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91B1 -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91B1
KR102086891B1 KR1020170150596A KR20170150596A KR102086891B1 KR 102086891 B1 KR102086891 B1 KR 102086891B1 KR 1020170150596 A KR1020170150596 A KR 1020170150596A KR 20170150596 A KR20170150596 A KR 20170150596A KR 102086891 B1 KR102086891 B1 KR 10208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building
heating unit
circumferenc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393A (ko
Inventor
오상진
Original Assignee
오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진 filed Critical 오상진
Priority to KR102017015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물 양생장치는: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부; 및 유도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STRUCTURE CURING APPARATUS AND STRUCTURE C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양생시간을 단축시키고, 양생장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이나 빔으로 골조를 세운 후 거푸집을 설치한다. 거푸집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은 일정한 시간 동안 양생된다.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은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건물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5295호(2017. 06. 01 등록, 발명의 명칭: 건물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법 및 건물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양생시간을 단축시키고, 양생장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는: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유도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라인일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상기 건물 전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코어 와이어; 및 상기 코어 와이어에 권취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양생장치는 상기 건물의 거푸집에 상기 유도가열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고정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양생장치는 상기 건물의 둘레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보호막; 및 상기 유도가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막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양생장치는 상기 유도가열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기파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건물의 철골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은: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의 둘레를 따라 유도가열부가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유도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유도가열부가 유도가열 되어 상기 건물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건물 전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르타르가 타설된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유도가열부가 설치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거푸집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클램프에 상기 유도가열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르타르가 타설된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상기 유도가열부가 설치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보호막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보호막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가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클램프에 상기 유도가열부가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양생방법은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도가열부를 둘러싸도록 전자기파 차단막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건물의 철골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가열부가 건물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가열라인이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므로, 유도가열라인을 이용하여 건물 전체를 양생하더라도, 부분적인 기타 가열방법 또는 부분적인 유도가열 방법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고정 클램프가 거푸집이나 보호막에 설치된 후 유도가열부가 고정 클램프에 설치되므로, 기존의 거푸집이나 보호막을 이용하여 유도가열부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부의 설치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파 차단막이 전자기파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유도가열부의 유도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가열의 특성상 급속한 발열 효과와 온도 상승 효과로 인하여 기온이 낮은 기간에도 모르타르 양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가 중심부가 비어있는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가 중심부가 비어있는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서 유도가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서 유도가열부의 자기력에 의해 건물의 철골이 유도가열 되는 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가 중심부가 비어있는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가 중심부가 비어있는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서 유도가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서 유도가열부의 자기력에 의해 건물의 철골이 유도가열 되는 원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는 유도가열부(110) 및 전원 공급부(120)를 포함한다.
철근이나 빔을 세워 골조를 세운 후 거푸집(15)을 설치한다.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건물(10)을 짓는다. 건물(10)에는 콘크리트 건물, 철근 콘크리트 건물, 토목 시설물 등 철근이나 철성분이 사용되는 건물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건물(10)은 내부가 막혀있는 건물이나 내부가 비어있는 건물이 모두 포함된다.
유도가열부(110)는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도가열부(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건물(10)에서 외측벽과 내측벽을 모두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가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부(110)가 유도가열됨에 따라 콘크리트가 양생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유도가열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20)로는 건물(10) 내부의 전기를 이용하거나 건물(10) 외부의 별도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는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라인(111)이다. 유도가열라인(111)은 건물(10) 전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된다. 유도가열라인(111)은 선형이 용이하게 변형도록 플랙시블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선형 내지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라인(111)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므로, 전원 공급부(120)에서 특정 전력(예: 10kW 정도의 전력)이 유도가열라인(111)에 공급됨에 따라 건물(10) 전체가 동시에 양생될 수 있다. 이때, 유도가열라인(111)은 대략 70-100℃ 정도로 발열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라인(111)을 이용하여 건물(10) 전체를 양생하더라도 전력 소모량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가열부(110)가 건물(10)의 단위 면적당 하나씩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각 유도가열부(110)마다 특정 전력(예: 10kw씩의 전력)이 공급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개수만큼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라인(111)에 10kW의 전력만 공급하면 된다. 따라서, 전력 소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유도가열라인(111)은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고, 전원 공급부(12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112)과, 코일(112)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피복(113)을 포함한다. 코일(112)는 구리, 알루미늄, 은, 강재질 등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112)은 피복(113)의 내부에 1가닥 설치되거나 피복(113)의 내부에 복수 가닥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거푸집(115)은 금속부재에 해당되고, 코일(112)은 유도가열부(110)에 해당되며, 전원공급부(120)는 교류전류 공급부 역할을 수행한다.
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코일(112) 주위에 발생되고, 발생된 자기장은 건물(10) 전체를 감싸고 있는 거푸집(15), 건물(10) 내부의 철골에 와류전류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와전류는 거푸집(15), 건물(10) 내부 및 외부의 철골, 모르타르의 철성분에 줄열을 발생하게 하여 금속부분의 온도를 높이는 유도가열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10)이 유도가열에 의해 보다 빠른 시간에 양생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의 특성상 급속한 발열 효과와 온도 상승 효과로 인하여 기온이 낮은 기간에도 모르타르 양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건물 양생장치는 건물(10)의 거푸집(15)에 유도가열부(110)가 지지되는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더 포함한다.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라인(111)을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을 수 있도록 복수 열로 배열된다.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라인(111)을 고정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푸집(15)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설치한 후 유도가열부(110)를 고정 클램프(130)에 설치하므로, 기존의 거푸집(15)을 이용하여 유도가열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의 설치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건물 양생장치는 건물(10)이나 거푸집(1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기파 차단막(150)을 더 포함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은 자성체 소재로 제조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이 전자기파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유도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건물(10)의 철골(13)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 철골(13)은 건물(10)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 빔 등의 금속성 구조물이다.
상세하게는, 건물(10)의 철골(13)로서 철근이나 빔이 설치되며,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철골(13)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철골(13)의 전기저항에 의해 철골(13)이 유도가열 된다. 철골(13)이 가열됨에 따라 건물(10) 내부에서도 콘크리트가 양생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과, 거푸집(15)과 철골(13) 및 모르타르의 철성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건물(10)의 내부와 외부가 동시에 가열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유도가열부(110)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건물(10)의 거푸집(15)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설치하고, 고정 클램프(130)에 유도가열부(110)를 설치한다(S11,S12). 이때,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라인(111)을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을 수 있도록 복수 열로 배열된다.
거푸집(15)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설치한 후 유도가열부(110)를 고정 클램프(130)에 설치하므로, 기존의 거푸집(15)을 이용하여 유도가열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유도가열부(110)를 둘러싸도록 전자기파 차단막(150)을 설치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이 전자기파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유도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에서 유도가열부(11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유도가열부(110)가 유도가열 되게 한다(S13,S14).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건물(10)이 양생된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건물(10)의 철골(13)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S15). 즉, 건물(10)의 골조로서 철골(13)이 설치되며,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철골(13)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철골(13)의 전기저항에 의해 철골(13)이 유도가열 된다. 철골(13)이 가열됨에 따라 건물(10) 내부에서도 콘크리트가 양생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장치는 유도가열부(110), 전원 공급부(120), 보호막(140) 및 고정 클램프(130)를 포함한다.
철근이나 빔을 세워 골조를 세운 후 거푸집(15)을 설치한다.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건물(10)을 짓는다.
유도가열부(110)는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유도가열부(110)는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도가열부(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건물(10)에서 외측벽과 내측벽을 모두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가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부(110)가 유도가열 됨에 따라 콘크리트가 양생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유도가열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20)로는 건물(10) 내부의 전기를 이용하거나 건물(10) 외부의 별도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막(140)은 건물(10)의 둘레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보호막(140)은 공사현장의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고,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이 주변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부(110)를 지지하도록 보호막(140)에 설치된다.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부(110)에 복수 열로 배열된다.
보호막(140)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설치한 후 유도가열부(110)를 고정 클램프(130)에 설치하므로, 기존의 보호막(140)을 이용하여 유도가열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는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라인(111)이다. 유도가열라인(111)은 건물(10) 전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된다. 유도가열라인(111)은 선형이 용이하게 변형도록 플랙시블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선형으로 굴곡되거나 감길 수 있다.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라인(111)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므로, 전원 공급부(120)에서 특정 전력(예: 10kW 정도의 전력)이 유도가열라인(111)에 공급됨에 따라 건물(10) 전체가 동시에 양생될 수 있다. 이때, 유도가열라인(111)은 대략 70-100℃ 정도로 발열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라인(111)을 이용하여 건물(10) 전체를 양생하더라도 전력 소모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가열부(110)가 건물(10)의 단위 면적당 하나씩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각 유도가열부(110)에는 특정 전력(예: 10kW 정도의 전력)이 공급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개수만큼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유도가열라인(111)이 건물(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므로, 유도가열라인(111)에 10kW의 전력만 공급하면 된다. 따라서, 전력 소모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호막(140)의 외측에는 전자기파 차단막(150)이 설치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은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은 자성체 소재로 제조된다. 전자기파 차단막(150)이 전자기파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유도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건물(10)의 철골(13)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하게는, 건물(10)의 철골(13)로서 철근이나 빔이 설치되며,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철골(13)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철골(13)의 전기저항에 의해 철골(13)이 유도가열 된다. 철골(13)이 가열됨에 따라 건물(10) 내부에서도 콘크리트가 양생된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과, 거푸집(15)과 철골(13) 및 모르타르의 철성분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건물(10)의 내부와 외부가 동시에 가열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의 특성상 급속한 발열 효과와 온도 상승 효과로 인하여 기온이 낮은 기간에도 모르타르 양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양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푸집(15)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유도가열부(110)가 설치된다. 이때, 건물(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보호막(140)이 설치되고, 보호막(140)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가 설치되며, 고정 클램프(130)에 유도가열부(110)가 설치된다(S21,S22). 이때, 고정 클램프(130)는 유도가열라인(111)을 건물(10)의 둘레를 따라 감을 수 있도록 복수 열로 배열되고, 유도가열부(110)는 하나의 유도가열라인(111)으로 건물(1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한다.
보호막(140)에 복수의 고정 클램프(130)를 설치한 후 유도가열부(110)를 고정 클램프(130)에 설치하므로, 기존의 보호막(140)을 이용하여 유도가열부(1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가열부(110)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유도가열부(110)를 둘러싸도록 전자기파 차단막(150)을 설치한다(S23). 전자기파 차단막(150)이 전자기파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유도가열부(110)의 유도가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에서 유도가열부(11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유도가열부(110)가 유도가열 되게 한다(S24,S25).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건물(10)이 양생된다.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건물(10)의 철골(13)이 유도가열 될 수 있다(S26). 즉, 유도가열부(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철골(13)에 유도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철근이나 빔의 전기저항에 의해 철골(13)이 유도가열 된다. 철골(13)이 가열됨에 따라 건물(10) 내부에서도 콘크리트가 양생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건물 13: 철골
15: 거푸집 110: 유도가열부
111: 유도가열라인 112: 코일
113: 피복 120: 전원 공급부
130: 고정 클램프 140: 보호막
150: 전자기파 차단막

Claims (14)

  1. 거푸집의 내부에 모르타르가 타설된 건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유도가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하나의 유도가열라인이고,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피복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피복의 내부에 1가닥 또는 복수 가닥 설치되고,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선형이 변형 가능하도록 플랙시블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70-100℃로 발열되고,
    상기 건물의 둘레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는 보호막;
    상기 유도가열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막 또는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클램프; 및
    상기 건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도가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기파 차단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유도가열라인을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을 수 있도록 상기 건물의 둘레에 복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은 상기 거푸집과 상기 건물 내부의 철골과 모르타르에 함유된 철성분에 와류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와류 전류에 의해 상기 거푸집, 상기 철골 및 상기 모르타르에 함유된 철성분이 유도가열 됨에 따라 상기 건물이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양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건물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양생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라인은 상기 건물 전체 또는 일부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양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건물 전체 또는 일부의 둘레를 따라 감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양생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150596A 2017-11-13 2017-11-13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KR10208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96A KR102086891B1 (ko) 2017-11-13 2017-11-13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96A KR102086891B1 (ko) 2017-11-13 2017-11-13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93A KR20190054393A (ko) 2019-05-22
KR102086891B1 true KR102086891B1 (ko) 2020-03-09

Family

ID=6667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96A KR102086891B1 (ko) 2017-11-13 2017-11-13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240B1 (ko) 2022-01-13 2022-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가열을 활용한 시설물 내 대피시설 적용 스프레이형 전자기유도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증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98B1 (ko) * 2020-11-27 2022-05-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도로포장 긴급보수용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그 방법
WO2022129649A1 (es) * 2020-12-14 2022-06-23 Asociacion Centro Tecnologico Ceit Dispositivo portátil de curado de hormigón mediant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FR3126724B1 (fr) * 2021-09-06 2023-12-15 Michel Dumonte Panneau d’une banche de coffrage chauffante
KR102622049B1 (ko) * 2021-11-25 2024-01-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양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269A (ja) * 1998-10-14 2000-04-25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の加熱方法
JP2002242434A (ja) * 2001-02-15 2002-08-28 Sekisui Plastics Co Ltd 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414B1 (ko) * 2012-07-25 2015-01-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269A (ja) * 1998-10-14 2000-04-25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の加熱方法
JP2002242434A (ja) * 2001-02-15 2002-08-28 Sekisui Plastics Co Ltd 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240B1 (ko) 2022-01-13 2022-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가열을 활용한 시설물 내 대피시설 적용 스프레이형 전자기유도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증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93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91B1 (ko) 건물 양생장치 및 건물 양생방법
KR101486414B1 (ko)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방법
JP5013404B2 (ja) プレストレス導入用の自己収縮性横筋、この横筋を用いた外郭プレキャスト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US3454746A (en) Electric heating covering
FI12256U1 (fi) Muotti betonista paikallavalettavan rakenteen tuottamista varten
US10622142B2 (en) Concrete-embedded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JP2012005283A (ja) 誘導加熱による固定子の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
CN103213193A (zh) 一种缓粘结预应力混凝土加热养护方法及加热养护装置
KR101718807B1 (ko) 공동주택 측벽 단열구조
KR0137849B1 (ko) 가열 양생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방법
KR20090086825A (ko) 콘크리트 양생용 히팅 시스템
JP2013253433A (ja) 給熱養生によるマスコンクリートのひび割れ抑制工法
RU26336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укционного прогрева бетонируемых моноли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130063598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거푸집용 슬라이딩 장치
KR102469240B1 (ko) 유도가열을 활용한 시설물 내 대피시설 적용 스프레이형 전자기유도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강도증진 시스템
JP2005221132A (ja) 誘導加熱炉の炉壁構造
WO2020045301A1 (ja) 修復装置
KR20140132486A (ko) 아크 용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
RU123908U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1863832B1 (ko) 아파트 벽면의 시공 방법
KR20090055109A (ko) 터널공사의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가열장치
KR101576853B1 (ko)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JPWO2015029095A1 (ja) 溶接構造物の熱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396504B1 (ko) 콘크리트 양생장치
KR20190047394A (ko) 인덕션 히팅용 나선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