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24B1 - 장화 - Google Patents

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24B1
KR102087924B1 KR1020190083153A KR20190083153A KR102087924B1 KR 102087924 B1 KR102087924 B1 KR 102087924B1 KR 1020190083153 A KR1020190083153 A KR 1020190083153A KR 20190083153 A KR20190083153 A KR 20190083153A KR 102087924 B1 KR102087924 B1 KR 10208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ushion
boots
vertical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순
정혜선
Original Assignee
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순 filed Critical 임옥순
Priority to KR102019008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43B3/04Boots covering the lower leg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6Waterproof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화 밑창의 가운데 부분과, 장화 갑피의 발목부분이 자유롭게 구부려져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화의 안쪽에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쿠션깔창에 우수한 쿠션이 있음은 물론이고 발바닥이 지면을 딛을 때 마다 바람을 발바닥 측으로 뿜어줘서 장화 내에서의 발에 습기가 차는 것을 최소화하며, 쿠션깔창을 정위치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여 바람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 뿜어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장화의 안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면서 세척한 장화 내측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밑창(10)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갑피(30)가 구비되는 장화에 있어서, 상기 밑창(10)은 상면에 전방홈(17)과 후방홈(18)이 각각 형성된 전후방밑창(11,12)의 사이에 주름연결부(13)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밑창(10)의 상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쿠션깔창(2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쿠션깔창(20)은 밑창(10)의 상면을 덮는 판형 쿠션깔창본체(21)의 전후방 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압축구(23)와 수개의 쿠션돌기(24)를 하부가 상기 전방홈(17)과 후방홈(18)으로 삽입되게 각각 형성되며, 공기압축구(23) 중심부의 쿠션깔창본체(21)와, 쿠션돌기(24) 사이의 쿠션깔창본체(21)의 소정위치에 공기분출구(22)와 통기공(26)이 상하로 관통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갑피(30)의 전방측 발목 대응부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화{Boots}
본 발명은 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화 밑창의 가운데 부분과, 장화 갑피의 발목부분이 자유롭게 구부려져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화의 안쪽에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쿠션깔창에 의해 쿠션이 우수하며 발바닥이 지면을 딛을 때 마다 바람을 발바닥 측으로 뿜어줘서 장화 내에서의 발에 습기가 차는 것을 최소화하며, 쿠션깔창을 정위치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여 쿠션깔창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 바람을 뿜어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장화의 안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면서 세척한 장화 내측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장화는 고무나 PVC 등의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근래에 들어서는 장화의 내부에 통기성이 우수한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내면커버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장화 등도 선보이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장화는 장화를 착용했을 때 발바닥이 접하는 장화의 내면 바닥에 발에서 분비되는 땀 등의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대로 장화의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장화의 착화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당히 미끄러울 뿐더러 발이 붓는 등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화는 단순히 발목 위로 장화 갑피부(또는 장화몸통부)를 길게 형성한 것에 불과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너무 헐겁거나 너무 빡빡하여 착화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장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10-1234531호(발명의 명칭 : 장화)로서, 그 기술내용이 특허공보에 게재되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바닥체(밑창)와 상기 바닥체의 상부로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갑피)로 이루어진 장화에 있어서, 상호 연통된 공기통로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이 일정길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관의 끝단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펌프가 허리띠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주름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펌프의 일측에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주름부의 골은 종아리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통기부를 형성하므로 발바닥에 땀이 차거나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겠으나, 발에 착용한 장화와 허리에 착용한 허리띠의 공기펌프의 사이에 연결된 호스형태의 주입관이 거추장스럽게 자꾸 여기저기 걸리거나 닿게 되는 문제와 관리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발명에 포함되는 장화의 외형은 종래의 일반적인 장화와 동일하게 고무나 PVC 등의 재질로 밑창과 갑피가 일체화 되게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임에 따라, 길이가 긴 갑피부분으로 발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갑피의 통을 넣게 형성하여 장화를 착용하고 보행할 때 헐떡거리게 되고, 이런 상황에서 밑창은 뻣뻣하고 발목부분도 잘 구부려지지 않기 때문에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고 발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234531호(발명의 명칭 : 장화)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화 밑창의 가운데 부분과, 장화 갑피의 발목부분이 자유롭게 구부려져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장화의 안쪽에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쿠션깔창에 우수한 쿠션이 있음은 물론이고 발바닥이 지면을 딛을 때 마다 바람을 발바닥 측으로 뿜어줘서 장화 내에서의 발에 습기가 차는 것을 최소화하며, 쿠션깔창을 정위치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여 쿠션깔창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 바람을 뿜어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장화의 안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면서 세척한 장화 내측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밑창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갑피가 구비되는 장화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상면에 전방홈과 후방홈이 각각 형성된 전후방밑창의 사이에 주름연결부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밑창의 상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쿠션깔창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쿠션깔창은 밑창의 상면을 덮는 판형 쿠션깔창본체의 전후방 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압축구와 수개의 쿠션돌기를 하부가 상기 전방홈과 후방홈으로 삽입되게 각각 형성되며, 공기압축구 중심부의 쿠션깔창본체와, 쿠션돌기사이의 쿠션깔창본체의 소정위치에 공기분출구와 통기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갑피의 전방측 발목 대응부에 발목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연결부는 전방밑창의 후방측 상부와 후방밑창의 전방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주름부와, 바닥주름부의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측면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밑창과 주름연결부, 그리고 후방밑창의 상측 전둘레에는 갑피의 하부와 결합되는 갑피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주름부와 대응되는 수평몸체부의 양측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갑피부착부와 갑피의 하부둘레가 결합 설치하되, 주름연결부의 갑피부착부는 절개부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장화는, 장화 밑창의 가운데 부분과, 장화 갑피의 발목부분이 자유롭게 구부려져서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와, 장화의 안쪽에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쿠션깔창에 우수한 쿠션이 있음은 물론이고 발바닥이 지면을 딛을 때 마다 바람을 발바닥 측으로 뿜어 줘서 장화 내에서의 발에 습기가 차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쿠션깔창을 정위치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여 쿠션깔창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면서 바람을 뿜어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장화의 안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면서 세척한 장화 내측의 물기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장화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쿠션깔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갑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화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화(100)는, 밑창(10)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갑피(30)가 설치되는 장화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밑창(10)은 상면에 전방홈(17)과 후방홈(18)이 각각 형성된 전후방밑창(11,12)의 사이에 주름연결부(13)가 연결 형성되고, 전방밑창(11)과 주름연결부(13), 그리고 후방밑창(12)의 상측 전둘레에는 갑피(30)의 하부와 결합되는 갑피부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연결부(13)는 전방밑창(11)의 후방측 상부와 후방밑창(12)의 전방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주름부(14)와, 바닥주름부(14)의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측면주름부(15)를 포함하며, 바닥주름부(14)가 형성된 전후방측 밑창(10)의 상면부(11a,12a)에는 쿠션깔창(20)의 끼움돌기(25)와 끼워지는 끼움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창(10)의 상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쿠션깔창(2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쿠션깔창(20)은 전방밑창(11)과 주름연결부(13), 후방밑창(12), 즉 밑창(10)의 상면을 덮는 판형 쿠션깔창본체(21)가 구비된다.
이 쿠션깔창본체(21)의 중간부분 저면에 상기 밑창(10)의 끼움홈(19)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전후방 끼움돌기(2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홈(17)과 후방홈(18)에 대응되는 쿠션깔창본체(21)의 저면에는 공기분출구(22)를 형성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압축구(23)와, 수개의 쿠션돌기(24)와, 적어도 1개 이상의 통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축구(23)는 내부공간이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이 공기압축구(23)의 하부가 그에 대응하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과 소정의 틈새(c : 0.5~1㎜)를 두게 형성되며, 공기분출구(22)는 공기압축구(23)의 상측 중심부에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틈새(c)를 0.5~1㎜로 형성하는 것은 쿠션깔창(20)을 밟지 않았을 때, 공기압축구(23)의 저면이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과 작은 틈새를 형성하여 쿠션깔창본체(21)의 저면과 그와 대응하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있는 공기가 공기압축구(23)의 하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쿠션깔창(20)을 밟을 때는 공기압축구(23)의 하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닿으면서 공기압축구(23)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분출구(22)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쿠션돌기(24)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갑피(30)는 발등을 감싸는 수평몸체부(31)와 종아리를 감싸는 수직몸통부(32)로 형성되고, 이 갑피(30)의 전방측 발목 대응부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되며, 측면주름부(15)와 대응되는 수평몸체부(31)의 양측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수개의 절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몸통부(32)의 측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절개선을 형성한 뒤에 그 절개선에 지퍼(42)가 설치되며, 지퍼(42)가 설치된 수직몸통부(32)의 내부에는 절개선이 벌어짐에 대응하는 지퍼내부커버(43)가 설치된다.
다음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한 장화(100)에 관한 것이며, 이실시예에 의한 장화(100)는 밑창(10)과 쿠션깔창(20)의 구성, 그리고 갑피(30)의 발목부분 전방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된 구성이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실시예가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갑피(30)의 하부가 밑창(10)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과, 갑피(30)의 뒤꿈치측 후방에 장화를 쉽게 벗기 위한 후방돌출부(36)가 형성되고, 갑피(30)의 수직몸통부(32)의 후방에 수개의 수직주름부(35)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수직몸통부(32)의 발목대응부에는 수직주름부(35)를 감싸서 발목대응부를 조여 주는 지지밴드(37)가 설치되고, 수직몸통부(32)의 상부에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구성이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이다.
상기 지지밴드(37)는 일측단부가 수직몸통부(32)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 자유단부는 수직몸통부(32)의 타측면에 부착된 수벨크로(39)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암벨크로(38)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갑피(30)의 상부와 손잡이부(40) 둘레에는 수직몸통부(32)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주름부(35)는 발목대응부 부터 수직몸통부(32)의 상부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수직주름부(35)에 의해 발목부분부터 종아리부분까지의 둘레를 신축할 수 있으며 발뒤꿈치부터 수직몸통부(32)의 상부까지 공기통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의한 장화(100)에 대한 설명으로써, 삼실시예는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밑창(10)과 쿠션깔창(20)을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고, 갑피(30)를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즉, 삼실시예에 포함되는 갑피(30)는 수평몸체부(31)와 수직몸통부(32)를 방수가 되면서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하는 경우와, 수평몸체부(31)는 일,이실시예와 같이 고무재나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수직몸통부(32)를 방수가 되면서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방수 및 통기성 직물지로 형성되는 수직몸통부(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부가 개방된 포켓부(44)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뒤에, 그 포켓부(44)에 막대형 형태유지바(45)를 삽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며, 이 방수 및 통기성 직물지로 형성되는 수직몸통부(32)의 발목 대응부에 헐렁한 수직몸통부(32)를 착용자의 발목둘레에 적합하게 조여 주는 지지밴드(37)가 설치된다.
상기 형태유지바(45)는 막대형으로 형성하는 에어튜브나, 연질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쿠션이 있는 쿠션바형태로 제작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삼실시예에 설치되는 지지밴드(37)를 이실시예에 설치되는 지지밴드(37)와 동일하게 고무밴드로 형성하고 그 일측단은 수직몸통부(32)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을 수직몸통부(32)의 측면에서 암수벨크로를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27"은 통기깔창이며, 이 통기깔창(27)은 쿠션깔창(20)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화(100)에 대하여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장화(100)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직몸통부(32)의 측면에 형성된 지퍼(42)를 개방하면, 지퍼(42)가 개방된 만큼 수직몸통부(32)의 통이 넓어져서 장화를 신고 벗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지퍼(42)가 설치된 수직몸통부(32)의 내측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채꼴 모양으로 상부가 넓게 형성되는 지퍼내부커버(43)가 설치되어서 지퍼(42)를 잠그지 않아도 지퍼를 설치하기 위해 절개한 절개부가 지퍼내부커버(43)에 막혀서 외부의 물기가 장화(10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지퍼내부커버(43)는 반드시 설치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상기 지퍼를 공지된 방수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퍼(42)를 수직몸통부(32)의 측면부에 설치하는 것은 지퍼(42)를 포함한 지퍼를 설치한 부분이 뻣뻣하여 장화를 착용할 때 지퍼 및 지퍼설치부가 장화의 전방에 설치되면, 수직몸통부(32)의 발목대응부가 뻣뻣해서 발목의 구부림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퍼는 장화를 신고 벗을 때는 물론이고, 장화(100) 안쪽의 밑창(10) 상면에 쿠션깔창(20)과 통기깔창(27)을 삽탈할 때 장화의 입구가 넓게 벌어짐에 따라 그 쿠션깔창(20)과 통기깔창(27)을 삽탈하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상기 쿠션깔창(20)을 밑창(10)의 상면에 끼울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쿠션깔창(2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2개의 끼움돌기(25)를 밑창(10)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19)에 끼우면, 쿠션깔창(20)이 도 3에서와 같이 밑창(10)의 상면을 덮게 되는데, 쿠션깔창(20)의 크기가 밑창(10)에 형성된 전후방홈(17,18) 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전후방홈(17,18) 외측의 상면부(11a,12a)를 덮게 된다.
위와 같이 2개의 끼움돌기(25)와 그에 대응되는 2개의 끼움홈(19)이 서로 끼워짐에 따라 쿠션깔창(20)의 외곽이 전후방홈(17,18) 외측의 상면부(11a,12a)를 정확히 덮게 되어 쿠션깔창(20) 저면과 전후방홈(17,18)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막혀서 상기 내부공간에 차있는 공기를 공기분출구로 효과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쿠션깔창(20)을 밑창(10)의 상면에 덮었을 때, 각각의 전후방홈(17,18)에는 그에 대응하는 공기압축구(23)와 수개의 쿠션돌기(24)가 각각 삽입되는데, 쿠션돌기(24)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공기압축구(23)는 쿠션돌기(24) 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공기압축구(23)의 하부와 그와 대응되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는 소정의 틈새(c)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쿠션깔창(20)을 밑창(10)의 상면에 덮어지게 설치한 뒤에 장화를 착용하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쿠션깔창(20)이 하방으로 눌리면서 수개의 쿠션돌기(24)와 공기압축구(23)가 밟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쿠션돌기(24)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발에 밟히면서 눌릴 때, 쿠션돌기(24)를 포함한 쿠션깔창(20)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이 자유로운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서 쿠션돌기(24)의 저면이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로 눌릴 때, 쿠션돌기(24)의 원통형 내부공간에 갇힌 공기가 압축되면서 항아리 형태로 외부둘레가 볼록해지면서 쿠션이 작용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쿠션돌기(24)보다 높이가 0.5~1㎜ 만큼 낮은 공기압축구(23)도 착용자의 발에 밟히면서 공기압축구(23)의 하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압축되어 공기압축구(23)에서도 쿠션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렇게 착용자의 발이 지면을 딛다가 보행을 위해 발을 들면, 각각의 쿠션돌기(24)와 공기압축구(23)는 자체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수개의 쿠션돌기(24)는 하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나, 공기압축구(23)는 쿠션돌기(24) 보다 높이가 0.5~1㎜ 만큼 낮음에 따라 공기압축구(23)의 하부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과 틈새(c)를 형성하게 된다.
위와 같이 지면을 딛고 있던 발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쿠션깔창(20)이 자체 탄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 쿠션깔창(20)의 상면과 발바닥 사이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장화의 안쪽에 있던 공기가 쿠션깔창(20)에 형성된 통기공(26)을 통하여 전후방홈(17,18) 측으로 각각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전후방홈(17,18) 측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쿠션깔창(20)의 저면과 그에 대응하는 전후방홈(17,18)의 공기는 공기압축구(23)의 하부와 전후방홈(17,18)과의 틈새를 통하여 공기압축구(23)의 하부 공간으로도 유입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음 보행이나 이동 등의 움직임을 위해 착용자의 발이 지면을 딛게 되면,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수개의 쿠션돌기(24)가 눌림과 더불어 쿠션력을 발휘하고, 수개의 쿠션돌기(24)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의 공기도 공기압축구(23)의 하부 공간부로 유입되며, 뒤이어 공기압축구(23)의 하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공기압축구(23)가 눌려지게 된다.
이렇게 공기압축구(23)가 눌려질 때, 이 공기압축구(23)는 내부 공간이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압축구(23)의 중앙 상측에는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공기분출구(22)가 형성되어서 공기압축구(23)의 내부공간에 차있던 공기가 빠르게 상측으로 모이면서 공기분출구(22)를 통하여 쿠션깔창(20)의 상측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렇게 쿠션깔창(20)의 상측으로 뿜어져 나온 공기는 장화의 안쪽에서 공기를 순환시켜 발바닥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장화를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거나, 또는 앉거나 서는 과정에서 발바닥과 발목이 구부려졌다가 펼쳐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발바닥은 지면을 딛고 서 있을 때 발바닥의 전체면이 지면을 디뎌서 수평상태이나, 보행을 시작하면 앞꿈치는 지면에 닫고 뒤꿈치는 들리면서 발바닥이 위쪽으로 구부려지게 되고, 발목의 앞부분도 구부려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장화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창(10)의 중간부분에 주름연결부(13)가 형성되고, 갑피(30)의 발목 대응부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되어서 발바닥과 발목이 구부려지는 것을 저지하는 저항력이 감소되어 편안한 보행이나 이동 등의 움직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연결부(13)는 발바닥에 대응하는 바닥주름부(14)에 의해 발바닥의 구부려짐과 펼쳐짐을 자유롭게 하면서 발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측면주름부(15)가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이 측면주름부(15)에 대응되는 갑피(30)의 양측면에는 하부가 개방되게 절개된 수개의 절개부(34)가 형성되어 밑창(10)의 중간부분과 그 밑창(10)이 부착된 갑피(30)의 측면부분도 부채꼴 형태로 구부려짐이 자유로워 발에 대한 구속력을 완화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착용하던 장화(1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 밑창(10)의 상면에 설치된 쿠션깔창(20)을 분리해내면 그 장화의 내부공간을 구석구석 물로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이 완료된 장화(100)를 거꾸로 세우면 장화의 내부공간에 물기가 남아 있을 공간이 없어서 장화의 내부를 쉽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쿠션깔창(20)도 함께 세척하여 장화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으로써, 이는 밑창(10)과 쿠션깔창(20)의 구성과, 갑피(30)의 발목부분 전방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된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일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실시예가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갑피(30)의 하부가 밑창(10)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 포함되는데, 이 경우는 갑피(30)와 밑창(10)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일실시예에서 갑피(30)의 하부를 밑창(10)에 결합하는 공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갑피(30)의 뒤꿈치측 후방에 장화를 쉽게 벗기 위한 후방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장화를 벗을 때, 일측 발의 밑창(10) 부분으로 후방돌출부(36)를 누르면서 장화를 벗으면 장화를 편하게 벗을 수 있으며, 상기 수직몸통부(32)의 상부에 손잡이부(40)가 형성되어 장화를 신을 때 수직몸통부(32)에 발을 삽입시키면서 손잡이부(40)를 잡아당기면 수직몸통부(32)가 긴 장화를 편하게 신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수직몸통부(32)의 상측 둘레와 손잡이부(40) 둘레에는 수직몸통부(32)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41)가 형성되어서 손잡이부(40)를 잡아당길 때, 수직몸통부(32)가 찢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실시예에서 갑피(30)의 수직몸통부(32)의 후방에 수개의 수직주름부(35)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이 출입될 때는 지지밴드(37)를 풀어서 수직몸통부(32)의 외경이 커지게 하며, 장화(100)의 내측으로 발을 삽입시킨 뒤에는 지지밴드(37)를 조여 암수벨크로를 착용자의 종아리 두께에 맞추어 부착하면 헐떡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직몸통부(32)의 전방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되고 후방에 수직주름부(35)가 형성됨에 따라 발목의 구부림이 더욱더 자유로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개의 수직주름부(35)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목부터 종아리까지 수직주름부(35)의 골부분 만큼 상하로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그 골부분으로 통기가 이루어지며, 수직몸통부(32)의 둘레(외경)을 종아리에 맞게 하는 지지밴드(37)의 고정단과 암수벨크로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가 수직몸통부(32)의 양측에 위치하여 수직몸통부(32)가 구부려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지지밴드(37)가 신축이 자유로운 고무재로 형성되어 발목의 구부림을 억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삼실시예의 경우에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밑창(10)과 쿠션깔창(20)을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고, 갑피(30)를 다르게 구성한 것이므로, 밑창(10)과 쿠션깔창(20)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삼실시예에 포함되는 갑피(30)는 수평몸체부(31)와 수직몸통부(32)를 방수가 되면서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하는 경우와, 수평몸체부(31)는 일,이실시예와 같이 고무재나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수직몸통부(32)를 방수가 되면서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위와 같이 갑피(30)의 전체 또는, 길이가 길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몸통부(32)를 방수와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함에 따라 방수는 기본이고, 장화의 무게가 가벼워지며, 통기가 자유로우며 발목부분이 잘 구부려져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갑피(30)의 전체 또는, 수직몸통부(32)를 방수와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함에 따라 장화를 착용하기 전에 수직몸통부(32)가 세워지지 않고 힘없이 주저앉게 되는 문제를 감안하여 수직몸통부(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부가 개방된 포켓부(44)를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뒤에, 그 포켓부(44)에 막대형 형태유지바(45)를 삽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어서 수직몸통부(32)가 구부려지면서 주저앉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갑피가 직물지로 된 장화를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형태유지바(45)는 막대형 공기튜브나, 연질합성수지를 발포 형성하여 뻣뻣한 스폰지정도의 경도를 유지하여 직물지로 된 갑피가 구부려지지 않고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직몸통부(32)는 발이 출입할 만큼 외경이 넓게 형성되어서 발의 출입은 자유로우나 장화의 내측으로 발을 삽입시켰을 때, 발목부터 종아리부분까지 헐렁하여 헐떡거릴 수 있는데, 이를 감안하여 수직몸통부(32)의 발목 대응부에 설치한 지지밴드(37)를 조여서 착용자의 헐렁함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일 내지 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시예 별로 그들에 구성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수직주름부(35)와, 후방돌출부(36), 지지밴드(37), 그리고 손잡이부(40)를 일실시예에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실시예에도 지퍼(4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일 내지 삼실시예 모두 지퍼는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일 내지 삼실시예에 의한 장화(100)의 밑창(10) 저면에는 논슬립창(10a)이 형성되어서 물을 많이 접하는 장화의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밑창 11 : 전방밑창 12 : 후방밑창
13 : 주름연결부 14 : 바닥주름부 15 : 측면주름부
16 : 갑피부착부 17 : 전방홈 18 : 후방홈
19 : 끼움홈 20 : 쿠션깔창 21 : 쿠션깔창본체
22 : 공기분출구 23 : 공기압축구 24 : 쿠션돌기
25 : 끼움돌기 26 : 통기공 27 : 통기깔창
30 : 갑피 31 : 수평몸체부 32 : 수직몸통부
33 : 발목주름부 34 : 절개부 35 : 수직주름부
36 : 후방돌출부 37 : 지지밴드 38 : 암벨크로
39 : 수벨크로 40 : 손잡이부 41 : 후육부
42 : 지퍼 43 : 지퍼내부커버 44 : 포켓부
45 : 형태유지구 100 : 장화

Claims (8)

  1. 밑창(10)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갑피(30)가 구비되는 장화에 있어서,
    상기 밑창(10)은 상면에 전방홈(17)과 후방홈(18)이 각각 형성된 전후방밑창(11,12)의 사이에 주름연결부(13)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밑창(10)의 상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쿠션깔창(2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쿠션깔창(20)은 밑창(10)의 상면을 덮는 판형 쿠션깔창본체(21)의 전후방 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압축구(23)와 수개의 쿠션돌기(24)를 하부가 상기 전방홈(17)과 후방홈(18)으로 삽입되게 각각 형성되고, 공기압축구(23) 중심부의 쿠션깔창본체(21)와, 쿠션돌기(24) 사이의 쿠션깔창본체(21)의 소정위치에 공기분출구(22)와 통기공(26)이 상하로 관통되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갑피(30)의 전방측 발목 대응부에 발목주름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주름연결부(13)는 전방밑창(11)의 후방측 상부와 후방밑창(12)의 전방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주름부(14)와, 바닥주름부(14)의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측면주름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밑창(11)과 주름연결부(13), 그리고 후방밑창(12)의 상측 전둘레에는 갑피(30)의 하부와 결합되는 갑피부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주름부(15)와 대응되는 수평몸체부(31)의 양측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수개의 절개부(34)가 형성되며,
    상기 갑피부착부(16)와 갑피(30)의 하부둘레가 결합 설치하되, 주름연결부(13)의 갑피부착부(16)는 절개부(34)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2. 밑창(10)의 상부에 착용자의 발등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갑피(30)가 구비되는 장화에 있어서,
    상기 밑창(10)은 상면에 전방홈(17)과 후방홈(18)이 각각 형성된 전후방밑창(11,12)의 사이에 주름연결부(13)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밑창(10)의 상면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쿠션깔창(2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쿠션깔창(20)은 밑창(10)의 상면을 덮는 판형 쿠션깔창본체(21)의 전후방 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압축구(23)와 수개의 쿠션돌기(24)를 하부가 상기 전방홈(17)과 후방홈(18)으로 삽입되게 각각 형성되고, 공기압축구(23) 중심부의 쿠션깔창본체(21)와, 쿠션돌기(24) 사이의 쿠션깔창본체(21)의 소정위치에 공기분출구(22)와 통기공(26)이 상하로 관통되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갑피(30)는 방수가 되면서 통기가 되는 직물지로 형성되며, 이 갑피(30)의 수직몸통부(3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상부가 개방된 포켓부(4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포켓부(44)에 막대형 형태유지바(45)가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수직몸통부(32)의 발목 대응부에 헐렁한 수직몸통부(32)를 조여 주는 지지밴드(37)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0)과 갑피(30)는 서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주름연결부(13)는 전방밑창(11)의 후방측 상부와 후방밑창(12)의 전방측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주름부(14)와, 바닥주름부(14)의 양측에 상측방향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측면주름부(15)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밑창(11)과 주름연결부(13), 그리고 후방밑창(12)의 상측 전둘레에는 갑피(30)의 하부와 결합되는 갑피부착부(16)가 형성되어 갑피부착부(16)와 갑피(30)의 하부둘레가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구(23)는 내부공간이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이 공기압축구(23)의 하부가 그에 대응하는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과 소정의 틈새(c)를 두게 형성되며, 공기분출구(22)는 공기압축구(23)의 상측 중심부에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쿠션돌기(24)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전후방홈(17,18)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연결부(13)가 형성된 전후방측 밑창(10)에는 상면부(11a,12a)에 끼움홈(19)이 형성되고, 쿠션깔창본체(21)의 중간부분 저면에 상기 밑창(10)의 끼움홈(19)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끼움돌기(2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30)의 측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절개선을 형성한 뒤에 그 절개선에 지퍼(42)가 설치되며,
    상기 갑피(30)의 뒤꿈치측 후방에 장화를 쉽게 벗기 위한 후방돌출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밴드(37)는 고무밴드로 형성하고 그 일측단은 갑피(30)에 고정 결합하고 타단을 수직몸통부(32)의 측면에서 암수벨크로를 이용하여 착탈식으로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30)에 포함되는 수직몸통부(32)의 후방에 수개의 수직주름부(3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수직몸통부(32)의 발목대응부에는 수직주름부(35)를 감싸서 발목대응부를 조여주는 지지밴드(37)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밴드(37)는 일측단부가 수직몸통부(32)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측 자유단부는 타측면에 부착된 수벨크로(39)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암벨크로(38)가 부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8. 삭제
KR1020190083153A 2019-07-10 2019-07-10 장화 KR10208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53A KR102087924B1 (ko) 2019-07-10 2019-07-10 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153A KR102087924B1 (ko) 2019-07-10 2019-07-10 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24B1 true KR102087924B1 (ko) 2020-03-12

Family

ID=6980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53A KR102087924B1 (ko) 2019-07-10 2019-07-10 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418B1 (ko) * 2020-10-19 2021-12-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벗기 편리한 구조의 장화
KR102599095B1 (ko) * 2022-10-19 2023-11-08 대한민국 충전 및 휴대가 가능한 안전강화용 장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44B1 (ko) * 2010-06-15 2011-01-13 임옥순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KR20120020345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신경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1234531B1 (ko) 2011-03-18 2013-02-19 김기춘 장화
KR20150000306U (ko) * 2013-07-12 2015-01-21 홍승배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20150109016A (ko) * 2014-03-19 2015-10-01 고패스 주식회사 신발용 체크 밸브판
US20190014858A1 (en) * 2017-07-12 2019-01-17 Tung-Cheng Chen Boot inso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44B1 (ko) * 2010-06-15 2011-01-13 임옥순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KR20120020345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신경 길이조절이 가능한 신발
KR101234531B1 (ko) 2011-03-18 2013-02-19 김기춘 장화
KR20150000306U (ko) * 2013-07-12 2015-01-21 홍승배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20150109016A (ko) * 2014-03-19 2015-10-01 고패스 주식회사 신발용 체크 밸브판
US20190014858A1 (en) * 2017-07-12 2019-01-17 Tung-Cheng Chen Boot inso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418B1 (ko) * 2020-10-19 2021-12-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벗기 편리한 구조의 장화
KR102599095B1 (ko) * 2022-10-19 2023-11-08 대한민국 충전 및 휴대가 가능한 안전강화용 장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034B2 (en) Shoe with detachable and flexible heel strap
EP3145304B1 (en) Dog shoe
KR102087924B1 (ko) 장화
US8074374B2 (en) Shoe sole with ventilation
KR20200029371A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CN105411083B (zh) 机房用工作人员脚部防护装置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416258Y1 (ko) 통기성 신발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CN220212066U (zh) 一种凉鞋
KR102160594B1 (ko) 신발
KR200199965Y1 (ko) 환기성을 갖춘 샌들형 슬리퍼
JP6608210B2 (ja) 室内用履物
CN111972766B (zh) 一种防水溅鞋子
CN220140922U (zh) 一种用于水中使用的胶鞋
CN220936991U (zh) 靴子
CN216363859U (zh) 足部用具以及具有病毒防护外罩的鞋
CN211794622U (zh) 一种防磨脚女鞋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JPS5911619Y2 (ja) 靴用中敷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20110107247A (ko) 기능성 슬리퍼
KR20060107020A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333446Y1 (ko) 욕실용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