의 5A는 상면도, 도 5의 5B는 측면도이다.
앞팔 지지대(19)는, 소정 크기 넓이의 표리(表裏)면(19a, 19b)과, 소정 길이의 전후 측벽(19c, 19d)과, 좌우 측벽(19e, 19f)을 가지며, 표면(19a)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대략 반원형의 돌기부(19a', 19a')가 마련되며, 소정 두께의 대략 직방체로 이루어지고, 상면에서 보아 대략 안장 모양을 이루며, 소정 색의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19b)에는, 핸들 프레임(16)의 대 장착부(16d)에 고정하는 나사 구멍(19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앞팔 지지대(19)는, 후륜(12)의 바로 위 내지 전륜(11)측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1A의 가상 수하선(P3)은 후륜(12)의 차축(120)보다 전륜(11)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고, 앞팔 지지대(19)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과한 선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앞팔 지지대를 마련함으로써, 사람이 앞팔 지지대에 기대었다고 하더라도, 후륜이 앞팔 지지대의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 및 카트가 전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사이드의 돌기부(19a', 19a')는 사용자의 팔꿈치 등이 어긋나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1A,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바구니대를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바구니대의 사시도, 도 7은 바구니대를 나타내고, 도 7의 7A는 바로 위에서 본 상면도, 도 7의 7B는 바로 위에서 각도를 바꾸어서 본 상면도, 도 7의 7C는 측면도이다.
바구니대(20)는, 소정 크기의 쇼핑 바구니(23) 등이 재치되고, 이 쇼핑 바구니(23)를 전후에서 위치 결정하는 재치 프레임(21)과, 쇼핑 바구니(23)의 사이드 슬립을 억제하는 사이드 프레임(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치 프레임(21)은, 양단에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대향한 한 쌍의 제1 돌출암(21a)과, 이들 돌출암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수하하여 대향한 한 쌍의 수하암(21b)과, 이들 수하암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를 연장하여 대향한 한 쌍의 제2 돌출암(21c)과, 이들 돌출암(21c)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세워 마련하여 연결한 아치암(21d)을 가지며, 소정 길이 및 두께의 파이프, 즉, 쇼핑 바구니(23)가 꽉 차서 중량이 증대하더라도 변형하지 않는 두께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재치 프레임(21)은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22)보다 두꺼운 것이 사용되어 있다.
제1 돌출암(21a)과 수하암(21b)과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며, 이 돌출암(21a)은 지지암(21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돌출암(21a)의 길이, 즉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한 길이는, 짧은 길이(예를 들면, 5∼6cm)로 하고, 견고한 암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암을 짧은 길이로 견고하게 하는 것에 의해, 중심이 후륜(12)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돌출암(21a)의 단부는 연결부(21O)를 매개로 하여, 수하암과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연장하여 마련된 부분에 수나사가 마련된 연장 볼트(21a')로 되어 있다.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와의 결합은, 연결·신장부(16a)에 관통공을 마련하고, 이 관통공에 연장 볼트(21a')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로 고정된다. 그리고, 수하암(21b)은,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수하암(21b)과 제2 돌출암(21c) 사이는 각도 θ3(도 1의 1B 참조)로 굴곡되어 있다.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돌출암(21c) 사이에, 쇼핑 바구니(23)가 재치되고, 또한, 아치암(21d)에 의해 쇼핑 바구니(23)의 전방 방향으로 어긋나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재치 프레임의 치수는, 예를 들면 제1 돌출암(21a)의 길이는 11cm, 수하암(21b)의 길이는 10.5cm, 제2 돌출암(21c)의 길이는 18cm, 아치암(21d)의 높이는 6cm, 파이프의 외형 직경은 1.5cm, 각도 θ3은 90˚이다.
사이드 프레임(22)은, 제1 돌출암(21a)과 수하암(21b)의 연결 개소에 고정되어,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연장한 후방암(22a)과, 이 암의 선단으로부터 만곡하여 연장된 사이드암(22b)과, 이 암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돌출암(21c)에 결합되는 결합암(22c)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암 중에, 후방암(22a)은, 쇼핑 바구니(23)이 잘못하여 세로 방향으로 올려 놓여지는 것을 방지, 즉, 올려 놓으려고 하더라도, 아치암(21d)과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쇼핑 바구니(23)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방암(22a)은 그 담당하는 기능에서 명명되어, '오(誤)재치 방지암'이라고도 한다. 더욱이, 한 쌍의 사이드암(22b) 및 결합암(22c)은, 모두 만곡되어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이 사이드 프레임(22)의 치수는, 예를 들면, 후방암(22a)의 길이는 40cm, 사이드암(22b)의 길이는 12cm, 결합암(22c)의 길이는 7cm, 두께는 8mm이다.
바구니대(20)는, 핸들 프레임(16)의 연결·신장부(16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연결·신장부(16a)의 관통공에 연장 볼트(21a')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로 고정된다. 이 장착에 의하여, 제2 돌출암(21c)은 수평선 H1에 대하여 각도 θ2 상방으로 경사진다. 이 각도는, 쇼핑 바구니(23) 내의 물건이 쉽게 보이고, 또한 중심이동을 고려하여 10˚∼20˚가 바람직하다.
이 중심이동은, 바구니대(20)에 쇼핑 바구니(23)가 재치되고, 꽉 차게 되었을 때, 중심이 후륜(12)측으로 이동되어, 카트의 전도를 억제 내지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즉, 바구니대(20)는, 재치 프레임(21)에 소정 사이즈의 쇼핑 바구니(23)(도 1의 1A 참조)가 올려 놓여지면, 도 1의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쇼핑 바구니(23)의 중심점 C가 대략 중심 위치가 된다. 이 쇼핑 바구니(23)의 중심점 C는, 또한, 재치 프레임(21)의 재치면에 대응시키면, 이 재치면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기 때문에, 이 직사각형 재치면의 서로의 대각선이 교차하는 점이 중심점이 된다. 이 중심점 C를 통과하는 가상 수하선을 P2라고 하고, 전륜(11)의 차축(110)을 통과하는 가상 수직선을 P41, 지지 프레임(13)과 지주 프레임(15)과의 교점을 통과하는 가상 수직선을 P42라고 하면, 가상 수하선 P2는, 가상 수직선 P41과 가상 수직선 P42 사이의의 중간점에 위치되고, 중간점까지의 길이 L4, L4'가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하며, 이 선상에 중심점 O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재치면이 직사각형 모양 이외,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이라도 동일한 중심점이 있고, 이 점이 중심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쇼핑 바구니(23)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가로폭 538mm, 안쪽 길이 358mm, 높이 252mm, 용적 30.1리터, 폴리프로필렌제이다.
또한, 쇼핑 바구니(23)는, 들어 올려졌을 때, 쇼핑 바구니가 핸들 프레임(16)의 파지부(16f)에 충돌해 버려, 원활하게 빼낼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이 대책은, 대 장착부(16d)로부터 연장한 연장부(16e)의 각도 θ5를 상기한 것과 같이, 35˚∼45˚의 범위(도 1의 1B 참조)로 하는 한편으로 또한, 파지부(16f)의 선단과 쇼핑 바구니(23) 중 일방의 측면을 연장한 수직선 사이의 간격을 L5로 하였을 때, 이 간격 L5를 H4tanθ2보다 0.5cm∼2cm 정도 크게 설정한다. 이 간격 L5를 벌려 두는 것에 의해, 쇼핑 바구니(23)를 파지부(16f)에 충돌시키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H4는 쇼핑 바구니(23)의 높이, θ2는 바구니의 수직선과 바구니 측면과의 각도이며, 이 각도는 바구니대(20)의 각도와 동일하다. 적어도, 쇼핑 바구니(23)를 파지부(16f)에 충돌시키지 않고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바구니대(20)의 저면 후변은, 파지부(16f)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바구니대(20)는, 재치 프레임(21)과, 사이드 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재치 프레임(21)을 사이드 프레임(22)보다 두껍게 하며, 재치 프레임을 지주 프레임(15)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 기술의 것과 비교하여 강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개선점 (c)가 해결된다.
도 1∼도 5를 참조하여, 카트의 조립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 프레임(13, 14) 및 지주 프레임(15)을 조립한다. 이 조립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13)과 지주 프레임(15)은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14)을 지주 프레임(15)에 고정한다. 이 고정은, 지주 프레임(15)의 2개의 개소 (151, 152)에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한 쌍의 지주 프레임(13, 14)에, 전륜(11) 및 후륜(12)을 고정한다. 한편, 핸들 프레임(16)에, 바구니대(20) 및 앞팔 지지대(19)를 고정한다. 이 핸들 프레임(16)을 지주 프레임에 장착하고, 조립을 종료한다.
또한, 바구니대(20)는, 핸들 프레임(16)에 고정하였지만, 지주 프레임(15)에 고정해도 된다.
이 카트(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차고(車高)를 94cm∼116cm의 범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핸들 프레임(16)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카트(10)는, 이하의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f) 조건
개선전(종래의 카트)
바구니대에 쇼핑 바구니를 올려 놓았을 때에, 그 중심이 전륜의 차축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의 카트
바구니대에 15kg의 물건을 올려 놓고, 앞팔 지지대의 옆으로부터 40N의 힘을 가하고, 전륜이 두께 5mm의 단차에 닿았을 때의 상태를 관찰.
개선후(본원의 카트)
바구니대에 18kg의 물건을 올려 놓고, 앞팔 지지대의 옆으로부터 50N의 힘을 가하여, 전륜이 두께 5mm의 단차에 닿았을 때의 상태를 관찰.
(g) 결과
물건의 중량(kg) 옆으로부터 가한 힘(N) 단차 극복
개선전 15 40 후륜이 떴음
개선후 18 50 후륜이 뜨지 않고 타고 넘었음
(h) 고찰
개선전의 카트는 물건의 중량을 15kg으로 줄이고, 40N의 힘을 가하였을 때에 후륜이 떴다. 한편, 개선후의 카트는 물건의 중량을 18kg으로 하고, 50N의 힘을 가하였을 때 후륜은 뜨지 않고 단차를 타고 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원의 카트는, 개선전, 즉, 종래의 카트와 비교하여, 전도를 억제 내지는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을 참조하여, 각도 θ1∼θ5의 관계를 설명한다.
지지암(13)은, 그 프레임부(13b)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평행하고, 핸들 프레임(16)의 바구니 장착부(16b)는 프레임부(13b)과 평행하며, 이 조건에서, 각도 θ1∼θ4 사이의 관계는, 이하처럼 된다.
Figure 112018056957599-pct00001
상기 (2)로부터 θ2는, 이하처럼 된다.
Figure 112018056957599-pct00002
우선, θ1을 설정한다. 이 설정은, 전륜(11)이 가상 수하선 P2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고정되고, 지지 프레임(13)과 지주 프레임(15)의 결합부가 가상 수하선(P1)보다 전륜측에 놓이고, 앞팔 지지대(19)가 후륜(12)의 바로 위 내지 이것보다 전륜측으로 하여, 결정한다.
그렇게 하면, 이하가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최적값은 105˚이다.
Figure 112018056957599-pct00003
또한, 이 각도 θ1이 110˚을 넘는 경우, 핸들 프레임(16)을 맨 위까지 상승시키면, 앞팔 지지대(19)가 후륜(12)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카트 내지 사람이 후방으로 전도될 염려가 있으며, 반면, 100˚보다 작게 하면, 중심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도될 염려가 있다.
상기(4)의 θ1의 범위에서, 상기 식 (2)로부터 θ2를 설정한다. 또한, θ3=90˚로 일정하다.
Figure 112018056957599-pct00004
이상으로부터, θ2는 10˚∼20˚가 바람직한 범위로 된다. 또한, 이 각도 θ2가 10˚ 미만이면, 중심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또한, 20˚를 넘으면, 바구니 재치면에 올려 놓은 쇼핑 바구니가 파지부에 충돌하여, 들어올리기 어렵게 된다.
또한, θ5은 θ2에 대응시켜서, 바구니 재치면에 올려 놓은 쇼핑 바구니가 파지부에 충돌하지 않는 각도로 설정된다. 이 각도는, 35˚∼45˚이다.
이상에 의하여, 상기 개선점 (a) 및 (b)가 해결되어, 이 카트는 앞팔 지지대에 체중이 걸려 있지 않고, 바구니대에 무거운 물건이 올려 놓여져 중량이 증대하여, 전륜이 고저차가 있는 단차 등에 충돌한 상황하에서라도,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게 되어, 안심, 안전하게 보행 훈련이나 쇼핑 등을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지주 프레임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에, 그 중간 위치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후륜측으로 경사(각도 θ1)지게 세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위치에서 앞팔 지지대를 후륜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전방 진행 방향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팔 지지대에 앞팔 또는 팔꿈치를 얹고 전체중을 걸더라도 전륜이 떠올라 카트 및 사람이 후방으로 전도될 염려가 없다.
또한, 각 지주 프레임의 각도 θ1을 소정의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바구니대의 각도 θ2를 최적의 각도로 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구니대에 물건이 올려 놓여졌을 때 카트의 중심(重心)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 진행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하는 것을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전륜은 바구니대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수하하는 가상 수하선보다 전방 진행 방향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앞팔 지지대에 체중이 걸려 있지 않을 때, 전륜이 단차에 충돌하더라도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선점 (e), 즉, 카트(10)는, 보행 훈련을 하려면 브레이크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장치를 부설한다. 이 브레이크 장치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전륜 및 후륜의 적어도 일방의 바퀴와 접촉시켜 마찰력으로 회전을 멈추는 브레이크편과, 핸들 프레임의 파지부 부근에 마련한 조작 핸들과, 브레이크편과 조작 핸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로 구성하여, 지지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 등에 부설한다. 이 브레이크 장치의 부설에 의해, 카트(10)를 자유자재로 주행 및 정지시길 수 있다.
10, 10A, 10B, 10C : 카트 11 : 전륜
11O : 차축 12 : 후륜
12O : 차축 13, 14 : 지지 프레임
13c : 물건 재치대 14d : 브릿지 프레임(네스팅 프레임)
15 : 지주 프레임 16 : 핸들 프레임
17 : 높이 조절구 19 : 앞팔 지지대
20 : 바구니대 22a : 후방암(오재치 방지암)
P1, P2 : 가상 수하선 H1 : 수평선

Claims (9)

  1.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륜과 상기 전륜을 좌우 및 전후로 각각 소정 거리 이간하여 고정한 지지 프레임과,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90˚보다 큰 각도 θ1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마련된 지주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고, 앞팔 지지대 및 상기 앞팔 지지대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파지부를 마련한 핸들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 또는 상기 핸들 프레임 중 어느 일방의 전방에 마련된 바구니대(臺)를 구비하며,
    상기 바구니대는, 저면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방으로 각도 θ2 경사지고, 저면 후변이 상기 파지부보다 전방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후륜의 축은, 상기 앞팔 지지대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륜의 축은, 상기 바구니대의 중심점을 통과하여 수하(垂下)하는 가상 수하선보다 전방이 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θ1은 100˚∼110˚, 상기 각도 θ2는 10˚∼20˚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각 전륜 및 각 후륜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후륜 사이가 상기 각 전륜 사이보다도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륜을 고정하는 대향한 한 쌍의 전륜 지지암을 가지며, 상기 전륜 지지암 사이는 물건이 재치(載置)되는 물건 재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후륜을 고정하는 대향한 한 쌍의 후륜 지지암을 가지며, 상기 후륜 지지암 사이는 네스팅 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대는, 입방체 형상의 바구니가 재치되고, 이 바구니를 전후에서 위치 결정하는 재치 프레임과, 상기 바구니의 사이드 슬립을 억제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일부가 오(誤)재치 방지암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각의 상방의 단부에 신축 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 중 적어도 일방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 및 상기 핸들 프레임은, 모두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KR1020187016519A 2016-01-13 2017-01-06 카트 KR102088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4782A JP6667086B2 (ja) 2016-01-13 2016-01-13 カート
JPJP-P-2016-004782 2016-01-13
PCT/JP2017/000214 WO2017122582A1 (ja) 2016-01-13 2017-01-06 カ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82A KR20180084882A (ko) 2018-07-25
KR102088120B1 true KR102088120B1 (ko) 2020-03-11

Family

ID=5931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519A KR102088120B1 (ko) 2016-01-13 2017-01-06 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67086B2 (ko)
KR (1) KR102088120B1 (ko)
CN (1) CN108473151B (ko)
WO (1) WO2017122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7732B2 (ja) * 2018-03-30 2022-07-0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医療用トロリー
JP7228986B2 (ja) * 2018-10-23 2023-02-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カート
CN110448012B (zh) * 2019-09-21 2024-03-26 张卫 易缝纫式钮扣
JP6853407B1 (ja) * 2020-10-27 2021-03-31 株式会社エンドウ商事 カ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8965A (ja) * 2011-10-01 2013-05-02 Takuya Sugimur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937A (ja) * 1996-04-11 1997-10-28 Kawajiyun Kk ショッピングカート
AU5764001A (en) * 2000-04-05 2001-10-15 Desiree Taylor-Van Schalkwyk Shopping trolley
JP4558532B2 (ja) * 2005-02-15 2010-10-06 秀介 伊東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5586667B2 (ja) * 2012-08-10 2014-09-10 株式会社島製作所 手押し車
CN203142712U (zh) * 2012-12-30 2013-08-21 浙江理工大学科技与艺术学院 超市购物车
CA2904780A1 (en) * 2013-03-15 2014-09-18 Bemis Manufacturing Company Shopping cart
KR101474834B1 (ko) 2014-10-06 2014-12-22 주식회사 루셀 광각연출방식 조명 어셈블리
CN204341150U (zh) * 2015-01-08 2015-05-20 无锡知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限位结构的手推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8965A (ja) * 2011-10-01 2013-05-02 Takuya Sugimur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882A (ko) 2018-07-25
CN108473151B (zh) 2021-03-12
CN108473151A (zh) 2018-08-31
WO2017122582A1 (ja) 2017-07-20
JP6667086B2 (ja) 2020-03-18
JP2017124727A (ja)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120B1 (ko) 카트
US9403573B1 (en) Hover board tricycle
US6655717B1 (en) Frame of an electric cart
US20180057035A1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9156516B2 (en) Two-wheeled battery-powered vehicle
AU2018204399B2 (en) Child Transporter
US20030025304A1 (en) Stroller trailer
US9445960B2 (en) Stair-climbing wheelchair
US9365229B2 (en) Tow type running stroller
US20080296851A1 (en) Hands-free towing apparatus for strollers, pet carriers and other carriages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CN104363872B (zh) 轮椅移动辅助装置
EP3227160B1 (en) Harness and pulling assembly
US20110304110A1 (en) Carrying Cart Accommodation for Special-Needs Rider
US20190016407A1 (en) Walker-shaped hoverboard attachment
US20050211011A1 (en) Wheelchair mobility handle
CN109475770A (zh) 个人交通设备
US9339928B1 (en) Mechanic's creeper
EP3132991A1 (en) Transport trolley and walker
US20200180673A1 (en) Separable Wheel Pack Assembly
WO2015056141A1 (en) Foot-operated vehicle
KR101342962B1 (ko) 접이형 보행보조 기구
US7896112B2 (en) Supplementary support structure for robot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JP6853407B1 (ja) 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